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탕수수의 수확전 소각 금지에 따른 상파울루주의 대기질 변화 사전 연구

        장유운(Jang, Yu-Woon),하상섭(Ha, Sang-Sub),이강웅(Lee, Gang-Woong),정경원(Chung, Kyung-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2

        상파울루주는 사탕수수의 수확전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난화물질과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하여 소각 금지 법안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파울루주의 중부에 위치한 바우루(Bauru) 지역을 대상으로 소각 금지 정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저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1차 대기오염물질의 확산과 2차 대기오염물질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상은 풍속의 경우 주간에 다소 우세하였지만 평균 2.5 ㎧로 낮게 관측되었다. 풍향은 대부분 남동풍이었지만, 오후 시간에 서풍이 발생하는 특성을 보였다. 대표적인 오존 전구물질인 질소산화물은 2008년 대비 2016년에 30% 감소하였지만, 광화학오염물질인 오존은 오히려 13% 증가하였다.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고농도 오존 또한 연평균 1,000회 이상 발생하였다. 광화학 반응에 중요한 인자인 대기 온도도 연평균 0.24도 상승하였다(p value <0.001). 상파울루 주의 소각 금지 정책이 기후변화 완화와 일부 대기오염물질 감축에 기여하였지만, 주민의 건강에 위해한 광화학 물질인 오존 생성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바우루 지역을 포함하여 대기자동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는 상파울루 주의 14개 사탕수수 재배지역에 대한 오존증가 거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ate of São Paulo Law 11.241 establishes the extinction of the pre-harvest burning sugarcane practice that emits aerosols, tropospheric ozone precursors and greenhouse gases to the atmosphere. In this context, this work aims to analyse the properties of effectiveness from pre-harvest burning law in Bauru region. The dominant wind in Bauru is the east wind and the west wind also occurred in the afternoon. The average wind speed was 2.5 ㎧ and it was a little faster during the daytime. Nitrogen oxides decreased to 30% and ozon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13% during the study period. High ozone episode also occurred over 1,000 exceeding ozone standard criteria. Ozone episodes exceeding the ozone standard were over 1000 cases per year.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ozone formation, also increased by an annual average of 0.24 ℃(p value<0.001).

      •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 EPDM 폼에서 팽창흑연 첨가효과 분석

        장유리(Jang, Yu-Ri),이덕희(Lee, Deok-Hui),강경민(Gang, Gyeong-Min),이동엽(Lee, Dong-Yeop)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추계

        다양한 첨가제가 들어가는 고분자 화합물(compound)의 제조에 있어 난연 발포 보조제인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EGP)은 흡유가가 낮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양을 첨가해도 혼합(Mixing)이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인계 난연제 APP(Ammonium Polyphosphate)를 사용한 난연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폼에 팽창흑연 첨가량을 증가시키면서 산소 지수와 발열량을 통해 난연 성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산소지수는 ISO 4589-2 상온 산소지수 방법을, 발열량 평가는 ISO 5660-1 콘 칼로리미터를 활용하였다.

      • KCI등재

        실험실 가스 누출 시 피해 영향 분석

        장유리(Yuri Jang),정승호(Seungho Jung),박교식(Kyoshik Park) 한국가스학회 2015 한국가스학회지 Vol.19 No.4

        화학물질을 다루는 실험실의 안전사고는 매년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대학 내 실험실은 학생들이 주된 연구자로써 지식과 능력을 쌓아가고 경험을 축적하는 곳이기에 실험실의 안전은 더욱 중요하다. 학 내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5가지의 가스(CO, NH₃, H₂, CH₄, N₂)를 선정하여 이 가스들이 누출 될 경우의 시나리오들로부터 확산 과정을 PHAST v.6.7로 계산, 분석함으로써 피해 정도를 예측하였다. 실험실 내부 확산과정은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프로그램 FLUENT를 통하여 모델링하였다. 가스 누출 시 실험실 창을 통해 외부로 유출 될 경우 실내와 실외의 피해 영향에 대해서도 비교하였다. 각 가스들의 모델링 결과를 보면, 실험실 외부보다는 실험실 내부에서 그 피해 정도가 훨씬 큰 데, 학 내 실험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스 용기, 즉 실린더의 용량은 47 L(혹은 그 이하)로 ton 단위로 사용하는 사업장에 비하면 그 양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실외의 영향이 플랜트와 비교해서 현저히 작다. 하지만 시뮬레이션 결과 작은 양으로도 실내에서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ccidents in laboratory dealing with chemicals have constantly occurred. In the case of a gas explosion or an accident related to leakage of chemical materials, the damage is much greater, thereby leading to a serious accident. Especially, the safety of laboratory in University is important because students build up knowledge and skills and accumulate experience as the main researchers. In this paper, 5 gases(CO, NH₃, H₂, CH₄, N₂) are selected to model since they are often used in university laboratories. From the scenarios where the gases are released, the diffusion process is estimated and analyzed to predict damage degree by PHAST v.6.7. Internal diffusion process is modeled through FLUENT which i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tool. Also, we compare indoor damage with outdoor one w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aboratory’s window. In the modeling results, the outdoor damages for accident scenarios in the results are far less than then of real plants since the vessel usually used in laboratory(i.e. the capacity of the cylinder; 47 L or less) is significantly less than workplace’s one(using ton measure). However as shown in the results small amount can have high consequences for indoor accidents.

      • 알루미늄 도핑된 하프늄 산화물과 비정질 InGaZnO를 이용한 강유전성 MFSM 캐패시터

        장유성(Yuseong Jang),이수연(Soo-Yeon Le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강유전체 특성 발현을 위해서는, HfO₂ 박막 상부 물질로 금속 화합물 TiN 전극을 사용하거나, Zr 원소를 도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Al 원소를 도핑한 HfO₂ 박막과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InGaZnO (IGZO)를 이용한 metal-ferroelectric-semiconductor -metal (MFSM) 캐패시터 구조를 최초로 제작하여 잔여 분극 7.7 µC/cm²을 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강유전체 기반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후속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SCOPUSKCI등재

        AgNo3 침적 처리가 활성탄소섬유의 Ag 에 의한 미세기공 채움 및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장유신(Yu Sin Jang),박수진(Soo Jin Park)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2

        AgNO_3 용액 침적처리로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여 미세기공 채움 및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미세기공의 채움 특성은 BE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시험은 병원성 세균으로서 그람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과 비병원성의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 (Escherichia coli)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Ag가 활성탄소섬유 표면에 도입됨에 따라 비표면적은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기공에 침착되는 Ag는 낮은 농도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 기공의 막힘 현상이나 채움 현상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미세기공 중 상대적으로 큰 미세기공에서 채움 현상이 많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항균활성 시험으로부터 1.0 wt% AgNO_3 용액으로 처리한 활성탄소섬유는 S. aureus 및 E. coli 모두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Activated carbon fibers (ACFs), which supported silver, were prepared by immersion processed in AgNO_3 solution, and the effects of micropore filling by silver particles and is antibacteri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Effect of micropore filling by silver particles and antibacterial activity were characterized by BET methods and dilution test against Staplylococcus aureus (S.aureus; gram positive and virulene) and Escherichia coli (E. coli; gram negative and avirulence), respectively.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CFs exhibited a decrease in BET`s specific surface area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the silver solution. More micropores were either filled or closed by silver particles at a higher concentration of AgNO_3 solution rather than a lower one. The ACFs immersed in 1.0 wt% of AgNO_3 showed a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both strains, S. aureus and E. coli, which suggests it as a promising antibacterial material.

      • KCI등재

        탐색 자극의 시각적 특징이 공간적 배열의 맥락 단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장유리(Yuri Jang),정고은(Koeun Jung),민윤기(Yoonki M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4

        방해 자극들 사이에 표적 자극이 제시되는 시각 장면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우리는 표적의 위치와 방해 자극의 공간적 배열 사이의 연합을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적을 탐색하는 속도는 새로운 화면보다 반복 화면에서 더 빠르며, 이러한 탐색 시간의 이득을 맥락 단서 효과(Contextual cueing effect)라고 한다. TL 탐색 과제를 사용한 맥락 단서 효과는 주로 자극들의 공간적 배열로 정의되어 왔으나, 실제 물체 탐색 과제를 사용한 최근 연구들에서는 맥락이 자극들의 공간적 배열과 시각적 특징의 합으로 정의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배열맥락이 시각적 특징 맥락보다 더 강할 때, 시각적 특징 맥락이 공간적 배열 맥락 단서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물체 탐색)과 연구 2(TL 탐색)는 공간적 배열의 독립적 학습과 이에 시각적 특징 맥락이 더해지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맥락 단서의 학습은 두 과제에서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과제에 따라 맥락 단서의 학습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표적의 위치를 예측해주고 연합장벽(associative blocking)이 발생하지 않을 때 맥락 단서에 대한 학습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hen visual displays in which a target is presented among distractors are repeatedly presented, we able to lear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distractors and target’s location. Search speed is faster in the repeated displays than in the novel displays. This benefit of search time is called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The contextual cueing effect using the TL search task has been defined primarily as a spatial configuration of stimuli, but the recent studies by Makovski(2016, 2018), using the real-world object search task, suggest that the context is the sum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visual features of stimuli.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affects the learning of context of spatial configuration when the context of spatial configuration is stronger than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Study 1(using the real-world search task) and Study 2(using the TL search task) showed the independent learning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additive effect of the context of visual features. Also, the learning of contextual cu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tas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rning of contextual cue not depends on task, but it is possible when the contextual cues can predict the target location and associative blocking does not occ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