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서사전략과 교과서·그림책 각색의 서사전략 비교연구

        장수경(Jang, Su-kyung)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2

        이 글은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서사전략과 그림책과 교과서로 각색된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서사전략을 비교하여 동화 텍스트를 다양한 서사로 변형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후 아동문학을 각색할 때 연구자나 각색자들이 참조할 수 있는 기초적인 시각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은 두 방향에서 대중 서사전략을 적극 활용한다. 첫째, 잎싹이 세 번의 ‘만남’과 ‘이별’을 겪으면서 ‘꿈’을 추구하고 실현하는 서사구조를 통해 독자에게 ‘모험’과 ‘꿈’의 실현이라는 희망적 메시지를 제공해주었다. 둘째, 이 작품은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주인공의 행위를 통해 완전한 모성의 재현이라는 감성을 동화의 서사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독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는 인간이 추구해야할 최고의 가치로서 ‘꿈’과 ‘모성’이라는 유토피아적 이상을 전달하였고, 이런 보편적 감성전략은 독자에게 교훈적 의미를 생성하며 만족감을 줌으로써 이 작품이 대중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그러나 스토리 측면에서 뛰어난 작품이라는 평을 받았던 원작이 그림책과 교과서로 각색될 때 장편 서사를 단순하게 축소하고 집중화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작품 전체의 유기적 구성력이 약화된 것이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는 인물간의 상호관련성, 내면의 갈등과 심리변화, 잎싹의 희생동기 등이 배제됨으로써 원작이 추구하는 묵직한 철학적 주제 의식을 충분히 구현해내지 못하는 한계로 남는다. 이와 같이 장편 동화를 그림책이나 교과서로 각색할 때에는 서사를 축소ㆍ집중화하더라도 원작의 스토리가 갖고 있던 구성의 유기적 연결 관계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한 뒤, 각각의 특성에 맞게 스토리 전략을 세워야 한다. This writing compares the narrative strategies of the children’s story ‘Leafie, a Hen into the Wild’ and its picture book and text book adaptations to examin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urse of narrative changes and to establish a framework to refer to when changing the text of children’s story into different narratives. The children’s story utilizes two kinds of popular narrative strategies. The first narrative strategy illustrates Leafie’s experience of three ‘meetings’ and ‘goodbyes’ to seek and realize his ‘dream’ to deliver an important lesson of adventures and dreams coming true to the readers. The second captures the perfect mother’s love using psychological narrative strategy to fully utilize it as a narrative strategy. In other words, the story intends to convey utopian ideals of dreams and mother’s love as the highest set of values worthy to be pursued, and such a sentimental strategy provided the readers with a moral lesson and satisfied them leading to a popular success. However, the original work that received positive reviews in terms of its story underwent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and concentration of a long narrative for picture book and text book adaptations resulting in an excessive weakening of an organic structure in the entire work. It creates a limitation in delivering the theme of the original work by eliminating inter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internal turmoil and changes, and Leafie’s motive for sacrifice. All in all, it is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of a long narrative of a children’s story into a picture book or text book should be preceded by the sufficient review of the organic interrelationships contained in the original work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y for the entire story.

      • KCI등재

        1950년대 구성되는 기억,아동,문학26) ―『새벗』을 중심으로

        장수경 ( Su Kyung J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이 논문은 1950년대 어린지 잡지 『새벗』(1952-1959)에 실린 아동텍스트를 중심으로 전중과 전후 공동체의 특정 기억이 어떻게 삭제?망각?생성?의식화되는지 그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중에는 전쟁으로 집과 가족을 잃은 고아들이 거리의 부랑자로 전락해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일상의 풍경처럼 되어갔다. 이런 전쟁에 대한 슬픈 기억은 남한에 있는 사람들을 감성적 공동체로 결집시키는 하나의 힘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네이션의 문제는 동화ㆍ소년소설뿐 아니라 만화 등 아동 텍스트에서 주요한 하나의 흐름을 형성했다. 전쟁 중 제일먼저 창간된 어린이 잡지 『새벗』에는 네이션, 아동, 문학의 사회ㆍ정치적인 관계 들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월남 작가들이 쓴 작품 중에는 현실의 불안과 분열로 인해 텍스트 내에서 네이션과 충돌을 일으키는 서사들이 발견된다. 아동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서사의 균열은 1950년대 사회ㆍ정치적 상황이 얼마나 억압되어 있었는지를 증명해준다. 이런 서사의 균열은 1950년대 후반부로 오면서 아동문학에서 대체ㆍ치환ㆍ투사의 과정을 거치며 현실에 대한 재현과 새로운 기억을 재창조하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e 1950`s, the ordinary landscape was the line of evacuees and orphans leading miserable lives in the streets as tramps. The sad memory towards the war worked as some kind of strength that concentrated the people in South Korea as an emotional community. Thus, the matter of nation formed a crucial flow in children`s text not just in fairy tales or juvenile novels but cartoons as well. Saebeot, the children`s magazine that was published first during the war contained social and political relations among the nation, children, and literature overlapped. From the works written by Vietnamese writers, we can find the narrations in which the nation collides with the text due to the anxiety and split lying in the reality. The cracks of the narrations shown in the children`s text verify how unstable and suppressed the time of ``1950`s`` and the place of ``South Korea`` were. Around the latter period of the 1950`s, the narrations intending to escape from the frame of the natio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placementㆍsubstitutionㆍprojection in children`s literature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that turned the reproduction of reality and new memory to the direction of recreation.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50`s centering around the text contained in Saebeot.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investigate individual writers or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each text in detail. Thus, the paper leaves as the follow-up task the work to draw the holist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war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text contained in other magazines or book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 KCI등재

        이원수 소년소설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서사적 지향 : 『아이들의 호수』, 『민들레의 노래』를 중심으로

        장수경(Jang Su-Kyung)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3

        이 글의 목적은 해방이후 이원수 초기 소년소설에 나타난 작가의 현실인식과 서사적 지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 글은 6·25전쟁 체험을 담아낸 ?『아이들의 호수』와 4·19와 6·25에 대한 공적기억을 재구성하는 『민들레의 노래』를 중심으로 부조리한 현실폭로와 자유에 대한 지향을 살펴보았다. 『아이들의 호수』는 전후 서양의 이식된 문화와 일상 속에서 자유를 박탈당한 채 살아가는 민초들의 억압된 삶을 다루고 있다. 이원수는 6·25전쟁과 주체를 상실한 채 서구의 것만 쫓는 현실, 악인들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자유를 박탈당한 민초들의 고통에 천착한다. 부조리한 현실에서 '자유'란 "협력"하지 않으면 박탈당하는 "자유"일 뿐이다. 『아이들의 호수』에서 용이는 현실에서 '자유'를 잃고 판타지의 세계에서 폭력에 거부할 '자유'를 호소한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이원수는 '호수'라는 '물'의 심상을 통해 '정화되어야 할 것'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서 당면 문제들을 구호적인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을 뿐 인물들이 현실에서 능동적인 실천을 하는 것으로 형상화하지는 못한다. 즉, 『아이들의 호수』와 『꼬마옥이』, 그리고 『강물과 음악』 등에서는 전쟁과 서구화, 사회적인 부정과 폭력에 대해 '악'과 '죄'로 표상하지만 능동적인 실천이나 변화의 지점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4·19 이후 발표된 『민들레의 노래』에서는 구호적 차원에서 머물던 자유에 대한 욕망이 어느 정도 구체성을 띠고 방향성을 모색한다. 이 작품에서 4·19는 단순한 당대적 사건이 아니라 6·25의 폭력적 현실로부터 1960년까지 지속된 부조리한 현실을 담아내기 위한 계기이고, 당대인들의 억눌린 욕망을 분출하는 자유의 장으로 기능한다. 이원수는 4·19의 경험을 인식하는 경희와 6·25의 기억을 지닌 현우의 만남을 통해 사적 기억을 공적 기억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자유를 지닌 아동상을 제시한다. 이처럼 이원수는 『아이들의 호수』와 『민들레의 노래』 등을 통해 당대 현실인식을 담아내고, 행동하는 주체로서 '자유로운 아동상'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author's Recognition Reality and Narrative oriented in Won Soo Lee's early juvenile novels. The detailed aspects of how the desire for 'freedom' is developed are explained mainly in 'the children's lake', which depicts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nd 'the song of dandelion', which connects the public memories of 4·19 movement and the Korean War. The children's lake' describes oppressed lives of the people who are stripped of freedom in the implanted culture and daily routine from the west. Won Soo Lee focuses on the reality of obsessive pursuit of the western culture and the agony of the ordinary people without freedom under the rule of the evil. In the irrational reality, 'freedom' is only 'freedom' that is taken away when people do not 'cooperate'. However, the protagonist does not have the courage to act for the freedom. in 'the children's lake', Yong Ee, the protagonist, loses 'freedom' in reality and appeals for 'freedom' against violence in the fantasy land. However, it only suggests in the humanitarian sense the facing problems as 'things to be cleansed' and 'issues to be solved' through the imagery of the water in the lake, and the protagonist fails to actively pursue the goal. in other words, in works such as 'the children's lake', 'Oak Ee the kid', and 'the river and music', the social evil and violence are only portrayed as 'evil' and 'sin' in the humanitarian sense, and the works do not show specific actions or the points of change. In 'the song of dandelion', which was published after 4·19 movement, the desire for 'freedom', which was shown in the humanitarian sense beforehand, comes to have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In this work, 4·19 movement is not just a historical event, but one that reflects the Violence of the Korean war and the irrational reality continued till 1960's, and one that represents the chapter of freedom that vents out the suppressed desires of the people at the time. Won Soo Lee, through the meeting of Kyung Hee, who remembers the experience of 4·19 movement, and Hyun Woo, who has memories of the Korean War, focuses on how to transfer the private memories into a public one. Thus, through his works such as 'the children's lake' and 'the song of dandelion', Won Soo Lee depicts the meaning of 'freedom' and pursues the 'figure of free children' as the acting body.

      • KCI등재후보

        어린이 잡지 『새벗』의 성격과 의의

        장수경(Jang, Su-Ky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2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0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magazine focusing on the editorial trend and system of children magazine, Saebot, was published in 1952 (from 1952.1 to 1959.12) then clarify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Saebot’ published during war time claimed to advocate ‘children magazine’ with ‘children’, ‘refinement’ and ‘entertainment’ outwardly. Combining interesting and helpful stories and pictures, it aimed to become the friend of children. The noticeable thing here is that this magazine focused on ‘children’. The publisher’s company did not reveal the Christian background, the main body of financial support, but only clarified that they were aiming only for what the owner of the country, children, are raised righteously and also living and growing together with children. From the overall editorial system in the magazine, it tried to raise children as cultivated adults by fostering ‘refinement’ of ‘children’ and inspire children racial consciousness to concentrate the racial power in the future. From the ‘Saebot song’, we can see that the magazine aims to deliver children the message encouraging them to with strong mind and hope so that they can overcome the difficult time like the war at that time and pioneer the future of the country in the future. The ‘Saebot’ which succeeded the culturalism and nationalism in 1930’s enlightened national spirit to the children. This magazine has a meaning in that it worked as “an accelerator to enlightenment of civic consciousness” later rather than working as right function to continue social system in 1950’s when the entire society was regulated with anti-communism and was adjusting to American life style and mind. At the same time, this magazin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juvenile literature history as it went through 1950’s as a major medium in where Korea juvenile literature was started and read. Since the change in contents and forms of juvenile literature works in ‘Saebot’ convey the changing features of each genre, author and time, it can be considered as a window to show the overall flow of juvenile literature. The study on ‘Saebot’,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Juvenile World’, ‘Children’s Digest’ and the ‘School’, a youth magazine,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racing how the chapter of juvenile literature in 1950’s was started and restructured.

      • KCI등재

        공감적 감수성 증진을 위한 문학교육 -한,중,일『평화그림책』시리즈를 중심으로-

        장수경 ( Su Kyung J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5 동화와 번역 Vol.29 No.-

        이 글은 학습자가 공감적 감수성을 함양하는데 평화를 주제로 한 그림책이 어떤 문학교육의 효과와 의미를 갖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화그림책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 중국, 일본 3개국 작가들과 출판사들이 “기록과 공감, 그리고 희망의 연대”를 목표로 공동으로 기획 제작한 작품들이다. 본 연구는 이 평화그림책을 함께 읽고 생각나누기, 글이나 말로 정서표현하기 등의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정서적 반응과 태도를 중심으로 평화에 대한 인식과 공동체적 가치관과 공감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학생들은 평화그림책을 활용하였을 때 추상적인 개념인 평화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였고, 평화의 의미를 민족이나 한 국가의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인류 공통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평화로운 공동체의 범주를 구획함에 있어서 인간뿐 아니라 식물이나 동물 등 지구촌 전체를 하나의 유기체적인 생명체로 인식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이 이 글은 학습자들이 평화그림책을 함께 읽고 난 후 남녀평등이나 환경, 평화로운 공동체를 위한 연대 등 다양한 문제의식을 말하기와 쓰기 등을 통하여 정서적으로 표현하고 공감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역사와 문화적 코드가 담긴 이들 그림책은 지구촌 전체가 서로 연대하여 평화로운 공동체를 지향해야 하고 실천해야 한다는 감각적 인식으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평화그림책의 예술적 효용성과 문학적 의미를 새롭게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peace education reflected in 8 picture books in which peace is their theme and how the literary education will accept it. Picture books with the theme of peace are work pieces that the writers and publishing companies of Korea, China and Japan collaboratively planned and produced with "Recording, empathy, and solidarity of hope" as their goal. This study examined how students` communal value and concepts regarding peace have changed based on their emotional response and attitude through processes such as reading picture books with the theme of peace together and sharing thoughts, expressing emotions through writing or speech. First, when picture books with the theme of peace were used, students easily understood the concept of peace which is somewhat abstract, and they perceived the meaning of peace as a common issue of the mankind, not perceiving it within the fixed frame of ethnicity or nationality. Second, in categorizing peaceful communities, students show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that earth as a whole is an organism that contains not only the mankind but also plants, animals and so forth.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eaningful result because students are emotionally expressing about a variety of issues such as gender equality, environment, solidarity for peaceful community through writing and speech. In that these picture books proceed with sensible perception that the entire world has to aim for a peaceful community by uniting with each other, these picture books with the theme of peace, which embody the history and cultural code of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can newly impart literary meanings and artistic usefulness to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한낙원의 초기 SF의 양상과 낙관주의적 전망 - 「사라진 행글라이더」, 「어떤기적」, 「미애의 로봇친구」를 중심으로-

        장수경 ( Jang¸ Su-kyung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본고는 1960년대 한낙원의 초기 SF 「사라진 행글라이더」, 「어떤 기적」, 「미애의 로봇친구」를 중심으로 서사의 양상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SF는 아동 독자에게 과학과 문학의 통섭 속에서 당대인들의 사고와 관심을 담아내면서 미래에 대한 지향점과 새로운 관점을 갖도록 도와준다. 또한 SF는 아동 독자에게 자아와 타자와의 관계를 확장하는 데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과 상상력으로 이행하도록 가교역할을 해준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낙원의 초기 SF에서 나타난 서사의 양상과 의미를 당대의 주요 관심이었던 우주, 외계인, 로봇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먼저 한낙원은 「사라진 행글라이더」와 「어떤 기적」에서 우주와 외계인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 인류의 미래에 대해 낙관주의적 전망을 제시한다. 그런데 두 텍스트는 ‘남성’을 휴먼 주체로 세우는 과정에서 가부장적인 가치관을 드러낸다. 「사라진 행글라이더」는 ‘외계인-여성’의 이미지로 「어떤 기적」은 ‘동물-여성’의 이미지로 여성을 타자화한다는 점에서 1960년대의 중심 가치였던 가부장적 한계를 담아낸다. 또한 「미애의 로봇친구」에서는 로봇의 이미지를 통해 과학에 대한 낙관주의적 전망을 보여준다. 이 텍스트는 1960년대 로봇에 대한 상상력을 통해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보여주는 방식을 통해 미약하지만 오늘날 문학의 주요 화두인 포스트 휴머니즘의 맹아적 관점을 제시한다는데 의미를 지닌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낙원의 초기 SF는 인류의 미래에 대한 낙관주의적 전망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1970년대까지 SF 문학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유토피아적 관점을 견지한다. 하지만 우주, 외계인, 로봇을 구체적으로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는 가부장적 가치관을 반복하거나, 인간의 이기주의적 태도를 보여준다. 이처럼 한낙원의 초기 SF는 1960년대 아동 독자에게 과학에 대한 유토피아적 전망과 함께 새로운 가치에 대해 고민하도록 이끈다는 점에서 미래 세대를 위한 문학의 가교 역할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and its meaning, focusing on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The Disappeared Hang Glider', 'A Miracle', and 'Mi-ae’s Robot Friend' in the 1960s. Science fiction guides children's readers to have new perspectives and orientations for the future while embracing people's thoughts and interests between the consilience of science and literature. In addition, SF helps the child reader to play a bridging role to transition to a new paradigm and imagination in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xplored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narrative that appeared in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focusing on the space, aliens, and robots, which were of major interest in the 1960s. First, Han Nak-Won presents an optimistic outlook for the future of mankind in the process of imaging the universe and aliens in “The Disappeared Hang Glider” and “A Miracle.” However, the two texts reveal the values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the process of shaping ‘male’ as a human subject. “The Disappeared Hang Glider” reveals the patriarchal limitations that were central to the 1960s in that it is an image of “alien-woman” and “A Miracle” is an image of “animal-woman” that otherizes women. Also, in 'Miae’s Robot Friend', the image of a robot reveals an optimistic view of science. This tex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through the imagination of 1960s robots.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sprout perspective of post-humanism, a major topic in today's literature. As discussed above,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reveals an optimistic outlook for the future. In this respect, his texts reproduce the utopian point of view that appeared in science fiction literature until the 1970s. However, in the process of imagining space, aliens, and robots, his works repeat the patriarchal system or show limitations in revealing human selfish attitude. As such,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leads children in the 1960s to think about new values along with a utopian outlook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his literature served as a bridge between literature for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새벗』 게재 아동서사에 나타난 가난에 대한 기억과 승공의 파토스

        장수경(Jang, Su-ky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3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2

        This writing investigates aspects and meaning that national ideology is connected and conflicted with children’s narratives in social and political network, focused around children’s narratives published on “Saebot” in 1960s. New awareness is shown in this children’s narrative as the child’s reality awareness of poverty as “poverty-guilt-enemy” formation is restructured. However, this reality awareness is somewhat connected with reconstruction logic that military government suggested in the slogan of “Escape from poverty.” The first objective of military government during this time was to build modernized nation, but in this kind of economic building logic, it needed national integrity and mobilization. Children literature during this time made the error of creating the aspects of integrating and mobilizing children based on this national ideology. Among works created after 5.16 incident, in the texts which connect poverty with reconstruction, narrative structure has dual formation in that this national ideology appears directly and urbanely through relief activities. However, in detective and mystery stories, text shows uniform narrative structure as filial piety and anti-communism form elaborate shape. Not all the works created in 1960s embrace national ideology. But like the works mentioned earlier, the aspect that the children’s reality is rather distorted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povertyreconstruction-anti-communism” in 1960s is a historical task that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hould reflect on itself and clean up.

      • KCI등재

        1950년대 소년잡지에 나타난 문학 창작교육과 의의 -『새벗』과 『소년세계』를 중심으로

        장수경 ( Su Kyung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이 글은 1950년대 소년잡지 『새벗』과 『소년세계』의 독자투고와 현상문예에 실린 작품과 선자들의 선후평을 중심으로 어린이·청소년 문학 창작 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1950년대 문학 창작 교육은 국정 교과서보다 『소년문학독본』이나 『중등작문』등초·중학교 국어과 부독본이나 작문독본, 그리고 소년잡지를 중심으로 한 현상문예나 독자투고란 등을 통해 그 구체성을 확보해왔다. 잡지의 독자투고와 현상문예에 선정된 작품과 문사들의 선후평은 당대 아동·청소년 문학 창작 교육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관점을 중심으로 이 글은 1950년대 대표적인 소년잡지에 실린 문사들의 선후평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규준을 도출하였다. 1950년대에는 사고력, 문장쓰기, 수사적 표현 등에 주안점을 두고 문학 창작교육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선자들은 학생들이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먼저 ``관찰하기``, ``생각하기``, ``글로 쓰기``, ``고쳐 쓰기``의 네 단계 과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도록 지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작문교육의 방향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has as its subjects the letters to the editor in the children`s magazine of "Saebeot" and "SoNeon-Saege" and the works published in literature competitions and also the contemporaries` selection and evaluation in the 1950`s to analyze the education for children`s literature creation and explore its significance. In the 1950`s, the education of literature creation secured its concreteness with supplementary readers like "Boys` Literary Readers" or "Secondary Writings" or readers for writing for the elementary school/middle school Korean subject and literary competitions or letters to the editor centering around children`s magazines rather than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Letters to the editor in the magazines, works selected in literary competitions, and the writers` selection and evaluation influenced the time`s education of student`s literature creation significantly. Grounded on such perspective,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norms mainly with the writers` selection and evaluation published in the representative children magazines in the 1950`s. First, the primary goal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creation is to let children have observation, sensitivity, and a truthful view to world in their daily lives. Second, the secondary goal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creation is to provide the standard frame of writing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retaining legitimate standards and formal conditions by genres in general. As what is written above, in the 1950`s, the education of literature creation was developed as focusing on thinking ability, writing sentences, or rhetorical expression. Furthermore, the contemporaries taught students to practice the processes of ``brainstorming``, ``expressing with writing``, or ``editing`` repetitively first for good writing, which shows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today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