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일부 농촌여성들의 건강, 식생활 관리 및 계절별 영양소섭취 상태조사

        임화재(Wha-Jae Lim),윤진숙(Jin-Sook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6

        경북 일부지역 농촌여성을 대상으로 평소의 건강상태와 식생활관리 및 각 계절별 영양소섭취량과 계절별 추이를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39.5%만이 평소에 ‘건강하다’고 느꼈으며, ‘팔, 다리가 아프다’와 ‘눈이 피로하다’는 자각증세를 많이 호소하였다. 21.1%가 결식을 하였으며, 23.7%는 시장을 전혀 가지 않았는데 그 이유로 경제적인 이유가 36.8%로 가장 많았다. 농사철의 농사 참여정도는 92.1%로 높았으나, 식욕 및 식이섭취는 각각 전체의 78.9%, 63.2%가 평소와 같거나 오히려 감소함으로써 활동량에 비해 식생활관리는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았다. 영양소섭취면에서 에너지와 리보플라빈은 모든 계절에서, 칼슘은 6월과 2월에, 단백질, 비타민 A 그리고 티아민은 2월에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각각 미달하였다. 나이아신과 비타민 C의 섭취량만 모든 계절에서 권장량보다 높게 섭취되었다. 대부분의 영양소섭취량이 농번기인 6월과 추수기인 10월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농한기인 2월의 경우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평소에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는데 이들의 농사참여 정도는 매우 높으나 결식을 하는 등 식생활관리는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건강유지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요건인 균형잡힌 영양상태의 확보는 올바른 영양지식을 터득하고 이것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할 때에만 달성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건강과 영양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대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결식을 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본다. 다음으로 영양소섭취면에서 각 계절별로 권장량에 미달한 영양소들인 에너지, 단백질, 칼슘, 리보플라빈, 비타민 A 등의 섭취을 위해 식품급원, 섭취량, 그리고 섭취횟수 등에 관한 영양교육을 각 계절의 식품급원을 고려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울러 계절적으로 2월의 경우 시기적으로 식품이 생산되지 않아 자급자족되지 않는다는 점과 조사대상자들의 경제적 제약 등으로 대부분의 영양소섭취량이 권장량에 미달하였는데 지역사회에서 관심과 노력을 갖고 공동급식센터 운영 등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활동량과 영양소섭취면에서 활동량에 따라 적절하게 영양소를 섭취하도록 영양지도를 해야 할 것이다. 농사형태가 점차 상업화되는 추세로 미루어 볼 때 농한기개념도 없어질 것이므로 농사계절에 관계없이 활동량에 적정하게 영양소를 섭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조사대상자들의 사회경제적인 측면과 농촌이라는 생활환경 그리고 식품공급의 계절적, 지역적 문제 등을 고려하여 계절별 영양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농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품과 아울러 값싸면서도 질적으로 우수한 식품의 선택 및 조리방법에 대한 지도와 올바른 식생활관리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imate heath status, meal management, and seasonal variation of nutrient intake of rural wome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seasons ; farming season(June), harvest season(October), nonfarming season(February).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meal management of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questionnaire and interview. Nutrient intake was measured by 24hr recall. Only 39.5% of subjects felt healthy. 21.1% of subjects often skipped meal each day. In farming & harvest seasons 92.1% of subjects participated in agriculture but 78.9% of subjects had the same or less appetite and 63.2% of subjects ate the same or less than usual. The mean intakes of energy and riboflavin in all seasons, calcium in June & February, and protein, vitamin A, and thiamin in February were below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RDA) for Koreans. All nutrient intake was significantly low in February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June and Octobe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인 상용식품중의 리보플라빈 함량추정에 관한 문제점

        임화재(Wha-Jae Lim),윤진숙(Jin-Sook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9 No.1

        26종의 한국인 상용식품중의 리보플라빈 조리전 함량과 3종류 식단을 표준화된 조리법에 따라 조리한 후 조리에 따른 손실율을 측정한 결과 쌀, 표고버섯, 당근, 호박, 미역, 다시멸치, 사과, 김, 라면, 돼지고기, 두부, 유부, 단무지등의 13종의 식품은 본 실험치와 식품성분표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그러나 양배추, 양파, 감자, 멸치, 김치, 쇠고기, 된장, 갈치, 소세지, 계란등 10가지 식품들의 식품성분표치는 본 실험치 및 일본이나 미국의 식품성분표치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동태, 옥수수식빵, 햄버거빵은 제3개정판 식품성분표(1986) 및 제4차 개정 영양권장량(1985)에 수록된 식품분석표상에 분석되어 있지 않았다. 표준화된 조리법을 따른 3종류 식단의 리보플라빈 잔존율은 menu 1 ; 24%, menu ; 269%, menu ; 346%로 조리과정중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과 반비례관계를 보였다.<br/> 이상의 결과로 볼 때 26종의 한국인 상용식품중 본 실험치 및 외국식품성분표치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거나 아직까지 분석되지 않은 13가지 식품의 리보플라빈 함량에 대한 새심한 재검토가 요청되며, 리보플라빈 손실율은 조리과정중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록 크므로 단체급식을 마련시 유념해야 하겠다. In order to study on the riboflavin content of common foods for Korean and the rates of destruction of riboflavin during cooking, 26 kinds of the foods were selected and 3 kinds of menu were cooked by standardized method. For each food item and menu, riboflavin content was measured by AOAC method. The experimental values of 13 kinds of foods such as rice, oak mushroom, carrot, squarsh, tangle, dried large anchovy, apple(Fuji), dried laver, ramyun, pork, soybean curd, fried soybean curd and danmugi were almost consistent with food composition values. Whereas, those of 12 kinds of foods such as cabbage, onion, potato, kimchi, beef, sausage, dried medium anchovy, hair tail, soybean paste and egg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food composition table values. Up to now, Alaskan pollack, maize loaf bread, hamburger bread etc. have not been analyzed in food composition table. The rates of retention of riboflavin in menu 1, 2 and 3 cooked by standardized method were 24%, 69%, 46%, respectively. The overall retention rate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time of sunlight exposure during cooking.

      • SCOPUSKCI등재

        대구 시내 및 근교 농촌지역 노년기 여성의 리보플라빈 배설량 연구

        임화재(Wha-Jae Lim),윤진숙(Jin-Sook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1 No.4

        노년기 여성들의 일상적인 활동상황과 그와 관련된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에 관해 연구하기 위해 일상적인 생활양식이 다른 대구시내와 근교농촌지역의 여자노인들의 활동상황 및 영양소 섭취량,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노인들의 일일 리보플라빈 평균 섭취량은 0.92㎎으로 권장량에 매우 미달되었다. 반면에 소변중 리보플라빈 평균 배설량은 175.6㎍/24hr으로 영양불량 판정 기준치보다 높아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는 평균적으로 양호한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노인들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활동강도(p<0.005), 에너지 소비량 (p<0.005), 크레아티닌 배설량 (p<0.005)은 상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연령증가와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은 에너지 소비량 및 활동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리보플라빈 섭취량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도시와 농촌여자노인들간에 리보플라빈 섭취량,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 등 식이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에너지 소비량 (p<0.005), 활동강도 (p<0.005),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 (p=0.053) 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농촌 여자노인들의 경우 도시 여자노인들보다 에너지 소비량, 활동강도가 유의하게 많았던 반면 소변중 리보플라빈 배설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리보플라빈 생화학적 영양상태는 활동량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활동량이 많을 경우 리보플라빈 섭취량을 증가시켜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physical activity, nutrients intakes and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of elderly women and to compare riboflavin biochemical status of urban elderly women with rural elderly women. While average daily riboflavin intake of elderly women subjects was below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riboflavin biochemical status was adequate in terms of average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nergy expenditure, physical activity level and riboflavin intake. Nutrients intakes of urban and rural elderly wom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energy expenditure and physical activity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rural than in urban elderly women. It is suggested that riboflavin biochemical status was influenced by physical activi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나트륨 섭취량과 관련된 식행동의 성별 및 연령별 비교

        박영숙(Young Sook Park),손숙미(Sook Mee Son),임화재(Wha Jae Lim),김숙배(Sook Bae Kim),정연선(Yeon Sun Chung)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3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recognition and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of Korean ad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bjects including 267 male and 285 female adults in nationwide and compared by gender and by age. We found that the ma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does the female group. The older group (40 to 59 year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exercise and lower alcohol drinking; however general disease and hypertension prevalence, diet therapy practice, and meditation for hypertension were higher. Recognizing sodium levels of foods containing high-sodium, and sodium-nutriture labels when purchasing foods, and knowing differences between salt and sodium of the male group or recognizing sodium levels of foods containing high-sodium of the older group was worse than the other. Among the 32 food behaviors, only 12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odium intake levels including behaviors of preferring Chinese and Japanese foods to Western foods, preferring kimchi to raw vegetables, completely consuming soup, stew, noodle liquid, liking of dried fish and salted mackerel, frequent eat-outs or delivered foods, and so fo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or age groups in terms of sodium intake-increasing behaviors; the male group showed higher behaviors of preferring salty taste and eating all broths. And the older group revealed higher behavior of adding table salt as well as the previous two, however, the younger group showed more behaviors of eat-outs or delivered foods and not the liquid of kimchi.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1) : 1~12, 2008)

      • 노인의 활동량이 체형 및 영양필요량에 미치는 영향(III) : 활동량에 따른 영양상태를 중심으로 Nutritional status and habitual physical activity

        임화재,윤진숙 啓明大學校 生活科學硏究所 1990 科學論集 Vol.16 No.-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women over 60 years in Tae-gu area. Past and current physical activity of subjects were classified by activity questionnaire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Dietary intake was measured by convenient method and N balance was calculated from urinary urea nitrogen content and protein intak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ticipation in elderly club, pocket money, resident typ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2. Anthropometric indicators such as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and arm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more past physical activity. 3. Dietary intake of all the nutrients except fa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more current physical activity. Our data suggested that recommended energy intake of elderly women would be 1400-1750 Kcal according to their activity level and protein intake would be followed by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It is also suggested that maintaining habitual physical activity moderately is beneficial for optimal nutrition intake.

      • 아연의 영양상태와 임신 결과

        임화재 동의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7 生活科學論集 Vol.1 No.-

        일부 연구들은 아연 영양상태와 임신결과간의 연관성을 주장하나 연관성의 본질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부적절한 모체 식이섭취로 인한 일차적인 결핍은 하나의 가능성이며 적절하게 자료가 제시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식이아연과 혈중 아연치 수준은 불량한 생산능력과 관련된 다른 위험 인자들의 지표로서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손상된 또는 비효율적인 아연 이용과 관련된 불량한 임신결과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 모두들 갖고 있을 수 있다. 비록 장성발단피부염이 비정상적 아연이용과 관련된 불량한 생식능력에 대한 극적인 예를 제공하지만, 손상된 아연 이용에 대한 유전적 근거는 밝혀지지 않은 생태이다. 아연이용은 외인적 요인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많은 식이 인자들, 알콜 남용, 그리고 모체의 흡연등이 아연이용을 변화시킬수 잇다. 부적절한 식이섭취가 불량한 임신결과와 관련된 유일한 관련인자로서 확인되면 보충의 형태로 빠른 치유책을 제공 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성이 다른곳에 존재한다면 보충은 임신결과를 향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성공적인 임상시험연구전략은 아연영양상태와 임신결과간의 관련성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기초를 두어야만 한다. 아연보충이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미결문제로 남아있다. 영양을 단지 임신결과와 관련된 많은 인자들 중의 하나이며, 아연은 단지 보충 프로그램의 결과들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많은 가능한 영양인자들 중의 하나이다. 보충군과 대군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이중눈가림법의 무작위 임상시험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 대규모 임상시험이 실시되기전에 위험집단을 확인하기 위해 아연 영양상태를 나타내고 아연치료에 반응하는 신뢰성 있는 지표가 필요한 상태이다. Total zine needs during the last half of human pregnancy may be 2.6 mg absorbed Zn/d. Adaptations in Zn utilization during pregnancy may help meet those needs. Possible adaptations include an increase in Zn absorption, reduced endogeneous Zn loss, redistribution of tissue Zn, and an efficient maternal-fetal Zn transfer. A decline in circulating Zn concentration begins early in pregnancy and continues to term. The effect of gestational stage on circulating Z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tandards for serum Zn of pregnant women. Low maternal serum Zn levels have been associated with pregnancy-induced hypertention, abnormal parturition, and congenital anomalies. In studies done to date. Zn supplementation of 15-45 mg/d failed to improve pregnancy outcome except for possible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a dysfuctional labor pattern. The relationship between Zn status and pregnancy outcome remains an open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