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기관 소유형태가 급성뇌졸중 환자의 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지혜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의료기관 소유형태가 급성뇌졸중 환자의 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 지 혜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본 연구는 의료기관 소유형태가 급성뇌졸중 환자의 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의료기관 소유형태에 따른 우리나라 보건의료서비스 시장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고, 의료서비스의 생산성 향상 및 효율적 의료자원 관리 등 의료서비스 공급과 관련된 정책 결정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자료는 구조(structure), 과정(process), 결과(outcome) 측면에서 의료기관의 서비스 능력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보건의료서비스 시장의 비용과 질적 측면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7년도 급성뇌졸중 입원환자의 요양급여비용 청구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기관 소유형태별 제 변수의 변이를 살펴보면, 의료기관종별, 의료기관 소재지역, 병상수, 전문의수, 장비수, 입원건당 평균재원일수, 입원건당 평균진료비, 남성환자비율, 60세이상환자비율,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의 10개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30일이내 기관사망률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시장의 구조적 특성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시장점유율은 병상수, 전문의수, 장비수, 남성환자비율,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특히, 병상수, 전문의수, 장비수는 상호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과는 약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60세이상환자비율은 시장점유율, 병상수, 전문의수, 장비수, 남성환자비율,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의 모든 변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시장의 구조적 특성이 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입원건당 평균재원일수의 경우 시장점유율과 남성환자비율은 정(+)의 영향을, 병상수와 종합전문병원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건당 평균진료비의 경우 시장점유율, 병상수, 의료기관종별, 남성환자비율, 60세이상환자비율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30일이내 기관사망률의 경우 60세이상환자비율,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의 두 변수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넷째, 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시장점유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의료기과 소유형태의 경우 소유형태 모형에서는 기타법인의료기관과 정(+)의 관계를, 개인영리의료기관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의료이용 모형에서는 의료법인의료기관 및 개인영리의료기관과 부(-)의 관계를 보였다(p<.05). 시장의 구조적 특성의 경우 서비스차이성 모형에서는 병상수, 전문의수, 장비수, 의료기관종별이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고, 의료이용 모형에서는 60세이상환자비율이 부(-)의 관계를,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은 정(+)의 관계를 보였다(p<.05). 다섯째, 의료기관 소유형태와 진료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입원건당 평균재원일수의 경우 기타법인의료기관, 개인영리의료기관은 부(-)의 관계를, 시장점유율, 종합병원, 출혈성뇌졸중환자는 양(+)의 관계를 보였다(p<.05). 입원건당 평균진료비의 경우, 기타법인의료기관, 시장점유율, 장비수, 의료기관종별,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은 정(+)의 관계를, 개인영리의료기관은 부(-)의 관계를 보였다(p<.05). 30일이내 기관사망률의 경우, 의료기관 소유형태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으나, 시장점유율은 부(-)의 관계를, 60세이상환자비율과 출혈성뇌졸중환자비율은 정(+)의 관계를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보건의료서비스 시장의 공급 측면에서 성과는 의료기관의 소유형태에 따른 공급자의 행위보다 의료기관의 규모나 유형, 시장점유율 등의 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더 큰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서비스의 공급과 관련하여 의료의 생산성 향상, 자원의 효율적 배분,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서비스 시장의 구조적 특성과 지역적 파급효과를 면밀히 검토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____________ 중심단어 : 의료기관 소유형태, 보건의료서비스 시장, 성과 ABSTRACT The Effect of Hospital Ownership on Outcomes of Stroke Im, Jee Hye (Director : Prof. Lee, Key Hyo, Ph.D.)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features of health care market structure by analysing the effect of hospital ownership on outcomes of stroke.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delivering healthcare services that is to improve health productivity and to allocate healthcare resources effectively. Data were used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gency (HIRA) claims and administrative data on Acute Stroke patients in 2007. Major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spital ownership and type of hospital, location of hospital, beds capacity, specialist, equipment, average length of stay per admission, average expenses per admission, male, over 60-year old, hemorrhagic strok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f 30-day mortal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rket share and beds capacity, specialist, equipment, male, hemorrhagic stroke.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ver 60-year old and market share, beds capacity, specialist, equipment, male, hemorrhagic stoke. Third, male wa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although, beds capacity and general hospital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average length of stay per admission. Market share, beds capacity, type of hospital, male, over 60-year old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average expenses per admission, and 60-year old and hemorrhagic strok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30-day mortality. Fourth, non-profit others hospital, beds capacity, specialist, equipment, type of hospital, hemorrhagic strok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market share. In addition, non-profit medical hospital, for-profit private hospital, over 60-year old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market share. Finally, non-profit others hospital and for-profit private hospital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although, market share, general hospital, hemorrhagic strok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average length of stay per admission. And non-profit others hospital, market share, equipment, type of hospital, hemorrhagic strok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although, for-profit private hospital was found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average expenses per admission. In addition, hospital ownership was no found to have influence on 30-day mortality, but market share was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although, hemorrhagic stroke was positive influence on 30-day mortality. The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suggest that putting emphasis on importance of understanding healthcare market structure to improve health service quality and productivity, and to allocate healthcare resources in terms of delivering healthcare services. This research findings will presented and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current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authorization for-profit hospital in the healthcare market. ____________ key words: hospital ownership, health care market, outcomes

      • 응급실 도착전 사망(death on arrival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 조사

        임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DOA(death on arrival [DOA])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응급실 실무에 적용하여 의료진들의 DOA 환자 가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DOA환자 가족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DOA 환자 가족 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문항을 선택하여 전문가 1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설문지로 DOA 환자 가족의 신체적 경험, 정신적 경험, 사회적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정보요구, 정서적 요구, 참여요구를 측정하였다. 2013년 8월 5일부터 2013년 12월 7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PASW SPSS 18.0을 이용하여 DOA 환자 가족의 일반적 특성, DOA 환자 가족의 경험,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 일반적 특성에 대한 DOA환자 가족의 경험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실수를 이용하여 구했으며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요구도는 t-test와 ANOVA, Scheffe 사후검정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DOA 환자 가족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 고인과의 관계, 응급실 체류시간,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 고인의 사망원인, 고인에 대한 사망예측 여부, 고인의 사망에 대한 준비상태를 조사하였다. 결혼상태는 미혼, 기혼, 사별로 나누어 보았으며 고인과의 관계는 촌수를 중심으로 무촌, 1촌, 2촌이상으로 나누었다.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로는 직접적으로 고인과 함께 온 경우와, 간접적으로 고인의 사망 소식을 의료진으로부터 접한 경우와 가족 및 지인으로부터 사망소식을 접한 경우로 나누어 보았다. 고인의 사망원인으로는 사고와 질병이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자연사와 만성질환은 제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말하는 질병은 사망 후 의사로부터 사망선고를 받은 진단명을 말한다.2. DOA 환자 가족의 전반적인 응급실 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70점이었으며 그렇다 3점에 가까운 평균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DOA 환자 가족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경험의 정도가 없는 것 보다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각 항목별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정신적 경험 2.89점 신체적 경험 2.63점, 사회적 경험 2.61점이었으며 DOA 환자 가족은 정신적 경험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경험의 정도가 가장 낮았다.3. DOA 환자 가족의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는 4점만점에 평균 3.09점이었으며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 사이의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정보요구, 참여요구, 정서적요구의 정도가 전반적으로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각 영역의 평균점수는 4점만점에 정보요구 3.33점, 참여요구 3.05점, 정서적 요구 2.80점이었으며 정보요구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정서적 요구의 정도가 가장 낮았다.4.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경험에서 결혼상태(F=7.206), 고인과의 관계(F=3.797), 고인의 사망원인(t=-2.375), 고인의 사망 예측여부 항목(F=7.52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성별, 연령, 종교, 응급실 체류시간,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 고인의 사망에 대한 준비상태, 고인의 사망 후 경과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5.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에서 성별(t=-2.091), 결혼상태(F=5.270), 고인과의 관계(F=3.29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연령, 종교, 응급실 체류시간, 고인의 사망을 알게 된 경위, 고인의 사망원인, 고인의 사망 예측여부, 고인의 사망에 대한 준비상태, 고인의 사망 후 경과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이상의 연구결과로 DOA 환자의 가족은 경험에서 정서적 경험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에서 정보요구의 정도가 가장 높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DOA 환자 가족의 경험에서 결혼상태, 고인과의 관계, 고인의 사망원인, 고인의 사망예측여부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성별, 결혼상태, 고인과의 관계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DOA 환자 가족의 경험과 의료진에 대한 요구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추후 이들을 돕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섬유에 오염된 테이프 접착면 잠재지문의 현출 방법 연구

        임지혜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dhesive tapes are easily available on the market and have various applications. Also, it may also be used in a crime. Most of the tapes found in the crime scene are stuck to other surfaces or sticking to each other. If a tape contaminated with fibers is found, the fingerprint is likely to be deposited to the adhesive surface before the fibers are deposited. It has been known that the tape adhered surfaces were successfully separated using solvents as a tape peeling method in order to develop fingerprint from the tape adhered to each other, but the fingerprint on the adhesive surface was damaged. However, studies on the effect of solvents on fingerprint on tapes have not been actively performed, and studies on methods for developing fingerprint in adhesive surfaces wh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tape is contaminated with other surfaces or adhesive surfaces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duct tape and the acrylic tape were immersed in water (deionized water) and organic solvents (ethyl acetate, acetic acid, n-hexane) to remove the fiber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Also, latent fingerprint in the adhesive surface was developed using Wet powder black. So, we wanted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fiber removal method on the latent fingerprint of the adhesive surface. As a result, the degree of fingerprint development in the adhesive surfa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lvents and the immersion time in the deionized water. Regardless of the type of tape, when dipped in ethyl acetate, all the tap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both effective in developing fingerprint and removing fibers. In the case of the duct tape, the background of the adhesive surface was darkly colored when dipped in water, and the fingerprint could not be effectively developed. And it was effective in developing fingerprint and removing fibers when dipped in ethyl acetate. Acrylic tap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fingerprint and removal of fibers in the adhesive surface during immersion for 120 min in water and for 15 s in ethyl acetate and n-hexane. In addition, all of the duct tapes and acrylic tapes used in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longer the period of contamination with the fibers, it looked similar to or less clear the fingerprints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fiber removal method which can effectively develop the latent fingerprint in the adhesive surface when the evidence of the contaminated tape on the fiber was found at the crime scene.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depending on whether the type of tape is a duct tape or an acrylic tape, the method of removing the fibers must be different to effectively develop fingerprint in the adhesive surface.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용도가 다양한 접착테이프는 범행에 사용되어 지기도 한다. 실제 범죄현장에서 발견되는 테이프의 대다수는 다른 표면에 붙어있거나 접착면끼리 서로 붙어있는 상태인데 섬유에 오염된 테이프가 발견될 경우, 접착면에는 섬유가 부착되기 전에 지문이 먼저 부착될 가능성이 높다. 일부 연구에서 접착면끼리 붙어있는 테이프에서 지문을 현출하기 위해 테이프 박리방법으로서 화학 용매를 이용하여 테이프 접착면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으나 접착면에 유류된 지문이 손상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테이프에 유류된 지문에 화학 용매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았고, 테이프의 접착면이 다른 표면이나 접착면에 오염되었을 경우 접착면 내 지문을 현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테이프와 아크릴 테이프 접착면에 부착된 섬유를 물(탈이온수)과 유기용매(ethyl acetate, acetic acid, n-hexane)에 담갔다 꺼내어 제거하고 모든 테이프에 동일하게 지문 현출 시약인 Wet powder black을 처리하여 접착면 내 지문을 현출하였을 때, 접착면에 부착된 섬유를 제거하는 방법이 접착면 내 잠재지문의 현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테이프 종류별로 탈이온수에 담그는 시간과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접착면 내 지문 현출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테이프의 종류에 상관없이 실험에 사용한 모든 테이프는 유기용매인 ethyl acetate에 담갔다 꺼냈을 경우 지문 현출과 섬유 제거에 모두 효과적이었다. 청테이프의 경우 탈이온수에 담갔다 꺼냈을 때 접착면의 배경이 검게 착색되는 정도가 심해 지문을 효과적으로 현출하지 못했으며 ethyl acetate에 담갔다 꺼냈을 때는 접착면 내 지문 현출과 섬유 제거에 모두 효과적이었다. 아크릴 테이프의 경우 탈이온수에 120분, ethyl acetate와 n-hexane에 15초 간 담갔다 꺼냈을 때 접착면 내 지문 현출과 섬유 제거에 모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한 모든 청테이프와 아크릴 테이프는 섬유에 오염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문이 애초에 부착한 모양과 비슷하거나 덜 선명하게 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범죄현장에서 섬유에 오염된 테이프 증거물을 발견했을 때 접착면 내 잠재지문을 효과적으로 현출할 수 있는 섬유 제거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테이프의 종류가 청테이프인지 아크릴 테이프인지에 따라서 섬유 제거방법을 다르게 해야 접착면 내 지문을 효과적으로 현출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지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and differences among variables, and how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es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lso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se of helping mot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r consultation fiel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2-1 How is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2-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3.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3-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3-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31 infants in 5 years old, who are in 8 kindergarten located in Yongin City, Kyeong-gi Province and 131 their mother and teacher respectively. The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 method which is developed by Roach, Fraizer & Bowden(1981), and adapted and modified by Insoo Lee & Youngjoo Yu(1986) is used in order to measur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lso measure of PSI(Parenting Stress Index) deveolped by Abidin(1990) and adapted by Hyeyoung Seo(1992) is applied to investigat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cale of Self-regulation which is developed by Okseung Yang(2006) for teacher’s use, is applied to investigate children’s self-regulation.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one way ANOVA, t-test,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progra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followed: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s above average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ending on not their employment, monthly income in the home but only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verage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other's parenting stress on not their employment, monthly income in the home but only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is comparatively high and cognitive-regulation is higher than emotional-regulation. Second, There's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recognition of marriage, lower factor of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ird, There's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lower factor of parenting stress negatively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Fourth, mother's parenting stress draw greater negative influence on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tha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represents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ppears to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more than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the program which can raise a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roperly control mother's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이나 부모교육 등 상담현장에서 어머니 지원을 위해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용인시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 8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31명과 담임교사, 유아의 어머니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oach, Fraizer와 Bowden(1981)이 개발한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을 이인수와 유영주(1986)가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서혜영(1992)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개발한 자기조절능력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과 t-test(검증),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성은 중간 이상이었으며 어머니의 개인변인(직업유무, 가정의 월 소득, 자녀수)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직업유무와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녀수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양상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개인변인(직업유무, 가정의 월 소득,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직업유무와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녀수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양상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능력이 인지조절능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결혼만족도는 자기조절능력의 모든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는 결혼만족도의 하위 변인 중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기조절능력 전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변인 중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 모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양육스트레스가 보다 많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 밀레니얼 세대의 갈바닉 디바이스 인식 및 구매행동 : SNS를 중심으로

        임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modern people is one of consumption trends to pursue 'WORK AND LIFE BALANCE' that is, ' Whoa rabael " This is called the importance of their personal time and means to balance work and personal life. As this trend affects the beauty industry as well, unlik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visit the store in person to receive skin care, it has attracted the attention and attention of modern people with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lax at home and easily take care of the skin for a short time. However, to, S at home NS self beauty group to manage itself in a (Self Beauty) is increasing. It is to acquire information suitable for you through various contents. This interest is growing the home beauty market and even the beauty device market. Among various beauty devices, the galvanic device is a skin care device that uses a bioelectric current to penetrate the active ingredients of cosmetics deep into the skin to make the skin firm and beauti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galvanic devices, purchase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use according to the status of millennials ' SNS use, and targets women of millennials born between 1980 and early 2000 based on resident registration criteria. As a result,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using galvanic devices were identified using the production questionnaire in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program. Specific analyzes were technique calculate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to look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 Millennial of three SNS Utilization and skin conditions and interest , awareness and preferences of galvanic devices , purchasing behavior of galvanic devices , the user experience To find out, χ 2 (Chi-square) ,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one-way variance analysis ), and t-test ( verification ) were performed .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26~29 years olds were the highest with 50 %, university graduation 67.7%, and professional jobs at 31.4%. Second, it is the result of the use of SNS. First, as a result of whether to use SNS, 88.5% of SNS was used, and 67.0% of SNS types were followed by Instagram, 15.5% of Facebook and YouTube, and 2.0% of Twitter.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in the order of Facebook, Instagram, and YouTube, and the usage time of SNS was the most within 1~3 hours. As for the SNS activity status, read-only status was the most common at 48.2%, followed by active, dormant, unsubscribed, and write-only status. Millet as Nathaniel three paths to obtain the most relevant information about your device beauty, Insta 42.0%, Youtube 22.6%, Internet / blog 19.5% Facebook 11.5%, other 4.4% were in order. As the age group was younger, it appeared in the order of Facebook/Youtube, Instagram, and Internet/Blog. By occupation,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workers obtained more information from Instagram, office workers from YouTube, and sales service/self-employed people from internet/blog. Millennials responded that 92.5% said that SNS influences the purchase of beauty devices, and 63.7% said they had seen a video or article about galvanic. After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purchase desire was relatively generat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kin conditions of the millennials, combination skin was the most common at 36.7%, dry skin 23.5%, normal skin 11.1%, skin disease 9.7%, sensitive skin 9.3%, oily skin 8.0%, Al.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1.8%. Millennials have a high interest in skin, and among them, moisturizing is the most desirable desire to improve, pores, elasticity and wrinkles, skin tone, contours and fat, sebum secretion and acne, and pigments (stain ∙ spots ∙ age spots, etc.), appeared in skin disorders net. Fourth, it i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galvanic devices of millennials. First, for the degree of awareness and necessity of the principle and effect, the higher the result was the more actively using Instagram and Twitter, using SNS, and having contact with galvanic information. As an important part of purchasing a galvanic device, usability> safety> stability> usability > side effects> suitability > service quality> price > brand reliability> acquaintance recommendation> design > salesperson recommendation. As for the desired price of galvanic devices, 39.8% were the most, with less than 50,000 won to 100,000 w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SNS usage, usage time, and activity status. Fifth, this i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urchase behavior of millennials' galvanic devices. The number of millennials who have purchased or experienced galvanic devices was 38.9%,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 NS type and activity status. As for beauty devices other than galvanic devices, 24.9% of them owned the most vibration cleansers, and 37.7% of them were less than 300,000 to 500,000 won for the price of their galvanic devices, and used once or twice a week on average. that 68.1% responded. When millennials purchase a galvanic device, the most common skin type was dry skin with 43.5%, and for management purposes, wrinkles and elasticity 25.0%, moisturizing 17.7%, contour 13.4%, pores 12.8%, skin tone 11.6%. Appeared. Sixth, the millennial generation was found to be 63.7% satisfied with the galvanic device. After using the galvanic device, it can be seen that the willingness to recommend it to nearby acquaintances and the aggressiveness of participating in the reviews are relatively high. The number of those who experienced side effects was relatively small (7.2%), and erythem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s the market for galvanic devices is gradually increasing, consumers are also getting more awareness and interest in galvanic devices. Because it is a generation that accurately grasps what the millennials are pursuing, and pursues great effects at low cost, the proven effects must appear along with the existing beauty device functions. For millennials who diligently manage even in their busy daily lives, it is found that they seek to achieve an effect even if the frequency of use is frequent, and to use a galvanic device and to recommend it without hesitation when satisfied. These characteristics reflect the SNS 's lack of marketing (awareness, preferences, non-purchase reasons, supplement reviews after participating Compensation, etc.) should provide content that highlights the benefits of the Galvanic device.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liver innovative and reliable content based on high-level technology and reasonable cost. We must reach out to many potential customers effectively, and we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a marketing training and basic material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market expansion of galvanic devices. 수많은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 중 하나인 ‘WORK AND LIFE BALANCE’즉, ‘워라밸’이라고 부르는 이것은 자신의 개인 시간을 중요시하며 업무와 사생활의 균형을 의미한다. 이 트렌드가 뷰티 업계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피부 관리를 받기 위해 직접 매장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한 점과 달리, 집에서 휴식 및 짧은 시간 동안에 간편하게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으로 현대인들의 관심과 이목을 끌었다. 그러하여, 집에서 SNS를 통해 스스로 관리하는 셀프 뷰티 족(Self Beauty)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본인에게 알맞은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이 홈 뷰티 시장을 성장시키고 뷰티 디바이스 시장까지 성장시키고 있다. 다양한 뷰티 디바이스 중 갈바닉 디바이스는 생체전류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유효성분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켜 피부를 탄탄하고 아름답게 가꿔주는 피부관리 기기이다.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의 SNS이용 실태에 따라 갈바닉 디바이스에 대한 인식도 및 선호도, 구매행동, 사용 만족도 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민등록 기준 1980년생부터 2000년생 초반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제작 설문지를 이용하여 갈바닉 디바이스의 선호도 및 사용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밀레니얼 세대들의 SNS 이용 실태와 피부상태 및 관심도, 갈바닉 디바이스의 인식도 및 선호도, 갈바닉 디바이스의 구매행동, 사용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그리고 t-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26~29세가 50%, 대학교 졸업이 67.7%, 전문직이 3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SNS이용 실태에 대한 결과이다. 먼저, SNS이용 여부에 대한 결과로는, 88.5% SNS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SNS 유형 중 인스타그램은 67.0%, 페이스북과 유튜브 각각 15.5%, 트위터 2.0%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학력이 낮을수록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순으로 나타났고, SNS 이용 시간은 1~3시간 이내 사용량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SNS 활동 상태는 읽기 전용 상태가 48.2%로 가장 많았고, 활동적, 휴면, 미 가입, 쓰기 전용 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 세대들이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관련 정보를 가장 많이 얻는 경로로는, 인스타그램 42.0%, 유튜브 22.6%, 인터넷/블로그 19.5%, 페이스북 11.5%, 기타 4.4%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페이스북/유튜브, 인스타그램, 인터넷/블로그 순으로 나타났고, 직업별로는 전문직은 인스타그램에서, 회사원은 유튜브에서, 판매서비스/자영업자는 인터넷/블로그에서 뷰티 정보를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 세대는 SNS가 뷰티 디바이스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고 92.5% 응답하였고, 갈바닉에 대한 영상 또는 글을 본 적이 있다고 63.7% 응답하였다. 그 후, 구매욕구가 비교적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들의 피부상태에 대해 살펴본 결과로는, 복합성피부가 36.7%로 가장 많았고, 건성피부 23.5%, 정상피부 11.1%, 피부질환 9.7%, 민감성피부 9.3%, 지성피부 8.0%, 알 수 없음 1.8% 순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피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편이며, 그 중 가장 개선하고 싶은 욕구로는 보습이 가장 높았으며, 모공, 탄력 및 주름, 피부 톤, 윤곽 및 지방, 피지분비 및 여드름, 색소(기미∙잡티∙검버섯 등), 피부질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밀레니얼 세대들의 갈바닉 디바이스 인식도 및 선호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이다. 먼저, 원리 및 효과에 대한 인지 정도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스타그램과 트위터를 이용하고 SNS를 활동적으로 이용할수록, 갈바닉 정보를 접촉한 경험이 있을수록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갈바닉 디바이스를 구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으로는, 유용성> 안전성> 안정성> 사용성> 부작용> 적합성> 서비스품질> 가격> 브랜드신뢰도> 지인권유> 디자인> 판매원권유 순으로 나타났다. 갈바닉 디바이스의 희망 가격은 5~10만원 미만이 39.8%로 가장 많았으며, SNS 이용 유형과 이용 시간, 활동 상태 등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밀레니얼 세대들의 갈바닉 디바이스 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이다. 갈바닉 디바이스를 구매 또는 경험을 해 본 적이 있는 밀레니얼 세대는 38.9%로 나타났으며, SNS유형과 활동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갈바닉 디바이스 외의 뷰티 디바이스로는 진동클렌저를 24.9%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었으며, 보유한 갈바닉 디바이스에 대한 가격대로는 30~50만원 미만의 가격대가 37.7%로 가장 많았고, 1주일에 평균적으로 1~2회 사용한다고 68.1% 응답하였다. 밀레니얼 세대가 갈바닉 디바이스를 구매할 때에 피부 타입은 건성피부 43.5%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관리하는 목적으로는 주름 및 탄력 25.0%, 보습 17.7%, 윤곽 13.4%, 모공 12.8%, 피부 톤 11.6%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밀레니얼 세대가 갈바닉 디바이스를 사용한 후 만족도에 대한 결과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갈바닉 디바이스를 63.7%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갈바닉 디바이스를 사용해 본 후 주변 지인에게 추천할 의향도와 후기 참여에 대한 적극성 여부도 비교적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부작용을 경험한 자도 7.2%로 비교적 적었으며, 그 증세로는 홍반 증세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갈바닉 디바이스의 시장이 점차 증가하면서 소비자들도 갈바닉 디바이스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소비 트렌드를 좌지우지하는 밀레니얼 세대가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추구하는 세대이기 때문에 기존의 뷰티 디바이스 기능들과 더불어 증명된 효과가 나타나야 한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부지런히 관리하는 밀레니얼 세대에게는 사용 빈도가 많더라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추구하고, 갈바닉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만족스러울 때는 거리낌 없이 추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하여 SNS의 부족한 마케팅(인지도, 선호도, 비 구매이유, 후기 참여 후 보상제도 등)을 보완하여 갈바닉 디바이스의 장점을 부각시킨 컨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수준 높은 기술력과 합리적인 비용을 바탕으로 획기적이고 신뢰적인 컨텐츠를 명확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많은 잠재고객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가야 하며, 갈바닉 디바이스의 발전과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마케팅 교육 및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실내공간에 있어서 테크놀로지의 감성적 구현에 관한 연구 : 복합문화공간으로서 technology+amenity 감성체험공간에 관한 연구

        임지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기계에 의해 무분별하게 양산화 되는 제품은 인간의 생활을 윤택하게 한다는 디자인의 본래 피도와는 상관없이 오히려 인간생활에 피해를 주는 정향을 나타내고 공해와 환경 오염등 수많은 문제를 야기 시킴으로서 과학기술에 의한 기계적 패러다임에 대한 무려음파 의구심을 가속화 시켰다. 이에 탈 기계, 인간성회복이라는 이슈는 당면한 시대의 문제가 되었다. 현대는 이미지의 시대이며 소비행동의 가치기준이 이성에서 감성으로 가고 있는 시대이다. 실내공간에서도 과거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기재, 기능성 중심의 공간에서 벗어나 인간중심의 공간을 만드는 것이 이 시대의 파두로 떠오르고 있다. 산업시대의 가치척도였던 경제성, 기능성, 안정성 등은 탈산업사회, 나아가 지식정보 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사용자의 정서적, 심리적 만족 등과 같이 보다 개인적이고 감성적인 척도로 변화되고 있다. 디자인 결과물의 수용자 즉, 이용자(user)의 정서적 만족이라는 개념의 중심에 바로, 인간의 '감성'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디자인의 목표나 평가도 경제(economy)원리에 의한 가치기준으로부터 인간 중심의 생태학 (ecology)적 가치척도로 변화했으며, 과거 디자인에 적용될 인간공학의 차원이 기능성, 안전성, 효율성에 기초한 엘고노믹스(ergonomic)의 개념이라면 향후 적용될 인간공학은 인간감성을 정량화, 수량학, 객관화하여 제품과 공간의 디자인에 적용해 나가는 감성공학(humatl senaibility ergrn10rnics)이 될 것이다, 감성적 공간이라는 것은 물리적 행태와 행태적 조건의 구현은 내재된 이미지를 번안해내는 과정이며 공간이용자는 이때 물리적 공간은 단순히 사용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공간의 이미지 체계 내에서 이미지를 소비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 공간의 개념은 달랐다. 인간의 이미지 욕구는 뒤로하고 과학적 즉물성에 근거한 물리적 합리주의에 입각한 공간만을 만들어 내었던 것이다 .테크놀로지의 반향적인 고찰이라는 차원에서 테크놀로지의 감성적 구현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연구하고자 한다. 테크놀로지의 정의는 다양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테크놀로지란 단순도구 기계정밀도구 물적 재료 과학 그리고 인적자원의 인간적 정렬이다. 21세기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시대이다 .기계1중심의 테크놀로지의 시대에서 .이제 인간을 위한 인간중심의 테크놀러지가 요구되어지는 시대이다. 인간이성과 감성의 말살용 낳았던 시대에서 인간이 주체가 되는 테크놀로지의 새 개념이 필요하다 이에 공간을 연출함에 있어서도 테크놀로지를 인간의 감성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출의 도구로써 연구하고자 한다, 처음 테크놀로지의 출현에 인간은 이 자체가 살의 유토피아가 될 것이라면 예찬했다. 기계기능 우선 중심의 공간 속에서 정작 주가 되어 살아 가야할 인간의 극성. 인간성은 배제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테크놀로지-인간의 감성을 만족시켜주는. 인간의 감성을 주채로- 의 방향은 바로 인간이다. 감성은 인간의 오감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 어느 한 부위의 기관에서만 반응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없기에 감각의 개념은 애매하다고 볼 수 있다. 작품의 범위로 하는 감성은 posibve한 감성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은유적 표현과, 수사적인 공간으로 인간의 내면과 매너리즘을 표현한, 감성을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부정적인 경향이 많았으며, 그것을 한마디로 일축하자면 -허무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감성, 인간을 행복하게 해주는 긍정적인 개념의 감성으로 범위를 제한한다, 감성의 개념에서 어메니티의 개념-종합 패적성의 개념을 중심개념으로 설정하였다. 어메니티의 기본어휘는 -아마레로부터 나왔다. 아마레는 '사랑'이라는 뜻으로 감정의 정서와 무관하지 않다. 감성충족이라는 개념에서 어매니티의 개념을 도일하였다. 이에 어메니티의 기본분류인 자연미 어메니티, 문화예술 어매니티, 개성미 어매니티 로 구분하여 테크놀로지의 개념과의 상관성을 연관짓고, 주요어휘를 도출한다. 본 연구는 실내 공간 안에 나타난 테크놀로지의 영향을 분석 한 후, 타 예술과 공간 등에 나타난 감성의 구형을 연구한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실내공간의 테크놀로지의 영향-감성적 구현을 중심으로-공간계획을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의 개념을 분석한다. 정의된 테크놀로지와 근대건축의 공간에 나타난 개념의 범위를 고찰한다. 둘째. 실내 공간에 나타난-산업혁명이후의- 테크놀로지의 정외와 홍간 내에 나타난 개념을 분석한다. 연대별로 제1단계 1900-1950, 제2단계 1951-1970, 제3단계 1971-1990까지의 이세기 건축공간을 분석한다. 셋째, 테크놀로지에서 파생된 텍토닉의 정의와 감성적 공간으로 적응될 수 있는 어원을 분석하고 인간의 감성에 판한 문헌적인 조사와, 공간 안에 나타난 감성어휘를 분석한다. 넷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적용한 technomenity space을 계획한다. 작품의 범위로 하는 공간은 무 목적성. 복합문화공간으로 인간의 감성체험만족을 위한 전시공간이 된다. 공간을 분석하고, 결론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감성의 주채로 한 테크놀로지에서 가상현실공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감성적 적용공간의 범위로 한다. 또한 감성의 범위도 네거티브한 감성을 제외한 cosihve한 개념으로 제한 시켰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 건축 공간 안에 나타난 테크놀로지의 정의는, 도구적 쓰임. 인공물 ,매체로의 쓰임, 인공물 혹은 객채로의 쓰임 순으로 나타났다. 중간 중간에 절충주의 등, 표현주의 등의 움직임으로 인간의 감성을 담은 공간을 표8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테크놀로지의 거대한 움직임은 이런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둘째, 앞으로의 공간은 인간의 감성을 중요시한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오감만족, 공감과의 만족, 인간의 경험적, 심리적, 시각적인 미, 감각의 만족을 이루어주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감성공간으로 도출된 어휘들을 어매니티의 큰 분류 안에 적용시키고 그에 맞는 공간들을 분석하였다, 감성의 어휘들을-자연미. 문화예술. 개성미 어메니티로 분류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거 테크놀로지의 사용은 인간을 편리하게 만들어 주었다, 기재중심의 공간 속에서 기계시스템이 좌우하는 공간이 아닌 이제 인간중심의 인간감성중심의 공간이 요구되어지는 시대가 되였다. 앞으로의 공간 안에서의 테크놀로지는 인간의 휴머니티를 회복시켜주는 중심 도구가 될 것이다. ·keyword-기능주의. 도구적. 매체 맥락적. 인공물. 객체화. 감성. 어메니티 The contemporary is an image era, and the standard value of consump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rational to the sensibility. Similarly, renewing from functional, rational, and mechanical and function-oriented form of interior space in the past, creating a human-centered space has been becoming a major subject of this era. Abusing the original purpose of design, massively produced goods, manufactured by the mechanical technology, stimulated prosperous human life. However, they tended to harm the human life and caused countless problems, such as environment disruptions and various pollutions, thus raised the doubt and the fear in the mechanical paradigm of science technology. As approaching to intelligent and information society, this standard value of industrial era, commercial, function and safety, have been shifted to more private and sensible measure, such a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the user. The human sense is in the center of the concept of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user, the receiver of design result. Also, an objective and evaluation standard of the design have changed from the value standard of economic principle to the human centered ergonomics value. When the ergonomics was reflected in the design concept in the past, it was based on the function, the safety, and the effectiveness. However, it will be changed in a way that measuring, quantifying, and objectifying of human emotion to apply in products and spaces. The so-called sensible space is a process that transforming the immanent image to the creation of physical forms and structural condition, At this very moment, the user of space not only uses and/or consumes the physical space, but also consumes the image within the image system. However, the concept of space in the past was different. Disregarding the human desire for image, a space based on the physical rationalism was created on the bases of scientific realism.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sensible materialization of technology in order to stimulated the reaction of technology.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of technology. According to Aristoteles, a technology is a human arrangement of simple tool, mechanical precision tool, physical materials, and human resource. The twenty first century is a new technology era. Changing from machine-oriented technology, it is the time that the human-centered technology is in demand. Evolving from the era that yield an annihilatim of human rationality and sensitivity, neo concept of human-centered technology is needed. Hence, an expression of space was studied as a tool to maximize the sensible satisfaction of the technology. When the technology was firstly introduced, the human spices adored that the technology per se would bring the utopia to the human lifestyle. However, the human nature and humanism, which should be a dominant factor, were excluded within the mechanical, function-oriented space. Therefor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echnology, whose subject is human sensibility to satisfy it, is the human sensibility. The sense means five senses of human being. However, the concept of sense is vogues because it can not be defined as a respond of one organ of a body. It is a positive sense when we use in art pieces. The post-modernism is an expression of a sense which exposes inner thoughts of human and the mannerism with the metaphor and the rhetoric expressions of space. In other word, it is a concept of nihility. Therefore, hereafter, the scope is limited to the positive concept of sense which gives happiness to human. The concept of sense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oncept of amenity, the comprehensive pleasantness. An etymology of amenity is "-amare." "-Amere" means love, thus relevant to the sense of emotion. In a purpose to the idea of satisfying the sense, the concept of amenity was adapted. Here, an amenity was classified into the basic classes, a natural amenity, a cultural/art amenity, and a distinctive amenity. In addition, their relations to the technology were drawn, then major terms were develope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echnology, expressed in the interior spaces, then expressions of sense in other arts and space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study, based on the effects of technology in interior space-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sense- a space plan was developed. The scope of study was established as below. First, the concept of technology was analyzed. A definition of technology, and a definition and a concept expressed in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s were examined. Second, a definition and a concept of post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expressed in interior space were analyzed. Architecture spaces in the twenty century were analyzed by periods, the first stage (1900-1950), the second stage (1950-1970), and the third stage (1971-1990). Third, from the definition of tectonics, derived from technology, an etymology, which could be applied in sensible space, was analyzed. Additionally, a research on the literatures about the human sense and the terminology of sense expressed in a space was performed. Forth, the techmenity space was developed based on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result. The space, as a work of art, is objectless and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it is a space to provide the satisfaction of sensible experience for huma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spaces and concluding the results, the scope of sense reflected the space was limited to all, expect for the virtual reality space in the sense- subjected technology. The study results were concluded as below. First, definitions of technology expressed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were characterized as a use as a tool, artificial object, a medium and use as connection. As a stream of movements, such as the eclecticism and the expressionism, efforts to create human sense-oriented spaces were attempted from time to time. However, the huge movement of technology already have taken a dominant stream.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and the sense, the etymology of tectonics, a location of sensing in a body part was, a fundamental concept of sensible space. Third, the terms, derived from sensible space, have applied in the class of amenity, and the appropriate spaces for those were evaluated. The terms of sense were classified as natural, culture/art, and distinctive amenity. In conclusion, the use of technology in the past have brought the convenience to human life. Now, it is an era that demand human- and human sense- centered space, not a space that influenced by the mechanical system in a machine-centered space. In future, the technology in a space will be a major tool to restore the humanity.

      • 하이데거의 더불어 있음에 대한 사회존재론적 해석 : 배려와 공감의 사회를 향한 우리-존재론의 가능성 모색

        임지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ocial Ontological Analysis on Heidegger's Mitsein - Searching for Possibility of We-Ontology toward Consideration and Sympathetic Society -* Rim JIHye Department of Philosophy Graud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aechu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Heidegger’s Mitsein in Social Ontology. It also includes the search for “We” as a authentic relations with others which shows the possible structure for communication ontologically through the analysis. Heidegger stated Dasein’s existence has the same origin with “Mitsein” in his main book, Being and Time. In the book, he insists clearly that others are not the beings whose existential bases are not made by the perception and meeting. According to him, the conception on others and various kinds of realistic encounters with others are possible since the fundamental existential way of Dasein is “Mitsein”. Also, the aspects of human's social life and diverse relations with others are based on “Mitsein”. An interesting fact is that human’s sociality has been premised in most studies which are related to humans like philosophy from ancient to modern time. Until now, researches which cover relations with others or community have been established on this premise. In any way, human’s life is related to others. All of the social debates inquiry the ways of making specific relations with others on the premise of human’s social life. However, social ontology topicalizes study for the basis of human’s sociality which we premised without doubt. This thesis examines how co-existential life with others is possible through the analyzing Heidegger’s “Mitsein” closely. Besides, this investigation shows the perspective of the feasible structure of links with others which consideration and compromise are possible through the analysis. Heidegger doesn’t approach to the aspect of social human which is mentioned continuously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normative moral or ethical way. He explains the ontological meaning of others and common world where we live together with others through “Mitsein”, existential structure of Dasein. In Dasein analytics, he avoids the definition and analysis on human by the former anthropology or sociology and makes the character of human’s own life as a clue of philosophical question thoroughly. Most of all, he begins to ask existing way of Dasein who lives routinely from the realistic life. Dasein exists as a “Mitsein” with others. And in most cases, “Mitsein” of routine Dasein appear as “das Man”. “das Man” is a mode of inauthentic “Mitsein” of Dasein. Existence of Dasein always can be exposed authentically or inauthentically. Likewise, “Mitsein” can be also revealed authentically or inauthentically. Although “das Man” is a mode of inauthentic “Mitsein”, “das Man” show up very dominantly in everydayness of Dasein.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covers more importantly in that it gains the foundation “We” as authentic “Mitsein” show up from this “das Man”. In “das Man” analysis, Heidegger insisted apparently that among “das Man”, there is no one who relieves the existential weight which Dasein should wear. Paradoxically, it shows that Dasein can not avoid a way of authentic existential life. In the end, though Dasein lives as “das Man”, a mode of inauthentic existence in routine life, Dasein can not refuse authentic existential life in which he or she has a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own life. Dasein his or herself is an existence. Namely, Dasein always has to take a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existence as an authentic existence. It is “Fürsorge”, a mode of existence of Dasein that should be examined as well as analysis on “das Man”. Dasein “Sorge” his or her existence, “Besorge” tool and meets many other Dasein who has the same mode of existence with Dasein in the way of “Fürsorge”. Actually, Dasein’s “Fürsorge” on others shows two different types. One is a form of taking away or damaging other’s existence in a way of inauthentic “Fürsorge”. The other is a form of keeping or considering other’s existence in a way of authentic “Fürsorge”. These two aspects of “Fürsorge” suggest the relationships with which Dasein makes others can also be authentic or inauthentic in the community which is based on “Mitsein”. At the end of this analysis, I look into the aspects of the relations with others. They are the phases that Dasein meets the others with “Fürsorge”, restoring his or her authentic existence among many others unlike inauthentic “das Ma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it is possible Dasein keeps his or her own and other’s authentic existence and takes the responsibility for the existence in communal relations with others without burdening of his or her own existence with others. Therefore, authentic mode of “Mitsein” like this can be expressed “We”. The biggest existential character of “We” is that the existential meaning of “I” does not extinct in a group where I am with others. “We” are a reflected mode of Dasein’s attitude which wants to be in a group with others, keeping authenticity of my existence with that of others at the same time. We clarify that an aspect of inauthentic “Mitsein” in which indifference, a kind of inauthentic “Fürsorge” is “das Man”. On the contrary, Dasein has a authentic mode of “Mitsein” in which authentic “Fürsorge” is exposed as a existential prospect on the basis of Heidegger's analysis. “We” contain chances that Dasein conserves his or her own existence and others’ and co-exist with others’. An introspection on authentic “Mitsein” in which authentic “Fürsorge” of Dasein works will play a role as a clear opportunity to illuminate human’s communal life. Ontological explanation on “We” also points out new approaches to a number of actual problems on connections with others and presents a vision toward a society of consideration and empathy, simultaneously. In “We-ontology”, we can continue this argument to potential in which there is a sincere communication with others. With this course, it can be harmonized to search for human’s original ontological meaning which was uneasy to be discussed and practical inquiry for solving contradiction of real connections with others in “We-ontology”.

      • 高麗時代 王室文庫에 관한 考察

        임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 선현들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國策에 따라 적합한 서적문화 창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현재 극히 적은 수의 역사 사료들만이 전해지기 때문에 각 시대의 도서관사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왕실문고는 서적의 수입·보관·열람봉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왕·왕실·조정대신들이 이용을 하였던 전각을 일컫는다. 왕실문고는 주로 서적 보관을 위한 장서처의 역할을 하였지만, 정보제공을 위한 학술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왕의 고문에 응하는 참고봉사의 기능도 갖추었던 것으로 연구되었다. 고려시대의 왕실문고 역할을 수행한 전각들을 살펴보면 첫째, 문덕전은 장경적·치문한의 역할을 수행한 숙종 시대의 왕실문고였다. 둘째, 연영전은 현종·숙종 시대에 掌經籍·備顧問의 기능을 수행하였던 왕실문고였다. 셋째, 비각, 비서각은 동일한 전각의 명칭으로 추측된다. 이들 전각들은 서적을 수집·보관·유지·열람·교환하였으며, 판본 소장·간행의 임무도 맡은 왕실문고였다. 문종 시대에는 秘閣이 문고로써의 역할이 나타나는 시기이며, 비서각 관련 기사는 숙종 때부터 보인다. 넷째, 長齡殿은 숙종·예종 시대에 강의·강연 등의 역할을 하였던 왕실문고였다. 다섯째, 청연각과 보문각은 예종 시대에 동시에 나타난다. 여러 사료들을 통해서 두 전각은 왕실문고 기능을 수행하였던 동일한 기관으로,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었다. 여섯째, 서적소는 궐밖에 임시로 설치된 문고로써, 차츰 왕실문고의 기능을 발휘하면서 고려 중기 이후의 서적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곱째, 임천각은 서긍의「高麗圖經」을 통해서 왕실문고의 기능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려시대 왕실문고들은 일정하게 정해진 하나의 전각만이 왕실문고의 기능을 수행한 것이 아니라, 각 王의 時代別로 전각의 명칭과 기능이 자주 변화되었다. The Korean ancient sages exerted themselves to develop the culture of publication suitable for national policy of each period from the age of three kingdoms through Koryo dynasty to Choson dynasty. At present, however, very rarely do historical records hand down, so the history of library of each age has not been definitely proven yet. The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History of Koryo-i , 'Epitome of Koryo history_j , 'Drawing Book of Koryo-i , rSupplemented Literature Reference-i , and 'Description of Yeonryo Chamber-i were used to study the royal palaces which served as a royal library in the age of Koryo Dynast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search materials and historical materials by preceding researchers, through which the royal palace used as a royal library in the age of Koryo dynasty was reinvestigated The royal library used by king, royal family, and the courts existed within palace, functioning as book archives, learning activities, and reference service. The royal library mainly played a role in collection of books to take custody of books along with a function as reference service to advise king as well as an academic institute to provide information. The royal palaces in the age of Koryo dynasty which could be really called a royal library were reinvestigated via predecessor' studies and books. That is, the royal palaces claimed as royal library by them were Mundeokjeon, Bikak, Biseokak, Biseoseong, Seojeokso, Seojeokbo, Suseowon, Yeonyungjeon, Imcheonkak, Jangnyungjeon, Jungkwangjeon, Cheongyeonkak, Bomunkak, Myoru, and Cheonjangkak. The re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s related with the above libraries showed a fact that Biseoseong, Seojeokbo, Seojeokwon, Suseowon, Jungkwangjeon, Saris, and Chunjangkak were insufficient as a royal library. For example, Biseoseong was a palace where necessary classical books for kingdom was printed, and Seojeokwon lacked historical materials, so it was difficult to conclude for them to serve as a royal library. Seojeokbo was an institute which took charge of place for collection within Kukj akam, Suseowon was a governmental library built to bring up the best brains living in rural community in Seokyung, and Jungkwangjeon owned the historical materials as a king's private quarters rather than a library. Saris made use of king and the courts' rest Place. Chunjangkak was a museum for the royal family. The royal palaces which served as a royal library in the age of Koryo dynasty were concluded as follows: First, Mundeokjeon was a royal library which functioned as book archive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Second, Yeonyungjeon was a royal library which had a same function with Yeonyungjeon in the reign of King Hyunjong and King Sukjong. Third, Bikak and Biseokak are inferred to one and same building, where books were collected, kept, maintained, perused, and exchanged, together with possession of woodblock printed books and publication. Bikak served as a royal library in the reign of King Munjong, while some accounts related with Biseokak appeared from the reign of King Sukjong. Fourth, Jangnyunjeon was a royal library where lectures and addresses were conducted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King Yejong. Fifth & Sixth, Cheongyunkak and Bomunkak appeared simultaneously in the reign of Yejong. Considering several historical materials, they were same institutes who functioned as a royal library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Seventh, Seojeokso which first served as a temporary royal library so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books after the middle of Koryo. Eighth, Imcheonkak was shown to carry out a function of royal library through Seokeung's 'Drawing book of Koryo, . Investigation of these royal libraries showed that one royal palace did not implement only a regularly fixed function but their names and functions were changed under the reign of kings.

      • 라벨(Maurice Ravel)의 「Valses nobles et sentimentals」 (우아하고 감상적인 왈츠)에 대한 연구

        임지혜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Ravel's Valses nobel et sentimentals, Op. 61. First, the thesis will draw attention to Impressionism in general, providing an introduction. Second, it will focus on his life and the provide an overview of Ravel's musical feature and the transcriptions of his piano music. The third, the thesis will concentrate on a substantial analysis of Valses nobel et sentimental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wards the 20th century, there were many musical idioms due to the zeal for a new music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Romantic music. One of the new musical trends which arose from France, was Impressionism. It was suggested by Claude Debussy (1862~1918) criticizing the expressions of emotions appeared in German music. Ravel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usicians who also made a substantial contribution in establishing Impressionism. He utilized non-diatonic scales; whole tone scale, church modes, pentatonic scale and among others. In addition, Ravel chose the natural phenomena such as light, shadow, and sky as musical materials. Ravel's outstanding arrangement techniques transformed many solo pieces into orchestral ones: He composed Valses nobel et sentimentals for piano in 1911 and transcribed into an orchestral piece for detailed analysis because it represents Ravel's musical characteristics in various way: colors, structural coherence, Neo-classical ideas and among others. the writer has been especially fortunate to have had the opportunity to have had the opportunity to perform the piece as one of the graduation recital reperto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