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 프로그램 시청률과 디지털 VoD 클립조회 수 간 관계에서 이용자 및 프로그램 속성별 세분화 변인의 조절 효과

        임정일(Lim, Jung?Il),차유리(Cha, Yur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4

        이 연구는 다중 매체 환경 내 TV 프로그램 시청률과 디지털 VoD 클립 조회 수 간 관계에서 특유의 이중 위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가란 물음에서 시작됐다. 실증적 접근의 탐색 연구인만큼, 이용자의 주요 인구학적 속성 (성 · 연령대) 및 프로그램 속성 (채널 · 장르) 변인의 조절 역할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지상파 3사·종편 4사·케이블 3사 프로그램에 대해 닐슨코리아가 제공하는 TV 시청률 데이터, SMR이 판매 대행하는 디지털 VoD 클립 조회 수를 분석 자료 (프로그램 N = 530)로 삼았다. 연구 결과, TV 시청률이 디지털 VoD 클립 조회 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됐다. 단 그 영향력은 이용자 집단이 남성일 때보다 여성일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또 10대 이하, 40대 이상인 경우보다 20∼30대일 때 더 컸다. 프로그램 채널 면에서는 종합편성, 케이블, 지상파 채널 순으로 TV 시청률이 중요 역할을 했다. 끝으로 드라마나 영화·오락 프로그램 장르의 경우와 달리, 정보 프로그램 장르의 TV 시청률은 디지털 VoD 클립 조회 수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다. 신(新) 이중 위험 현상 발생 가능성은 관계주의 관점의 개인적 집단화 측면에서 이용자 인구학적, 프로그램 속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결과다. 이를 바탕으로 광고·방송 이론 및 실무 차원의 함의를 논의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neo-double jeopardy phenomenon could occu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static TV program ratings and digital VoD clip views in multimedia environment. As there was a lack of previous studies with an empirical approach,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ating effects of the segmentation variables according to the users’ main demographic attributes (gender, age) and program (channel, genre) attributes. To this end, the digital VoD clip views data, which the SMR as a sales agency sells, and the TV ratings data, which were provided by Nielsen Korea, on TV programs (N = 530) from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four general-programing broadcasters, and three cable broadcasters were collected as the data for analysi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TV program ratings on digital VoD clip views is significant. Meanwhile, the magnitude of impact i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In addition, the impact on the digital VoD clip views was stronger among those in their 20s-30s than those in their teens or under and those in their 40s or higher. In terms of channels, the study found that TV program rating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order of general-programming, cable, and terrestrial broadcasters. Lastly, unlike the cases of the genres including drama/movies, and entertain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f TV ratings on VoD clip views of the informative program genre. These results imply that a possibility of a neo-double jeopardy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users’ demographic attributes as well as program attributes in terms of groups of individuals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ism. On the basis of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broadcasting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윈드서핑 참여자의 기술수준에 따른 자기관리와 여가만족의 관계

        임정일(Lim Jung-il),김종화(Kim Jong-Hwa)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2

        This study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indsurfing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self-management and recreational purposes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The study in 2008 bas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participate in wind surfing wind surfing at the adult male population and set yeoreul pyojip way an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survey a total distribution of wealth was 300. Discrepancies in the actual analysis, the questions the data, missing data, some of the contents of 17, except to call 283 after the final questionnaire was used in the actual analysis. In this research, using survey research tool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level parameter intervening variables the self-satisfaction,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leisure dependent variables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completed after the input coded data to SPSS Windows 14.0 statistics program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utational process. Or more, depending on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researchers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 First, wind surfing in the participant's skill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self-management and leisure are satisfied. Second, wind surfing time, to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ffects the self-management.

      • KCI등재

        국내 광고실무자들의 옥외광고 매체 선정요인 연구

        임정일(LIM, JUNG IL),이인성(LEE, IN SUNG),김나경(KIM, NA KYOUNG) 한국OOH광고학회 2021 OOH광고학연구 Vol.18 No.3

        옥외광고 산업의 규모는 증가하고 있으나, 그 속도에 있어서는 디지털 매체의 그것보다 크게 뒤처지고 있는데, 이는 산업 생태계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주먹구구 방식이 많이 남아있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광고 예산을 집행하는 광고주와 옥외광고 제안을 하는 광고대행사의 광고실무자들이 옥외매체에 갖는 기대점이 어떤 부분인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현실적이고 실무에 반영될 수 있는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 집행 의사결정요소로서 마케팅활용성, 비용효율성, 광고표현적합성, 인적네트워크 관리, 경쟁사 집행전략, 과시적(상징적)요인과 같은 6개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교통/극장 광고의 경우 마케팅활용성, 대형옥외광고의 경우 과시적 요인이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적네트워크 관리요인은 분석에 사용된 광고매체 유형과 상관없이 매체 집행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광고주/대행사 간에도 옥외광고 집행 의사결정 요인의 차이가 대형옥외광고유형에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추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옥외광고 매체평가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 proportion of traditional media in corporate advertising is decreasing, while advertising costs for outdoor media and digital media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utdoor advertising, the scale of outdoor advertising is gradually expanding due to the digitalization and deregulation of analog outdoor advertising materials such as the revision of Act On Th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Etc and Promotion of Outdoor Advertisement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DOOH. As such, although the scale of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is increasing, it lags far behind that of digital media in terms of speed, and this is due to the relatively unsystematic and much of the rule of thumb in terms of the industrial ecosystem.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xpectations that advertisers who execute advertising budgets and advertising practitioners of advertising agencies who make outdoor advertising proposals have for outdoor media,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improvements that can be more realistic and reflected in practice. In this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decision-making factors for outdoor advertising media by introducing the AHP analysis method, which has been actively used in other media, but has been relatively insignificant in outdoor advertising media.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objective and scientific evaluation of outdoor advertising media in the future.

      • 기상청 지진관측소 관측환경별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발

        임정아(Jung-A Lim),윤원영(Won-Young Yun),서동일(Dong-Il Seo)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기상청은 지진관측을 위해 광대역, 단주기, 가속도 및 공중음파 등 다양한 종류의 지진계로 구성된 전국 268개소의 지진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지진계는 시추형과 지표형으로 구분되며, 설치된 장소는 내륙, 해안, 섬 등 다양하다. 지진계에는 일반적으로 지진에 의한 진동 외에도 인간의 활동, 바람, 파도 등 여러 요인에 의한 배경잡음도 함께 기록된다. 이러한 잡음들은 지진 감시에 방해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개별 관측소에 대한 배경잡음수준 평가는 지진자료를 수집하는 관측환경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기상청은 지진관측환경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2009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쳐 기상청 단일 표준 배경 잡음 모델을 개발하였다. 2016년 개발된 표준 배경잡음 모델은 기상청 속도계 지진관측소 68개소를 이용한 단일모델로 현재까지 배경잡음수준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2021년 현재 기상청에서는 확대된 관측소 및 다양한 지역과 설치환경 등을 반영한 보다 세분화된 표준 배경잡음 모델이 필요하다. 배경잡음은 주변 환경과 부지 특성에 따라서 주파수 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환경에 따른 세분화된 기상청 표준 배경잡음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연구에서는 기상청 지진관측소에 기록된 2020년 1년간의 초당 100샘플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배경잡음 분석을 위해 PQLX (PASSCAL Quick Look eXtende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파수별 잡음수준(dB)를 계산하였다. 또한 표준정규분포 및 신뢰범위(μ+2σ) 등의 확률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표준 배경잡음 모델을 작성하는데 방해되는 이상자료를 제거하고 순수잡음을 추출하였다. 기상청 관측소 268개소의 지진관측자료에 대하여 기존 2016년도 단일 표준 배경잡음 모델과 본 연구의 신규 개발된 표준 배경잡음 모델을 적용하여 배경잡음수준 이탈률을 비교한 결과, 해안이나 지표와 같은 비교적 잡음의 영향이 많은 관측환경의 경우 세분화된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내륙보다는 해안에서, 시추공보다 지표에서 좀 더 높은 배경잡음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관측환경별 세분화된 표준 배경잡음 모델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기상청 지진관측자료의 이상파형 및 관측환경의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품질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골-슬개건-골 및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비교 - 술후 슬관절의 기능, 안정성 및 대퇴, 경골터널 확장정도에 대하여 -

        정영복,태석기,임정일,Jung Young Bok,Tae Suk-Kee,Lim Jung Il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1

        목적 : 자가이식건을 이용한 전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골-슬개건-골과 슬괵건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고자 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7월까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군 32례, 슬괵건을 이용한 군 18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각 각 18 개월, 15 개월이었으며 기능, 안 정성 경골과 대퇴골 터널의 확장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기능적인 평가에서 OAK(Orthopadishe Arbeitsguppe Knie) 점수는 슬개건을 사용한 군에서 술 전평균 71.6점$({\pm}10.0)$, 최종 추시점에서 88.5점$({\pm}7.9)$이었고 슬괵건을 사용한 군에서는 술 전 평균 73.9점$({\pm}11.5)$, 최종 추시점에서 82.5점$({\pm}12.9)$이었으며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상 B군 이상의 결과를 보인 군은 슬개건을 사용한 경우 28례$(87\%)$, 슬괵건을 사용한 경우가 10례$(55\%)$였다. 안정성은 $KT-1000^{TM}$을 사용한 최대 도수 변이 검사에서 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슬개건을 사용한 경우 술 전 평균6.5$({\pm}4.0)$mm, 최종 추시점에서 2.4$({\pm}1.8)$mm를, 슬괵건을 사용한 경우는 6.6$({\pm}2.9)$mm에서 2.3$({\pm}2.4)$mm를 보였다. 부하 방사선 사진상 전위는 각각 술 전 평균 8.0$({\pm}4.8)$mm, 7.0$({\pm}4.3)$mm에서 최종 추시점에서 2.8$({\pm}3.4)$mm, 2.8$({\pm}2.5)$mm의 차이를 나타냈다. 터널의 확장 정도는 대퇴골 터널의 경우에서 슬괵건을 사용한 군이 술 전 평균 9.6$({\pm}1.4)$mm, 최종 추시점에서 10.8$({\pm}1.0)$mm를 나타내어 슬개건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유의하게 확장되었다(p=0.03). 결론 : 두 군간에 술 후 안정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아 슬개-대퇴 관절 동통, 골연령 및 미용상의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식건은 선택되어야하고, 터널확장을 줄이면 두 군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지는 대조군을 이용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 to hamstring.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two ACL reconstructions with autogenous BPTB and eighteen reconstructions with hamstring were compared in terms of functional outcome, stability and tunnel expansion. Results : The functional score of BPTB group was higher than hamstring group in OAK(Orthopadishe Arbeitsguppe Knie) and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ystem. In BPTB group, OAK scores were 71.6$({\pm}10.0)$ preoperatively and 88.5$({\pm}7.9)$ finally. In hamstring group, OAK scores were 73.9$({\pm}11.5)$ and 82.5$({\pm}12.9)$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bility checked by either $KT-1000^{TM}$ or stress view. Anterior tibial translation measured by $KT-1000^{TM}$ were 2.4$({\pm}1.8)$mm in BPTB and 2.3$({\pm}2.4)$mm in hamstring group. Anterior tibial translation in stress view were 2.8$({\pm}3.4)$mm in BPTB and 2.8$({\pm}2.5)$mm in hamstring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ibial tunnel expansion but femoral tunnel was more enlarged in hamstring group than BPTB (P=0.03). Conclusion : 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bility between two groups, it seems prudent to select either graft defend on such factors as anterior knee pain, skeletal maturity and cosmetic concern. Tunnel expansion seems not to affect stability, but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at decrease of which might improve stability.

      • 뇌졸중 쥐 모델에서 인간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치료 효과 연구

        정창현 ( Chang Hyun Jeong ),임정연 ( Jung Yeon Lim ),박상인 ( Sang In Park ),김성묵 ( Seong Muk Kim ),전진애 ( Jin Ae Jun ),오원일 ( Won Il Oh ),이재권 ( Jae Kwon Lee ),전신수 ( Shin Soo Jeun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06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3 No.4

        Mesenchymal stem cells(MSCs) have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multiple cell types. It has been reported that MSCs ameliorate functional deficits after transplantation into various neurologic disease models. In this study,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SCs(hUCB-MSCs) on stroke models, we transplanted the PKH-26 labeled hUCB-MSCs into the contralateral region of injured rat brain at 7 days after injury, and then examined the behavioral test, migration ability of transplanted hUCB-MSCs to injury site,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ity of transplanted hUCB-MSCs into neural cells. The results were: (1) a behavioral test(adhesive- removal and rotarod tes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SCs transplanted group as compared to the PBS injected group, (2) PKH-26 labeled MSCs were detected in the boundary zone of injured site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and (3) a few of transplanted MSCs exhibited a labeling for mature neural linage markers NeuN and GFAP. We suggest that hUCB-MSCs could be an effective cell source for treating ischemic brain injury.

      • 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수업 구성요소: 대학교 이론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 Il ),임정은 ( Lim Jung Eun ),우예영 ( Woo Ye Young ),한다솜 ( Han Da Som ),이진우 ( Lee Jin Woo ),연준모 ( Yun Joon M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2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온라인 수업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20년 2학기 비대면 온라인 이론 수업을 수강한 국내 K 대학교 학생 507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자 수업 운영 변인과 학생참여 변인은 모두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 및 환경 변인의 경우 ‘시스템 안정성’, ‘사용 편의성’을 제외한 변인들이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의 구성요소 변인들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성에 대한 설명력은 총 54.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자 수업 운영 변인 중 ‘상호소통 원활(β=0.260)’, 기술 및 환경 변인 중 ‘동영상 품질 적합성(β=0.215)’, 학생 참여 변인 중 ‘학습충실도(β=0.166)’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각 변인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밝힌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설계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07 students at K University in Korea, who took online theory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differ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instructor’s management and student’s participation variabl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With the exception of system stability and ease of use, sub-factors of technology and environme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Second, technology and environment, instructor, and student variables accounted for 54.2% of the variance in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learning.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were “mutual communication smoothness”(β=0.260) among the instructor variables, “video quality suitability”(β=0.215) among the techn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nd “learning faithfulness”(β=0.166) among the learner student variab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effective online classes and reveal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variabl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termining the future direction of online class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