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을 위한 만다라 명상 사례연구

        임시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In middle age, you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you pass the peak of your cold life with happiness while enjoying the fruits of your previous life. However, when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meaning of existence given by the role or job in the family is lost, you can experience a "middle-aged crisis" if you fail to discover or adapt to new activities or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mandala medit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men and women who suffer physical, psychological, emotional, social relations, and ego problems due to the 'middle-aged crisis'. In this study, the entire process was defined as 'Mandala Meditation' and the entire session was conducted by drawing and interpreting Mandala in a meditative state. In mandala art therapy, the time of government meditation was increased and the contemplative perspective was strengthened.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hange proces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mandala art therapy. In this study, what do middle-aged people who experience a crisis experience through mandala meditation in the case study of mandala meditation for middle-aged people? What does mandala meditation mean for middle-aged people in crisis? approached with the research question. In this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to deeply examine individual cas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mandala meditation.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asked seven men and women who were feeling a middle-aged crisis to experience a total of 16 mandala meditations. This study targeted middle-aged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mandala meditation from early June to the end of October 2021. The 16th session of Mandala Meditation, which consists of themes to deal with the crisis of middle ag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introduction, exploration, and integration." Each stage was in the fifth session, and the last session was under the theme of wrapping up the entire process by meditating on group mandala. Mandala meditation for middle-aged people was conducted for two hours in the order of "theoretical background," "meditation by subject," "mandala work," "gwan(觀) meditation," and "sharing minds" in each session.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cases based on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mandala meditation. As data for the analysis, Mandala meditation painting work and personal work by sess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 transcript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 were used. The contents of middle-aged participants' experiences of mandala meditation were inductively analyzed within individual cases. Six common topics, 23 sub-subjects, and 92 semantic words were analyzed through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The common themes are "Reminiscing the time I have lived my life," "Meeting the desire inside me," "Accepting the dark heart as part of me," "Accepting that any appearance is okay," "New hope grows," and "Life will continue to flow."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between cases,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process of mandala meditation' was analyzed. The 'Mandala Meditation Experience Process' analyzed by the rese archer was progressing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process of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related to "primary experience" occurred. In the second stage, the process of “awareness” and “integration” occurred in relation to 'secondary experience'. In the third stage, "acquiring wisdom" and "expression of mercy" took place as a process of reaching "obstruction”. As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basic pattern of mandal a meditation' was derived. In the mandala medit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the processes of 'safe mandala space', 'gwan(觀) meditation ', 'face with mental image', 'acceptance and integration', and ' recognition change, consciousness expansion' were repe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mandala meditation, conditions were formed to overcome the crisis in middle age. The seven people who participated in mandala meditation took their suppressed feelings and desires out of a comfortable state and accepted them. The mandala meditation, which accepts the state of now-here and shows a new self at the same time, has formed a condition to newly adjust the values of middle -aged life. By having a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view of oneself and reality, a psychological environment was created to solve the crisis in middle age. Second, a view of integration and positivity was established through mandala meditation. Middle-ag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mandala meditation were making great efforts to maintain a fixed 'self-image' and to maintain unchanged standards. Drawing in Mandala meditation, they were either a figure he did not want to admit before or he had never recognized it. Looking critically at the image painted on the mandala gave a feeling of safety and peace. Any mind has an attitude of affirming itself as " it's okay," and a step of insight has been taken to integrate my previous self with the new self.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naturally form a view of integration and positivity to solve the crisis in middle age. Third, the restoration of the subjectivity given by creative work occurred. Participants freely painted their inner images under various themes in Mandala meditation activities, sublimating suppressed and suppressed emotions and senses into colors and shapes. They were feeling tired, exhausted and lonely through the midlife crisis. They had a strong sense of living in Mandala meditation. Mandala meditation expressed an individual's artistic sensibility and made me feel the vividness of being alive in my daily life. Further more, it fostered internal confidence and strength to manage future life. Fourth, it is the possibility of linking Buddhist counseling and mandala meditation. In mandala meditation for middle age, three keywords, which are elements of Buddhist counseling, appeared. ' Understanding of the posture of the middle' and 'the emergence of the mind of wisdom and mercy' were observed. Finally, the 'experience of success' was interpreted.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practicing 'acting life' in Buddhism. The research result that mandala meditation causes a healing process at the interface between art therapy and meditation and leads to understanding and practice at the Buddhist level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is study. Accordingly, the use of mandala meditation in Buddhist counseling can be discussed.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experienced a mid-life crisis recognized and realized the imbalance in each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through mandala meditation. And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finding a state of psychological balance. This experience of mandala medit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fosters the power of the mind to overcome the middle age of the crisis and gives a wise perspective to maintain a harmonious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ope that the mandala meditation process will be used as a meaningful material to restore the value of life to those suffering from a crisis in middle age.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mandala meditation process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solve problems in middle age, and I propose to extend to the study of mandala meditation programs of various ages. 중년기에는 이전의 삶의 결실을 거두고 누리며 행복감으로 찬 생의 절정 기를 지나며 성취감을 느낀다. 하지만 가족에서의 역할이나 직업이 주던 성 취감과 존재 의미가 상실될 때, 새로운 활동이나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적응하지 못하면 ‘중년의 위기’를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의 위기’에 따른 신체적, 심리 정서적, 사회관계, 자아의 문제를 겪는 중년 남녀의 만다라 명상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 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의 과정을 ‘만다라 명상’으로 정의 내리고 명상적 상태에서 만다라를 그리고 해석하는 작업으로 전체 회기를 진행하였다. 만 다라 미술치료에서 관(觀) 명상의 시간을 늘리고 관조하는 명상적 관점을 강화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만다라 미술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변화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을 위한 만다라 명상 사례연구에서 위기를 겪는 중년 이 만다라 명상을 통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가? 위기를 맞은 중년에게 만 다라 명상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라는 연구 문제를 가지고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만다라 명상의 체험 과정에서 일어나는 개인별 사례를 깊게 들여다보기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를 위 하여 중년의 위기를 느끼고 있는 7명의 남녀에게 총 16회의 만다라 명상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6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만다라 명 상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중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년의 위기를 다루기 위 한 주제로 구성된 만다라 명상 16회기는 ‘입문, 탐색, 통합’ 3단계로 나뉘 었다. 각 단계는 5회기이고 마지막 1회기는 집단 만다라 명상을 하며 전체 과정을 마무리하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중년을 위한 만다라 명상은 매회기 ‘이론적 배경’, ‘주제별 명상’, ‘만다라 작업’, ‘관(觀) 명상’, ‘마음 나누기’의 순서로 2시간씩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만다라 명상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 내용을 토대로 질적 사례 분석을 하였다. 분석의 자료로는 연구 참여자들의 회기별 만다라 명상 그림 작업과 개인 작업, 심층 면담 녹취록, 연구자의 관찰일지가 사용되었다. 중년의 참여자들이 만다라 명상을 경험하는 동안의 내용을 개인 사례 내에서 수집한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 석을 통하여 6개의 공통주제와 23개의 소주제, 92개의 의미단어가 분석되 었다. 공통주제는 ‘애쓰며 살아온 시간을 회상하다’, ‘내 안의 욕구를 만나 다’, ‘어두운 마음도 나의 일부로 받아들이다’, ‘어떤 모습도 괜찮다고 수용 하는 마음’, ‘새로운 희망이 자라나네’, ‘삶은 계속 흘러가리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 간 분석을 토대로 ‘만다라 명상의 체험 과정의 구조’ 를 분석하였다. 연구자가 분석한 ‘만다라 명상 체험의 과정’은 3단계로 진 행되고 있었다. 1단계에는 ‘1차 체험’과 관련한 ‘자기 인식’과 ‘자기 수용’ 의 과정이 일어났다. 2단계에는 ‘2차 체험’과 관련하여 ‘자각’과 ‘통합’의 과정이 일어났다. 3단계에는 ‘통찰’에 이르는 과정으로 ‘지혜 체득’과 ‘자비 심 발현’이 일어났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으로 ‘만다라 명상의 기본패턴’이 도출되었다. 본 연 구에서 진행된 만다라 명상에서는 ‘안전한 만다라 공간’, ‘관(觀) 명상’, ‘심 상 이미지 직면’, ‘수용과 통합’, ‘인식 전환, 의식 확장’이라는 과정이 반복 되어 일어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 명상의 과정에서 중년의 위 기 극복을 위한 조건이 형성되었다. 만다라 명상에 참여한 7명은 자신의 억 압된 감정과 욕구를 편안한 상태에서 꺼내고 수용하게 되었다. 지금-여기의 상태를 받아들이고 동시에 새로운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만다라 명상은 중년의 삶의 가치관을 새롭게 조정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였다. 자신과 현실을 객관적이면서도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되면서 중 년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을 조성하였다. 둘째, 만다라 명상 을 통해 통합과 긍정의 시각이 확립되었다. 만다라 명상에 참여한 중년은 고정된 ‘자아상’을 유지하고 변하지 않는 기준을 지속하기 위해 많은 노력 을 기울이고 있었다. 만다라 명상에서 그려진 자신은 이전에는 인정하고 싶 지 않은 모습이거나 한 번도 인식한 적이 없는 모습이었다. 만다라에 그려 진 이미지를 비판단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안전하고 평안한 느낌을 주었다. 어떤 마음도 ‘괜찮다’라고 본인을 긍정하는 자세를 갖게 되고, 이전의 나의 모습과 새롭게 떠오른 이면의 나를 통합하는 통찰의 단계가 이루어졌다. 이 렇게 중년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과 긍정의 시각을 자연스럽게 형성 시킬 수 있다. 셋째, 창조작업이 주는 주체성의 회복이 일어났다. 만다라 명상 활동에서 다양한 주제로 자신의 내면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그려내면 서 억눌리고 억압된 정서와 감각들을 색채와 형상으로 승화시켜 나갔다. 연 구 참여자들은 중년의 위기를 겪으며 피곤하고 지치고 외로운 정서를 느끼 고 있었다. 그리고 만다라 명상에서는 살아있는 느낌을 강하게 받아 갔다. 만다라 명상은 개인의 예술적 감수성을 발현시키고 살아있다는 생생함을 일상에서 느끼게 하였다. 나아가 앞으로의 삶을 꾸려나갈 수 있는 내적 자 신감과 힘을 키워주었다. 넷째, 불교 상담과 만다라 명상의 연계 가능성이 다. 중년을 위한 만다라 명상에서는 불교 상담의 요소인 세 가지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중도의 자세에 대한 이해’와 ‘지혜와 자비의 마음의 출현’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성의 체험’이 해석되었다. 이는 불교에서의 ‘연 기적 삶’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었다. 만다라 명상은 미술치 료와 명상의 접점에서 치유의 과정을 일으키고 불교적 차원의 이해와 실천 을 이끈다는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큰 의의라 하겠다.이에 따른 만다라 명 상의 불교 상담적 활용이 논의될 수 있겠다. 중년의 위기를 겪는 연구 참여자들은 만다라 명상을 통해 각 개인의 심 리상태의 불균형을 인식하고 자각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균형의 상태를 찾 아가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만다라 명상의 경험은 위기의 중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마음의 힘을 키워주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지 혜로운 관점을 갖게 해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만다라 명상 과정이 중년의 위기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삶의 가치를 회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앞으로 만다라 명상 과정이 중 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다양한 연령대의 만다라 명상 프로그램 연구로도 확장되기를 제안한다.

      •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자기자비 수준에 따른 군집별 심리적 소진의 차이

        임시연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자기자비 수준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후, 각 군집유형에 따라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서 근무하는 놀이치료자 250명이었으며, 발달수준 척도(KCLQ), 자기자비 척도(SCS), 심리적 소진 척도(MBI)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단계 군집분석(Hair & Black, 2000)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놀이치료자의 경력수준(초심자, 숙련자)에 따라 각 4개의 군집을 분류하였고, 일원변량분석(ANOVA)으로 군집별 발달수준과 자기자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다음 군집별 심리적 소진 전체와 하위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자기자비, 심리적 소진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초심자, 숙련자)의 발달수준과 자기자비 수준에 따라 군집을 분석한 결과 4개의 군집이 분류되었다. 초심 놀이치료자의 경우, ‘발달 고-자비 고집단’,‘발달 중-자비 고집단’,‘발달 저-자비 중집단’,‘발달 저-자비 저집단’으로 명명하였고, 숙련 놀이치료자의 경우, ‘발달 고-자비 고집단’,‘발달 고-자비 저집단’,‘발달 중-자비 고집단’,‘발달 저-자비 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놀이치료자(초심자, 숙련자)의 발달수준과 자기자비에 따라 분류한 군집들 간에 심리적 소진 전체와 하위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심리적 소진에서 초심 놀이치료자의 경우,‘발달 저-자비 저집단’,‘발달 저-자비 중집단’이 높았으며,‘발달 고-자비 고집단’,‘발달 중-자비 고집단’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숙련놀이치료자의 경우,‘발달 고-자비 저집단, ‘발달 저-자비 저집단’은 높았으며,‘발달 중-자비 고집단’,‘발달 고-자비 고집단’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고갈에서는, 초심 놀이치료자의 경우,‘발달 저-자비 저집단’이 가장 높았으며,‘발달 저-자비 중집단’이 평균수준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발달 고-자비 고집단’,‘발달 중-자비 고 집단’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숙련 놀이치료자의 경우,‘발달 고-자비 저집단,‘발달 저-자비 저집단’이 높았고,‘발달 중-자비 고집단’,‘발달 고-자비 고집단’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비인간화에서는, 초심 놀이치료자의 경우,‘발달 고-자비 고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발달 저-자비 저집단’,‘발달 저-자비 중집단’이 평균수준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발달 중-자비 고집단’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숙련놀이치료자의 경우,‘발달 고-자비 저집단’,‘발달 저-자비 저집단’이 가장 높았고, ‘발달 중-자비 고집단’이 평균수준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발달 고-자비 고집단’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에서는, 초심 놀이치료자의 경우,‘발달 저-자비 저집단’,‘발달 저-자비 중집단’이 높았고,‘발달 중-자비 고집단’, 발달 고-자비 고집단’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숙련 놀이치료자의 경우, ‘발달 저-자비 저집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발달 고-자비 저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발달 중-자비 고집단’이 평균수준을 나타냈으며, 마지막으로‘발달 고-자비 고집단’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상담 역량 변인인 발달수준과 개인 성숙 변인인 자기자비를 함께 고려하여, 심리적 소진과 그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적으로 탐색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깊이 있게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Play Therapists’ Psychological Burnout on cluster-based developmental levels and self-compassion. The study’s subjects were 250 play therapists working around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subjects responded to three standardized Scales : Korean Counselor Level Questionaire(KCLQ), Self-Compassion Scale(SCS), and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A two-stage cluster analysis proposed by Hair and Black (2000)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ed in four main find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experience (beginner, advanced). The data analysis used the SPSS 25.0 program for differences in group developmental levels and self-compassion confirmed through a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and Scheffé post-test. Also, the data analysis used the SPSS 25.0 program for differences in group psychological burnout confirmed through a Multuvariate Analsis Variance (MANOVA) and Scheffé post-test. The research resulted in four main find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major variables for the play therapist's developmental levels,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counselors were divided into beginner groups and skilled groups. Four clusters emerged, each characterized by the level of developmental levels and self-compassion. For the beginners, there are ‘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low development - moderate compassion group',‘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For the advanced, there are‘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high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Thir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burnout level and subvariants of psychological burnout were verified among clust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variants of play therapy's(beginners, advanced) developmental levels and self-compassion. As a result, among the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case of beginner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low development - moderate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psychological burnout, and ‘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 ‘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case of skilled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high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psychological burnout, and ‘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psychological burnout. Among the emotional exhaustion, in the case of beginner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emotional exhaustion,‘low development - moderate compassion group' showed average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emotional exhaustion. In the case of skilled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high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emotional exhaustion, and ‘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emotional exhaustion. Among the depersonalization, in the case of beginner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depersonalization,‘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and‘low development - moderate compassion group' showed average level of depersonaliz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depersonalization. In the case of skilled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depersonalization,‘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showed average level of depersonaliz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depersonalization. Among t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the case of beginner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low development - moderate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the case of skilled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low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had the highest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high development - low compassi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moderate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showed average level of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high development - high compassion group' had the lowest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imultaneously explored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levels and self-compassion of play therapists. It is meaningful that the variants affecting psychological burnout were explored in depth.

      • 총담관낭의 임상적 고찰

        임시연 한양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총담관낭은 드문 선천성 질환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그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한 연구로 총담관벽의 선천적 약함,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췌담관 합류 이상이 가장 많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복부 초음파 검사와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 및 수술중 시행한 담관조영촬영을 이용하여 총담관낭을 Todani 분류와 Kimura의 췌담관 합류 이상 분류방법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각 분류간의 연관관계 및 특징, 그리고 동반질환과 선천성기형을 의무기록을 기초로 조사 연구하였다. 결과로 Todani 분류상 Ia형이 52.8%, Ib형이 2.8%, Ic형이 5.6%였으며, IVa형이 38.9%, 였으며, 췌담관 합류 이상은 97.2%에서 발견되었으며, 담관이 췌관으로 합류하는 Kimura Type BP는 69.4%였고 췌관이 담관으로 합류되는 Type PB는 27.8%이었다.

      • 수학적 과정과 이해 수준을 중심으로 단원 평가 문제 유형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①, ③을 중심으로

        임시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과정(mathematical process)'을 강조하고 있고 이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이 함께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이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단원평가에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고자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이해수준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 능력 요소를 추출하여 단원평가에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수학적 과정 중심의 평가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수학적 과정에 따른 단원 평가 문제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수학적 이해수준에 따른 단원 평가 문제 유형을 분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3월에 전국 초등학교에 적용된 초등 수학 교과서 3~4학년군 수학 ①, ③의 단원평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이해 수준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 능력 요소를 추출하여 단원 평가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수학적 과정 분석틀의 근거는 교육과정에 진술된 교수‧학습 방법에 제시된 수학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유의점, 수학적 추론 능력의 신장을 위한 유의점,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한 유의점에서 세부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세부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수학적 이해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은 Jan de Lange이 제시한 재생 수준, 연결 수준, 반성 수준과 관련된 능력을 세부 요소로 선정하여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적 과정별 문제 수의 비율은 문제해결이 62%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의사소통이 25%, 추론이 13%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각 수학적 과정 각 요소별 가장 많은 비율의 문제를 살펴보면 문제해결에서는 문제해결 과정이 총 58문제 중 29문제로 50%, 추론에서는 추측 및 정당화가 12문제 중 7문제로 58%, 의사소통에서는 일상 언어 및 수학적 표현이 23문제 중 16문제로 69%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모두 세부 요소별로 한 개의 요소가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고, 추론과 의사소통에서는 문제가 제시되는 않는 요소도 있었다. 둘째, 수학적 이해 수준별 문제 수의 비율은 재생수준이 48%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이해 수준이 32%, 반성 수준이 17%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각 수준별 가장 많은 비율의 문제를 살펴보면 재생 수준에서 사실에 대한 지식과 수학의 대상과 특성의 표현이 45문제 중 17문제로 38%, 연결 수준에서는 수학적 정당화가 32문제 중 10문제로 31%, 반성 수준에서는 자신의 모델과 전략 개발, 분석, 해석이 16문제 중 7문제로 44%를 차지하고 있다. 수학적 이해 수준 세부 요소별로 각 요소간 비율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연결 수준과 반성 수준에서는 문제가 제시되는 않는 요소도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 교과서 단원평가에 수학적 과정을 묻는 문제가 많이 제시되어 있고 이는 학생들의 수학적 과정 능력을 측정하고 향상 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적 이해 수준별 문제의 비율이 하위 수준부터 상위 수준으로 갈수록 피라미드 형식으로 제시되고 있어 적절한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 중 절반을 차지하는 요소가 많고 전혀 문제가 제시되는 않는 영역도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추론, 문제 해결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의 개발 적용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잉크젯 미세 패턴의 해상도에 미치는 영향

        임시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present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olution of inkjet-printed fine patterns deposited on two different solid substrates: glass and polyimide. We are particularly concerned with the effect of plasma surface polymerization on the drop diameter and uniformity deposited on the substrates. DOE (Design of Experiments) techniqu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mong five process variables such as plasma power, gas pressure, process time, gap between electrodes, and temperature. For each substrate, we generated the 2nd-order response surface model from which we can find out the optimum condition to minimize the pattern resolu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each variable. From the surface analysis, we also found that as the amount of fluorine functional group on the surface increases, the hydrophobicity increases while the surface energy decreases, resulting in improving the resolution. 잉크젯 패터닝이란 잉크젯 헤드와 적절한 잉크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미세한 Ink drop을 분사하여 기판위에 패턴을 직접 형성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잉크젯 패터닝은 기판 상의 원하는 위치에 패턴을 직접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 의 인쇄 , 노광, 현상, 에칭 등의 공정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 며, 대형화 및 다기종 대응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잉크젯에서 이슈는 크게 네 가지 (Wetting control, Patterning, Inkjet-head, Equipment)가 있다. 특히, 잉크젯 패터닝 전처리 공정인 Wetting control은 중 요하다. Drop-on-Demand 방식으로 분사된 잉크는 표면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젖음성 제어(Wetting control)를 위해서 친수성 (Hydrophillic), 소수성(Hydrophobic) 표면처리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표면처리 분야에서 현재 잉크젯과 연계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잉크젯에서의 표면처리가 미세패턴의 해상도에 어떠 한 영향을 있는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으로, 표면처리는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선정하였고, 최적 공정조건을 찾는 방법으로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였으며, 추정된 반응 표면 모 형식으로부터 최적 공정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플라즈마 공정 조건으로부터 표면처리된 박막에 대하여 표면형태 관 측과 화학 분석을 진행하였다. 소수성 박막의 표면형태를 관측할 수 있었고, 소수성 표면이 가지는 화학적 조성과 결합상을 확인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기판의 종류에 따른 표면처리 최적공정조건을 제시하 였고, 추정된 2차 반응표면 모형식으로 다양한 잉크젯 해상도를 갖는 기판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싱가포르 외국인 고급인력의 코스모폴리탄 정체성과 시민권 연구

        임시연 서울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초국적 이주의 시대에 사람들이 정의하고 실천하는 정체성과 시민권을 싱가포르의 ‘외국인 고급인력’(foreign talent)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국적 고숙련 이주자 혹은 코스모폴리탄이라 불리는 외국인 고급인력의 초국적 이주와 관련된 정체성 실천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민족지적으로 기술한다. 싱가포르 사례는 급속한 전지구화에 따라 외국인 고급인력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코스모폴리탄 정체성을 선택하거나 본국의 정체성을 유지하는지, 가속화된 초국적 이주가 외국인 고급인력의 시민권 실천과 국가에 대한 귀속의식에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는지,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싱가포르 정부의 전략과 정책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싱가포르 사회는 1990년대 중후반에 정부가 글로벌 도시 건설을 표방하면서 코스모폴리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유포한 이래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1/3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각종 사회문화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특히 외국인 고급인력이 대거 유입된 점을 주목할 수 있다. 다인종, 이주민으로 구성된 싱가포르에서 코스모폴리탄 프로젝트에 의거하여 펼친 개방적인 이민정책으로 외국인 고급인력이 급증하자 시민들의 불만과 반감이 고조되었고, 급기야 외국인 고급인력과 시민 사이에 갈등과 충돌이 발생하기에 이른다. ‘열림’을 지향하는 코스모폴리탄 프로젝트가 갈등과 충돌을 초래한 것이다. 이 논문은 초국적 이동과 교류가 빈번해진 오늘날, 싱가포르처럼 코스모폴리타니즘을 정책적으로 추구하는 곳에서 외국인이나 시민 사이에서 개방적 태도가 한층 더 강화되기보다는 갈등과 충돌이 고조되는 현상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일어나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나아가 싱가포르 정부의 코스모폴리탄 프로젝트와 그에 수반된 이민정책이 왜 시민들의 반대와 저항을 불러일으키는지 묻는다. 코스모폴리타니즘은 한마디로 정의하기 쉽지 않은 개념이다. 코스모폴리타니즘은 개방성을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내포하고 있지만, 현실 속에서는 개방의 차원, 층위, 대상에 따라 열림과 닫힘을 포함하는 모순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싱가포르의 경우에도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개방성의 여러 층위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고급인력의 코스모폴리탄 정체성과 시민권 전략과 그 실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코스모폴리타니즘이 갖는 의미를 경험적으로 탐구해 보았다. 우선 정부의 코스모폴리탄 프로젝트에 의해 조성된 고급문화 공간에서 외국인 고급인력이 정의하고 실천하는 정체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이 실천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외국인 고급인력에게 코스모폴리타니즘은 이동성, 고급문화, 레저, 여행 등을 포괄하는 개념인 동시에 전략이자 자본이며 또한 지향점이라는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모든 외국인 고급인력이 싱가포르 정부의 코스모폴리탄 도시 건설 정책에 따라 조성된 화려한 고층건물에서 일하며 고급문화와 예술, 엔터테인먼트가 가득한 싱가포르의 면면을 즐기고 있지는 않았다. 이를 향유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자본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고급인력을 소득, 인종, 국적에 따라 ‘전형적인’ 집단과 ‘비전형적인’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전자가 코스모폴리탄 엘리트 집단과 거의 일치한다고 보았다. 전형적인 외국인 고급인력은 계층적으로 구역화된 공간에서 그들만의 문화를 즐기며 다름을 소비하고 있었다. 이들은 싱가포르 정부에서 조성한 코스모폴리스 속에서 고급 취향과 글로벌 소비패턴으로 표출되는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코스모폴리탄 정체성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전형성이 충족되지 않는 외국인 고급인력의 경우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한 인종위계적인 싱가포르라는 공간에서 배제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을 경험하기도 한다. 중국 본토 출신이나 인도 출신의 외국인 고급인력이 대표적으로, 이들은 자신들이 느끼는 차별이나 멸시를 극복하기 위하여 의복이나 매너 등에 있어 코스모폴리탄 정체성을 부각시켜 구분짓기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이처럼 싱가포르에서는 문화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이 실천되기는 하지만, 일정 부분 배타적인 형태로 드러나고 있었다. 또한 외국인 고급인력이 타문화에 대한 개방성을 넘어 타국에 대한 개방적 태도까지도 보여주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싱가포르에서 정치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이 어떻게 실천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코스모폴리탄 시민권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외국인 고급인력의 다양한 이주 궤적과 실천 양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국민국가와 국경의 의미를 이에 비추어 반추해 보았다. 그 결과 외국인 고급인력은 경제적 이해관계를 추구하기 위한 ‘유연한’ 시민권 전략 차원에서 코스모폴리타니즘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뿌리없는’ 유목민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외국인 고급인력은 경제적 이윤 추구만을 위하여 떠돌아다니는 존재라기보다는 두 개 이상의 국가에 대한 다중적 귀속감을 실천하는 존재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것은 싱가포르의 외국인 고급인력이 여전히 국민국가의 테두리 안에서 사고하고 행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싱가포르 외국인 고급인력의 시민권 전략과 실천은 다름 아닌 싱가포르라는 국가가 만들어놓은 장(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천에 있어 여전히 국가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 표면적으로는 이주자의 행위주체성이 강화된 것 같지만, 실제로 그들의 행위는 국가가 제시하는 선택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 초국가성의 심화가 사실은 국민국가의 신자유주의 경쟁력 강화 기획의 틀 안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싱가포르 정부가 코스모폴리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유치한 외국인 고급인력은 싱가포르 시민과 대립하고 갈등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포함과 배제의 정치가 일어나고 있다. 일견 정체성의 정치처럼 보이는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경제적 이해관계라는 논리가 숨겨져 있으며, 정치, 사회, 문화 등 다른 많은 논점들이 중첩되어 뒤엉켜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 시민과 외국인 고급인력이 각기 다르게 정의하고 해석하는 코스모폴리탄 정체성이 충돌하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그 결과 이주민과 정부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며 총선에서의 집권당 의석 감소, 해외 이민 증가, 집단 시위로까지 번지게 되어 정책의 변화를 추동하기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싱가포르 이민정책을 둘러싼 국가와 시민, 이주민 사이의 갈등과 경합이 빚어내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정치를 포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싱가포르의 현재 상황에서 코스모폴리타니즘의 개방성은 문화적 층위에서는 일정 부분 실천되고 있지만, 정치적 층위에서는 실천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런 상황 속에서는 외국인 고급인력과 시민 사이에서, 그리고 정부와 시민 사이에서 정체성과 시민권을 둘러싼 갈등과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싱가포르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열림’이 ‘배제’를 내포한 특수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공간이다. 위계적인 인종구분선에 따라 인종이 본질화되고 코스모폴리타니즘마저 정부 정책으로 관리되는 도시국가 싱가포르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초국적 고숙련 이주자인 외국인 고급인력이 정의하고 실천하는 정체성과 시민권 전략에서 그리고 이를 둘러싸고 외국인 고급인력과 싱가포르 시민이 경합하고 갈등하는 모습에서 우리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열림’보다는 ‘배제’의 측면이 부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