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의미연결망 분석방법 활용

        임선아(Sun Ah Lim),김안나(An-na Kim),정윤희(Yunhee J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양성을 위하여 유아 교육 단계에서 교사들이 교사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를 담당한 경력이 있는 유아교사로부터 수집한 105건의 응답을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창의적 사고 유도자’의 역할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유아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구조를 분석한 결과, ‘창의적 사고 유도자’를 중심으로 ‘놀이참여자/지원자’, ‘정서적 지원자’ 등의 교사 역할이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났으며, ‘유아주도성을 돕는자’, ‘협력자’, ‘상호작용자’의 역할이 또한 서로 연결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창의적 인간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유아가 창의적 사고를 놀이 과정에서 키워갈 수 있도록 교사가 정서적으로 지원 및 협력하고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음을 함의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this study explored what role teachers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ge perceive they should play as teachers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order to foster human beings requir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105 responses collected from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 working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by perform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role of ‘creative thinking inducer’ as the most necessary ro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roles such as 'play participant/supporter' and 'emotional supporter' appeared to be structu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entering on 'creative thinking inducer'. The roles of 'initiative helper', 'cooperator', and 'interactor' also appeared to be interconnected. These results show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that nurturing creative human being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uggests that they recogniz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at they need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cooperation,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to enable to take initiative in the play process, in turn, that children can develop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초등학생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요인 검증 -교사의 수업전문성, 교사효능감, 교사-학생관계를 중심으로-

        임선아 ( Sun Ah L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의 양성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있을 때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교사효능감, 교사-학생관계가 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9개 초등학교의 총 24학급 담임교사 24명과 담임교사 반 초등학생 59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담임교사에게는 수업전문성과 교사효능감, 교사-학생관계를 측정하였으며, 학생에게는 수업참여와 학습동기를 측정하여 수집한 자료를 위계선형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수준에서 학습동기 변수를 통제하고도 교사수준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교사-학생관계가 학생들의 수업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교사효능감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수업참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cultivation of competent person required by knowledge-based societies in the 21st century is possible when there is a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learning. For this reason, we need to find the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actively and voluntarily. Thus,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influence of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measured teaching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om teachers of 24 classes and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from 5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nine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ed data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eaching expertise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t the teacher-level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even after controling learning motivation at the student-level. However, it was found that teaching efficacy did not have any impact on student class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 KCI등재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모참여 효과: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 검증

        임선아 ( Sun Ah L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본 연구는 부모의 학교 참여를 가정과 학교의 두 환경적 맥락에서 접근하고 부모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맥락인, 학교특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에 따라, 가정과 학교에서의 부모참여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두 수준에서의 부모참여 형태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 방법을 사용하여 아동초기 종단연구(ECLS-K)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정과 학교에서의 특성 및 배경변수를 통제한 후에 읽기 성취도는 가정에서의 부모참여와 학교에서의 부모참여의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보인 반면, 수학 성취도는 가정에서의 부모참여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가정에서의 부모참여요인인 도서관 방문, 책 보유수, 숙제 보조가 수학과 읽기 점수 모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에서의 부모참여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학교운영회의 참여와 봉사활동 참여가 학생의 읽기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부모의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읽기나 수학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home-based and school-based types of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ich distinguish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within the home context from that of the school context are therefore needed in order to accurately capture the dual effect of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achievement, this study employed the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utilizing ECLS-K dataset. The models showed reading achievement were influenced by both home-based parental involvement and school-based parental involvement, on the other hand,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influenced by only home-based parental involvement. Specifically, the results found that some home-based involvement factors (homework assistance, the number of books, and library visit) and school-based involvement factors (school involvement and school volunteering) are significant predictors. This result suggests that students engage in different types of parental involvement and these differences are found to have varying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This study might contribute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parent involvement, therefore, provide important input in developing parental involvement programs and inform policy-making on administrative guidance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 KCI등재
      • KCI등재

        에스니시티(ethnicity)의 변형을 통한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

        임선일 ( Sun Il Lim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0 산업노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주변부의 문제로 인식되었던 이주노동자의 생활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이론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이주노동자에 관한 의제설정이나 연구는 인권이나 노동 문제, 그리고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는 이주여성의 동화를 전제로 한 적응과정에 관한 의제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이주노동자 혹은 이주여성이 한국사회와 대면적 접촉을 겪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필리핀, 네팔, 방글라데시 출신의 이주노동자로 한정하여 한국사회와의 관계 설정에 관한 현실과 방법에 주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은 한국내 적응과정에서 에스니시티의 변형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문화변용을 경험하고 있었다. 에스니시티의 변형 유형은 다양했지만 역동적이지는 않았다. 문화변용의 형태도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주노동자를 시혜의 대상이나 사회 문제의 원인으로만 바라보았던 한국사회의 시선을 한국사회에서 일정 부분 역할을 하고 있는 실체로서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주노동자들의 삶과 생활세계는 한국인과 동떨어진 것처럼 보였으나 사실은 끊임없는 문화변용을 통해 한국인의 생활세계와도 심층적인 상호작용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thesis began with the fact that, though being a significant social issue, the questions about migrant workers` rights have been marginalized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thesis can be thought of an attempt to arouse the Korean public to recognize migrant workers` rights seriously. Unfortunately, despite the fact that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has been increasing and the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labour forces, the concern about their life has been imperceptible. The fact that there are few academic researches on it is an inevitable result of this situation. The Korean public have intermittently expressed the concern about migrants workers and immigrants only when certain accidents and events happened. So far, the focus has been on, at most the nit basic human tights, industrial relations, and how to assimilate 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to Korean culture. In the latter case, the position of the government has been assimilationist in spite of its concept of multiculturalism In this circumstance, it can be expectable that there are few in-depth analyses on migrant workers and women`s personal experience of everyday life in Korea. There can be a lot of subtle problems that they face in their personal interaction with Korean culture. This thesis would be a sociological endeavor to explore this new area. From the outset, however, I have to say that, although the concern of the thesis includes both migrant workers and woman,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former.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migrant workers from Philippines, Nepal and Bangladesh The result of the research demonstrated that migrant workers have experienced the transformation of ethnicity through attempting to adapt to Korean society. Further, They have experienced the acculturation. and transformation type of ethnicity was diverse but form of acculturation wasn`t dynamic Contrary to our impression that the lives and life-world of migrant workers are far way from ours, they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Korean society and intermingled with people and culture in Korea,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continuous acculturation.

      • KCI등재

        (구조관계모형 검증을 통한) 부모의 민주적, 비민주적 양육태도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적응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선아 ( Sun Ah L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2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적응력 및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그 영향력을 밝히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종단적 자료인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교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부모의 비민주적 양육태도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교적응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교적응력을 매개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인 반면, 비민주적 양육태도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교적응력을 매개하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교적응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적응력을 매개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자기 조절학습능력을 키워주는 개입과 더불어 학교적응력을 높여주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함과 동시에, 부모가 민주적인 양육태도를 갖도록 돕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아동의 학업성취력을 높일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wo styles of parenting attitude(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child`s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Using th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2013,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democratic parenting style did not influence directly on child`s academic achievement, but influenced indirectly by means of child`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adjustability. On the other hand, parent`s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influenced negatively on child`s school adjust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adjustability did not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이 우울감을 매개하여 영유아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 관계 검증

        임선아(Lim, Sun-Ah)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7

        본 연구는 모가 지각하는 부부간 갈등이 우울감을 매개하여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국아동패널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 변인간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혼재변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부모와 아동의 특성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 모의 우울감, 자녀의 문제행동은 이후 시점의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 모의 우울감, 자녀의 문제행동 각각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결과 이전 시점의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이 이후 시점의 모의 우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시점의 모의 우울감은 이후 시점의 자녀의 문제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이후 시점의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모의 우울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symptom betwee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e controlled the mixed variabl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children, that could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utiliz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ior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s, mothers’ depression symptom, and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marital conflicts, mothers’ depression symptom,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the following next year, stably and continuously. Second, prior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sequent mothers’ depression symptom,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posterior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ird, marital conflict influenced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rough mediation of mothers’ depression symptom longitudinally.

      • KCI등재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실습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관련 요인

        임선아 ( Sun A Lim ),윤혜정 ( Hye Jeong Youn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4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4 No.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420 dental hygiene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from March 8 to April 8, 2014. Except 26 incomplete answers, 394 data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7 questions), social support(7 ques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clinical practice(22 questions). The instrument for satisfaction level with clinical practice included self-esteem(1 question), interest and usefulness(2 questions), knowledge application(1 question), place of clinical practice(1 question), and influence by practice leader(1 question). Cronbach alpha was 0.773 in the study. The instrument of social support was adapted from Park and reconstructed. Social support included emotional support(11 questions), self-esteem support(7 questions), and informative support(4 questions). Social support was score by Likert 5 scale and higher score showed the higher social support. Result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3.11±0.55 i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y got 3.35 points i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3.32 in satisfaction with curricula(p<0.001). They got a mean of 3.68±0.55 in social support. They got 3.69±0.57 in emotional support; 3.81±0.59 in self-esteem support; and 3.53±0.66 in informative support. The influencing variables o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ere self-esteem support(B=0.202), satisfaction with major(B=0.234), and satisfaction with curricula (B=0.128). Conclusions: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connect self-esteem support with major satisfaction and curricula satisfaction.

      • KCI등재

        수학성취도의 예측변인으로서의 정의적 요인 검증:

        임선아(Lim Sun Ah),이지수(Lee Ji s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2

        우리나라는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꾸준히 최상위권의 학업성취 결과를 보이는 데에반해, 정의적 요인에서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PISA 2012 자료를 토대로, OECD 국가 중 수학성취도 수준 상위 10개국의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흥미, 도구적 동기, 불안 수준을 타 국가와 비교하여 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의적 요인들이 수학성취를 예측하는 정도를 타국가들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성취도 평가 상위 10개국의 정의적 요인 잠재평균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학업에 대한 ‘흥미’가 낮고, 미래에 대한 ‘도구적 동기’가 낮으며, 학업에 대한 ‘불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학생들이 가지는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흥미, 도구적 동기, 수학 불안)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와 달리, 수학에 대한 ‘흥미’가 수학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수학성취도 평가 상위 10개국과 비교했을 때 정의적 영역이 불안하긴 하지만, 다른 국가들과 달리 ‘흥미’ 영역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이며, 수학교육에서 ‘흥미’를 높이는 수학적 교육방법이 학교 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In Korea, affective factors are the lower ranks against showing the results of academic achievement of the top clas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on the differences of affective factors across OECD high performing 10 countries and examine the predicting role affective factors on math achievement compared to OECD countries which showed high performance in PISA results, based on PISA 2012.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Latent Means Analysis and MG-SEM.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terest of Korean students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all countries and the effect size was so low; instrumental motivation of Korean students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all countries and the effect size also was so low; anxiety of Korean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all countrie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affective factors on students' math performance with 9 competitive countries showed that 'math interest' was the main factor in Korean students when comparing to 9 countries. This study showed direct linking of math interest and math performance in Korean students and implied to need to formul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o enable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interest.

      • KCI우수등재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

        임선아(Sun Ah Lim)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1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utual dynamism of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s happines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a sample of 1,423 parents and their childr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and use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tor effect between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Second, fathers’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depression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athers’ depression. This result indicates a significant partner effect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ird, fathers’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happiness but i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mothers’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children’s happiness. Fourth,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effects on mothers’ depression and, in turn, mothers’ depression had an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mother and father are interdependent as a dyad, and parents’ interdependency affects their child’s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