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제조직위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축제조직협력과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선아(Lim, sun-ah),김창수(Kim, Chan-soo)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4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novative leadership of the chairman of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that members perceive on the festival organization cooperation and festival operation achievements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y results. First, innovative leadership factors excluding intellectual stimulation such as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hesion of festival organization cooperation. Seco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hesion of festival organization cooper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s on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festival operation achievements. Third, innovative leadership factors excluding intellectual stimulation such as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festival operation achievem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nnovative leadership of the chair of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will enhance the efficiency of festival by helping organization members to unite not for individual interests but for holistic interests, providing vision for future, and raising the morale of organization members with the placement according to competencies and their opinions, and concentrate on the competency development with careful and delicate considerations to make the festival with originality and competitiveness. However, it proposes to show leadership bringing th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of practicing organizations by providing new directions on problem recognition. 본 연구는 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축제조직위원회의 구성원이 지각하는 조직위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매개변수인 축제조직협력과 종속변수인 축제운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조직위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요인 중 지적자극을 제외한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는 축제조직협력의 조직몰입과 조직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조직협력의 조직몰입과 조직응집력은 축제운영성과의 효율성과 경쟁력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조직위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요인 중 지적자극을 제외한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요인은 축제운영성과의 효율성과 경쟁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에서 축제조직위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적인 이해관계 보다는 조직 전체의 이익을 위한 조직원의 결속을 우선시하며, 미래에 대한 비전제시, 조직원의 의견존중과 능력에 맞는 업무부여로 축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조직원의 사기증진과 능력 개발에 집중하여 타 축제와 차별되는 독창성을 지닌 경쟁력 있는 축제를 만드는 운영성과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축제조직위원장은 조직원에게 문제인식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 실행조직의 협력과 소통을 도모하는 리더십 발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관련변인과 유아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

        임선아(Lim, Sun Ah),임효진(Lim, Hyo 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0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특성, 양육방식 및 유아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와 같은 관계가 취업모 집단과 비취업모 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탐색하였다. 따라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자료(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의 3차(2010년)부터 5차(2012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연구대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취업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 양육방식에 부적영향을, 유아 문제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양육가치가 긍정적, 통제적 양육방식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양육스트레스가 긍정양육방식에 부적, 문제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취업모의 경우에는 통제적 양육방식을 취할수록 유아 문제행동의 빈도가 높아졌지만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이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취업모의 경우, 양육가치와 양육스트레스가 통제적 양육방식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던 것에 비해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n Korea i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mothers’ employment and child-raising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hip in terms of maternal parenting variables - especially those related to parenting knowledge, value of having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tyles which influence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ata from a total of 1,555 mothers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were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for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negatively predicted positive parenting style while it positively predicte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non-employed mothers, value of having children significantly predicted positive and controlling parenting styles. The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as found in the prediction of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only employed mother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path from a controlling parenting style to problem behavio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기대와 참여, 아동의 인지적 준비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의 비교

        임선아 ( Sun Ah L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그동안 수행되어 온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운 인과관계 모형을 검증하고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집단 간 인과관계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아동기 종단연구(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Kindergarten: ECLS-K) 자료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학업성취 차를 낳는 예측변인들을 밝히고 두 집단 간에 예측변인들의 효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예측변수들을 발견하였다. 저소득층 아동들의 경우 비저소득층 아동들에 비해 유치원에서의 인지적 준비도나 3학년 때의 언어능력 등의 인지적 능력이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저소득층 아동에 비해 비저소득층 아동들이 3학년 때의 부모기대와 부모참여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 아동 집단 모두에서 유치원에서의 부모기대와 부모참여가 5학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간의 부모요인과 인지적 준비 요인이 다르게 작용함을 보여줌으로써 저소득층 아동의 학업성취의 증진을 위한 교육적 개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end existing research on academic achievement by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low-income and high-income groups. Using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Kindergarten (ECLS-K), findings from this study hope to shed light on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alient predictors that may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gap versus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ose predictors between low-income and high-income groups. This study found that both differences matter in some cases, while in other cases the effects were similar. For example, the were no family income effects for parent`s factor and cognitive readines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This suggested that low-income students were as similar as their high-income counterparts. But findings from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readiness or parent`s factors (parents` expectation and involvement) and subsequent academic achievement operated differently for each group.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may impede or facilitate student performance between low-and high-income groups, educators coul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자존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임선아 ( Sun Ah L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1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그 영향력을 밝히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종단적 자료인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은 학교적응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조절능력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은 결국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steem. Using th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parenting attitude had not influenced directly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steem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direct/indirect influences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had direct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교사의 스트레스 유형 분류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 검증

        임선아 ( Lim Sun-a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요인들이 어떻게 개인 내에서 다양하게 통합되어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별 수준이 상이한 여러 잠재집단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212명에게 실시한 스트레스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중간수준의 업무 스트레스 집단, 학생과 학부모 관계 및 직업 갈등 스트레스 집단, 상사와의 관계 스트레스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교수효능감에서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개인효능감과 일반효능감 모두에서 중간수준의 업무 스트레스 유형의 집단이 학생과 학부모 관계 및 직업 갈등 스트레스 집단이나 상사와의 관계 스트레스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만족도에 있어서도 중간수준의 업무 스트레스 유형의 집단이 학생과 학부모 관계 및 직업갈등 스트레스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res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profile group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2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pplied to latent profile analysis to derive latent profiles to categorize stress types of teachers based on the their respon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distinct profiles of teachers’ stress were identified; the teachers under middle-level job stress, the teachers with stress from students/parents of students and intrapersonal conflict, and the teachers having stress from school administrator relations. The teachers under middle-level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eaching efficacy (both personal and general) than the other two groups. Also, the teachers under middle-level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thers (both the teacher group with stress from students/parents of students and intrapersonal conflict and the teacher group with stress from school administrator relations).

      • KCI등재

        교사의 지지가 초등학생의 도움찾기 행동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임선아(Lim, Su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교사지지와 같은 교실 환경이 성공적인 학습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 초등학생의 적극적 도움찾기 행동을 유도하여 학습참여를 이끌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사의 지지행동을 세분하여, 교사의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행동이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 적극적인 도움찾기 행동이 매개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동안 5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학생들 686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SEM)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학생의 행동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정서지지와 정보지지가 도움찾기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도움찾기 행동이 인지참여와 행동참여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결과는 학생의 도움찾기 행동이 교사의 정서지지 행동과 학생의 인지참여, 교사의 정보지지와 학생의 인지참여를 매개하며, 교사의 정보지지와 학생의 행동참여를 매개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의 정서지지와 정보지지가 학생의 수업참여적 행동양상(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도움찾기 행동이 매개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ssuming that the teacher’s supportive behavior would lead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arning by inducing active help-seeking behavior. To this end, this study subdivided the teacher s support behaviors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teachers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actions on students cognitive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mong these variables, student s active help-seeking behavior was mediated. Methods The study conducted the survey for two months in October and November 2019. Then this study analyzed 686 students who were in grades 4th to 6th in five elementary school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ly, the teacher s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behavioral participation. Second,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 s behavior of seeking help. Third, student’s help-seeking behavior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 s seeking for help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s emotional supporting behavior and the student s cognitive particip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information support and cognitive participation. Also, it was also found that information support from teachers influenced students behavioral participation by mediating their help-seeking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elp-seeking behavior plays a mediating role in influencing of the teacher s supportive behaviors on class participation (cognitive participation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of student.

      • KCI등재

        아동학대 피해가 심리사회적 적응을 매개하여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선아(Sun Ah L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0

        본 연구는 아동이 경험한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 초기에 보이는 비행행동에 연결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부모의 학대와 방임의 양육태도가 심리정서문제를 매개하여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가족소득에 따라 부모의 학대와 방임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심리정서문제와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 과정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부모의 학대와 방임의 양육태도가 공격성과 우울,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검증하고 가족소득에 따라 경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정서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는 공격성과 우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임(정서적 방임과 신체적 방임)은 우울에만 영향을 미치고 공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격성과 우울 모두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학대와 방임은 공격성과 우울감을 매개하여 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대와 방임에서 비행으로 가는 경로 중 어떤 경로에서도 가족소득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early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ir mediating role of adolescent psychosocial adaptation (i.e., depression and aggression). To this end, longitudinal data of 5th through 7th grader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analyzed to examine child maltreatment as a predictor of adolescent delinquency behavior, via the mediation of aggression and depression, and whether the pathway differs by family inco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both emotional and physical)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psychosocial adaptation (aggression and depression), while child neglect (both emotional and physical)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only, not on aggression. Second, both aggression and depression had exerted significant effects on delinquent behaviors. Third, children’s psychosocial adaptation (aggression and depression) played significant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delinquent behaviors. Fourth, the pathways from child maltreatment to delinquent behaviors did not differ by family income.

      • KCI등재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존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모형 비교

        임선아(Sun Ah L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1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그 영향력이 소득층(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이 각 집단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구조모형이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존감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경로계수와 비저소득층의 경로계수의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에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데 반해 비저소득층 아동의 경우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증가할수록 학교적응이 증가하였으나 저소득층 아동에 비해 비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학부모 교육이 연계될 때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이 보다 원만해질 수 있음을 함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uctural model between low-income and high- income group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data, findings from this study hope to shed light on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alient predictors that may contribute to school adjustme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ose predictors between low-income and high-income groups. This study found that both group differences matter in some cases; there was income effect for demographic parenting attitude on student school adjustment in low-income group, but no income effect in high-income group. Moreover, students who were from high-income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adjust to school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an students who were from low-income families. This suggested that low-income students were not as similar as their high-income counterparts. Findings from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may impede or facilitate students` school adjustment between low-and high income groups, educators coul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such as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implementing parent education.

      • KCI등재

        성취동기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임선아(Sun Ah Lim),강성은(Sung Eun K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성취동기``란 어려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거나,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자 하는 인간의 동기로 개인의 행동변화와 국가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최근 성취동기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성취동기를 측정하는 도구의 중요성도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다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취동기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McClelland의 성취동기 하유ㅣ요인을 성정하였으며, 이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성취동기의 내용을 담고 있는 고전인 ``갈매기의 꿈``에서 문장을 발췌하여 55개의 문항을 제작하였다. 예비연구와 본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 4개의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4개의 요인을 각각 열정, 희망, 모험심, 자신감이라고 명명하였고 28개의 문항(열정 11문항, 희망 7문항, 모험심 6문항, 자신감 4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동기측정도구의 분석결과, 적절한 요인적합도와 문항내적일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구인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른 4개의 성취동기측정도구와의 공인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성취동기측정도구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동기측정도구(Achievement Motivation Scale)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왁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undergraduates and adults.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from McClell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ory and excerpted sentences that represent the factors of achivement motivation from the novel ``Jonathan Livingston Seagull`` by Richard Bach and made of 55 preliminary items, Fifty-five preliminary items were administered to 300 college students and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an reliability so that 30 items were confirmed. The 30 items for the man study were administered to 612 college students from 8 schools.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excluded two items and identified/confirmed 28 items to represent passion, hope, adventure, and self-confidence, which resulted in four subscale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cales based on concurrent evidenc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cale (developed by us) and the relevant scales to measure achievement motivation were conducted and resulted in evidence of concurrent validity. The results lend an evidence that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lae can be used as a valid scale to be able to measure ``achievement motivation``for college students and adults.

      •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의존의 종단적 매개효과

        임선아 ( Lim Sun Ah ),권미나 ( Kwon Mi Na ) 한국아동보호학회 2016 아동보호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휴대전화의존도를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반복·추적한 자료 총 2,013명을 잠재성장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때 부모의 양육태도가 방임적이라고 인식한 학생은 휴대전화의존도는 높고 학교적응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대전화의존도가 높은 학생은 학교적응력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모의 양육태도가 방임적이라고 더 인식하게 되는 학생들은 휴대전화의존도는 증가하고 학교적응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휴대전화의존도가 증가하는 아이들의 학교생활 적응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이 증가할수록 부모가 방임한다고 더 인식하는 아이들의 학교적응력은 점점 감소하게 되는데 있어, 휴대폰의존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를 점점 인식하게 되는 아이들은 휴대폰의존도가 증가하고 이러한 휴대폰의 존도의 증가는 학교적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oncretel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early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neglecting attitude, mobile phone dependence, and school adaptation. Als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ing attitude and school adaptation. For achieving this aims, this study used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colle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panel samples by the total 2,013 students who responded to all three consecutive years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2011,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2012,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3)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LG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l status of parent's neglecting attitude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the phone dependence and school adaptation, and the initial status of the phone dependence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the school adaptation. Also, the change rate of parent's neglecting attitude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the phone dependence and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school adaptation, and the change rate of the phone dependance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the school adaptation. Second, it was also showed that the change rate of the phone dependance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rate of parent’ neglecting attitude and that of school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