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캉유웨이(康有爲)의 공자 신성화 논리 - 『논어주(論語注)』를 중심으로 -

        임부연 ( Lim Boo-yeo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종교와 문화 Vol.0 No.32

        This article is aim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and logic of Kang Youwei(康有爲, 1858~1927)`s deification (神聖化) of Confucius in Commentary on the Confucian Analects (『論語注』) on the basis of New Text Confucianism(今文經學). The former part disclosed Kang Youwei`s “great principles in subtle words” (微言大義) in Confucian Analects, namely Great Unity (大同), Spiritual Intelligence (神明), and Benevolence (仁). And then the latter part illuminated the main characters of Confucius` Way (道) and Virtue (德), and the agnostic aspects of Confucius as spiritual sage(神聖). First, Kang Youwei imagined the utopia of Great Unity (大同) as the world completely realizing the idea of freedom (自由) and equality (平等) introduced from modern West. Especially, the basis of Confucian idea that everything is essentially same (萬物一體), he insisted not only people`s equality (人民平等) but also all sentient being`s equality (衆生平等). Spiritual Intelligence was defined as the inner subjective ground breaking through all barriers between self and others, and making Great Unity possible. Finally, the Benevolence as the innate essence of everything and the public virtue of universal love (博愛), was redefined as the gradual salvation of all sentient beings. As a result, the Great Unity was naturally identified with the Great Benevolence (大仁). Second, Kang Youwei insisted that Confucius` Way, stressing the Human Way (人道) than Spiritual Way (神道), ha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evolutionism. In the sphere of Human Way, the inner sage (內聖) had the priority over the outer king (外王). Confucius` Supreme Virtue (至德) was defined as metaphysical dimension beyond language and knowledge while the Six Canon (六經)`s words for education were regarded as branch or trace. Meanwhile, Confucius could become the whole humankind`s sage over the national border on the basis of universal language containing public law. Finally, Kang Youwei imagined Confucius a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ffairs of the world without any attachment. Especially, Kang insisted that the awareness of one`s own fate should be necessary for the duty of Benevolence. From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conclude that Kang Youwei defied Confucius as fundamentally agnostic spiritual sage (神聖) and universal religious leader (敎主) for all mankind beyond chinese national border. In this sense, he pursued the universalization of Confucius (孔子世界化) over the sinification of Confucius (孔子中國化) based on nationalism.

      • KCI등재

        중국의 "종교"와 "유교" 논쟁- 캉유웨이康有爲(강유위)와 량치차오梁啓超(양계초)를 중심으로

        임부연 ( Boo Yeon Lim ) 퇴계학연구원 2015 退溪學報 Vol.137 No.-

        본 논문에서는 서구 근대의 언어 religion의 번역어인 ‘宗敎(쫑자오zongjiao)’가 중국사회에 도입되는데 커다란 역할을 수행한 캉유웨이(康有爲)와 량치차오(梁啓超)의 대립되는 입장을 비교함으로써 근대전환기에 유교가 종교 개념과 관련해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하게 되는 談論의 전체적인 구도를 검토하였다. 첫째, 캉유웨이는 宗敎 개념을 유교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면서 유교의 종교적 정체성religious identity을 새롭게 주장하였다. 특히 그는 ‘人道’와 ‘神道’라는 유교적인 분류를 통해 儒敎를 近代文明에 가장 적합한 종교로 정의하였다. 이에 비해 近代 啓蒙主義 관점에서 종교를 문명의 장애물로 여긴 량치차오는 비합리적인 迷信과 종교를 연계시켰다. 이런 의미에서 합리적인 유교는 종교의 영역에서 제외되었다. 하지만, 종교의 道德은 공적인 영역으로 긍정되고, 佛敎는 正信이나 智信으로, 心學은 최고 수준의 종교로 인정되었다. 둘째, 캉유웨이는 今文經學에 기초하여 孔子를 중국문명의 敎主로 신격화시키고 유교전통을 근대적인 종교인 ‘孔敎(KOngjiao)’로 개혁하였다. 더 나아가 民族主義nationalism 신념에 따라 중국 인민을 통합시키는 國敎이자 國魂으로서 공교의 초월적 위상을 주장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그는 근본이 되는 文化的 守舊가 말단이 되는 政治的 維新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량치차오는 공자가 神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점을 근거로 孔子의 神格化를 거부하고, 유교는 오직 인간의 현실적인 존재방식을 다룬다는 입장에서 儒敎의 宗敎化를 비판하였다. 더 나아가 공자보다는 思想의 自由가 文明進步의 총체적인 원인으로서 가장 중요시되었다. 셋째, 캉유웨이는 政敎分離의 원칙에서 유래하는 宗敎多元狀況을 孔敎의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자각과 孔敎國敎化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로 생각했다. 더 나아가 信敎自由와 國敎獨尊의 竝存은 유교 이외 에 다른 종교도 함께 믿을 수 있다는“兼信”의 유교적 관용주의로 정 당화되었다. 이에 비해 량치차오는 정교분리 원칙을 엄격하게 해석하여 정치와 종교의 상호 간섭을 철저하게 부정하였다. 특히 그는 信敎 自由와 國敎의 모순에 주목하여 國敎의 건립이 결국 敎爭과 政爭으로 이어져 國民이 分裂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결론적으로, 종교를 文明進步의 원동력이자 민족적 정체성의 원천으로 여긴 캉유웨이가 유교의 종교적 구성에 기초하여 특정한 국가 형태를 초월하는 孔敎 위에 건설된 近代的 國民國家를 상상한데 비해, 종교가 문명의 장애물로서 국가운영의 근대적인 원칙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 량치차오는 啓蒙主義 관점에 따라 사적인 종교의 사회적 역할을 배제하고 현세적인 유교와 비현세적인 종교를 분리시켰다. “宗敎(zongjiao)”, the translated language of “religion” in Western society, was a key concept connected with the reform of “Confucianism”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Chinese society. This paper seeks to illuminate the conflicting positions of Kang Youwei(康有爲, 1858~1927) and Liang Qichao(梁啓超, 1873~1929) on the problems of the concept of religion and the new identity of Confucianism. First, Kang Youwei insisted the religious identity of Confucianism by the Confucian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Especially,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classification of Human Way(人道) and Spiritual Way(神道), he could define Confucianism as the most suitable religion for modern civilization. In contrast, Liang Qichao, regarding religion as the obstacle to civi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nlightenment, connected religion with irrational superstition(迷信). In this sense, rational Confucianism was excluded from the sphere of religion. But, he affirmed the morality of religion as the public sphere, and regarded Buddhism as a right or wise faith(正信/智信), Heart Learning(心學) as a top-class religion. Second, Kang Youwei, deifying the Confucius as the founder of Chinese civilization by New Text Confucianism(今文經學), reformed the Confucian tradition as a modern religion, namely Confucian religion(孔敎, Kongjiao). Moreover, on the basis of nationalism, he insisted the transcendent status of Kongjiao as the state religion(國敎) and national spirit(國魂) that could corporate all Chinese people. In this sense, he thought that the cultural conservatism(守舊) as the root was more important than the political reformation(維新) as the branch. Meanwhile, Liang Qichao rejected the deification of Confucius on the grounds that Confucius had not been a god but a man, and criticized the religionization of Confucianism on the position that Confucianism only had dealt with man’s realistic modes of being. Moreover, the freedom of thought as the overall cause of civilization was put first. Third, Kang Youwei thought that the situation of religious pluralism resulting from the modern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政敎分離) was the reasons for the self-awareness of Confucian religious identity and the necessity of Confucian religion’s establishment. Moreover, the coexistence of state religion and freedom of religion(信敎自由) was justified by the Confucian toleration allowing different religious faiths besides Confucianism. But Liang Qichao, on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separa tion principle, opposed the mutual interference of politics and religion. Especially, he anticipated the religious and political strife, and the division of the Chinese people stemming from the forceful establishment. In sum, Kang Youwei, regarding religion as the driving force of civilization’s progress and the source of national identity, imagined a modern nation-state built on Confucian religion transcending any particular national form by the religious construction of Confucianism. In contrast, Liang Qichao, thinking that religion as the obstacle to civilization was not suitable for the modern principle of national operation, eliminated the social role of private religion, and divided the this-worldly Confucianism and the other-worldly religion from the Enlightenment point of view.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임부연(Lim Boo Yeun),손연주(Son Yeo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유아교육은 ‘놀이를 통한 배움’을 교육과정의 이념으로 지지하여 왔고 놀이와 학습을 분리하지 않으며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하여 왔으나, 종종 놀이와 학습이 발달을 위한 도구나 지식성취를 위한 방법적 차원으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이를 극복해 보는 노력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놀이와 배움을 연속적 관계, 즉 놀이~배움의 분리불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는 유아교육의 근원으로 놀이의 가치를 다시 한 번 환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놀이~배 움의 표기법은 놀이와 배움을 연속성의 개념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이를 ‘교육과정’의 관계 속에서 보려 노력함으로써 ‘놀이~교육과정~배움’의 엮임과 발산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놀이’를 삶과 연계된 복잡한 리좀적 관계에서 ‘배움’이 놀이-사건화 된 경험 속에서 내부 작용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유는 학교 교육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경험과 배움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나아가야 하는 교육과정 담론을 지지해 줄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의 ‘놀이~배움’ 속에서 다소 형식을 가지며 쉽게 좁혀지기 어려운 ‘유아교육과정’의 구체적 내용을 실제적으로 제안해 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놀이~교육과정~배움의 담론이 더욱 심화되기를 기대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play ~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related to existing plays. But often play in early childhood is misunderstood as a way to learn or develop.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ontinuous relation between play and learning and its meaning again. So,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and practice between play and learning in the context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Play has the attribute of Dionysus pleasantness connected with the life of children. At this point, learning occurs internally in the play-eventified experiences of children. And the play and the learning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forming the ‘rhizom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play of the children who live in the curriculum is a voluntary and competent learning in itsel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vivid mobility of the curriculum in play ~ learning of children.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facts were found in the lives of children who are spreading in various ways.

      • KCI등재

        분홍반 유아들의 일상적 "시" 짓기 활동에 관한 미학적 탐구

        임부연 ( Boo Yeon Lim ),류미향 ( Mi Hyang Ryu ),이윤좌 ( Yun Jwa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유아기의 시 짓기 활동은 언어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기 보다는 문학적 특성을 통해 시인의 감수성을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정해진 시간에 단조로운 읽기와 감상을 넘어 일상성과 심미성이 강조되는 새로운 교수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시 짓기 활동을 하루일과의 삶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예술성을 강조하며 일상적으로 시 짓기 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좋은 교수사례를 발굴하여 유아기 일상적인 시 짓기 활동이 일어나는 교수환경과 시 짓기 활동에서 드러나는 심미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홍반 만5세 유아 36명과 담임교사를 선정하여 비 참여 관찰을 하였고, 비디오 촬영과 심층인터뷰, 연구자 저널과 유아들의 창작시와 사진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의 깊은 반복적 읽기를 통해 주제어를 도출해 내는 질적 연구 분석법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분홍반 교실은 일상적인 시상의 유발과 지속, 미적 감흥을 촉발시킬 수 있는 아름다운 대상물로 가득 찬 심미적 교실환경을 가지고 있었고 그 속에서 교사와 유아는 일상적으로 시를 즐기고 있었다. 또한 일상적 시 짓기 활동의 미학적 특성으로는 아름다운 노랫말의 음미, 내러티브에 대한 미적 감동, 심미적 이미지의 유희 등으로부터 연결되는 시 짓기 활동과 같이 일상적으로 전개되는 다양한 교육활동의 예기치 않은 사태 속에서도 특별한 미적 대상과의 조우를 통해 시를 즐기고 창작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기의 시 짓기는 예술성과 심미성이 더욱 강조되는 다채로운 교수방법과 교수환경을 통해 보다 풍요로운 일상적 시 짓기를 즐기는 교사의 태도와 안목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 child writing a poem must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poet`s aesthetic sensitivity which soars beyond linguistic skill acquisition. To develop such aesthetic sensibilities, new teaching methods which break the conventional rhythm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his study examines the kind of environment and methods which meet children`s aesthetic needs. Thirty-six,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at H kindergarten in G city were observed for 16 weeks, interviews with the teacher were conducted and pictures of classroom settings and children`s art works were collected. A summary of their distinctive classroom culture includes our first impression of the classroom`s visual settings as beautiful and relaxed, filled with tiny natural objects, pastel-colored clothes, and collections of poetry and other art works, which evoked the children`s poetic inspiration and the children had plentiful opportunities to enjoy poems through daily routines such as ``poems for opening mornings`` and birthday celebrations. Poetry activities were integrated with various other related art activities such as singing songs, creating visual artworks, appreciating picture images, and telling invented stories in very natural ways within the daily routines. Most importantly, ample time was afforded the children to think, feel and imagine. Interviews with the teacher lead us to conclude teachers of writing poetry need strong positive attitudes toward poetry. Studies on how to encourage and support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esthetic sensibilities toward poetry in their everyday lives are recommended.

      • KCI등재

        박은식의 ‘종교’ 담론

        임부연 ( Lim Boo-yeo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종교와 문화 Vol.0 No.34

        This paper seeks to illuminate BaekAm(白巖) Park Eun-sik(朴殷植, 1858~1927)’s discourse on religion formed in the context of Confucian reform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focusing on the status and features of ‘Confucianism’. First of all, BaekAm saw the essence of religion as morality(K: dodeok 道德) and defined the religion as the learning of morality. Regarding the Christian Reformation as a major cause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he pursued the protection of nation and achievement of civilization through the reformation of Confucianism. At the level of nation-state, religion as the national principia was the root of politics. He believed that Confucianism, the main religion having the cultural legitimacy, would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nation state based on the moral maturity of people with Confucian education. In particular, He insisted that forest of Confucianists(K: yurim 儒林) should be people-oriented moral practical subjects devoting themselves to the nation state with the enthusiasm of saving the world. Second, Park Eun-sik, in the situation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emphasized the ethnicity of religion on which “the national spirit(K: gukhon 國魂)” had relied. From the viewpoint of the evolution of morality, he stressed the public virtues(K: gongdeok 公德) for the country and the people rather than the private virtues(K: sadeok 私德) only for oneself and one’s own family. Third, Park Eun-sik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other religious cultures or thoughts as the source of religious creativity in an age of Great Unity(K: daedong 大同). He presented the Confucius’s teaching of Great Unity making the world shared publicly on the basis of humanity (K: In 仁) as the substance making all things one body. The bliss and pleasure of Great Peace (K: taepyeong 太平) in time of Great Unity, had the meaning of resistance and criticism against all inequalities and violence. BaekAm, in the position of moral cosmopolitanism, insisted on winning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freedom through pacifism and humanism against the Japanese Empire’s militarism. Fourth, Park Eun-sik, on the basis of study of mind-heart(K: simhak 心學), posited that the fundamental core study dealing with the mind-heart practice should preside the rational science. Especially he, classifying the Dohak(道學, the study of Tao) and the Sokhak(俗學, ordinary study) by the standard of moral substance as the Heaven’s mandate, reduced the Dohak as the problem of innate knowledge of the good(K: yangji 良知). And the inner sacred master as the moral substance was presented as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all religions. The spiritual civilization based on philosophy should preside the material civilization based on rational science. He believed that philosophy and religion shared the common task of constructing moral community through the subjective awareness of moral substance and the practical actualization of it. In conclusion, Park Eun-sik, defining religion as the learning of morality leading to modern civilization, stressed the religion’s public morality at the level of nation-state, and presented the sacred inner master as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all religions. In particular he imagined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religion for the complete realization of morality.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Park Eun-sik’s discourse on religion, based on the modern study of mind-heart, creatively converged Confucian tradition and Western modern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진정한 배움의 의미 탐구 :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중심으로

        임부연(Lim, Boo-Yeun),박수(Park, Su-Y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4

        인간에게 배움은 생존을 위한 도구일 뿐 아니라 진정한 인간되기의 중요한 여정이다. 특히 학교를 통해 경험하는 배움의 내용과 방법은 개인의 일생을 넘어 국가와 사회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행위라는 점에서 수많은 교육담론의 의제가 되어 왔으나, 배움기호론에 기반한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기호를 배움의 핵심으로 보는 들뢰즈의 생성 철학적 의견에 비추어 학교교육에서 배움이 무엇인지를 비평적으로 탐구해 보고자하며, 특히 인간의 경험, 기억, 시간과 진리 찾기의 여정을 통해 배움의 의미를 기호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들뢰즈의「프루스트와 기호들」에 나타나는 배움기호의 유형에 의해 진정한 배움의 의미를 한차원 심화시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들뢰즈의 배움이론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전 제된 진리를 재현하는 동일시 교육을 넘어서서 개인이 스스로 풍요로운 기호에 감응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주체의 내적역량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스스로가 풍부한 감응 능력과 사유하기를 통하여 진정한 배움 찾기와 인간되기의 여정에 들어설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학교교육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of true meaning of ‘learning’ in school system based on Deleuze’s sign-learning theory which is suggested in the book of「Proust et les signes」. Deleuze criticizes the limitations and even dangers of learning in current school system, which more likely educates the learner not to think by simply repeat the correct answer and representation of sign. His learning philosophy suggests the school should provides the various ways of provoke true learning that help one engage in her own thinking. In Proust’s book, Deleuze analyzes four types of sign of learning, that are sign of social skill, sign of love, sign of sense and sign of art. In this way, he suggests the school needs to overcome to educate students the signs with poor meaning that are nothing but empty, but try to more involve the richness of sign that is truly help the students engage to recall her past of time and wailingly to search for the truth of meaning in the loosed time. This study finally tried to discuss how to school reconstruct curriculum to help learners to develop her sense of capacity by encountering with rich sign, and then naturally provokes her thinking that is only path way to reach the true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노년의 몸과 유교적 성찰

        임부연 ( Lim Boo Ye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1 종교문화비평 Vol.39 No.39

        사람의 노년은 몸의 불가역적인 노화와 함께 다가오니, 노년은 기본적으로 몸의 현상이다. 노인이 실존의 주체라는 관점에서 보면 노년의 문제는 외부의 사회적, 제도적 차원보다 우선 주관적, 체험적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의 유자(儒者)들이 몸의 노화 현상을 경험하면서 자신을 성찰하며 새로운 삶의 방향을 모색한 다양한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몸의 노화 현상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흰머리와 어두워진 눈, 빠진 이빨이 몸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기능이 다르므로 각각의 의미 부여와 대응 방식을 구분하였다. 우선, 인의(仁義)에 기초한 맹자(孟子)의 왕도정치(王道政治)에서 자발적인 공경과 돌봄의 대상을 나타내던 ‘백발(白髮)’은 자연의 공도(公道)로서 피할 수 없는 대표적인 노화 현상이었다. 조선의 유자들은 이러한 흰머리를 죽은 뒤에도 보존해야 하는 부모에 대한 효도나 임금에 대한 불변의 충성 등 윤리적, 정치적 가치로 채색하였다. 특히 노년의 머리털은 한편으로는 목숨보다 소중한 중화(中華) 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다른 한편으로 흰머리마저 빠진 노년의 대머리는 문화적 관습이나 구속에서 벗어나는 자유의 의미로 해석되었다. 둘째, 눈이 어두워지면 유자들은 외향적인 차원에서 산수(山水)의 풍광(風光)을 즐기거나 화초(花草)처럼 일상의 미세한 사물로부터 삶의 활기(活氣)를 얻고자 노력하였다. 다만 그들은 시력을 회복시키는 안경(眼境)에 의존해서라도 궁리(窮理)의 대표적인 방법인 독서(讀書)를 통해 학문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삶의 자세에 중점을 두었다. 더 나아가 외부의 시각적 자극을 차단하는 ‘정좌(靜坐)’는 마음의 본체인 신성한 본성에 다가가 삶의 참된 의미를 깨닫는 내향적 공부로 실천되었다. 마지막으로,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이빨이 빠지는 충격을 경험한 유자들은 노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긍정하고 기존의 삶의 방식에 대해 성찰하였다. 가령 얼굴의 변형은 타인과의 관계를 줄여 고요한 삶에 나아가게 만들고, 대화할 때 발음이 새는 문제는 침묵을 지키거나 내면의 마음을 살피게 하였으며, 음식 섭취의 어려움은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 전환점이 되었다. 특히 몸에서 분리된 이빨에 대한 성찰을 통해 천지의 조화를 이해하고 외물의 변화에 휘둘리지 않고 이치에 순응하는 도덕적 주체성을 자각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의 유자들은 늙은 몸에 관한 다양한 성찰과 마음의 상대적 자율성에 기초해서 늙음을 비루하게 탄식[嘆老]하거나 망령되게 망각[忘老]하지 않고 자연스런 삶의 과정으로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안로(安老)”의 지혜를 보여주려 노력하였다. 오늘날 늙음을 편안하게 여길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려면, 우선 젊음과 늙음의 극단적 대립과 갈등을 강조하여 노년을 전면 부정하거나 차별하는 담론을 벗어나 젊음과 늙음의 대대(待對) 관계에 기초해서 노년의 공공성(公共性)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A person’s old age is basically a bodily phenomenon because it comes with the irreversible aging of the bod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elderly are the subject of existence, the problem of old age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level prior to the external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 In this sense, this paper is aim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ways in which Confucian scholars(儒者) of Joseon Dynasty reflected on themselves, and sought new directions for life as they experienced the aging phenomenon of their bodies. In particular, gray hair, cloudy eyes, and lost teeth are all the same aging phenomena, but since they occupy different status and functions in the body, so Confucian scholars’ different ways of signification and response were distinguished. First of all, the gray hair, represented as the object of voluntary respect and care in Mencian royal politics based on humaneness and rightness, was a typical aging phenomenon that could not be avoided as a public way(公道) of natur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colored the gray hair with ethical and political values such as filial piety toward parents that should be preserved after death and unchanging loyalty to the king. Especially the hair of old age was regarded as a symbol of the Jungwha(中華) civilization more precious than life,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the baldness of the old age, even without gray hair, was interpreted as a meaning of freedom from cultural customs or restrictions. Second, Confucian scholars with old eyes becoming cloudy, from the extrovert dimension, tried to enjoy the scenery of the mountains and rivers or get the vitality of life out of the microscopic objects in daily lives like flowers and grasses. However, they focused on the attitude of life to pursue the enjoyment of learning through reading(讀書) as a representative way of investigating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even if they relied on glasses to restore their sight. Moreover, the quiet-sitting(靜坐), eliminating external visual stimuli, was practiced as an introverted meditation to approach the sacred nature as the essence of mind and to realize the true meaning of life. Third, Confucian scholars affirmed their new identity as old person and reflected on their existing way of life after experiencing the shock of losing their teeth, which are responsible for chewing food or talking. For example, the transformation of the face reduce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led to a quiet life, the problem of leaking pronunciation when talking made them to keep silence or examine their inner minds, and the difficulty in eating food became a turning point to eat soft food. In particular, they, reflecting on the teeth separated from their bodies, understood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and realized his moral subjectivity conforming to principles without being swayed by changes in external objects. In conclusion,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based on diverse reflections on the aged bodies and mind’s relative autonomy, tried to accept aging as natural process of life comfortably rather than sighing shallowly or forgetting senilely. In order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y that we will feel comfortable with old age today, we first need to understand the public character of old age based on the dependent-confrontational(待對) relationship of youth and old, breaking away from the discourses that completely deny or discriminate old age by emphasizing the extrem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youth and old.

      • KCI등재

        貞山과 茶山의 『대학』 해석 비교 -사상의 연속과 단절을 중심으로

        임부연 ( Lim Boo Yeon ) 퇴계학연구원 2013 退溪學報 Vol.134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星湖學派 내부에서 朱子의 『大學章句』 편제와 관점을 거부하고 『古本大學』을 채택하여 독자적인 『대학』 해석을 제시한 貞山 李秉休와 茶山 丁若鏞의 사상적 연속과 단절의 양면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호학파의 학맥 속에서 이병휴의 새로운 『대학』해석은 權哲身을 거쳐 정약용에 이르러 집대성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자연스럽게 정산과 다산의 사상적 연속성을 추론할 수 있다. 하지만두 사람의 『대학』 해석에는 단절의 측면도 적지 않은데, 기존 연구에서는 연속의 측면만을 부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논문은 『대학』의 핵심 주제인 明德 개념과 格物致知論을 통해 양자의 사상적 연속과 단절의 양면성을 검토하였다. 첫째, 貞山의 明德 개념에는 형이상학과 실천윤리의 양면적 요소가 공존하고 있는데 茶山은 형이상학적인 내재성의 색채를 배제하고 철저하게 인륜적 실천으로 명덕을 정의하였다. 곧 이병휴는 "환하게 밝은 성품의 이치" 라는 형이상학적 의미로 明德을 정의하면서도 명덕의 실체로 구체적인 인륜 규범인 "至善"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정약용은 정산이 新民의 영역에서 齊家를 제외하고 모두 明明德에 환원시킨 점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면서도 윤리적 욕구인 성품과 실천적 행위의 결합으로 德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명덕의 형이상학적 차원을 철저히 거부하였던 것이다. 특히 그는 孝ㆍ弟ㆍ慈를 단지 명덕의 특수한 사례가 아니라 五敎와 五典을 총괄하는 人倫으로 규정하여 仁의 근본으로 재정립하였다. 둘째, 貞山과 茶山 모두 朱子가 『大學章句』에서 새롭게 구성해 삽입한 「格物補傳」은 필요 없으며 『古本大學』 자체 안에 格物ㆍ致知의 내용이 함축되어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격물ㆍ치지의 위상과 의미에 대해 두 사람은 다른 입장을 취한다. 이병휴는 『고본대학』의 經文1章을 上段과 下段의 상응 구조로 구분하고 八條目의 공부와 공효를 三綱領과 六事에 대응시킨다. 그 결과 격물ㆍ치지는 천하 사물의 이치 탐구가 아니라 인륜적 규범에 대한 인식인 知止와 동일시되었다. 정약용 역시 격물ㆍ치지에서 만물의 이치 탐구를 배제하지만 六條目을 사물과 일의 결합으로 분석한 權哲身의 관점에 따라 六條目 전체를 관통하는 포괄적인 실천적 인식으로 재구성하였다. 전체적으로 두 사람의 명덕과 격물ㆍ치지 개념을 비교해서 평가해 보면, 우선 貞山이 明德의 형이상학과 인륜 규범 사이에서 振子 운동을 했다면 茶山은 명덕의 고유한 본질적 가치를 孝ㆍ弟ㆍ慈의 행위에서 찾음으로써 인륜적 실천윤리의 성격을 더욱 강화시켰다. 둘째, 이병휴가 격물ㆍ치지를 인륜적 규범의 인식인 知止와 동일시하고 誠意이전의 단계로 한정함으로써 별도의 절차가 필요 없는 공부로 축소하였다면, 권철신의 영향을 받은 정약용은 새로운 사물과 일의 개념에 기초해서 六條目 전체와 연계함으로써 격물ㆍ치지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제시하였다. 다만 貞山과 茶山의 새로운 『대학』 해석은 모두 人倫의 위기, 實踐의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문제의식의 발로라는 점에서 共鳴한다. 두 사람 모두 『대학』이라는 텍스트를 매개로 인륜의 위기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적 해답을 모색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정약용은 朱子學의 사변적인 형이상학과 陽明學의 본체론적 내면주의가 정작 일상의 구체적인 인륜적 실천을 간과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茶山學은 윤리적 욕구의 성품과 주체적인 행위에 기초해서 일상의 인륜적 관계를 당위적인 실천의 이념으로 지향하는 새로운 인륜적 설계도를 제시한 것이다. Jeongsan(貞山) Yi Byeong-hyu(李秉休) and Dasan(茶山) Jeong Yag-yong(丁若鏞), as members of Seong-Ho School(星湖學派) in late Joseon Dynasty, rejected Zhu Xi(朱子)`s restructured version of Daxue(大學章句) and accepted the Ancient Text Daxue(古本大學). This article trie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regard to their concepts of mingde(明德) and theories on gewu(格物) and zhizhi(致知). First, while Jeongsan`s concept of mingde as the luminous principle or the highest goodness has the metaphysical aspect and the practico-ethical aspect at the same time, Dasan expurgated the former and reinforced the latter by defining mingde only as the virtuous practice in concrete human relations. Especially, Dasan reestablished the representative virtues of mingde, namely filial piety, fraternal respect, parental kindness not as the spe-cific examples of mingde but as the root of all ethical virtues. Second, both Jeongsan and Dasan rejected the Zhu Xi`s "supplementary chapter on gewu and zhizhi(格物補傳)" on the basis of the idea that the explanations on gewu and zhizhi were included in the ancient version of Daxue itself.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ir understandings of gewu and zhizhi. Jeongsan equated gewu and zhizhi with easy knowing where to rest in ethical practice. In contrast, Dasan, influenced by Nok Am(鹿菴) Gwon Cheol-Sin(權哲身), redefined gewu and zhizhi as the comprehensive practical recognition on the six items(六條目) composed of things and affairs. In summary, in comparison with Jeongsan`s interpretation on Daxue, Dasan reinforced the concrete practical ethics rather than the metaphysics of mingde, and added abundant and practical meaning to gewu and zhiz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