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개신교사에 나타난 정교분리의 정치학

        이진구 ( Lee Jin Gu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3 No.33

        이 논문은 개항 이후 한국사회에서 정교분리가 각 주체에 의해 어떻게 전유되었는가를 개신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항 이후 정교분리는 종교자유와 함께 서구 근대성의 상징으로 수용되었다. 일제시대에는 식민권력과 선교권력이 서로 다른 동기를 가지고 정교분리를 내세웠다. 총독부는 식민통치를 위해 종교의 정치 불개입을 의미하는 정교분리를 표방하였던 반면, 선교부는 교회의 보호를 위해 교회의 비정치화를 의미하는 정교분리를 내세웠다. 제1공화국은 헌법에서 정교분리를 천명했지만 당시 개신교는 국교와 같은 지위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국가권력이 개신교에 특혜를 제공하고 개신교는 정권을 지지하는 정교유착이 광범위하게 행해졌지만 정교분리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군사정권 시기에는 개신교가 보수 진영과 진보 진영으로 분화되었다. 개신교 진보진영은 산업선교로 대변되는 인권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군사정권과 충돌하게 되었다. 군사정권은 개신교 진보 진영의 이러한 활동을 정교분리 위반으로 간주하여 탄압하였고 개신교 보수 진영은 군사정권의 논리에 동조하였다. 이들의 정교분리는 종교의 정치 불개입을 주로 의미하였다. 이와 달리 개신교 진보 진영은 국가의 종교 불간섭을 정교분리로 이해하였다. 당시 개신교 진보 진영의 논리에 의하면 예언자적 정신에 근거한 교회의 정치참여는 정교분리 원칙에 위배되지 않았다. 민주화 시기에는 불교계가 개신교 보수 진영의 성시화 운동과 종교정당 창당 시도를 정교분리 위반으로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개신교 보수 진영은 성시화운동은 정교분리 위반이 아니라 공직자의 종교자유권 행사라고 반박하였다. 종교정당과 관련해서도 기존의 정교분리론을 재해석하여 대응하였다. 즉 개신교 보수 진영은 군사정권 시절에는 종교의 정치 간섭 금지에 초점을 두는 정교분리 담론을 전개하였지만 종교정당 창당 시에는 국가의 종교간섭 금지에 초점을 두는 정교분리 담론을 내세웠다. 이러한 정교분리 담론에 의하면 종교정당 창당은 정교분리에 위배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정교분리는 어떤 불변의 본질을 가진 자명한 개념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주체들의 욕망에 의해 그 내용이 새롭게 채워지는 ‘텅빈 기호’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교분리를 ‘규범’으로만 삼지 말고 정교분리 자체를 ‘문제화’하면서 우리사회에서 정교분리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수용되었으며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효과를 산출하고 있는가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e politics of religion-state separation in modern Korea, putting a focus on Protestantism. The norm of religion-state separation was introduced into Korea as a symbol of western modernity in Open Port Er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colonial government kept Korean religious groups from being involved in political activity by emphasizing the principle of religion-state separation. Protestant missionaries also prohibited Korean protestants from using church organization as a channel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by the same norm. In the era of First Republic the clause of religion-state separation was included in constitution. But protestant church actually played the role of state religion. As government gave preference to protestantism, protestant church supported government by voting with the ruling party. During the military regime, protestant church was differentiated into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Military government blamed the protestant progressives' industrial mission as th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Protestant conservatives agreed to the government's logic. The progressives, however, argued that their faith-based political activities are not against the true meaning of norm of religion-state separation. After the fall of the military regimes, Buddhist groups blamed that Holy City Movement and religious party initiated by protestant conservatives run counter to the principle of religion-state separation. Fighting back such criticism, conservative protestantism argued that protestant public servants' activities involved in Holy City Movement belong to their rights to religious freedom. Also, according to their claim, religious party founded by protestant conservatives is not against the original meaning of norm of religion-state separation. In conclusion, the language of religion-state separation is not evident and neural but ambiguous and unstable. It is a kind of "empty sign" which are to be fulfilled by various subjects' desires. So we need to continue to problematize the norm of religion-state separation.

      • KCI등재

        종교 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윤용복 ( Yoon Yong Bok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종교사회복지 활동의 현상을 간단하게 조망한 다음 몇 가지의 과제를 제시하려고 하였다. 첫 번째 과제는 종교 사회복지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가 필요하다. 종교사회복지에 대한 각 종교별 개념은 있지만, 그조차도 관점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종교일반에서의 종교 사회복지 개념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전체 종교 사회복지의 과제 가운데 첫 번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개념정의를 통해서 각 종교 소속 신자들이 사회복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가 마련될 것이며, 사회복지 활동의 명확한 목적의식도 만들어질 것이다. 두 번째 과제는 일반사회복지 분야에서 접근하기 어렵거나 소홀하기 쉬운 틈새 복지에 대한 종교 단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과 같은 사회적 문제, 그리고 대형 참사로 인한 심리적 불안 등등은 일반 사회복지가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들이라고 본다. 이러한 영역에 종교적 특성, 예를 들어 참선이나 명상, 그리고 피정 등과 같은 종교적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내용으로 개발해서 접근한다면 사회복지에서 종교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세 번째 과제는 종교 사회복지 시설의 대형화 추세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법인이나 시설들의 대형화는 사회에서 또 하나의 권력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대형화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비인격화 내지 사물화의 경향이 나타날 위험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나친 대형화보다는 개개인을 인격적으로 대할 수 있는 규모의 시설들이 적합할 수 있다. 네 번째 과제는 각 종교의 이념에 집착한 나머지 클라이언트가 종교적 실천을 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종교 사회복지는 항상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활동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단순히 종교적 구원을 위한 행위는 사회복지의 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리어 종교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반감만 일으킬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것은 시혜적 성격의 종교 사회복지에서 벗어나기도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종교 사회복지 활동에 지나친 종교적 목적을 설정하는 것을 피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 활동을 선교의 수단으로 삼지 말고 사회복지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종교 사회복지는 전체 사회의 복지를 추구하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할 것이다. 즉 사회정의라는 측면에서 사회구조의 개혁을 위한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some suggestive ideas by critically review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religious welfare systems and its activities in Korea. My primary concern, firstly, is to clarify the confused and varied concepts of the social welfare in the religious arena. Every religious institute has its own social welfare concept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n the welfare. Therefore, the comprehensive concept on the social welfare should be strictly delineated. With this definition the religious devotees will contribute their charitable exertions for the sake of the welfare; and their motivations for it would be clarified along with their religious causes. This definition is more than to “clarify” the meaning involved in it, but guides to the crucial commitment in the religious social welfare activities. The devotees in the religious orders will participate in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by and through conceptualizing the welfare ideal and their purposes will be intensified. Secondly, the religious organizations would play the crucial roles, especially counting on the secular social welfare, whose activities are often in the blind spots and ignore the urgent cases of welfare. For instance, some social welfare involvements are too intriguing to be approached by the secular social welfare system, which is excluding the cases of the suicide, the depression or the traumas due to major accidents. If these issues are approached with the religious orientations and programs such as meditations or retreats, it is much functional rather than to dealing with the secular social welfare. Thirdly, it is necessary to avoid oversizing the facilities and the institutions. The corporations and the facilities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are growing bigger and larger, and eventually, they are functioning as the powerful social organizations. Caused by this enormity, the facilities are apt to impersonalize the clients and even ignore them to be material objects. Accordingly, the facilities of proper size will be suitable in order to satisfy an individual's demand with good care. Fourthly, the clients should not be used as tools for the religious conversion, which has been usually articulated by the religious ideologies. The religious social welfare should be practiced and performed only for the sake of the client's demands. The religious redemptive activities will not give any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welfare. If so, it is only ended in bringing the societal antipathy to the very religious institute. Such an activity will be away from the give-and-take charity format of so-called the religious hypocrisy. Lastly,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should not be used as a means of religious propagation and conversion, but should utilize the social welfare itself as the objective. In other words, the reform of the societal structure is needed for the sake of the social justice only.

      • KCI등재

        종교 자료로서의 심문 기록: 추국 문서와 조선후기 종교사

        한승훈 ( Han Seung Ho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조선왕조의 국가 심문 기록인 《추안급국안》은 1970년대 초에 발견된 이래, 조선후기의 정치사회사를 보여줄 수 있는 자료로서 주목받아 왔다. 종교사 연구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자료는 유럽의 이단심문 문서와 경우와 비슷한 방식으로 반체제적인 종교문화와 그에 대한 통치체제의 반응을 보여준다. 이 글은 이 문서들의 성격과 내용을 소개하는 한편, 이를 종교학적 연구의 재료로 삼기 위한 방법을 탐색한다. 추국 문서는 통상적인 사료 비판이 곤란한, “거짓말을 하는 것이 당연한” 자료다. 종교문화에 대한 해석에 활용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이를 사실/거짓의 문제에 주목하는 ‘수사관’의 태도나, 사건 피의자들에게 공감적으로 접근하는 ‘변호사’의 태도 대신, 비판적인 관점으로 민족지를 대하는 ‘인류학자’의 태도에 설 필요가 있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그동안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날조된’ 변란 사건 두 사례를 통해 이런 접근이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을 실제로 보이고자 하였다. 1687년에 제주도의 삼성혈(三姓穴)에서 반란의 성공을 기원하고 조선 국왕과 제주목사를 저주하는 기도문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유배객 양우철(梁禹轍)이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예언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작한 것이라 밝혀졌다. 이 기도문과 예언서에서 우리는 제주도의 토착적 신격인 ‘삼을나(三乙那)’에 대한 신앙의 정치적 이용, 역대 왕조의 역년(歷年)에 대한 예언의 초기 형태, 당시의 저주 테크닉 등을 발견할 수 있다. 1712년, 이운(李橒)은 자신의 이웃 백상복(白尙福)이 장차 황제로 등극할 것이라 주장했다고 무고하였다. 그가 고발한 반란 계획에는 18세기 사건들에서 나타나는 ‘삼국의 분열’에 대한 시나리오가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고발의 근거 가운데 하나는 그들이 정기적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추국 과정에서 주목받은 것은 제사의 대상이 하늘이었다는 것보다는 그 의례가 실제 반란의 의도와 연관되어 있었느냐는 점이었다. 여기서 우리는 반란 의례의 대상이 되는 신격과 그를 둘러싼 의례정치학에 대해 재고해 볼 수 있다. 이들 사례는 심문 기록에 대한 종교학적 작업이 당대의 종교적 상상력을 서술, 해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h’uan’gŭpkugan, the documents of national inquisition of Chosŏn dynasty, have received attentions as the materials which can show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of early modern Korea, since they were found in the early 1970s. From a standpoint of the History of Religion, these documents shows religious counterculture and response of ruling culture against it. This article introduce the character and contents of these documents, and explore correct way to employ them as materials for Religious Studies. Inquisition texts are the documents which ‘ought to lie,’ so hard to apply usual source criticism. The researcher, therefore, need to take a stand of an anthropologist who critically treats ethnography, instead of an investigator who pay attention to true/false problem or a lawyer who sympathize with the suspects. In the latter half of article, two cases of ‘trumped-up’ insurrections were discussed to show the merit of such an approach. In 1687, a prayer paper was found from Samsŏnghyŏl 三姓穴 in Jeju Island. It was revealed that was a fabricated text by exile Yanguch'ŏl based on his prophetic books. In the paper and books, we can deduce the political use of the cult on Samŭlla 三乙那, the ancestor gods of Jeju, an early form of prophecy on kingdoms of many generations, and black magic techniques of those days. In 1712, Yi Un 李橒 accused his neighbor Paek Sangpok 白尙福 that he was pretended that they would be a emperors. The rebellion plot he disclosed included a scenario on ‘the division of three kingdoms, which was appeared in other insurrections in 18th centuries. Another basis of accusation was that Yi regularly worshiped the sky god. However what was interrogated in inquisition was whether the ritual was related to rebellion, rather than which god was worshiped. With this point, we could reconsider about the deities in ritual of rebellion and ritual-politics on them. These cases show us that works of historian of religion can be useful to describe and analyze the religious imaginations of those days.

      • KCI등재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과 ‘먹음’의 의미: 불공(佛供)·승재(僧齋)·시식(施食)의 3종 공양을 중심으로

        민순의 ( Min Sun Euy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이른바 재례(齋禮)로 통칭될 수 있는 현행 한국불교의 주요 의례들은 그 제차의 상당 부분이 먹이고 먹는 행위의 양식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국불교가 ‘먹임’과 ‘먹음’이라는 행위에 대해 갖는 의미를 주목하게 된다. 본고는 불공(佛供), 승재(僧齋), 시식 (施食)이라는 3종의 의례 절차에 주목하여, 한국불교의 의례에서 먹임/먹음과 관련된 절차의 구조와 양상, 역사적 변천과 그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초기불교는 신체의 손상에 이르는 과도한 절식이나 음식에 대한 탐착 모두를 거부하는 중도(中道)적 음식관을 지니고 있었다. 음식의 섭취는 적절한 건강상태를 유지하여 올바른 수행을 가능케 하는 수단이었다. 음식에 대한 이 같은 초기불교의 중도적 기능주의의 태도는 이후 불교의 전 역사를 통해 관철되었다. 당초 재가신도들이 승려들의 수행을 보필하고자 공경의 마음을 담아 음식과 생활 필수품 등을 바치던 행위인 공양(供養)은 동시에 재가자들 스스로가 공덕을 쌓는 수단으로도 인식됨으로써, 공양은 승단과 재가 사이에서 불도수행(佛道修行)과 공덕(功德)이라는 가치를 주고받으며 성립되는 이원론(dualism)적인 상호 교환적 가치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후 대승불교의 불탑공양을 거쳐 동아시아로 전파되며 그 신앙적 의미가 깊어진 불공(佛供)의 의례는 상단(上壇)의 불보살에게 바쳐짐으로써 그들의 초월적 위신력과 가피를 구하려는 종교적 의미 또한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승려들을 초청하여 음식을 제공하고 설법을 듣는 초기불교의 청식(請食) 전통은 불공의 종교적 의례화와는 별도로 존속하였으며, 고중세기 한국 사료에 남아있는 반승(飯僧)의 기록은 그 대표적인 흔적으로 보인다. 그런데 반승의 사례는 청식의 전통이 한국 등 동아시아 불교문화에서 변용되면서 국가권력과 왕권의 강화에 기여하는 정치사회적 의미를 띠게 되었음을 노정한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수행과 깨달음이라는 목표를 지향하는 종교적 축제로서의 기능적 의미적 확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늘날 반승은 영산재 식당작법(食堂作法)의 승재(僧齋) 양식 속에 그 흔적을 남긴 듯하다. 하단(下壇)의 영가(靈駕)에게 행해지는 시식(施食)은 한국불교의 재례가 자비와 공덕의 대상을 삼세중생으로 넓혀 우주적 차원의 구원론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단계에 이르러 한국 불교의례에서 먹임 주체의 음식에 대한 태도는 초기불교의 ‘수행과 불이론(不二論)적으로 합치하는 공덕 추구’에서 ‘세속적 국가권력의 강화’ 태도를 거쳐 마침내 ‘공덕과 회향(回向)의 우주적 확산’이라는 국면으로 착실히 수렴되고 있다. 또 먹음주체의 입장에서는 먹음으로 표상되는 자력적 수행의 차원이 종내 타력적 구원으로 확장됨으로써, 국가-교단 간의 권력 관계를 넘어 대중적 기복 신앙으로 기층화되는 양상을 보게 된다. 재가신도와 하층민 나아가 삼세육도의 모든 중생에게 혜택과 공덕이 미치며 세속적인 측면까지 아우르는 축제 분위기에 도달한 것이다. 요컨대 한국의 불교의례는 초기불교의 기능주의적 물질적 음식관과 승단 청식의 전통을 받아들이며,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에 이르는 3중의 의례적 구조를 완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행과 공덕의 상호 교환적 가치로 재해석되는 이원주의적 사유체계, 초월적 존재에 대한 종교적 신앙심, 국가와 교단간의 정치사회적 권력관계, 수행과 공덕으로 성속을 아우르는 축제의 이미지, 그리고 마침내 자력과 타력을 두루하는 우주적 차원의 불교구원론이라는 다양한 의미의 지층을 중층적으로 포섭하게 되었다. The jaeryes(齋禮, upavasatha rituals), one of the main Korean Buddhist rituals of toda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acts of ‘feeding’ and ‘eating’. This treatise is focused on the triple practices of Bulgong(佛供, offering food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Seungjae(僧齋, serving food to Buddhist monks) and Shishik(施食, offering food to others, especially ghosts), and then examines the structures, the aspects,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meanings of feeding/eating in those procedures. Early Buddhism hel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is attitude prohibited both the excessive temperance in food and the attachment to food. The intake of food was just to maintain a good health and to perform the appropriate religious self-disciplines. This tendency has been carried on throughout history. The gongyang(供養), which is offering action to monks by the lay persons out of the respects for monks’ disciplines,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means for the lay persons to accumulate the merits, or the Buddhist charities, by doing good for others. Therefore, a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samgha and the laity : indulging in Buddhist self-disciplines for the monks and the charity-based merits for lay persons. The gongyang has been diversified in its forms and its various concepts has been widely disseminated to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comes up to claim the religious meaning : the pursuit of transcendental force from the transcendental Buddhas and Bodhisattvas. In this connection, the gongyang was performed to dedicate things to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at the top altar of the main hall in the temple : it is also called Bulgong(佛供). Meanwhile,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and listening to Buddhist sermon in return had been transformed into Banseung(飯僧, ritual for kings to feed the monks) in Shilla(新羅) Dynasty of Korean Ancient Ages and in Koryeo(高麗) Dynasty of Korean Middle Ages. Actually the mode of Banseung practices demonstrated the national power which was overwhelming the Buddhist order. It also functioned as a kind of festival which was sacred rather than secular. Festivals are usually the entertainments and the enjoyments for the commoners but this Buddhist festivals were in a way of promoting the Buddhist self-disciplines and enlightenment. Today it seems to be handed down in the form of a Buddhist ritual practices called Shikdangjakbeop(食堂作法) : it is also called Seungjae(僧齋). Finally Shishik(施食), the ritual practices of offering food to ghosts displayed at the bottom altar of the main hall of the temple, shows the popular and universal Buddhist salvation. In this step, the attitude-to-food of feeding agents in the Buddhist rituals becomes to have the overlapping meaning, from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ude on food and the dualistic and commutative value system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in Early Buddhism, to the popular and universal extension of religious salvation. Simultaneously, the way of self-disciplines includes not only one’s own exertion but also pursuit of transcendental power in a dimension of the eating agents of Buddhist rituals. It means the popularization of the faith for blessing. Now, in a sense, it seems the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In short, Korean Buddhist rituals accepted the material and functional attitde on food and the tradition of inviting Buddhist monks to dinner in early Buddhism, and completed the triple ritual-altar structures from top for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to bottom for ghosts and mean creatures. And then it involved the dualistic thinking system of mutual exchangeable values around religious self-disciplines and charities, the faith in transcendental beings, the power relation between national order and Buddhist order, the image of festival over the sacred and the secular together, and finally universal salvation concept embracing the salvation from one’s own exertion and that from outside. And all of those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s of feeding/eating in the Korean Buddhist ritual procedures and performances.

      • KCI등재

        혐오와 종교문화: 한국 개신교에 관한 소고

        구형찬 ( Koo Hyung Ch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3 No.33

        본 연구는 최근의 ‘혐오’ 이슈와 관련한 한국 개신교계의 활동들을 살펴보면서 현실의 종교문화에 대한 진전된 설명과 이해를 도모한다. 한국 개신교계는 혐오 이슈들에 대해 다양한 태도를 취해왔으며, 최근에는 주로 동성애 이슈에 특별히 주목하고 있다. 한국 사회 전반과 개신교계에 걸쳐 되풀이되고 증식되는 혐오는 단지 사회구조적 요인이나 교리적 가르침만이 아니라 진화 -인지적 원인들에 대한 연구를 요청한다. 진화 -인지적 접근은 진화된 인간 마음이 표상하는 직관적 정서, 추론, 편향 등이 바이블의 가르침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보다 우선적일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진화과학과 인지과학의 동시대의 연구 성과들을 염두에 둘 때, 한국 개신교의 혐오에 대해 더 정교한 질문과 답변이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an advanced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religions in culture” with examining the activities of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related to the contemporary “hate” issues. The Protestant communities in Korea have taken somewhat diverse stances on the hate issues, and in recent years, they have been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homosexuality issues. The hatred issues that are recurrent and proliferated in Korean society as a whole and in the Protestant circles, calls for the study of evolutionary and cognitive causes, as well as social structural and religious-doctrinal factors. The evolutionary-cognitive approaches propose that the intuitive emotions, inferences, and biases that the evolved human mind represents may take precedence over the explicit references to teaching of the bible.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current years of evolutionary and cognitive sciences, more sophisticated questions and answers can be produced about the hate issues of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 KCI등재

        자살 관념의 종교적 회로와 구성 방식에 관한 분석: 한국 가톨릭교회와 개신교를 중심으로

        박상언 ( Park Sang U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1 No.31

        본고는 한국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의 자살 담론에서 살필 수 있는 언어적 표현과 의례적 행위를 중심으로 자살 관념의 종교적 회로를 분석한다. 자살과 종교의 상관성을 다루는 연구들에서 쉽게 간과되고 있는 부분은 일반 종교인의 자살 관념을 형성하는 종교적 회로와 그 구성 방식이다. 전통 종교들이 자살을 금지하는 믿음 체계를 가지고 있고, 소속된 구성원들은 그러한 믿음체계에 따라 자살에 대한 인식 혹은 관념을 형성하게 된다는 기본 전제는 자살률과 (종교)집단의 상관성을 밝히려는 연구에서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사적인 차원에서 자살 관념의 종교적 구성 방식을 이해하려면 자살 관념과 정서가 유통되는 종교적 환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일반 신자는 교리나 신학에 의해 완벽하게 정의된 자살 관념을 수동적이고 온전하게 수용해서 자신의 것으로 삼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반 신자는 종교적 환경에서 떠도는 자살과 관련된 여러 관념의 조각들을 `자신의 삶의 맥락` 속에서 모으고 미완의 형태로 자살 관념을 지니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자살 관념의 불안정하고 미완결적인 특성은 자살에 의한 상실의 경험을 겪을 때 확연하게 드러난다. 종교적 믿음을 지닌 자살생존자의 경우에는 교리나 신학에 의해 제시되는 자살의 공식적 규정에 저항하거나 또는 자기의 맥락 속에서 자살 관념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자살과 관련한 언어적 표현과 의례적 행위를 놓고 볼 때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에서 관심의 초점이 다르게 놓여 있음이 발견된다. 가톨릭교회의 경우, 공적 영역에서 가톨릭교회는 한국 사회의 높은 자살률을 고려해서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인 태도에서 점차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그러한 관용은 자살을 대죄로 규정하는 교리적 윤리적 판단을 넘어서지는 않는다. 이에 비해 사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신자의 언술과 몸짓에는 간절함, 안타까움, 근심, 불안, 고통 등의 감정이 담겨 있다. 이러한 감정의 언어와 몸짓은 종교적 환경에서 자살자를 위한 종교적 장치를 향해 뻗어가면서 자살의 종교적 회로를 가톨릭교회 내에서 활성화시키고 있다. 개신교의 경우, 한국 개신교에서는 교파주의 및 개교회주의의 제도적 특징과 《바이블》에 치중된 해석 기반이 사적 영역에서의 자살의 언어적 표현과 의례 행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난다. 자살에 대한 종교적-윤리적 판단은 신학자나 목회자 개인의 해석에 따라서 상이하게 제시되며, 내면의 신앙과 구원의 확신을 강조하는 개신교의 정서에서 자살 생존자가 감당해야할 복잡한 감정과 심리적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의례 행위는 크게 활성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igious circuit of suicidal concept based on verbal expression and ritual acts, which are found in the suicide discourse of Kore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In the relationship of suicide and religion, it is easily overlooked the religious circuit and its construction that forms the concept of suicide among the religious laymen. It is assumed that the belief system of traditional religions prohibits suicide and the laymen accordingly construct a perception or concept of suicide along with this belief system. Various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proved it.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igious way of constructing the concept of suicide on a pers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ligious environment in which the concepts and emotions of suicide circulate. The laymen do not passively and perfectly accept the finely established suicide concept provided by the doctrine or the theology. Rather, the laymen tend to collect the pieces of concept over the suicide that are drifting in the religious environment of his/her daily routine life and to make an concept of suicide in an incomplete form. We can find the unstable and imperfect traits of such a suicide concept through the experience of suicide survivors who have a religious background. For the suicide survivors with religious beliefs, they resist the formal doctrinal and theological provisions to suicide, or try to understand the notion of suicide in their own contexts. In terms of linguistic expressions and ritual acts relating to suicide, the attentions are differently directed in the public and the private domain among the religious groups. Considering on the high rates of suicide in Korean society, the Korean Catholic Churches are increasingly tolerant over the suicide and accept it in the public sphere. It is unlikely when comparing to the negative attitudes of the suicide in the past. However, such tolerance does not go beyond the doctrinal and ethical judgment that defines suicide as a serious sin. The once-committed lay believer`s speech and gestures usually contain the various emotions, such as sadness, grief, anxiety, regretfulness, eagerness, and pain in the private spheres. The language and gestures with these emotions have been activated in the religious circuits of suicide, being extended to the religious apparatus for the person who died of suicide. In case of Protestantism,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particular denominations and the individual-churchism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nd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have in the private sphere strongly effected on the linguistic expressions and the rituals related to the suicide. The religious-ethical judgment of the suicide is varied how the suicide is interpreted by the theologians and the pastors. And the ritual acts for healing the complex feelings and the psychological wounds of the suicide survivors are not actively explored and adopted yet. It makes harder to approach and heal the protestant followers since they emphasize the innermost belief and the salvation assurance faith.

      • KCI등재

        `신종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신종교` 개념 문제를 중심으로

        김태연 ( Kim Tae Ye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1 No.31

        본 연구는 `신종교` 개념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신종교` 연구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신종교` 개념은 과거의 `유사종교`, `신흥종교`, `이단`, `사이비 종교단체`와 같은 부정적 함의를 탈피할 수 있는 중립적 개념이라고 주장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신종교` 개념은 이를 사용하는 학자마다 다른 방식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신종교` 개념이 등장하는 맥락은 서구의 경우와 한국의 경우가 상이하다. 한국의 경우 `신종교`를 1860년 동학 이래로 등장한 종교집단에 대해 사용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유럽에서의 `신종교` 개념은 1960년대 이래로 등장한 종교집단에 사용 된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과 민족정신 함양에 기여한 `민족종교`, 그리고 엘리트보다는 넓은 `민중` 계층에 영향력을 발휘한 `민중종교`로서 `신종교`를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서구에서는 개인주의와 세속화가 확산되면서 `기성종교`에 대한 대안으로서 등장하는 `신종교운동`, `컬트` 등을 가리킨다. 이러한 서구의 `신종교` 개념과 한국에서의 `신종교` 개념이 그 의미에 대한 성찰이 없이 혼용될 경우 `신종교` 개념은 더욱 모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새롭다`는 형용사의 문제가 있다. 언제까지 `신종교`는 새로운 `종교`, 즉 `신종교`로 머물 수 있을까?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신종교`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와 정의, 그리고 이를 둘러싼 상호 의미망에 대하여 검토하고 자 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국에서 `신종교` 개념의 정착과 개념상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다. 3장에서는 한국에서의 `신종교` 이해에 대한 다섯 가지 경우를 살펴본다. 이후 미국과 독일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서구에서의 `신종교` 개념의 함의와 그 접근법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신종교` 개념과 그 연구에 대해 반성적으로 접근하여 `신종교`라는 개념이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위한 분석적 범주로서 얼마나 유효한지를 성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ofessional term of `new religion`, by analyzing the various researches on the problems, raised by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t has been so far argued that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s a neutral term, being at least avoidable of the negative implications upon this terms like `pseudo-religion`, `emerging religion`, `heresy` and so on. In reality, any scholars who concern about the definition of this term do not agree each other on its connotati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new religion` is varied along with the context where this term is used and applied: particularly, the usage of this terminology is quit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the West, where it is first used as professional term. In Korea, `new religion` is designated as the various religious groups that have newly emerged since Donghak(東學) movement in 1860, but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it is used to define new religious group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1960s. In Korea, there happens a tendency of calling `new religion` as a `people`s(kor.: 민중 Minjung) religion`, which contribu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enhanced the national spir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 `people`s religion` is naturally accepted as `new religion` that impacted upon a wide range of people. In the West, on the other hand, `new religious movements` and `cults` are emerged as the alternatives to the `institutionalized religions`, under the influences of the wide spread of individualism and the secularization. The confused concept of `new religion` could be used in a more vague mode if not clearly reflected on its meaning and its usages in the cultural contexts in the West and in Korea. The adjective word of `new` is again the problematic for its connotations. How long can `new religion` stay as a `new relig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se varieties of the definitions of `new religion` and the research papers, appeared up to now in Korea and the West, will be critically examined with their interrelated semantics. This paper is composed of as follows: In Chapter 2, I will consider how to settle down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n Korea and its conceptual problems. In Chapter 3, I will examine five prevalent definitions of `new religion` in Korea and som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n the West. The approach methods of the West are provided, focused on the distinctiv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Finally, I will try to apply this re-evaluated concept of `new religion` to the researches to come, and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new religion` can be analytically categorized for the researches on `new relig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유교 종족의례의 특징과 의미: 시제(時祭)의 ‘순례화’와 ‘조상종교론’을 중심으로

        심일종 ( Sim Il Jo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본 연구는 현대 한국에 전승되고 있는 유교의례 가운데 선조제(先祖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오늘날 선조제는 흔히 ‘시제(時祭)’로 불리는 대표적인 종족의례라고 할 수 있다. 5대조 이상의 조상을 대상으로 친족이 모여 그들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제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 중·후기 《주자가례》의 확산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체계를 갖추어 실천되기 시작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이 의례가 20세기를 거치는 동안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유의미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한국에서 1980년대 이후의 친족연구는 도시를 ‘친족의 상실(the loss of kinship)'의 공간으로 바라본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논리의 기본 가설은 근대적 도시 공간이 만들어 내기 쉬운 익명성은 친족적 유대 혹은 가족생활 그리고 이웃 관계 등을 약화시킨다는 견해다. 물론 이러한 시각은 일정 부분 타당하고 이를 지지하는 사례도 많다. 그러나 한국의 문화적 전통과 20세기 도시화에 따른 친족집단의 동력을 서구 사회의 일반현상에 그대로 대입해도 좋을지는 의문이다. 그런 측면에서라도 농촌-도시의 이분법적 도식을 떠나 현대 한국의 도시 종중의 활발한 움직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대성과 맞물려 돌아가면서도 유지되는 유교의 종족의례의 특성은 무엇이며, 그것의 실제는 어떠한지를 관찰하는 것은 본 연구의 목표이기도 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유교 종족의례를 두 가지 정도의 입론적 가설을 중심으로 논문을 전개하고 있다. 이는 연구의 시각이자 궁극적 주장과 관계되는데, 유교 종족의례의 ‘순례(pilgrimage, 巡禮)’적 특성과 ‘조상종교’적 의미부여가 그것이다. 시제의 순례화를 논하는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성스러운 공간과 장소로서의 선조의 묘소(墓所)나 선영(先塋)을 염두에 두었다. 의례의 장소로서 ‘성스러운 공간’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의례에서 조상과 연관지을 때, 의례 중심지로서의 묘소와 선영은 ‘성스러운 장소’로 발달해 온 역사가 있음을 논의하고 있다. 또 하나 개념과 의미는 ‘조상종교’에 관한 것이다. 조선후기 이래 유교의 가례는 ‘조상’ 혹은 ‘조상관념’의 체계화의 전개과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본다. 이러한 인식과 실천의 현상을 두고,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으로 ‘조상종교(Ancestor Religion)’라는 용어를 통해 한국유교의 특징을 살피고 있다. 인류학적 사례로 든 종족의례는 한산이씨 양경공계 시제다. 한산이씨 양경공계 시제는 ‘묘소(墓所)’와 ‘선영(先塋)’에서 실천되는 의례 참여자들의 목소리 및 종족 구성원으로서의 조상에 대한 주체적 인식에 접근하는 방법론이기도 했다. 이를 통해 유교적 전통문화는 한국인들이 채 버리지 못한 인습이 아니라, “(조상을 모신) 성지에서 순례자들의 기억과 감각이 하나되어 성스러움을 구체적으로 체현”하는 의례적 활동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a lineage ritual, called sije[時祭], being recognized as a typical Confucian ancestor rites in modern Korea. This ritual, held for commemorating the ancestors over (beyond) four generations, is assumed to have been systematically practised since the Book of Family Ritual(朱子家禮) is deeply rooted during the mid and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Confucianism has lost its political and cultural hegemony in modern Korea, I would argue that this ritual still works as a meaningful social institution. In the field of Korean kinship studies since 1980, urban space has been ironically defined by the term, “the loss of kinship.” The premise underlying these studies is that the anonymity in urban life weakens the solidarity in family- and kinship-relationship as well as the social cohesion in neighborhood. In spite of the plausibility of this idea, however, it is suspected that the idea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explaining the multiple reality of kinship culture initiated by the urbanization in 20th century Korea. In this vein, I would suggest to inquire into the lively activities of a lineage in urban settings rather than resorting to the duality of the urban and the rural. The main issue that I propose in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the features and changing aspects of a lineage ritual which has been affected by the Western modernity and the urbanization? In order to understand modern features of a lineage ritual, I suggest two hypothetical concepts: ‘pilgrimage’ and ‘ancestor religion.’ By characterizing a lineage ritual as pilgrimage, I illuminate the spatial practices in relation to the family burial site. In particular, I pay more attention to the historical process of how the family burial site has become a ‘sacred space’ for the lineage members. Another concept that I propose here, ‘ancestor religion,’ reveals the main feature of Korean Confucianis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nfucian family ritual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e process of systematization of the concept of ‘ancestor.’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term ‘ancestor religion’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way to explain the cognition and practices centered around ‘ancestor.’ As a case study, I describe and analyze a lineage ritual which was held by the lineage of Yanggyeong-gong, a branch of a much larger kin group, the Hansan Yi. Listening to the ritual participants’ voices and watching their practices, I came to realize how they define their identity as a member of the lineage. Their identity-making process with reference to a lineage ritual, I maintain, shows well that the lineage ritual is not an outmoded tradition but a living ritual activity which embodies the sacred experienced by the combination of sensation and memory of pilgrims at the family burial site.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종교의 평화 인식과 통일 운동: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이찬수 ( Chan Su Yi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3 No.23

        2011년 기준으로 남한 종교인들의 68.8%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종교를 염두에 두지 않은 일반인들의 53.7%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에 비하면, 다소 높은 수치이다.) 그리고 이 때의 통일은 평화적 통일이다. 정치적 환경 변화에 따라 한국 종교 계의 통일 의식이나 운동에도 다소 부침이 있었지만, 종교인들이 바라는 통일은, 평화학자 요한 갈퉁의 책제목처럼,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Peace by Peaceful Means)적 통 일이다. 평화는 통일의 수단이고 목적이자, 동시에 종교의 목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종교계 통일 운동의 물꼬를 튼 “7.4남북공동성명”(1972)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개신교와 가톨릭을 포함한 기독교계의 통일 인식과 운동의 역사를 정리해보 고자 한다. 기독교계가 그동안 평화를 어떻게 생각했고, 통일을 위해 어떤 실천적 참여를 해왔는지, 그 요지와 대강(大綱)을 정리하려는 것이다. 특히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천주교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의 통일관과 통 일운동을 중심으로 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다양한 통일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와, 불교, 원불교, 천도교 등 여러 종단들의 통일관도 포함시키겠다. 기독교계 통일 인식과 운동의 흐름이 한국 사회 전체적으로는 어떤 맥락에서 진행되어 왔는지, 그 전반적인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향후 종교계 통일 운동은 종교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서 통일을 지향하는 여러 종단의 흐름을 동시에 살펴보는 일 역시 중요하다. 그 뒤 종교들이 서로 협력하는 가운데 북한에 대한 ‘유연한 상호주의’적 자세를 가지고 21세 기 생태 환경에 어울리는 자발적이고 다원적인 통일운동으로 이어가야 한다는 제언으로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In 2011, 68.8% of South Korean religious believers said that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needed. (This statistics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considering the fact that only the 53.7% of the non-religious believers said that the unification is needed.) In addition, the unification in this sense refers to unification through peace. Unification ethic and movements go through ups and downs as political environment changes. However, the actual way the religious believers expect the unification to happen is through “Peace by Peaceful Means” which is also the title of Johan Galtung`s book. The reason being is because peace is not only the tool or the purpose of unification; it is also the purpose of religions. This paper will briefly explain how unification is recognized in the realms of Christianity and what movements there have been throughout the history starting from the “South-North Joint Communiqu announced on July 4, 1972” up to today. The organizations will clarify how the peace has been considered in the realm of Christianity and what practical efforts the Christianity has contributed to unification. This paper will also incorporate the unification viewpoints and unification movements practiced from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and Catholic Seoul Diocese People Reconciliation Center and include various scholars` researches, as well as unification view points in the realms of Buddhism, Won Buddhism, and Cheondogyo. By organizing the viewpoints, the paper will draw the concept of unification ethic and movements from a broad picture, particularly how the unification is recognized in the realm of Christianity, and how unification movements have aken place and had impacts on Korean society. Furthermore, because it is important to simultaneously understand how those pro-unification religious denominations flow because future direction for unification requires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religious bodies. The paper will conclude with a suggestion that the idea of “flexible reciprocity” should be incorporated when dealing with North Korea as unification move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n environmentally sound way and should be resulted from proper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with voluntary and comprehensive movements

      • KCI등재

        정동, 이름에서 찾아가는 불교문화의 흔적 그리고 남은 이야기들

        민순의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지난 《종교문화비평》 35호의 ‘종교문화기행’ 코너에 〈정동의 역사적 지층 속에서 만난 종교문화〉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되었었다. 2018년 가을에 진행되었던 종교문화탐방을 토대로 방원일 선생께서 집필한 이 글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덕수궁 동쪽 담길을 따라 탐방 직전 개방된 “고종의 길”, 장로교와 감리교를 위시한 한국 개신교의 초기 선교 흔적 등을 중심으로 정동의 문화유적을 살폈다. 특히 필자의 전문성을 십분 발휘하여 근대 이후의 정동 내지 정동과 개신교(성공회를 포함하여)의 친연성을 부각하며 소개한 점은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장소에서 지금의 우리를 살게 하는 역사와 문화의 그리 멀지 않은 시작을 확인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익숙한 새로움을 안겨 준다. 그러나 조금 더 소급된 시간을 전공한 이의 입장에서는 현전하지 않고 단절되어 있으며 그래서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그렇지만 이름 하나, 지표석 하나에서 어렴풋한 자취로 감지되는 또 다른 정동 속 종교문화의 함몰에 내심 아쉬움이 있었다. 오늘 이 지면을 빌어 그에 대하여 잠시 소개해 볼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