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漢譯 佛典 언어의 특징 초고

        임병권(Im, Byeong-gwon)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漢譯 불전은 근래 중국언어학의 새로운 연구자료로 중시되고 있는데, 이 글은 漢譯 불전 언어의 특징에 관한 선행연구의 주요 성과를 정리·소개하고 필자의 사소한 초보적 견해를 덧붙인 것이다. 한문 독자들은 흔히 불전의 문장이 중국 고유의 산문 및 운문과 비교할 때 매우 생경하고 문학적 재미가 부족하다고 평가한다. 불전 한문이 先秦에서 唐宋에 이르는 古文과 구별되는 두드러진 특징을 요약하면, 1) 다양한 假借字에 의한 音譯語, 2) 다수의 복음절 단어 및 복음절화 수단으로 사용된 특이한 허사용법과 음절채우기 어소, 3) ‘一詞多譯’의 많은 유의어, 4) 네글자투[四字格]의 行文, 5) 통사적 긴장이 느슨하고 번다한 병렬의 문장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의 원인은 대체로 梵-漢 번역언어와 中古漢語 입말의 두 가지로 설명된다. 영향력이 큰 제일의 원인은 번역언어라는 점 즉, 원전의 梵語와 譯經의 漢語의 언어문화적 차이라 할 수 있다. 범어는 굴절어이고 표음문자와 복음절 어소를 사용하며, 번다한 반복과 나열의 표현 특성을 보인다. 한어는 고립어이고 표의문자와 단음절 어소를 사용하며, 간명한 표현과 의미의 호응 및 대우 관계를 중시하는 특성을 가진다. 불전에 반영된 東漢 이래 중고한어의 입말 성분은 先秦 이래의 古文과 이질적이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범어에 비해서는 작다고 볼 수 있다. 언어연구 자료로서 한역 불전은 분량이 많고 이역본이 있어 풍부하고 종합적이고, 대부분의 경우 불전 성립의 人時地 정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불전 번역과 언어학적 해설을 위해 작성된 불교 저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漢譯불전-중국불교저술-불교문학으로 이어지는 단계성의 문헌자료에 의해 언어와 문화의 전파·삼투·전이 과정을 연구할 수 있다. Some Chinese linguists pay close attention to Chinese Buddhist Sutras [CBS] which have received attention in recent years. We hereby try to summarize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BS, and add some elementary views of us. CBS has linguistic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general classical Chinese as follows: 1) many words of transliteration by phonetic loan characters, 2) polysyllabic words and polysyllabizing morphemes without substantial meaning, 3) many synonyms by various word formations and equivalents for translation, 4) format of four letter passage (breathing), 5) sentences of relaxed syntactic government, etc. These characteristics could have been derived from the translation between Sanskrit and Chinese. Sanskrit, the source language, belongs to the inflectional languages, uses phonograms and polisyllabic morphemes, and does not prefer the long and enumerating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Chinese belongs to the isolating languages, uses ideographs and monosyllabic morphemes, and does not prefer the concise and symmetrical expression. CBS also reflexes many features of colloquial Middle Chinese of the East Han to Six Dynasty period, but the sense of difference between classical Chinese seems no greater than that between Sanskrit and Middle Chinese.

      • KCI등재

        우륵 출신지 성열현(省熱縣)의 음상사(音相似) 연구에 대한 재검토

        임병권 ( Byeong Gwon 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0 No.76

        ``省熱縣``이 어느 지역을 지칭하는가에는 여러 이견이 있는데, 지명 음상사 연구방면의 중요한 견해로서는 ``省熱``을 ``소사리``로 읽는 거창 가조의 설과 ``□□``로 읽는 의령 신반의 설 둘을 들 수 있다. 비교해 보면, 거창 가조설은 지명고증의 상당한 설득력과 ``우륵터`` 전설의 근거를 가지고 있는데, 아직은 ``省熱, 省草, 소새`` 세 지명의 관계와 語義에 관한 설명의 보완이 필요하며, 의령 신반설은 논증의 합리성 부족을 지적받는 ``辛이, 新이, 省熱``의 동원관계를 입증해야 하고 ``省``을 쓴 다른 지명들을 해석하며 ``新``류와 ``首``류 지명소의 관계를 설명해야 한다. 본고의 검토에 의하면, 『삼국사기』에 나오는 ``省``의 지명은 ``새(新·東)``류와는 다른 ``수리``(봉우리, 첫머리)류이며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 중 초기 신라 이외 지역에 분포한 것으로 보인다. 지명소 ``省``은, 기존의 음차해석과 달리, ``솔(옷솔 등)`` 또는 ``졸이다, 줄이다``의 훈을 빌리는 훈차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省熱``이 표기하는 ``소사리``는 ``높이 솟은 곳`` 및 ``소슬바람``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mong the several views on the location of Seongyeol(생열) that was the hometown of Woo-Reok(우륵), the most famous musician of Gaya(伽倻), the Gajo(가조) theory, suggesting Gajo-myeon of Geochang County, assert dominance over the Sinban(신반) theory. Gajo theory presents the more persuasive arguments, besides an evidence of the legend of Woo-Reok Ground which handed down to the Sosai(소새) village. We presume that the placename element ``seong``(省) in History of The Three State(삼국사기) belongs to the type of ``Suri``(首: top, lofty, first) instead of ``Sae``(新: new, east). We also suggest to interpret that the Chinese word ``seongyeol``(省熱) records the Korean ``Sosari`` which means ``summit, hillside, lofty zone`` and ``chilly wind``, and the Chinese character ``seong``(省) is a phonotype recording its Korean equivalent ``sol, jo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朝鮮) 한문(漢文) 간찰(簡札)의 교정부호 등 비문자 정보 연구

        임병권 ( Byeong Gwon Im ),강택구 ( Taek Goo Ka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7 No.-

        There are three Marks of non-character Information in Chinese Letters of Choseon Dynasty: 1) mark of correction, 2) mark of respect, 3) mark of repetition. The mark of correction is written in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lines, and if it states on the side (right or left) of the Chinese character then it should be deleted, or moved to other location, or replaced by other character. If the mark or character states on the side of the space between characters, then there should be inserted a new character or mark. If the mark is a pressed flat dot like ``,`` or a small circle like ``.``, it will indicate the place of correction or the destination of transfer, and if the mark has a pointed end, it will indicate the direction of transfer. To express the respect, the gentry of Choseon Dynasty, like them of ancient China, raised or put a blank in front of the character which meant the opponent and nobleman to the top of line or the higher place. On the other hand, to express the modesty, wrote a small character which meant the writer himself on the right side of the lane. In other words, they equated the character with the referent, and the indirectness with the respect. To indicate the repetition of the character, they put single or double dot(s) in the lane. Sometimes the correspondence of the mark of repetition with the character is not so certain as of now.

      • KCI등재

        조선한문간찰(朝鮮漢文簡札)의 존경,겸하 표시 부호 연구

        임병권 ( Byeong Gwon Im ),강택구 ( Taek Goo Ka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4 No.-

        조선시대 漢文簡札에는 각종의 기호나 글자의 크기 또는 거리(빈칸) 등을 이용한 비문자 부호들이 사용되어 文義파악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비문자 부호들 중 시각효과의 방식으로 尊敬과 謙下를 표시하는 隔字, 擡頭, 側小字의 세가지 형식은 문맥 속 등장인물들의 관계와 행위의 주체 및 객체를 표시하는 문법적 표지의 역할을 한다. 존경표시는 존경대상에 속하는 실체인 명사.대사 이외에도 존경대상의 행위나 情態인 동사.형용사.부사 등에도 붙는다. 존경표시의 격자. 대두는 사실상 이인칭대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겸하표시는 거의가 화자 자신을 표시하는 실체사에 쓰이며, 화자의 행위를 표시하는 동사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문장 필사의 과정에서 隔字.擡頭등과 같은 존경 표시의 기본 형식이 누락된 경우에는, 교정부호를 사용하여 그것을 보충해 넣는다. 이러한 존경표시 添加부호의 사용은 朝鮮簡札에서 편지 수신자나 제삼자에 대한 尊敬표시가 얼마나 중요한 사항이었는가를 보여주는 예증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초서 簡札의 판독문에 존경 표시 부호를 반영하여 隔字는 존경의 공‘○’을, 擡頭는 화살표 ‘↑’를, 側小字는 세모 ‘△’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간찰의 작성자가 중요한 정보로 여겨서 그 표시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며 교정까지 가한 존경표시의 부호 체계를 해서화한 판독문에 반영하는 것은 원 자료의 정보를 온전히 전달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There are several Marks of non-character Information that use symbols, alter the sige of character, or put a blank space in Chinese letters of Chos.n Dynasty. Relying on the visual-effects by three methods, i.e. blank space, raising, downscale, the marks of respect and modesty play the roles of grammatical sign which indicate the agent and object of the action. The mark of respect usually states in front of the noun and pronoun meaning the object of respect, and sometimes in front of the verb, adjective and adverb commenting the object of respect. The marks of blank space and raising therefore actually have the function of a second-person pronoun, namely the receiver of the letter. The mark of modesty almost appear on the substantive word, not on the predicative word. The gentry of Chos.n Dynasty strictly observed the role of respect and modesty, and if they committed an omission of respect mark, they necessarily have adjusted by correction marks. It shows the importance of these marks. Accordingly, we suggest that we should use three signs, i.e. 1) ``○`` for blank space, 2) ``↑`` for raising to the top of the lane, 3) ``△`` for downscaled and right-sided, in the course of deciphering and textualizing the Chinese let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