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역량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역량에 관한 연구

        임명숙 영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중소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역량에 관한 연구 임명숙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안혜경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간호활동 정도와 환자안전역량을 파악하 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중소병원의 안전간 호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7년 8월 16일부터 8월 30일 까지 약 2주간 U광역시 소재 6개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203명을 편의표집 하여 시행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안전 간호활동, 환자안전역량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은 각 항목 당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92±0.51점으로가장 높은 영역은 평균은 감염(4.11±0.61), 낙상(4.02±0.90),시술 및 수술(4.00±0.70)이 었고 가장 점수가 낮은 영역은 안전한 환경영역 (3.25±0.85)이었다. 환자안전역량은 5 점 만점에 평균 평점3.72±0.43점이었고 하위 영역으로 기술(3.49±0.53), 지식 (3.13±0.99), 태도(4.21±0.42)점 이었다. 2. 중소병원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안전간호활동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으며, 환자안전역량은 현재직위(t=2.15, p=.040)와, 병원 내 환자안전 관련 활동의 참여 여부(t=2.04, p=.04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중소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은 전체 환자안전역량(r=0.589, p<.001)과 유의한 상관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높을수록 안전간호활동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간호활동의 하위영역과 전체 환자안전역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환자확인(r=0.595, p<.001), 구두처방(r=0.305, p<.001), 투약(r=0.420, p<.001), 시술 및 수술(r=0.463, p<.001), 안전 환경(r=0.358, p<.001), 감염(r=0.499, p<.001), 낙상(r=0.340, p<.001), 응급영역(r=0.566, p<.001)이었다. 4.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환자안전역량(β =0.768 ,p<.001) 기술, 지식의 점수가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의 총설명력은 38.8%이었다(F=42.499,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안전간호활동에 간호사 개인의 환자안전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지식영역이 가장 낮은 결과로 간호 사들의 환자안전역량과 관련된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관을 운영하는 경영진들의 환자 안전과 관련된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며,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태도영역은 안전간 호활동과의 관련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나 중소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 관련요인으로 안전간호 활동이 실제 업무수행으로 이어 질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노력이 필요하다. 안전간호 활동 영역에서 안전한 환경 영역의 수행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것으로 환자안전을 위해서 중소병원에서의 경영진과 의료인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수준 향상을 위해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함량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실제 병원현장에서 실무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수행으로 이어 지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필요로 할 것이다. 주용어: 안전간호활동, 환자안전역량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임명숙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sitive factors in school life and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and to improve school life adjustment ability, by analyzing the influence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pontaneity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measuring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pontaneity support,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elasticity from 500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For data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8.0, AMOS 28.0, and Scheffe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pontaneity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par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time with the pare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pontaneity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felt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in the effect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pontaneity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felt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elasticity was confirmed to be partially mediated.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self-elasticity is fully mediated. As a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reducing difficulties in school life adjustment by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middle school students' self-elasticity can be positively applied to school life adjustment. In that it prov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pontaneity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vision of various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n integrated approach are needed. You can find meaning in it. This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at self-elasticit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alleviating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desirable school life of adolescents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hool life adjustmen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various regions in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 f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cale that consider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cal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directly through a questionnaire to reflect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it is useful to measure the degree of distortion when a positive response is made to the ideal image, which is generally regarded as desirable in the evaluation of parents or themselves. Because it is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collect more reliable and objective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sitive program that helps the adolescents to adjust to school life in a balanced way, a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lasticity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positive school life adjustment in the effect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pontaneity support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교생활을 영위 하는데 긍정적인 요인들을 파악하고 학교생활적응 능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실천방안을 마련하고 구체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율성지지,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은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8.0, AMOS 28.0, Scheffe 검증을 활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개인 변인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율성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율성지지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학생이 느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율성은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학생이 느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자율성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직·간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자아탄력성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자율성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과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을 완화시키는 중요한 변수임을 밝히는데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학교생활을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하고자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를 다양한 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으며,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를 개인의 차이를 고려한 척도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료 수집을 직접 설문을 통해 진행하여 중학생의 주관적인 경험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부모 또는 본인에 대한 평가를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이상적인 모습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을 경우 왜곡의 정도를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균형적인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긍정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율성지지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또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물의 운동감 화예조형 표현연구

        임명숙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의 물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이미지를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결과 분석함으로써 화훼식물에 의하여 표현된 형태의 조형적 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물 이미지의 기하곡선, C커브, S커브, 말린 커브, 와선의 형태를 기본 구조로 하고 곡선형태의 특성과 나선형태의 동적 특성을 강조하여 표현한다. 물의 운동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특성을 추출하여 식물재료에 의한 곡선운동과 음향, 영상효과와 같이 수평구조 또는 수직구조, 나선구조로 운동감, 방향감, 속도감, 통일감 등을 표현하였다. 표현한 작품을 공간과 양감, 질감, 색채, 운동 등을 관점으로 하여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선과 명료한 나선운동의 공간과 양에 의하여 반복 구성된 수평과 수직구조의 나선 형태는 무한히 선회하는 지속성과 더불어 확장성과 영상효과로 그에 따른 조형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철봉과 철근, 꽃과 잎에 의한 다양한 양의 형성과 더불어 질감의 대비 효과에 의하여 생동감이 강조되었으며 동일색의 색채조화에 의한 단순하고 소박한 색채 조화와 다양한 색채의 혼합에 의하여 강하고 화려하며 경쾌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나선운동의 속도변화나 나선구조에 의하여 구심성의 효과가 강조되고 안정된 균형을 이루므로 나선운동에 의한 통일성 있는 상승효과를 창출하였다. 빛, 영상, 음향, 기법을 적용하여 물을 분출시킴으로 실제운동에 의하여 시간성이 도입되어 4차원의 작품으로 공간을 확장하였다. 동적 특성을 강조하고 물이미지의 곡선 형태를 대상으로 하여 물의 운동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곡선 이미지로 표현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ress images of water images of the nature in visual language and to investigate the results and to inspect formative features of forms expressed by flowering plant. The water image had basic structure of geometric curve, C curve, S curve, wrap curve and spiral, etc to lay emphasis on features of curve as well as dynamic features of spiral. The work extracted a variety of forms depending upon water movement to express curve movement by plant material, horizontal structure, vertical structure and spiral structure such as sound and image effect to describe movement, direction, speed and unity, etc. The study examined formative features of the work from point of view of space massiveness, texture, colors and movement, et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space and massiveness of curve as well as clear spiral movement constructed spiral form of not only horizontal structure but also vertical structure to continue unlimited turning and to maximize visual effects by expansion and images. The iron bar, reinforcing bar, flowers and leaves, etc formed a variety of massiveness to lay emphasis upon vividness by contrast effect of texture and to harmonize simple colors by color harmony of same color and to express strong, splendid and light effects by mixture of various kinds of colors. The work laid emphasis on centrality effects by either speed changes of spiral movement or spiral structure to keep stable balance and to create multiplier effect that was uniform by spiral movement. The work applied light, image, sound technique to spout water and to introduce time by actual movement and to expand space by 4D work. The work laid emphasis on dynamic features to make use of curve of water image and to express a variety of curve images that made change in accordance with water movement.

      •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임명숙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확인하였다. 첫째,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성격 향상에 효과적인가? 셋째,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유아의 통합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서초구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 만5세 유아 23명을 실험집단으로, 송파구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 만5세 유아 19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로 이경화(2015)의 ‘유아용 통합창의성검사(K-ICT)'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전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창의프로그램을 약 6주간 12차시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실험 진행 후 자료처리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두 독립집단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유아의 창의적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언어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상상력,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도형 창의성에서도 하위요인인 연속성 및 연결성, 새로운 요소 첨가, 완성도, 비관습성, 주제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호기심은 증진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모험심과 과제집착력은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나,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유아의 통합창의성 향상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통합창의성 중 창의적 능력에서 하위요인인 언어 창의성과 도형 창의성 향상에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다면 유아들의 창의적 능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한다.

      •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지도교사와의 관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임명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Violence is behaviour which keeps hurting or assaulting the weak people physically and emotionally. Nowadays, the school violence in Korea has reached the high level of the risk. Especially the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is not temporary but increasing steadily and systematically, and the seriousness has become an object of public concern. On the other hand, the school violence is caused by not just a individual matter of student but also complex factors. The main factors of the school violence are personal, home background, school environmental, sociocultural reasons. And also the unbalanced thought from the home background of the individuals is the factor of school violence causing many side effects. Nowaday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violence is the high incidence rate in the young age a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her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 trend of the collectivization and organization of violence at the school, and the connection with adult gang are very serious. Its collective nature is the one of the factors which the school violence is getting ferocious and criminal. Furthermore, the school violence can be found in not just minor group of troubled students but also good students. It's hard to distinguish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at the school in Korea. This research recognizes seriousness of the school violence problem. I encourage the need of preventive education and the eradication of school viole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petrator student and teacher. I probed the characteristic of relation between perpetrator students and teachers, and set up three research tasks to find out the way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improvement. Firstly, I investigated the growing background of the student committing physical school violenc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is/her school life. I wanted to find out how its characteristics can affect the perpetrator behavior of the school violence. Secondly, I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perpetrator student and the teacher, and how its characteristics is connection with school violence to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do this, I tri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students relationship from the perpetrator's point of view'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teache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Lastly, I wanted to find out 'the ways of improving in relationship with teachers from perpetrator student's point of view and the ways of improving in relationship with students from teacher's point of view' to study how they are aware of the way of improving in physical school violence perpetrator - teacher relat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one way of the improvement in physical school violence perpetrator-teacher relations, from teacher's view of point, is "not fighting at the school and doing good at school life". What perpetrator student wants is "being understood and respected by teachers from a student's view of point". From teachers' view of point, they are aware that one of the solutions in the improvement with physical school violence student is playing and group activities based on the wants of students. What teacher wants is the efforts to go over to students and carry out a special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is is worthy of notice. The way of improvement in physical school violenc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discovered by this study, is a significant task in the education fiel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dopting a program of the improvement in physical school violence perpetrator-teacher relationship. I hope we will make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without any school violence through a professional program.

      •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수준

        임명숙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is introduced recently as a new paradigm for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was set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and classroom application of UD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ar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classroom application of UDL in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action and expression and engagement? 2. How ar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classroom application depending on with/without experiences in both the terminology and their education on UDL? 3. What education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classroom applications of UDL? 24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with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 Daejeon. Among them, 175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in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and classroom application of UDL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UDL but classroom application was not followed as much as need. Third, only a few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emed to be recognizant of the term UDL and had education experiences on UDL. Fourth,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would be most needed supports applying UDL in secondary schools. In conclusion, UDL is a powerful tool for classroom application. Therefore in-service training is needed for the teachers to utilize them in secondary schools.

      • 초대교회 사막의 영성 : 초기수도원과 사막교부들을 중심으로

        임명숙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Spirituality of the first church in desert -Focus on early monasteries and the Fathers in deserts- Leem, Moung Sook Dept. of Graduate School Theology Hyup 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Choong Bum. Deserts under extreme natural environment and climate conditions created not only concepts of danger and death but also transcendence and eternity. There, Men possessed with fear see an illusion or long for purity and spiritual reform. Deserts are an appropriate place to seek the God away from the mundane world. They are a place for revelation and seclusion. Deserts which do not allow mundane values and carnal desires are a place to worship the God. There, men lead evangelical lives by training themselves and empting their minds through loneliness and physical struggles rather than their own spiritual pursuit for self discipline. Deserts were the lands where the Fathers of early churches bore the fruits of the most beautiful spirituality in the world, namely the God's love and love for neighbors, through tears, persistence, contempt, and disdain. The early desert monastery was established in Egypt by Antoni known as the anchorite. Later, the first cenobite monastery was built by Phachomius. The cenobite monastery was a community to break from individualism and serve neighbors through community life. It mitigated extreme stoicism and practiced acquiescence and indigence through the setup of new organizations and rules. Influenced by Phachomius' monastery, Basilius set up a monastery in the city. With its setup in the mundane world, monasteries finally becam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church and the socio-political life overcoming the break from the world. Monastic lives (anchorite and cenobite) which started in desserts in Egypt hugely contributed to the progress of the whole of monasteries in the East and the West as well.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pursue the divine nature in geological desserts, when we highlight the divine nature pursued by monks, a new creative life will be born in the desert of the city in spiritual thirst. The summit of the divine nature realized by the Fathers in deserts through fear, death, contempt, tear, and persistence was "love" for salvation.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divine nature of Christianity and the identity of Christians as we highlight early desert monasteries and the divine nature of the Fathers.

      • 비인격적 감독 인식이 부하직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신뢰와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임명숙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인격적 감독 인식이 부하직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서울. 수도권 지역의 근무하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 중에서 자신의 상사로부터 비인격적 감독 경험이 있는 차장급이하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의 개념 및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을 포함한 변수에 관한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가설에 대하여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상사의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채택되었고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 역시 채택되었다. 따라서 가설 1, 가설 2를 통해서 중소기업의 종사자들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으로 인해서 상사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직무스트레스가 심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그리고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 역시 채택되었다. 따라서 중소기업은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상사-부하 간의 상호신뢰와 결속력을 바탕으로 조직차원에서 직무환경 조성, 인적관리측면에서 다면평가 시스템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상사신뢰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와 가설 6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가설5와 가설6을 통해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상사신뢰가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저하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상사신뢰와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7은 채택되었으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8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자신의 직무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더라도 조직몰입이 저하된다면 기업의 경영성과로 직결되기 때문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중소기업 종사자들은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하더라도 조직에 대한 몰입은 유지 된다고 이해 할 수 있다. 다섯째.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관계에서 상사신뢰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9, 가설10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9와 가설10의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상사신뢰가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섯째.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11, 가설12는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1과 가설 12의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busive supervision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rust in supervisors and job stress. For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under deputy managers who had experience of abusive supervision from their supervisors among the employees working for SM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Literature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s of variable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is. Frequency analysis of sample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variables. In addition, for the hypothesis confirm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e Sobel-test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1 was adopted that the abusive supervis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rust in supervisors. Hypothesis 2 was also adopted that the abusive supervi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Thus,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confirmed that the employees of SMEs who experienced the abusive supervision experience, lowered trust in their supervisors and increased their job stress. Second, hypothesis 3 was adopted that the abusive supervision has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Hypothesis 4 was also adopted that the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has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SMEs should create a work environment based on mutual trust and cohesion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addition, in terms of human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manage multiple evaluation systems. Third, hypothesis 5 and hypothesis 6 were adopted that trust in supervisors and job stress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o those working in SMEs, job satisfaction increases when trust in supervisors increases and job satisfaction decreases when job stress increases. Fourth, the hypothesis 7 that trust in supervisors and job stress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dopted. However, hypothesis 8 that job stress nega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rejected. Even if employees are stressed about their job, i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lowered, it can be a problem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business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as SME employees maintaining their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even if they are under stress about their jobs. Fifth. hypothesis 9 and hypothesis 10 showed full mediating effects that trust in supervisor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of abusive supervis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to employees working in SMEs, trust in supervisors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ixth. hypothesis 11 and hypothesis 12 that job str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been verified. Therefore, to employees in SMEs, job stress i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