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 개선 방안

        서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 개선 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행정전공 서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통합교육 교수 방법론의 하나인 협력 교수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적극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얻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를 협력교수를 위한 준비실태, 협력교수 수행실태, 협력교수를 저해하는 요인, 협력교수에 대한 현재의 지원 실태, 협력교수 확산에 필요한 향후 지원요구 사항에 대한 것으로 설정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급이 설치된 경기도 지역의 281개 초등학교 중에서 단순무선표집에 의해 선정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각 140명씩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분석은 우편을 통한 간접 설문조사에서 회수된 설문지 159부(특수학급 교사 85부, 통합학급 교사 74부)를 코딩작업을 거쳐 교차분석(χ2 test)과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분석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를 위한 준비 실태에서 협력교수 개념에 대한 이해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2=47.404, df=4, p<.001).이는 협력교수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협력교수가 통합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형태 인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731, df=2).이는 협력교수를 적극 실행볼 이유가 된다. 협력교수에 대한 연수 경험은 특수학급 교사의 경우는 2-3회 정도 시범수업 참관이나 협력교수 관련 연수를 받은 경험이 35.3%이며, 4회 이상인 경우도 14.1%였으나, 통합학급 교사의 경우 연수참여 경험이 없는 경우가 62.2%로 높게 나타났다.(χ2=19.618, df=3, p<.001).따라서 통합학급 교사는 협력교수에 대한 관심도와 전문성이 낮은 경향이며 연수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수(통합)학급 교사와 직접 협력교수 경험이 없는 경우 특수교사는 37.6%, 통합학급 교사는 55.4%, 전체 45.9%가 협력교수 경험이 없고, 통합학급 교사들의 연수 경험이 낮게 나타났다(χ2=14.815, df=4, p<.01). 학습면(74.2%)과 사회성 발달(84.3%)에 대한 협력교수 효과에 두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적 사회적 통합을 위한 통합학급과의 협력교수 실시는 특수학급 교사는 통합학급 교사가 동의하는 경우에 45.9%가 실시하고, 통합학급 교사는 필요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는 43.2%를 나타내고 있다(χ2=23.376, df=4, p<.001). 특수(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 수준은 특수학급 교사는 평균3.29, 통합학급 교사는 평균3.42이며, 두집단 전체 평균은 3.35로 비교적 협력이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집단 간의 인지하는 협력의 수준에는 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협력교수 수행 실태는 분석 대상 159명중 특수학급 교사 27명(31.8%), 통합학급 교사23명(31.1%), 두집단 50명(31.4%)이 협력교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의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009, df=1). 협력교수 실시 시간은 주1-2회가 40%로 나타났다. 실시 교과는 예체능 위주(54%)로 실시하였으며,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통계적인 인식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χ2=3.211, df=3). 협력수준(실시상황)이 비교적 높은 것은 학생의 입급시(M=3.96)와 문제행동 다루기(M=3.95)였으며, 각 시기별 협력 수준은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형태는 통합학급 교사가 주도하고 특수학급 교사가 보조자로 돕는 형태가 48.0%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3.167, df=3). 교수적 수정 내용은 특수학급 교사는 교수방법과 교수내용을 주로 수정하였으며, 통합학급 교사는 교수학습 집단과 교수방법 수정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환경의 수정은 특수학급 교사는 급우와 짝지우기와 학생이 교수자료를 이용하기 쉽도록 하였고, 통합학급 교사는 급우와 짝지우기와 학생관리가 쉽도록 하였다. 교수적 집단화 형태는 두집단 전체가 협동학습 집단 구성으로 구성 46.0%, 도우미 짝 활용 방법으로 구성 된 경우는 40.0%로 나타났다(χ2=3.316, df=2). 교수 방법의 수정은 두집단 모두 과제를 쉽게 또는 구체적으로 수정하거나, 활동중심으로 수정하였고, 이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838, df=3). 교수내용의 수정은 두집단 모두 통합학급의 교수내용을 단순화하거나, 통합학급의 교수내용을 학생의 개별화 프로그램에 맞추어 수정하였으며, 이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438, df=2). 평가는 특수학급에서 배운 교과는 특수학급 교사가, 통합학급에서 배운교과를 통합학급 교사가 평가하는 경우는 64.0%이고, 협의하여 평가하는 경우는 20.0%에 불과하다. 이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81, df=2). 교수적 수정 계획시 특수학급 담당교사가 주도하는 경우가 56.0%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991, df=2). 교수적 수정시 의견 반영은 주로 특수학급 교사의 의견이 84.0%로 크게 반영되고 있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191, df=1). 셋째, 협력교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통합학급 교사의 업무 과중(전체M=4.08)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통합학급의 학생수(전체M=3.72)가 많거나, 교수적 수정을 위한 자료 부족(M=3.68), 특수학급 교사의 업무과중(전체M=3.67), 협력교수 계획을 위한 시간을 학교의 일과 안에서 내기 어렵다(전체M=3.57), 그리고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의 시간표 조정(M=3.52)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협력교수에 대한 현재의 지원 정도 분포는 전체M=1.82-2.86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조교사에 의한 수업보조와 통합학급 교사의 업무경감, 교사양성 대학에서의 직전교육, 통합교육을 위한 협의기구 활성화, 협력교수에 대한 일반연수, 통합학급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 지원, 특수학급 교사의 업무경감 순서로 나타난 지원 정도 분석 결과는 대체적으로 지원 요소에 대해 현재 상황에서 그 지원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거나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향후 지원 요구에 대한 분석 결과 지원요구 분포가 전체M=4.02-4.42로 전체적으로 상당히 높았다. 통합학급 교사의 업무경감, 협력교수에 대한 일반연수의 실시와, 협력교수에 대한 통합학급 학부모의 이해와 수용의 필요, 통합학급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 지원, 통합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이해와 책무감,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에 대한 일반연수, 통합학급의 학생수 감축, 교사 양성기관에서 직전교육 등의 순서로 강하게 요구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를 위한 준비 실태 부족은 바람직한 협력교수를 수행하기 어려운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통합학급 교사에게 다양한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협력교수 수행 실태에 의하면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신뢰 관계 형성과 유지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협력교수를 지원할 연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는 연수 활동을 통한 협력교수의 질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 나라의 경우는 특수학급 교사의 지원 이외에는 통합학급을 지원하는 다른 방법(보조교사, 교수학습자료 제공, 연수 등)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교장과 특수교육 관련 기관은 지원 체제에 대한 연구는 물론 협력교수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넷째, 현행 특수교육 진흥법에서 통합교육을 명시하고, 연구기관에서 연수활동을 지원하고 있지만, 현재 초등학교 이루어지고 있는 협력교수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노력과 부족한 지원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교사 양성 대학에서는 협력교수의 방법론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교육하고, 연구기관은 다양한 자료의 제공 및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학교장은 통합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갖고 협력교수 계획 및 실천을 학교 차원의 정책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행정 기관은 여건 조성 및 연수기회 확대에 필요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면, 첫째,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지역적인 제한, 연구의 사례수 부족 등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으므로 연구 대상 및 지역을 확대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효율적인 협력교수 수행과 실천을 위해서 교사들은 임상적 경험과 연수가 필요하고, 학교장과 관련 연구 기관 및 교육행정기관은 협력교수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관계 증진 및 유지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고 여건 조성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자가 연구의 필요성에서 지적했듯이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협력교수의 개념 및 실행에 관한 논의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태 개선 방안과 수행과정 연구 등을 바탕으로 교과별로 사례 연구를 통해 협력교수에 대한 교수-학습 활동의 질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협력교수의 모형을 마련하는 것도 매우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본다. ABSTRACT Devices to Improve the Actual state of co-teaching Run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Seo, seo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wang, do-sun,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roving devices that a co-teaching, one of the approaches for inclusive education, can be enforced actively in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of the co-teaching run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e se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like followings : the actual preparing state for co-teaching, the actual performing state for co-teaching, the factors hindering the co-teaching, the present supported state needed for co-teaching and the demanded factors that should be supported for the diffusion of co-teaching. And we choose 85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74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n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crosstabulation(χ2 test) and t-test using SPSS 10.0 for Windows and examined them b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lack of the actual preparing state for co-teaching can be limitation to carry out a desirable co-teaching by the teachers for inclusive classes. So the supports are needed to provide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and to support them. Second, According to the actual performing state for co-teaching, the program which can improve the reliable relationship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classes who performing the co-teaching and the training program which can support the must be supplied. And the effort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teaching through the training activities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classes. Third, in our country's case, other ways to support inclusive classes(e.g. providing assistant teachers, providing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training, etc.), except providing teachers for special classes, haven't been developed well. Therefore, the principle of the school and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government should not only research on supporting system but also strive for the co-teaching. Forth, although the inclusive education is indicated in the law for the promo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training activities is supported by research government, nowadays the actual state is that the co-teaching ru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been operated only by the effort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classes and insufficient support. Therefore the collages training teachers should educate the students including a methodology for the co-teaching in the curriculum, the research governments should provide various materials and prepare training programs, the principle of school should have responsibility for the inclusive education and have the plan and practice of co-teaching enforced by a policy on school level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government should provide condition and enlarged training opportunities.

      • 특수학교(급) 초임교사들의 수업장학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신인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특수교육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교육 수요자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원 요구가 강해짐에 따라 장애학생들의 개별화교육 및 통합교육에 따른 특수교육보조원 배치가 확산되어 개별 맞춤식 교육이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특수학급 운영 내실을 위한 특수교사들의 역할 부담이 가중되었고 수업 방법 기술 향상을 위한 고민도 커지게 되었다. 과거에 비하여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들이 확대 배치됨에 따라 전문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더욱 높아지고 수업 효과에 기대하는 바도 커졌다. 이러한 상황 변화에 따라 특수학교(급) 교사들의 경력이 짧아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교실 수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충청북도의 특수학교(급)에는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초임교사들이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특수교육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지원은 물론 우수한 교육과정과 수업자료, 전문적인 수업 기술의 향상이 요구되는 효율적인 장학이 필요하다. 하지만 수업장학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 초임교사가 있는가하면 부정적인 사고를 갖고 있는 초임교사도 있음을 종종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이 짧은 초임교사들이 학교 현장의 교육 활동에서 수업장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바라는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장학 담당자들이 해야 할일을 찾아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여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5년 이하의 초.중.고 특수학교(급)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장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수업장학에 대해 거는 기대와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자가 설문지 문항을 제작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급) 초임교사들은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장학, 교과지도 및 장애학생 지도기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나, 수업장학에 대하여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그렇지만 수업장학 활동이 초임교사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수업장학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급) 초임교사들은 수업장학 담당자로 관리자 보다는 동료교사를 선호하였고, 비지시적이고 협력적인 방법으로 장학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수업장학에 있어서 부적응학생 지도 기술, 수업자료 제작 및 활용 방법, 평가이론 및 평가 방법에 관한 지식과 특히 특수교육 전문적 자질을 갖춘 장학담당자에 대한 지원 요구가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특수학교(급) 초임교사들에게 수업장학은 부담감을 주기는 하지만 과정과 방법 면에서 충분한 지원이 된다면 수업개선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장학 담당자들은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장학지도에 임한다면 초임교사들의 수업 기술 향상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유아교육 교사와 유아특수교육 교사의 역할과 협력에 대한 유아통합교육기관 관리자의 인식 차이

        이은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기관의 원감과 원장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통합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 교사와 유아특수교육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통합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 교사와 유아특수교육 교사의 협력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자료 수집은 유아특수학급이 설치된 전국의 공립유치원 45개원(각 원에 2부씩 배부)을 선정하여 90명의 원감과 원장들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관리자가 인식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협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통합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 교사와 유아특수교육 교사의 역할에 평점 순위의 결과 관리자들은 유아교육교사와 유아특수교육 교사의 역할 참여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사의 역할에 있어 유아교육 교사보다 유아특수교육교사의 상대적인 인식을 살펴볼 때, 모든 항목에서 유아특수교육 교사가 유아교육 교사보다 수행할 필요성이 더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관리자들이 장애유아의 지도는 특수교육 교사가 주책임을 지고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둘째, 유아통합교육기관에서 관리자들의 인식에 있어 유아교육 교사와 유아특수교육 교사의 협력에 평점 순위의 결과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교사의 협력에 있어 유아교육 교사보다 유아특수교육교사의 상대적인 인식을 살펴볼 때, 모든 항목에서 유아특수교육 교사가 유아교육 교사보다 수행할 필요성이 더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교사의 협력에 있어서도 관리자들이 장애유아의 지도는 특수교육 교사가 주책임을 지고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에 근거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교사와 유아특수교육 교사의 역할과 협력의 세부 항목을 설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영역을 설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할 필요성과 관리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어 관리자의 배경 변인을 배제하였으므로 관리자의 다양한 배경 변인을 제시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awareness of managers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roles of,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os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key issu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managers on the roles of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os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managers on the cooperation among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os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oward this end, the study selected 45 public kindergartens nationwide in which a special early childhood class is established and sent questionnaires (two copies per institution) to 90 managers. The process an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with SPSS 14.0. To determine the awareness of the managers on the roles of, and cooperation among, these teachers, the study evaluated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a t-test for determining any differenc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verage score evaluation on the roles of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os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managers on the roles, and particularly, the managers understood that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had more roles to perform in all questions. This shows that the mangers recognize that the guidance of handicapped children should be mainly taken care of by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result of the average score evaluation on the cooperation among the teacher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mangers understood that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needed to cooperative more, which shows that the managers recognize that the guidance of handicapped children should be mainly taken care of by th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proposed that in setting detailed items on the roles and cooperation of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os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t is advised to create questionnaires based on diverse areas. Considering that this study excluded the variable of the managers’ background in determining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se managers, it is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need to include the variable of the managers’ diverse backgrounds.

      • 초등학교 특수학급 운영 실태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

        정명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awareness of the principal and the vice-principal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iv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ked. First, how are prospective special classes students selected? and what are methods to improve this? Second, how i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complied? Third, how is the inclusive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student managed? Fourth, what are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special classes? Fifth, what is the progres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To re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seventy-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in GongJu, Seocheon, Buyeo and Cheonan in the Chungcheongnam -do province.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ny research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diagnosis and the discrimination of identifying prospective special classes students of each elementary school were quite appropriate. Also the reason why students' diagnosis is requested that they showed hig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through check-up. Integrated classes and special classes teachers, including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will have to monitor their students in depth to identify possibilities of prospective special classes students. Second, currently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is being managed by modifying the integrated class’s curriculum. Therefore, special classes teachers need to specialize more in the operation of special classes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set the integrated class size and assisted the teacher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al classes teachers in special classes and to support the coopera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hatn the Ministry of Education supports, develops and distributes practical and efficient materials. Fourth, various textbooks and suitable teaching aids for the level and condition of each student are well prepared for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special classes. However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grated class is need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curriculum. And it should be prepared to extend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for supporting th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fth, it is the socia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hat the development of special classes educ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training of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for special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should include special education courses and inclusive education. As a result, flexible educational authorities is needed along with the understanding, coopera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principal and the vice-principal in elementary school. In practice, the budget for special educ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attention and cooper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allocated and should utilize budgets to increase the practical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se results may help to stimulate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for the principals and the vice-principals who manage the special education field. And this will help them achieve their own purpose ultimately. 본 논문에서 ‘초등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운영 실태와 관리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영역은 특수학급 대상자 선정,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행ㆍ재정적 지원, 통합교육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과적인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관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특수학급 입급 대상 아동은 지역교육청의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심의 판정하고 있는데 적절하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또한 입급 대상자 의뢰는 특수학급 교사가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뢰 이유로는 정서 및 행동적인 문제 진단이 높게 나와 특수교사들이 학습적인 문제보다 행동적인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수학급 입급 아동의 정서 및 행동적인 문제는 학습참여도를 낮추고, 그로 인하여 기초 학습의 누적 등 다양한 학교 적응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긍정적행동지원을 하도록 규정한 바 있다(교육부, 2015). 둘째, 현재 특수학급 교육과정위원회에 특수학급의 참여도는 절반정도의 학교에서 참여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참여하고 있지 않고 있는 경우는 학교여건(운영위원회 구성 인원의 제한) 때문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또한 특수학급 시간 편성은 국어․수학 교과만 수업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특수학급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방법은 특수학급 교사와 통학학급 교사가 절충하여 결정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법은 공통교육과정을 수정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을 절충하여 편성․운영된다는 의견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특수학급에 대한 장학활동 실시 횟수는 1년에 1~2회 실시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장학활동이 도움이 되는가하는 질문에서는 연수이수자와 특수학급 설치교의 관리자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률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게 나왔다.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특수학급에 근무한 경력이 있는 관리자가 복식수업 운영으로 개별화교육의 어려움을 문제점이라고 한 반면 그렇지 않은 관리자는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간 절충의 어려움을 문제점으로 보았다. 이는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의 관리자와 그렇지 않은 관리자간의 경험의 차이에서 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앞에서 나왔듯이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복식수업 운영으로 개별화 교육이 어렵다는 것이다. 효율적인 개별화 교육을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학생 수 감축이 필요하고, 개별화교육 자료의 개발과 보급 ,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화교육 방법에 대한 연수 등이 필요하다. 셋째, 특수학급의 행․재정적 지원에 대해서는 대체로 잘 되어 있다고 보았고 특수학급 시설 및 기자재 특수학급 시설 및 기자재를 확보할 때 특수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통합학급과의 협조체제가 중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학생들 개개인의 수준과 조건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교구가 잘 갖추어져 있다는 의견이 많았고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해 특수교육실무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는데 그 이유로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관리가 주우요하다고 하였다. 교사들에 대한 처우개선의 필요성이 없다고 하였으나 특수학급 교사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학생들 개개인의 수준과 조건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교구가 잘 갖추어져 있으나 교육과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합학급과의 이해와 협조, 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관리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실무원제의 확대운영 등이 필요하다. 또한 특수학급 교육발전이 미흡한 이유는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문제라고 응답하였는데 그 대안으로 특수교육 연수에의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대다수 관리자가 연수에 참여의사를 보였다. 관리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연수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가장 많았고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고 그 결과로 학교경영자의 이해와 협조, 사회적 인식 전환과 함께 융통성 있는 교육행정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실제적으로 특수교육에 대한 예산은 매년 증가되고 있으나 특수학급 교육의 실제적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예산이 적절하게 배정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자들의 높은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 넷째, 일반학급 교사의 특수학급에 대한 이해도와 협조를 잘 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일반학급 교사들의 특수학급 학생의 이해정도도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특수학급 학생에게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책임소재에 대한 관리자들의 인식은 일반교사와 특수교가 둘 다에게 책임이 있다고 했다.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학급에 지원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통합학급 교사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장애이해 교육 횟수는 학기당 1회가 가장 많았는데 장애이해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일회적이고 행사적인 성격으로 지속적인 교육력이 없다고 보았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가장 우선 지원해야 할 사항은 일반학급 규모의 적정화와 보조교사제가 실시되어야 하나 교육부 차원의 뒷받침이 요구되며 일반학생에게 실시되는 장애이해교육의 문제가 일회적이고 행사적인 성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자료개발과 교육 자료의 보급 등이 필요하다.

      • 전라북도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의 진로·직업교육 지원 방안 탐색

        노나미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을 연구 범위로 하여 진로·직업교육 지원에 대한 방향 및 실질적인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전라북도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의 특수교사 21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 참여자 중 질적 연구 참여에 동의한 특수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혼합연구 방법의 설계는 설명적 순차 설계와 수렴적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연구 결과 도출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토대로 특수학급에서의 진로·직업교육 지원과 관련된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총체적인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유관기관과 특수학급이 사이에서 진로·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연계 시스템을 마련하여 각각의 지원들이 기관 특성에 맞게 제공되면서도 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학생의 취업 가능성과 시대적 요구를 바탕으로 진로역량과 취업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특수학급 교사들이 학생의 진로·직업과 관련하여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교육청에서 이뤄지는 연수와 연계된 내용의 실제적인 교사지원을 해야 한다. 다섯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지역사회 연계 협력을 위한 도교육청의 정보 체계 마련, 경력교사 배치, 중등교사의 진로·직업 업무 전담, 진로·직업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거점센터 역할 재정립 등의 기반을 마련하여 진로·직업교육 지원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전이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및 실태

        정연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전이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 연구대상은 인천에 근무하는 초,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3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 분석은 SPSS(Ver.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를 배경 변인별로 분류하고 수집된 자료를 부호화하여 변인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변인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전이교육에 대한 인식을 보면 대부분 개념을 모르거나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전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전이교육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전이교육 지원계획 수립 후 실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하였으며, 전이교육 지원계획 수립 시 특수학급의 교육과정의 연계 및 초·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간 지속적인 협력이 우선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전이교육 내용은 중학교 학교생활적응 기술에 대한 내용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3. 전이교육 실태에 있어서 전이교육을 대부분 실시하지 않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초·중학교 특수학급에서는 전이교육 내용이 교육과정 및 IEP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전이교육 프로그램도 비치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초·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간 협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4. 효율적인 전이교육을 위해서는 전이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제작 및 배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초·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간 협력방법에 대해서는 필요한 경우 상시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이교육 실시에 앞서 초·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전이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전이교육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서 전이교육 지원계획 수립 과정 및 방법, 전이교육 내용 선정, 초·중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의 통합·연계적 운영방법, 초·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간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협력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전이교육 운영을 위해서는 전이교육 프로그램의 제작 및 배부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육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조사 연구

        박계순 공주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ABSTRACT Survey of Parents’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Park, Gye-Soon Major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eong-Hee Han, Ph.D. This thesis will discuss the outstanding problems with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Furthermore, it will present the data on policy concerning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in the future. This project has been done by doing comparative survey about Parent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Surroundings,"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have been applied to Special Classes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local differences as its results tell. For this thesis, some issues in question are raised to get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survey: First, what are the regional differences referring to Parent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surroundings of Special Classes in Local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what are the regional differences referring to Parent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 Special Classes in Local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what are the regional differences referring to Parents’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in Local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318 parents who recently have the opportunities to send their children to the special classes in local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Chungcheongbuk-Do, in March, 2007.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depended on the reliable data of 170 copies out of the distributed 176 copies of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is, employed as a tool, composed of four general parts; "Educational Surroundings,"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Each head contains 9 questions; 27 questions in total. All results from gathe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Likert scale: Extremely Satisfied (5 points), Satisfied (4 points), Neither satisfied nor unsatisfied (3 points), Unsatisfied (2 points) and Extremely Unsatisfied (1 point) by using SPSS WIN 14.0 ; firstly,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calculate frequency number and a ratio of answers belonging to each question. Secondly, t-test was applied to investigate local differences for the Parents’ Satisfaction degrees on the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From this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oremost, the parents of students, those who reside at Eub(town) and Myeon(subdivision of Eub), broadly speaking, have higher degrees of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al surroundings. To put it concretely, they are satisfied with "Educational Facilities for Special Classes (p<.05)", "Teaching and Learning Aids for Special Classes (p<.01)," "Arranged Quota for Special Classes (p<.01) and "Co-teaching between Origin Class teacher and Special Class teacher (p<.05)." For "Degree of Understanding the Handicapped (p<.01)" and "Teaching Ability of Special Classes’ Teacher(p<.01)," those who inhabit Si(city) showed higher satisfaction degrees than others did. Second, it is presented that the parents of students who inhabit Si(city)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than those at Eub and Myeon. As specific examples, they are satisfied with "Participating in Individualization Teaching of Parents of Students (p.<01)" and "Educational Guidance for the Handicapped": personal safety, safety supervision and sex education (p<.01). Third,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parents of students who reside at Si have higher satisfaction on it as compared with those at Eub or Myeon. In detail, they are satisfied with "School Support" for making friends between the handicapped and other students (p<.01), and "The Number of Times Having Special Classes" separated from the class for the handicapped (p<.05). While, for "Superintendent’s Concern about Special Classes," the parents of students at Eub and Myeon recor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limit in being generalized, becaus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the parents who are sending their children to special classes only in Choongbok. However,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in relation to environments of special classes,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re desirably practicing co-teaching systems in integrated teaching. But in terms of reconsidering the unsuitable arranged quota in special classes, shortage of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nd lack of co-teaching between ordinary classes’ teachers and special classes’ teachers, the educational system and policy don’t give those parents full satisfaction. Therefore, those problems mentioned above should be considered to establish further educational policies.

      •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근무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이민복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근무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행정전공 이민복 이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및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을 맡고 있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행정적 지원, 교직태도, 인간관계, 보상,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에 대한 직무만족도를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근무지별, 보직별, 특수교육 전공 여부별로 비교·분석하여 특수교육교사들이 자기의 직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 및 정책 방향을 정립하는데 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행정적 지원, 교직태도, 인간관계, 보상,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7개 영역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근무지별, 보직별, 전공별 등으로 나누어 이들 사이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먼저 5개 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25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육경력별에 따라 1-4년인 경우는 평균 3.08, 5-14년인 경우는 3.02, 15-24년인 경우는 평균 3.42, 25년 이상인 경우는 평균 3.54로 비교적 14년 이하인 경우에는 직무만족도가 낮았으나, 15년 이상인 경우에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교급에 따라 초등의 특수교사(평균 3.38)가 중등특수교사(평균 2.93)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근무지에 따라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평균 3.03)보다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평균 3.39)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보직에 따라서는 일반교사(평균 3.19)보다 보직교사(평균 3.36)의 직무만족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에 따라서는 특수교육 전공교사(평균 3.02)보다 일반교육 전공교사(평균 3.53)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7개의 하위요인별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인간관계(평균 3.50)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교직태도(평균 3.47), 행정적 지원(평균 3.35), 교육과정 운영(평균 3.28), 지역사회와의 관계(평균 3.20), 전문성 신장(평균 3.13), 보상(평균 2.80)의 순으로 나타나 특히 보상에 대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매우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요인별 인식정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적 지원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수업자료 지원, 교장·교감의 관심, 행정직원의 업무지원, 교육자료 지원, 행정체제, 상급기관의 행·재정적 지원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는데 평균 3.35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25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4년 이하의 초임교사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지별로는 특수학급교사가 특수학교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직별로는 보직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특수교육 전공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태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교사만족 및 업무충실, 중요성 인지, 사회적 신분, 안정감, 긍지 등을 중심으로 조사해 보았는데 평균 3.47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냈으며,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근무지별, 보직별, 전공별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인간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교장, 교감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업무능력, 파벌, 격려, 신뢰, 화목, 협동심 등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평균 3.50으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교육경력별로는 15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이 중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지별로는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이 높게 나타났다. 보직별로는 보직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별로는 특수교육 전공교사보다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보상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승진제도, 승진부가점 부여와 포상 및 급여에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보상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평균 2.80으로 비교적 보통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보여 보상에 대해 불만스럽게 조사되었다. 교육경력별로는 14년 이하의 경력교사가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고, 학교급별 및 근무지별 모두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며, 보직별로는 보직교사가,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전문성 신장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원연수 및 연구, 수업장학, 상위자격 취득이나 학위 취득에 대한 내용을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16으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냈다. 경력별로는 5-14년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초등이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인데 비해 중등은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며, 근무지에 따라서는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보통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경우에는 다소 불만족함을 나타냈다. 보직별로는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전공에 따라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과 과중한 수업부담 및 업무부담, 교무분장, 통합교육 등의 내용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대체적으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28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냈다. 교육경력별로는 15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14년 이하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이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인데 비해 중등은 보통이하의 낮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근무지에 따라서는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보직에 따라서는 보직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사에 대한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관심도 및 협력관계 등의 내용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대체적으로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3.20으로 비교적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나 14년 이하의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은 보통이상의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나 중등은 보통이하의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근무지별로는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보통이상으로 나타난 반면에 특수학교 교사는 보통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보직별로는 보직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전공별로는 일반교육 전공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이 연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지역적인 편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표본 추출한 설문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하위변인을 행정적 지원, 교직태도, 인간관계, 보상,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7가지를 선정하여 설문 조사하였지만 타당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많은 변인에 대해 충분한 연구가 있어야겠다. 셋째, 전문성 신장에 대한 영역의 직무만족도 조사에서 교원들의 연수 부족에 대한 불만족스러움이 나타났다. 이에 교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원들의 연수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과 학교 현장에서 교장, 교감 등 관리자가 교원 연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교사들이 부담 없이 연수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이 연구에서는 보상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보통이하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특수교육 전공자들이 승진가산점제도에 강한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어 이 제도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겠다. 다섯째, 초등교사보다 중등교사들이 통합교육에 대해 학부모 및 지역사회의 협조가 부족한 것에 대해 불만족스럽게 여기고 있다. 따라서 학부모 및 지역사회 주민들에 대해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겠다. ABSTRACT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Min-Bok Le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Won-Kyung Kim, Ph. D.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how much satisfied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re with their own work and to present theoretic materials informative in establishing policy measures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worked with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for the handicapped and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o determine the subjects' satisfaction as to administrative support, educational attitudes, human relationship, rewards, enhancement of expertis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by teaching career, school level, work place, position and specialty in special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differences in work satisfaction in seven areas such as administrative support, educational attitudes, human relationship, rewards, enhancement of expertis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by teaching career, school level, work place, position and specialty in special education. The survey on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seven subordinate factors shows that work satisfaction was highest in case of human relationship(M=3.50), which was followed by educational attitude(M=3.47), administrative support(M=3.35), operation of the curriculum(M= 3.28),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M=3.20), enhancement of expertise(M=3.13), and rewards(M=2.80) in the right order. This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least satisfied with rewards The following are the specific finding of this study by factor. First, work satisfaction with administrative support stood at 3.35(a little high) on an average. The survey on teaching career shows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25-year teaching careers were most satisfied and that teacher with less than 4-year teaching careers were least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econd, work satisfaction in relation with educational attitude stood at 3.47 on an average, and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work satisfaction by teaching career, school level, work place, position and speciality. Third, work satisfaction in relation to human relationship stood at 3.50 (a little high) on an average 3.50.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more than 15-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Fourth, the subject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rewards stood at 2.80(a little lower) on an average, which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dissatisfied with rewards.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less than 14-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work place, the teachers turned out to be lowly satisfied with their job.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Fifth,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work in relation to enhancement of expertise stood at 3.16(a little high) on an average. The survey on teaching career shows that teachers with 5 to 14-year teaching career were least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reas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so-so satisfied whereas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turned out to be rather dissatisfied. In case of pos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ixth, the subject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operation of the curriculum stood at 3.28 on an average, which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a little highly satisfied.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more than 15-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14-year teaching careers.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reas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eventh, the subject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stood at 3.20 on an average, which means that the subjects were a little highly satisfied.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he subjects as a whole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but teachers with less than 14-year careers turned out to b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reas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work pla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satisfied whereas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turned out to be a little lowly satisfied. According to position, chief teachers were a little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teachers. According to specialty, teachers with general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satisfied than teachers specializing in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 특수학교 중등부 기술·가정 교과교육 실태조사

        김선경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특수학교 중등부 기술·가정 교과교육 실태 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행정전공 김선경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부 기술·가정 교과 교육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추출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기술·가정 교과교육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연구목적을 위해 시각, 청각, 지체부자유 영역의 특수학교 중등부에서 기술·가정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한 후 회수된 78부 중 77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χ2-검증, 독립표본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응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보면, 교과의 통합이 학생들의 학습 감소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느끼고 있었고, 장애영역, 특수교육경력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 운영의 문제점으로는 실험·실습의 설비 부족으로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를 학습하는 주된 목적은 합리적인 기초생활 수행능력 향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기술·가정 교과교육의 중요성으로는 실생활에 필요한 기능 습득으로 나타났다. 기술·가정 담당교사로서의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경향이었고, 교사의 특성 중 자격증, 총교육경력 및 특수교육경력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 지도시 비교적 교과내용의 이론 지도 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차기(8차)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교과 개정에 대한 의견은 장애의 정도와 특성에 맞는 특수교육과정이 학교 수준으로까지 제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술·가정교과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 중 기술·가정 수업시간에 교사의 의도대로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은 50%정도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공여부, 장애영역, 특수교육경력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 교과의 운영 형태를 살펴보면, 한 명의 교사가 한 학급의 기술·가정교과를 전담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치교과(비전공 교과) 지도의 문제점으로는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상치교과(비전공 교과) 지도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전공대로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학교가 소규모인 경우는 순회 교사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장애영역, 특수교육경력, 설립 유형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 지도시 관련성이 있는 영역은 나와 가족의 이해,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지도하기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는 제도의 기초, 재료의 이용, 기계의 이해 등 실습과 기계 등을 다루는 내용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 방법으로는 서술형을 가장 많이 적용하였고, 수행평가 비율은 30%정도였다. 셋째, 기술·가정교과 지도시 자주 사용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는 강의·문답식으로 나타났다. 실기수업은 분단(조별)실습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장애영역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실습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신체 안전성으로 나타났다. 수업 준비시 교과서 외에 참고하는 자료로는 인터넷 자료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기술·가정 교과 수업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학생들의 심한 개인차로 인한 수준별 지도로 나타났으며, 전공여부, 성별, 자격증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수업실시 후 느끼는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습지도안의 체계적인 작성 측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효율적인 기술·가정 교과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시급히 해결할 요소로는 장애 특성에 맞는 교과 지도 방법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가정교과 수업자료 활용 실태 중 현재 제작하여 사용하는 수업매체는 인쇄자료를, 교과서 이외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매체로는 인터넷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구성 및 내용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의 이유로는 장애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재 내용 구성으로 나타났다. 장애특성에 맞는 교재로는 일반학교용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학교에 비치된 수업자료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불만족한 경향이었다. 또한 다양한 개별 학습용 교재 또는 CD-ROM를 가장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기술·가정 담당 교사 연수의 문제점 및 개선점 중 직전 교육의 개선점으로는 장애 특성에 따른 구체적 교과교육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연수 기회가 많아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 임용 후 기술·가정 교과교육 관련 현직연수는 받은 경험이 없다는 교사의 수가 많았으며,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경우 자격연수를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중 타 영역 지도와 관련된 현직 교사의 재교육에 대한 연수는 비전공영역에 대한 주제별 직무연수를 가장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연수와 교과 지도간의 관련성은 비교적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수는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획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과 직무 연수시기는 방학중이 가장 적당하며, 연수 대상자를 희망에 의해 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견이었다. 연수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연수경비 지원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교과 직무연수를 담당했던 강사로는 교수가 가장 많았으며, 앞으로는 현장 경험이 많은 교사를 연수 담당 강사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 교과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실험·실습 설비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실습이 가능하도록 실습 시설 내에 안전시설의 확보 및 안전지도에 힘쓰고, 교사나 학부모 등의 도우미 활동이나 보조 교사의 활용 등이 필요하다. 교사의 역할 중 학습지도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로, 교수-학습지도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교사의 만족감과 교과교육의 질이 향상된다. 따라서 교사의 자신감의 향상과 효율적인 교과운영을 위해서, 전공에 따라 영역별로 분담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연수의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그리고 차기(8차) 교육과정에서는 장애의 정도와 특성에 맞는 특수교육과정이 교과별로 학교수준까지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기술·가정교과 운영 형태는 한 명의 교사가 한 학급의 기술·가정교과를 전담 지도하고 있고, 기술이나 가정 어느 영역의 부전공자격도 없으면서 전담 지도하는 교사가 많아 심각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공대로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학교가 소규모인 경우는 순회 교사제를 실시하고, 부전공 연수나 직무연수 등 연수 기회를 확대 실시해야한다. 또한 근본적으로는 분담 지도 형태를 제도화하는 방향으로의 교과 운영 형태가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실기나 실습과 관련된 내용을 지도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어, 실습 관련 내용을 용이하게 가르칠 수 있는 관련 학습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술·가정교과 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문답식 수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학습 방법에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기술·가정교과의 특징이 일상생활에서 적용과 실천에 있고, 같은 내용이라도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그 결과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의학습이나 실험·실습 등 체험적이며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술·가정교과는 다른 교과와 달리 이론과 실기가 병행될 때 그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직접 체험해 볼 실습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해야 한다. 넷째, 기술·가정교과 수업매체로 인쇄자료를 가장 많이 제작하여 사용하며, 교과서 외에 인터넷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인터넷 컨텐츠의 개발과 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교육 연구회 등의 연구활동 활성화와 연구 경비 지원 등 제도적 장치가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영역별 특성에 맞게 적합한 교재의 재구성과 재편집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학교에 비치되기를 원하는 수업자료는 개별 학습용 교재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 관련 자료를 구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예산지원과 관련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술·가정 담당교사 연수는 비전공 영역에 대한 주제별 직무연수를 실시하여 타영역 교과관련 전문 지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직연수가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기지도, 자료개발, 평가기준 작성 능력, 교육 재구성 능력, 자신감 향상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한다. 연수의 시기는 방학중에 실시하고, 연수대상자를 희망에 의해 선정하며, 연수 강사로는 학생들의 지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험 많은 교사를 선정해야 한다. 연수의 문제점으로 연수 경비 지원 부족으로 나타나 행·재정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연수시 적정 인원의 배치, 연수전의 충분한 사전 안내, 충분한 연수 시간의 확보 등의 문제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부에서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전반적인 운영 실태와 문제점 파악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과 효과적인 교과 운영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Current Situation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as a Subject Matter in a Special School Sun-Kyeong, Kim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 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yung-Un, Jeon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current situation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as a subject matter in a special school, to analyze the problems and finally to present the devices for improvement.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nt questionnaires to the teacher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a middle school course of a special school in fields of visually,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ly disabilities and then analyzed the withdrawn 77 questionnaires. We enforced frequency analysis, percent analysis, χ2-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ith collected data using a statistical program of SPSS(ver.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it was indicat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for managing the subjec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s that the equipments for experiment and actual training are not sufficient. So the equipments for experiment and actual training need to be secured. In addition, a special curriculum corresponding to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by subjects need to be presented to school level in the next curriculum. Second, the mode managing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is like following : one teacher takes full charge of teaching bot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a lesson ; many teachers who don't have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for teaching technology or home economics as a major or a minor assume full responsibility of teaching both subjects. It is a serious problem. Therefore, teachers must give separated lessons(either technology or home economics) to students by their own major and a circuit teacher system must be enforced in a small school. In addition, basically, the curriculum managing method must be improved to institutionalize the separated teaching form. Third, the major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used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lessons was a lecture-mode or interrogatory instruction.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lesson actively such as discussion, problem solving, etc. must be carried out. Besides, lots of opportunities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real experiment and actual training directly in various situation must be provided. Forth, this study said that printed materials were produced and used most frequently as a teaching material for teaching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n internet was used frequently besides the textbook.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and construct various internet contents. In addition, we need to reorganize and reedit textbooks suitably coinciding to the characteristics by fields of disabilities. Fifth, the training for the teacher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hould be composed of the themes which can be helpful in practice for teaching students and the period and educator should be decided by teacher's desire. In addi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needed for a effective training such as support of training expenses. This study is a fundamental investigation to study on current situation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as a subject matter in a special school. Succeeding studies which can develop the quality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needed.

      • 시각장애학교의 치료교육활동 실태 조사

        이화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시각장애학교의 치료교육활동 실태 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치료특수교육전공 이화자 본 연구는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치료교육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를 근거로 시각장애 특수학교 치료교육활동의 방향을 마련하여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13개 시각장애 특수학교 치료교육교사 13명, 교장 및 교감 9명, 교사 145명, 총 1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지도교수의 자문을 얻어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13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학급 수, 학생 수, 중복장애아 수를 살펴보면, 191개 학급에, 1,497명의 학생이 재적하고 있으며, 이중 중복장애아 수는 428(28.6%)명으로 나타났는데 증가 추세에 있는 중복장애아의 장애 영역에 맞는 치료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중복장애아 수를 정확하게 조사하고 장애의 유형과 현황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치료교육교사의 현황을 살펴보면, 13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치료교육교사는 17명으로, 대부분의 학교가 치료교육교사 1명씩 배치되어 있고(8개교), 치료교육교사 2명이 배치되어 있는 학교가 3개교, 3명이 배치되어 있는 학교가 1개교, 치료교육교사가 없는 학교도 1개교가 있었다. 현재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증가 추세에 있는 중복·중증장애아의 치료교육 활동이 복잡다난해지며, 장시간의 치료교육 활동을 요하므로 전문인력이 많이 요구되어 질 것이며 조사내용 결과에서도<표 Ⅳ.19-2> 치료교육 활동의 문제점으로 전문인력이 부족하다(59.3%)가 제일 높은 빈도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13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치료교육활동을 지도하는 담당교사의 현황은 치료교육교사가 전담하는 경우가 7개교였다. 나머지 6개교는 제한된 치료교육 교사수를 극복하기 위해 담임교사나 양호교사 등이 치료교육시간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치료교육 활동의 효율적인 수업 운영를 위해 치료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의 제공과 관련을 연수의 필요성을 전 특수교사에게 또한 치료교육교사와 교장 및 교감, 교사 변인 모두 치료교육교사가 치료교육활동을 담당하는 것이 좋다(64.1%)고 하였다. 다음으로 많이 반응한 경우가 모든 특수교사가 치료교육을 담당해야 한다(26.3%)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 치료교육활동이 강조되고 시간도 확보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치료교육교사의 배치는 학교당 1~3명뿐이어서 유치부에서 고등부까지 모든 학생을 지도해야 하는 치료교육이 목적하는 바의 실효를 거두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며, 치료교육활동의 효율적 전개를 위해서는 현직 연수에 의한 모든 특수교사의 치료교육 요원화가 요구된다. 치료교육교사의 인원 배치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성은 부족하다(80.8%)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치료교육교사의 인원 배치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6개 학급당 1명(77.2%)의 치료교육교사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의 학교당 1~3명의 치료교육교사로는 효율적인 치료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치료교육교사 인원 배치 기준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절실하고 시급한 과제이다. 셋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치료교육교과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치료교육 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부족하다(57.5%)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치료교육활동 시간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1주일에 4시간(51.5%)이 적당하다고 나타났다. 현행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제한된 치료교육 시간 수는 중복장애아 수가 28.6%나 되는 현실에서 효과적인 치료교육을 할 수 없게 되며 교육의 질과 양의 부족 원인이 될 수 있다. 치료교육은 일회적인 것이 아니며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므로 치료교육시간의 확보와 이에 따른 교사 수급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치료교육활동 시간 단위 운영 현황은 교육부 고시 배당 기준에 따른다가 10개교, 학교 자체에서 편성 운영하는 경우가 3개교로 나타났다. 교육부 고시는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중복장애아 수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치료교육시간은 교육부 고시 기준에 따르기보다는 각 학교별 중복장애아 수와 장애 현황에 따라 학교 자체에서 편성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료교육교사가 담당하는 치료교육 교과 시수는 10시간 이하 수업을 담당하는 치료교육교사가 1명, 주당 11~15시간을 담당하는 치료교육 교사가 2명, 주당 16~20시간을 담당하는 치료교육교사가 11명으로 나타났다. 치료교육활동 프로그램을 누가 결정하는가를 살펴보면, 치료교육교사가 결정한다가 10개교, 치료교육교사와 담임교사가 결정한다가 3개교로 조사되었다. 치료교육활동 시간 운영은 학급별 그룹지도와 개별지도가 병행되는 경우가 10개교, 집단지도로 운영되는 학교가 2개교, 학급별로 지도 운영되는 학교가 1개교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치료교육을 위해서는 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교육활동은 지양되고 개별치료교육 소그룹 치료교육 활동으로 치료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치료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로는 치료교육실에서 치료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학교가 7개교, 일반교실에서 치료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학교가 2개교, 치료교육실, 일반교실, 운동장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학교가 3개교로 나타났다. 치료교육실의 확보 현황은 감각·운동 기능 훈련실을 확보하고 있는 학교가 6개교, 놀이치료실을 확보하고 있는 학교가 4개교, 물리치료실을 확보하고 있는 학교가 2개교, 생활훈련실을 확보하고 있는 학교가 5개교, 언어치료실을 확보하고 있는 학교가 3개교 등 시각장애만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치료교육실을 확보했을 뿐, 중복장애아 치료교육활동을 위한 치료교육실은 현재의 치료교육실로는 부족하다. 시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중복장애아 수가 증가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중복장애아를 위한 치료교육실의 확충이 시급하다 하겠다.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치료교육실의 형태는 치료교육실이 독립적이다라고 반응한 경우가 12개교, 치료교육실을 타 시설과 병용하는 경우가 1개교로 나타나 치료교육실은 전체적으로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료교육활동 수업시 현행 교과서 사용 실태는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을 사용한다가 1개교,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전자도서를 사용한다가 2개교, 6차 교육과정에 다른 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전자도서를 병행하여 사용한다가 6개교, 치료교육활동시 임의 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가 2개교, 전자도서와 임의 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가 2개교로 나타났다. 현 시기는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이 혼용되는 교육과정 시기로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전자도서를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치료교육활동 대상 학생에 대한 개별화 프로그램의 작성 여부는 작성한다로 반응한 경우가 11명이고, 작성하지 아니한다로 반응한 경우가 2명으로 치료교육활동 대상 학생에 대한 개별화 프로그램은 잘 작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 프로그램을 작성하지 않는 경우는 치료교육시간이 집단지도로 이루어져서가 2명으로 나타났다. 치료교육 자료의 조달에 대한 질문에서 상품화된 자료를 이용하는 교사가 5명으로 가장 많았고, 교사가 제작하기도하고 상품화된 자료를 구입하기도 하는 교사가 그 다음으로 많은 4명이었으며, 교사가 직접 제작 경우도 3명으로 나타났다. 치료교육자료로 상품화된 자료가 많이 활용되고 있어 시각장애 학생에게 적합한 인증된 치료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치료교육 운영 방향에 대한 치료교육교사, 교장, 교감, 특수교사의 의식을 살펴보면, 시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치료교육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치료교육활동이 꼭 필요하다(95.8%)에는 의견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시각장애 특수교육대상자는 시각 외에 다른 장애를 동반한 경우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이런 중복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선택적, 탄력적 치료교육활동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앞으로 시각장애 특수학교 치료교육 정책 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교육교사의 확대 배치가 요구된다. 시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치료교육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반응이 치료교육교사, 교육행정가, 교사의 세 변인이 꼭 필요하다에 평균 95.8%가 응답하였으며, 치료교육활동 담당을 누가 하는가에 대한 물음에도 세 변인 모두가 치료교육 교사에 평균 64.1%의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치료교육 활동의 필요성에 절대적인 요구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며, 이는 치료교육교사가 담당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높은 반응을 보인 것이라 할 것이다. 시대적으로 특수교육을 요구하는 아동의 장애가 중복·중증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 장애에 따른 공통치료교육 영역제시와 개별 아동의 장애 정도와 장애특성에 맞는 수요자 중심의 선택적·탄력적 치료교육활동을 제시한 상황에서 현행 13개 시각장애학교에 치료교육 교사가 8개교에서 한 명씩 배치되어 있고 치료교육 교사의 치료교육 활동 시수는 치료교육교사 중 76.9%(10명)가 16~20시간의 수업활동을 하고 있다. 치료교육교사의 인원배치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세 변인의 평균 반응이 80.8%가 부족하다에 응답하였다 치료교육활동의 내용도 복잡하고 다난하여 높은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요하며 반복적인 교육활동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치료교육활동에는 많은 시간이 할당되어야 한다. 현재 13개 시각장애특수학교에 191학급에 1,497명의 재적 학생과 중복장애아 수가 428명의 치료교육 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에 주무자인 치료교육교사의 부족은 매우 심각하다. 그러므로 중복장애아 수를 반영한 치료교육교사 증원에 대한 행정적인 대책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시각장애 학생의 치료교육을 위해서는 전 특수교사의 협력이 요구되며, 행정가들의 치료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시각장애 특수학교 전 교사가 치료교육 대상자 선정, 치료교육 프로그램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치료교육에 대한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 전 특수교사가 치료교육 활동을 수업현장에서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둘째, 치료교육활동의 치료교육시간 확보에도 필요성이 절실하다. 치료교육 운영 형태의 요구에 학급별 지도, 개별지도에 76.9%로 반응하였고, 치료교육 활동시간 운영에 부족하다에 57.75%의 반응율과 치료교육활동 시간 배정 개선안에 주당 4시간에 51.5%의 세 변인의 평균 반응으로 현재 13개 학교의 191학급에 17명의 배치된 치료교육교사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시간 운영의 요구이다. 또 중복·중증화된 장애 아동의 증가 추세에 따라 중복장애 아동의 개별지도 치료교육 요구에 따른 시간 운영은 상상할 수도 없다. 치료교육 시간이 실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치료교육교사의 적정 배치가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장애 아동이 시대적 변화에 따른 특수교육 현장에 중복·중증장애 아동의 증가로 전문적인 치료교육과 생활기능 중심 교육이 요구되는 현황에서 개별 아동 특성 장애에 맞고 7차 교육과정과 관련한 선택적이고 탄력적인 치료교육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문치료사가 필요하고, 또한 효율적인 치료교육활동에는 다양한 치료교육실의 확보와 치료기기, 훈련기기 등 여러 가지 장비와 시설 확보가 요구되어진다. 조사결과로 <표 IV.18-1>에서 치료교육실, 시설, 설비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세 변인이 평균 71.9%의 반응이 부족하다이고, <표IV.18-2>와 같이 치료교육 예산편성 만족도에서 세 변인 평균반응이 부족하다에 74.9%, <표 IV.19-2> 치료교육활동의 문제점에서 세 변인 평균반응이 59.3%가 전문인력 부족하다에 응답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각장애 학생들이 가지는 제한점을 최대한 경감시키면서 교육적이고 치료적인 치료교육활동을 위해서는 치료교육교사의 적정 인원 배치, 치료교육 활동 시간 확충, 치료교육 활동의 제도적, 환경적, 경제적 뒷받침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뒷받침이 마련되어 시각장애 학생들도 보다 개개인의 장애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치료교육활동을 받음으로써 자신의 장애를 개선·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치료교육활동에 대한 문헌조사를 하면서 느낀 것은 치료교육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부족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가 표준화된 것은 아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중복장애 아동 현황과 장애 특성의 분석연구, 시각중복장애아 현황에 따른 치료교육교사(또는 전문치료사)의 적정 인원 배치,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치료교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한 후속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ABSTRACT Therapeutic Activity in Special School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Hwa-Ja Lee Department of therapeutics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Eun-Hee Paik, Ph.D. The curricula in special school for blind youth are categorized into academic activity,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therapeutic activity. One of the curricula that doesn't exist in nonspecial school is therapeutic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therapeutic activity in special school for blind youth to find out what problems there were and how the problems could be fix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7 people in 13 special schools for blind youth nationwide, who included 13 curer teachers, 9 principal and vice-principal, and 145 teache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prepared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by advice of my professor.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re were 191 classes and 1,497 students in the 13 special schools for blind youth. Among them, 428(28.6%) students were multiple-handicapped. Second, regarding curer teacher, a curer teacher existed in each of eight schools. 10(76.9%) out of 13 curer teachers offered 16- to 20-session therapeutic activity. As a result of examining if the number of curer teacher was satisfactory, 80.8% found it insufficient. This fact signifie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crease curer teacher. Third, the current curricula weren't sufficient to take care of the increasing multiple-handicapped disabled children and provide individualized therapeutic activity. To offer more practical and rational therapeutic activity, curer teacher should be properly secured before any attempt to increase therapeutic activity class is made. Fourth, a number of expert curer were needed to make therapeutic activity more flexible, optional an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students. Furthermore, it'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equipments and facilities, like therapeutic activity room, treatment equipments or training machine. The way to minimize the restrictions imposed on the visual-impaired students and provide more efficient therapeutic activity is arranging the proper number of curer teacher, increasing therapeutic activity classes, and offer institutional, environmental and financial backup for therapeutic activity. If visual-impaired students are provided with efficient therapeutic activity such a good environment to suit individual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y will improve and overcome their own handicap. Though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n't standardized, more researches of diverse approaches are needed on the actual state of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in special school for blind youth,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the optimum number of curer teacher or professional curer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of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the 7th national curricula, or therapeutic activity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