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장물 존치 농경지 토양개량 현장시험 결과

        인현진 ( Hyunjin In ),하지연 ( Jiyeon Ha ),김현진 ( Hyeonjin Kim ),남다민 ( Damin Nam ),고주인 ( Juin Ko ),박관인 ( Kwanin Park ),유찬 ( Chan Yu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인 광해방지사업 추진을 위하여 전국의 폐광산 및 휴지광산, 가행광산에 대해 5년마다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광해방지기본계획 및 사업계획에 반영하고 있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의 22021년 광해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국 5,475개 휴·폐광산 중 3,300개 광산에서 광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한국광해광업공단에서는 2007년부터 광산 주변 광해 오염 농경지에 대한 토양개량 및 복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는데, 2021년까지 3차에 걸쳐서 약 3,000여개소에 대한 복원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광산 주변 토양오염 농경지 중 과수 및 시설재배 농지의 경우에는 현장의 농업용 수목 및 시설 지장물로 인하여 경작자 혹은 소유주의 동의가 없으면 원활한 복원사업의 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광산피해방지법 개정(2020.3)으로 토양개량·복원사업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적극적인 복원사업의 진행이 가능한 여건이 마련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지장물이 존치될 수 밖에 없는 과수 농지 및 시설재배 농지복원을 위한 복원공법 개발을 위해 수행한 연구 중에서 현장시험 결과를 소개하였다. 오염농경지에 대해서 토양개량공법으로 6가지 경우에는 대해서 처리 포장을 조성하고 주기적으로 정화효율을 평가하고 현장 토양물리성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도 설치하여 관찰을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TV 시청과 소셜 미디어의 구전효과

        인현진(Hyun Jin In),배진아(Jin Ah Ba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4

        TV 시청에 있어서 소셜미디어의 구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V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트위터 이용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시청률은 트윗량과 관련이 있었는데,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트윗량이 시청률과 가장 관련이 높았으며 방송 전과 방송 후의 트윗량과 시청률은 낮은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방송 전 1주일동안 발생한 트윗 량은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률 및 트윗량을 기준으로 각 프로그램의 분포도를 그려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시청률도 높고 트위터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인기 프로그램’, 시청자 규모는 적지만 트위터에서 자주 언급되는 ‘소통중심 프로그램’, 트위터에서 화제가 되지 않지만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는 ‘시청중심 프로그램’, 시청률도 낮고 트위터에서 화제도 되지 않는 ‘일반 프로그램’ 등 4개 유형이 제안되었다. 각 유형별로 장르 분포를 살펴본 결과 ‘인기’ 유형에는 드라마와 예능 장르가 대부분인 반면 ‘시청중심’ 유형에는 드라마와 교양이, ‘소통중심’과 ‘일반’ 유형에는 드라마가 거의 없는 반면 예능 장르가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편성시간대별로는 ‘인기’ 유형이 주시청시간대에 주로 편성되어 있는 반면 ‘소통중심’과 ‘시청중심’ 유형은 일반 시간대에 주로 편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함의 및 방송 업계에 주는 실무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 ratings of TV programs and Twitter usag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ord-of mouth effect of social media on TV viewing. Audience rating was related to Tweet usage amount. The amount of Tweet that occurred while the program was broadcast was highly related to audience rating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Twitter usage amount and audience ratings before and after broadcas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mount of tweets that occurred during a week before broadcasting affects audience ratings. We tried to classify each program by plotting the distribution of each program based on ratings and tweets. Four program types are proposed: "Popular programs," which are often mentioned in Twitter and have many viewers, "Communication-oriented programs," which are often mentioned on Twitter but have few viewers, "Viewing-oriented programs," which do not become a topic on Twitter but have many viewers, "General programs," which are neither discussed on Twitter nor have few viewers. As a result of examining genre distribution by each type, it is found that drama and entertainment genre are mostly in ‘popular’ type, while drama and culture are in ‘viewing-oriented type’. And drama genre is rare and entertainment genre is mostly in ‘communication-oriented’ and ‘general’ type.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oriented’ type and ‘viewing-oriented’ type were mostly scheduled in the regular time zone while ‘popular’ type was mainly scheduled in the prime time z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broadcasting industry were discussed.

      • 지장물 존치 농경지 토양개량 및 복원방안 고찰

        인현진 ( Hyunjin In ),정지윤 ( Jiyun Jeong ),고석호 ( Seokho Goh ),하지연 ( Jiyeon Ha ),김현진 ( Hyeonjin Kim ),고주인 ( Juin Ko ),박관인 ( Kwanin Park ),유찬 ( Chan Yu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인 광해방지사업 추진을 위하여 전국의 폐광산 및 휴지광산, 가행광산에 대해 5년마다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광해방지기본계획 및 사업계획에 반영하고 있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의 22021년 광해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국 5,475개 휴·폐광산 중 3,300개 광산에서 광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한국광해광업공단에서는 2007년부터 광산 주변 광해 오염 농경지에 대한 토양개량 및 복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는데, 2021년까지 3차에 걸쳐서 약 3,000여개소에 대한 복원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광산 주변 토양오염 농경지 중 과수 및 시설재배 농지의 경우에는 현장의 농업용 수목 및 시설 지장물로 인하여 경작자 혹은 소유주의 동의가 없으면 원활한 복원사업의 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최근까지는 소유주가 지장물 자가철거 및 재설치를 할 경우에만 사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물론 전체 복원사업에서 지장물이 포함된 경우는 비중이 높지는 않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 비중이 높은 경우 사업지구도 있고 특히 유독한 성분으로 오염되어 적극적인 복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광산피해방지법 개량(2020.3)으로 토양개량·복원사업을 위해 토지사용이 가능(강제)하게 되어 보다 적극적인 복원사업의 진행이 가능한 여건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지장물이 존치될 수 밖에 없는 과수 농지 및 시설재배 농지복원을 위한 현황조사 및 국내외 관련 기술을 정리하여 발표하였다.

      • KCI등재

        토양 안정화 소재로서 제강슬래그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초실험

        윤성욱,김기욱,박남서,김기준,인현진,최우석,유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비소 오염 토양의 안정화소재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품질관리가 어려운 제강슬래그의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강슬래그의 입도에 따른 화학적 성질의 변화와 비소 안정화에 중요한 성분인 Fe 성분의 입도에 따른 용출특성 그리고 제강슬래그의 주요 성분인 철(Fe)과 칼슘(Ca) 성분의 구성 비율이 비소의 흡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흡착실험을 실시하여 관찰하였다. 제강슬래그의 입도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용출은 입도가 작은 분말상태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pH=2 조건에서만 용출이 발생되어 실제 자연상태에서 용출이 일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철과 칼슘성분의 혼합비에 따른 비소의 흡착실험에서는 철과 칼슘이 일정비율 섞여 있는 경우에서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이나 칼슘 성분 모두 25%이상만 혼합되면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칼슘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초기의 효과는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재용출 현상이 나타나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 성분만 사용한 경우에는 초기 효과는 낮았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흡착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It was conducted preliminary tests to control the quality of steel-making slag(SMS) which could not be controlled the contents of components composed because it is a industrial by-product. Preliminary tests included the chemical change and extraction characterization with particle distribution and the arsenic(As) sorption characterization with the mixing ratio of ferrous(Fe) and calcium(Ca). Ca and Fe are major components to stabilize arsenic in soil solution. As the results of tests, it was not related the particle distribution of SMS to change chemical properties of SMS. The extraction behavior of Fe component in SMS was not easily released and it was only extracted at pH=2 condition. Therefore Fe components in SMS could not be released to the environment in normal condition of eco-system. On the effectiveness of arsenic sorption of mixtures, it were shown that Fe and Ca mixture was more effective than Fe or Ca alone. There were no appear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e and Ca components. It was shown that al least 25% of mixing ratio of Fe and Ca will be a good condition to applied as a stabilization agent. Ca alone was effective in initial stage of arsenic sorption but it was appeared the dissolution problem of arsenic component with reaction time. Fe component alone was shown worse the sorption effect of initial stage than the case of Ca alone but effective in the arsenic sorption of long-term performance.

      • KCI등재

        중금속 오염 하천퇴적토 및 광미오염토양에 대한 고화재의 혼화재로서 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

        윤성욱,김하진,김기욱,인현진,김기준,유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토양 및 광미의 고형화 처리를 위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혼화재로서 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를 검토하였다. 대상시료는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구룡리의 구봉광산 주변 하천퇴적토와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내덕리의 상동광산에 위치한 광미를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경화제는 시멘트 95%에 제강슬래그 분말 5%를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하천퇴적토 및 광미오염토양에 5%, 10% 및 15%(w/w)의 경화제를 첨가하였다. 이때 이 결과들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것과 Ca 함량이 제강슬래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굴폐각 분말을 사용하여 배합한 결과와 함께 비교하였다. 공시체는 지름 5cm, 높이 10 cm의 몰드를 이용하여 혼합토를 채워 넣은 후, 습윤양생기에서 1일간 양생시킨 다음 탈형 후, 수조에 수중양생을 실시하였다. 7일, 14일 및 28일 경과된 시료를 대상으로 강도시험 및 중금속 용출시험을 실시하여 처리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광미시료의 경우, 시멘트, 제강슬래그 그리고 굴폐각 순으로 강도개선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제강슬래그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고, 하천퇴적토의 경우는 혼합비 15%에서 제강슬래그를 혼합한 경우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 혼화재로서 적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기물용출시험 및 0.1 N 염산추출법 결과 경화제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중금속 및 비소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특히 비소에 있어서는 제강슬래그의 효과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산도가 가장 높은 1N 염산추출법의 결과에서는 광미의 경우 대조구 보다 제강슬래그로 처리한 시료에서 중금속 및 비소의 농도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하천퇴적토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이 중금속 및 비소가 용출되었다. 이는 하천퇴적토가 95%이상의 모래로 토양의 입경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금속의 고정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atment effect of steel refining slag as an admixture of general Portland cement for stabilization/solidification of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and mine tailings. For soil samples, stream sediment of Gubong Mine located in Guryong-ri, Namyang-myeon, Cheongyang-gun, Chungcheongnam-do, and mine tailings of Sangdong Mine in Naedeok-ri, Sangdong-eup, Yeongwol-gun, Gangwon-do were sampled and used. A soil stabilizing cement was produced by mixing cement 95% and steel refining slag powder (SSP) 5%, and 5%, 10%, and 15%(w/w) of soil stabilizing cements were added to stream sediment and mine tailings-contaminated soil. Here, one that soil sample was treated with only cement (CMT) was compared with the other that oyster shell powder (OSP) that contained comparatively higher Ca and lower Fe than steel refining slag was used as an admixture and mixed in the same way as above. The test piece specimens were filled with mixing-treated soil by using a mold 5cm in diameter and 10cm in height, and then they were cured for a day in the moist curing machine and the form was removed, and water curing was performed in the water tank for 7, 14, and 28 days. After each curing was completed, the treatment effect of steel refining slag was examined by conducting a strength test and a heavy metal solubility test. For mine tailings of Sangdong Mine, it turned out that cement, steel refining slag, and oyster shell had high strength improvement effects in order, and stream sediment of Gubong Mine, sandy soil with big particles, showed an outstanding effect when mixed with steel refining slag in the mixture ratio of 15%, which indicates that it could be used as an admixture. As a result of a waste standard test and 0.1 N HCl extraction, as the mixture ratio of the soil stabilizing cement increase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 and arsenic tended to decrease, and especially for arsenic, the effect of steel refining slag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As a result of extraction of 1N HCl, having the highest acidity, for mine tailings of Sangdong Mine, soil treated with steel refining slag had much lower heavy metal and arsenic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for stream sediment of Gubong Mine, heavy metal and arsenic were leached,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It is thought that this phenomenon occurred because the binding ratio of heavy metal is relatively low due to the large particle size of Gubong Mine stream sediment, over 95% of which is sand.

      • KCI등재

        폐금속광산 주변 오염농경지의 As 및 중금속 안정성 효율 평가

        권요셉,정명채,권지철,정선희,김기준,인현진,안상곤,이근춘,김윤수 한국자원공학회 201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0 No.6

        This study has focused on evaluation of stabilization ability of Arsenic and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soils contaminated by mining activities. According to column test (adding 5% of granule limestone), concentrations of As, Cd, Cu, Pb and Zn in the soils were decreased to 35%, 80%, 75%, 100 and 85% respectively. By adding 3% of granule limestone and 2% of steel making slag, more elements in soils were stabilized, except As. In comparison with sequential extraction results for before and after stabilization treatment, over 90% of As and Cu (step 4 and 5), also more than 80% of Pb and Zn in the soils existed in the strong bound, and over 75% of Cd in the soils existed in relatively weak bound (step 1, 2 and 3). consequently crop plants which grown in contaminated soils can be affected by accumulation of As and heavy metals derived from covering materials. 이 연구는 금속광산 주변 농경지 토양으로부터 비소 및 중금속 안정성 효율 평가를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컬럼실험 결과, 5% 입상석회석을 첨가한 경우 비소는 35%, 카드뮴 80%, 구리 75%, 납 100% 및 아연 85%로 감소하였으며, 입상석회석 3%와 제강슬래그 2% 첨가시 비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에서 좋은 처리효과를 나타내었다. 컬럼 전, 후 시료를 이용한 단계별(연속)추출 결과 비소와 구리는 90% 이상 안정된 형태(4~5단계)의 토양으로 존재하며, 카드뮴은 75%가 쉽게 용출되는 형태(1~3단계)의 토양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납과 아연에서도 80% 이상 안정된 형태로 존재하는 반면, 복토재의 컬럼실험 전, 후 단계별 추출 결과는 컬럼실험 후에 생물학적 이용도가 높은 단계인 1~3단계가 모두 상승하여 식물에 중금속이 흡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중금속 오염 하천퇴적토 및 광미오염토양의 경화제로서 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

        윤성욱 ( Sungwook Yun ),김기욱 ( Kiwook Kim ),인현진 ( Hyunjin In ),김기준 ( Kijoon Kim ),유찬 ( Chan Yu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토양 및 광미에 대한 안정화/고형화의 목적으로 경화제로서 제강슬래그의 처리효과를 검토하였다. 대상시료는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구룡리의 구봉광산 주변 하천퇴적토와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내덕리의 상동광산에 위치한 광미를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경화제는 시멘트 95 %에 제강슬래그 분말 5 %를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하천퇴적토 및 광미오염토양에 5 %, 10 % 및 15 %(w/w)의 경화제를 첨가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시멘트만으로 대상토양에 처리한 것으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배합설계를 실시하였다. 공시체는 지름 5 cm, 높이 10 cm의 몰드를 이용하여 혼합처리토를 충진시킨 후, 습윤양생기에 1일간 양생시킨 다음 탈형 후, 양생수조에 7일, 14일 및 28일 동안 수중양생을 실시하였다. 각 양생기간이 완료된 후 강도시험 및 중금속 용출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광미오염토양에 대한 경화제의 강도개선효과는 제강슬래그보다 시멘트만을 첨가한 대조구의 강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혼화제인 제강슬래그가 강도증가에 미치는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하천퇴적토의 경우는 혼합비 5 %와 10 %에서는 시멘트만 사용한 경우와 경화제를 이용한 경우에서 특별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혼합비15 %에는 제강슬래그를 혼합한 경우에서 대조구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 혼화제로서 사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천퇴적토의 경우에는 양생기간동안 pH=10~11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된 데 반해 광미오염토양은 pH=9~10 사이에서 변화가 심해 수화반응이나 포졸란반응이 원활하지 못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폐기물용출시험 결과 배합조건 5 %에서는 pH증가로 인해 비소의 농도가 무처리 보다 높은 농도가 용출되었으나 경화제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경화제가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0.1N 염산추출법 결과에서는 광미오염토양의 경우 혼합비 및 양생기간에 거의 관계가 없이 대부분의 중금속 및 비소의 농도가 대조구보다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퇴적토의 경우는 배합조건 10 %부터 대부분의 중금속 및 비소의 농도가 뚜렷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N 염산추출법 결과에서는 광미의 경우 대조구보다 대부분의 중금속 및 비소의 농도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구봉광산의 하천퇴적토의 경우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이 중금속 및 비소가 용출되었다. 이는 하천퇴적토가 95 % 이상의 모래로 토양의 입경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금속의 고정화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