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이흔정 교육종합연구원 2010 교육종합연구 Vol.8 No.3

        It has been attempted to apply competence-based curriculum to leverag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for nation wide perspective. The major goal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emphasizes not what learners know but what they can do. Competence can be referred as personal capabilities to handle problems with their own knowledge, cognitive skills, attitude, emotion, value, and motivation as a comprehensive concept. Competence-based curriculum was originated from vocational training because it was valuable for those to apply new perspectives to a traditional approach for school management. A traditional curriculum was based on input oriented process; however,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was based on output oriented process. It is also important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ompetency for those to apply competence-based curriculum. First, it emphasizes functional approach, which includes cognitive aspect and affective mode too. Second, it is based on internal structure that focuses on what they can do rather what knowledge is. By focusing on capability it would be easier to conceptualize what a learner can do. Third, competence is based on situational feature. A learner who has own competence can control and activate resources to solve problems. This study concluded that it would not be recommendable to accept competence-based curriculum just because it is a brand new concept. Rather, it was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delineate what is key features for renovation and critical values by applying competence-bas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이흔정 안암교육학회 2004 한국교육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내러티브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보고, 교육과정 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내러티브의 교육적 의미는 내러티브적 지식을 통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이해할 수 있는 데 있다.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경험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식으로 경험을 구조 짓는 것이다. 결국 어떤 것에 대해 이야기함으로써 경험을 계속적으로 해석하고 재해석하게 된다. 둘째, 내러티브 사고양식이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학습에 있어서도 학생들은 텍스트를 주어진 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해석하며 재구성하며 읽는다. 이러한 이해와 재해석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낸다. 교육에서도 논리 과학적인 패러다임 사고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사고를 통한 의미의 재창조와 상상력의 계발도 동시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내러티브를 기초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이야기는 내용을 의미 있게 만들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이다. 교육적 관점에 볼 때, 내러티브는 수업의 소재나 전달의 수단, 수업내용, 사고의 도구로서 매우 유용하게 쓰여 질 수 있다. 교육은 인간의 총체적인 사고 계발 활동이다. 인간의 균형 잡힌 사고를 계발시키기 위해서는 패러다임 사고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사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내러터브 연구는 21세기 급격한 교육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분야이기도 하다.

      • KCI등재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수업방안 연구

        이흔정 안암교육학회 2005 한국교육학연구 Vol.11 No.2

        듀이는 교육을 경험의 끊임없는 재구성이라고 하였다. 경험을 재구성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사고전략이 반성적 사고이다.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대로 깊이 있고, 의미 있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까지 반성적 사고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교사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학생의 수업 측면에서 반성적 사고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수업에 있어서 1)학생을 수업의 관람자에서 참여자로 2)문제 중심의 학습 환경 구성 3)학생들의 흥미고려 4)교과의 올바른 사용 5)교과의 심리적 조직 6)소집단 상호작용 학습 환경 구성이 필요함을 분석하였다. 교사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주체적인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의 의미와 현상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지적 안목을 높여 주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듀이의 반성적 사고 개념은 수업을 이해하는 좋은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반성적 사고는 최근의 구성주의 수업원리에 많은 기본적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새롭게 재조명해 볼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프레이리의 생성적 교육과정 연구

        이흔정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1

        연구에서는 프레이리의 사상을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과정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학교의 교육적 기능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게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것을 학습시키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학교는 지식을 교과의 형태로 제공하고 이를 무비판적으로 암기하는 교육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성공을 판단해왔다. 프레이리는 이러한 교육에 대해 비판적인 접근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의 목적은 인간해방에 두어야 하고, 교육내용은 탐구적 방법이 필요하며, 문제제기식 교육이 되어야 진정한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특히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건전한 비판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인적인 앎을 넘어 사회적인 앎을 지향하는 그의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논의에서 좀 더 확산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reviewed thoughts of Paulo Preire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curriculum.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roles of the school should include letting students learn valuable and meaningful tasks. However, school systems have traditionally tended to judge the learner's success from the achievement in the memorization of learning contents. Meanwhile, Freire proposed an alternative way of learning. He suggested that the objectives of education be in the liberation, and contents of education be re-examined. Moreover, he insisted that curriculum be focused on enhancing the leaner's sound and critical consciousness. In sum, his pedagogic thoughts aiming at social knowledge over individual one are required to be dealt with in the mainstream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IEEE 1394를 이용한 DVD Authoring에 관한 연구

        이흔정,윤영두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5

        We can define the procedure of Authoring that it makes area cord and the reproduction prevent menu programmed into MPEG II video stream , Audio which is AC-3 audio stream and subtitle under its own category. And it makes process an attribute, an order and an operation, gives the last disk image, Which is DVD(digital versatile disc). There are various process of Authoring tools in the market so that authoring tools can enable, encourage, and assist users ("authors") in the selection of tools that produce simple title, video production and editing suites. In this paper, we will compare and analyze authoring process in which image and sound are authorized into DVD with IEEE 1394port between Window system using generally with Desktop PC and the Macintosh that is based on OSX. MPEG II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AC-3 스트림, 자막 스트림에 지역 코드, 복제 방지 메뉴 등을 프로그램 하여 하나의 스트림으로 만들고, 시나리오에 따라 속성, 명령 및 작동을 부여하여 최종 디스크 이미지(DVD)를 만드는 과정을 오소링(Authoring)이라고 한다. 이러한 오소링(Authoring) 툴들은 다양하게 출시되어 있는데, 간단한 타이틀을 만드는 보급형부터 전문적인 영화 타이틀을 만드는 고급형까지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쓸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IEEE 1394포트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향을 컴퓨터로 캡처(Capture)해서 DVD를 만드는 오소링(Authoring) 과정을 일반인들이 Desktop PC로써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Window체계의 PC와 OSX 체계의 Macintosh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교사의 중간언어(middle language) 넘어서기

        이흔정(Lee Heun-J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4 敎育問題硏究 Vol.0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eachers can provide a meaningful instruction for students instead of transporting chunk of information that the students do not have deep understanding for a given curriculum. The issue of transporting information was raised by Bruner in criticizing that teachers did not play a successful role as a bridge between curriculum designer and students. Specifically, Bruner (1960) insisted that teachers merely delivered instructional contents to their students without adequate understanding why the curriculum developers designed the course. Bruner called the gap between the purpose of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understanding as "middle language." He continuously argued that any subject can be taught effectively in some intellectually honest form to any child at any stage of development if teachers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of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six strategies of avoiding the middle language in the classroom situation for teachers: Teachers need to 1) understand true meaning of the given curriculum, 2) facilitate understanding rather than deliver information, 3) apply mo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didactical transposition, 4) have more conversation with students, 5) have more teacher education, and 6) extend instruction beyond the given curriculum. Through applying the strategies to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s could make more considerable contributions as innovative leaders to improve instruction. 본 연구는 수업현실에서 중간언어(middle language)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Bruner(1960)는 '교육의 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지식의 구조'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존의 교육에서 '교과'를 가르치지 않고 교과의 '중간언어'를 가르쳤기 때문에 제대로 교육이 이루어지 못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따라서 중간언어로 가르치지 않고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어떤 교과든지 올바른 형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중간언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1) 지적으로 정직하게 가르치기 2) 전달수업에서 이해하는 수업으로 3) 수업에서의 '교수법적 내용지식'과 '교수학적 변환' 필요 4) 대화를 통해 수업하기 5) 교사양성 과정에서의 준비 6) 주어진 교육과정을 넘어서기 등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수업을 통해 이루어진다면, 교사들은 국가가 제공한 교과서를 극본삼아 연기하는 배우가 아니라, 스스로 극본을 써 나가는 작가이자 연출자로서 의미와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