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출 방법에 따른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의 정미성분 및 항산화 특성

        이현정,유하나,이현규,Hyun Jung Lee,Ha Na Ryoo,Hyeon Gyu Le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8 No.6

        본 연구에서는 추출 수율 및 소재의 풍미를 높일 수 있는 EE와 CE를 통해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정미 성분인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당류와 항산화 특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 TPC, TFC를 비교분석하여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의 업사이클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명일엽 착즙박은 EE가, 돌미나리 착즙박은 CE가 더 높은 추출 효율을 가졌으며, 착즙 전 원물로 제조한 추출물에 비해 높은 추출 효율을 나타냈다. AKEE의 주요 아미노산은 leucine, alanine, aspartic acid, AKCE의 주요 아미노산은 valine, alanine, aspartic acid 이다. OJEE의 주요 아미노산은 leucine, aspartic acid, arginine, OJCE의 주요 아미노산은 valine, aspartic acid, arginine으로 추출물의 특성에 맞게 사용한다면 식품의 풍미 향상과 더불어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산과 당류 함량은 명일엽, 돌미나리 착즙박 공통적으로 CE의 추출 효율이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라 유기산 및 당류의 조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신맛과 단맛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며 산도 조절과 같은 기능적 특성도 예상할 수 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TPC 함량은 명일엽, 돌미나리 착즙박 공통적으로 CE의 추출 효율이 높았다. 이는 CE에 사용한 에탄올과 페놀성 화합물이 반응하여 추출 함량이 증대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질수록 DPPH라디칼 소거능이 높아지고 있어 양의 상관관계 성립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하지만 착즙 전 원물 추출물 대비 착즙박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다소 낮은 수준이므로 사용량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TFC 함량은 명일엽 착즙박 추출물은 CE 대비 EE 에서 더 높은 추출 효율을 가지지만,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에서는 EE와 CE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게 나타났다. 이는, 착즙박 추출물에 가해진 효소의 활성 조건이 착즙박의 세포벽 결합 구조를 파괴하여 플라보노이드의 추출을 유도할 때 AKEE에서는 적합하였지만, OJEE에서는 부적합하여 다른 경향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명일엽과 돌미나리 녹즙 제조 후 생성되는 착즙박을 활용한 추출물의 정미 성분과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고 고부가가치 소재의 이용성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용화를 위한 구체적 연구개발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pcycling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and Oenanthe javanica juice by-products through comparing enzyme extraction (EE) and complex extraction (CE) methods to increase the extraction yield and flavor of materials. A higher extraction yield was obtained for free amino acid content with EE and CE for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respectively, and a higher extraction efficiency was achieved with juice by-products than with extracts prepared from raw materials before juice production. The content of major amino acids varied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used. When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 their use as a functional material was confirmed along with improvement in the flavor of the food. Consistently high extraction yields for organic acid and sugar levels were obtained with CE in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TPC were consistently high with CE in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e increase in extracted content was likely because of the reaction between the ethanol used for CE and the phenolic compounds. However, becaus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the juice by-product extracts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extracts from raw materials before juice production, the amount used should be reviewed. The TFC was found to be higher in extracts obtained with EE than with CE for A. keiskei juice by-produc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EE and CE in the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rough this study, the tast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btained from juice by-products produced after the production of A. keiskei and O. javanica green juice were analyzed, and the availability of high value-added materials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expanding specific R&D for practical use should be explored.

      • KCI등재

        증례 : 신장 ;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기종성 신우신염 1예

        이현정 ( Hyeon Jung Lee ),신새봄 ( Sae Bom Shin ),고세은 ( Se Eun Go ),서주현 ( Ju Hyun Seo ),한덕재 ( Deok Jae Han ),조형준 ( Hyeong Jun Cho ),김영옥 ( Young Ok Kim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9 No.5

        기종성 신우신염은 주로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심한 괴사성 감염으로 발생빈도는 낮지만 임상경과가 매우 빠르고 예후가 나쁠 수 있기에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급성 신우신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요로감염을 시사하는 증상 없이 우연히 영상검사 중에 진단된 증례가 국외에서 1예[7]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진단 시점부터 치료 시작 전까지 무증상이었으나 연속적으로 시행한 영상검사상 악화 소견을 보여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였고 영상검사상에서 호전을 확인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유사한 증례의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EPN) is a severe gas-forming infection of the renal parenchyma and surrounding tissues. Patients with EPN commonly present with high fever, chills, and flank pain. These symptoms mimic a simple urinary tract infection, such that diagnosis is often delayed. Because of its life-threatening fulminant course, the early detection of EPN and its prompt treatment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with or without percutaneous drainage are critical. Here we describe a case of a 63-year-old Korean female with diabetes mellitus who had no specific symptoms or signs of EPN. A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scan to assess a right pleural effusion incidentally detected an abnormal gas shadow in the renal parenchyma. An abdominal CT scan performed 5 days later showed increased gas within the kidney parenchyma, but the patient still had no symptoms of EPN. She was treated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alone. A follow-up abdominal CT scan revealed the complete disappearance of the features of EPN. (Korean J Med 2015,89:567-570)

      • KCI등재

        재난 후 친족 간의 관계 양상과 친밀감에 관한 연구 :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경우

        이현정(Lee, Hyeon Jung)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도시화와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 이후에 전개되는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친족이 어떠한 역할과 관계 맺음을 수행하는가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로 안산 단원고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250명을 포함한 304명이 희생되었다. 안산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의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외부인이 유입되는 도시라는 점에서, 재난 후 도시에서 나타나는 친족 간의 관계 양상과 친밀감을 다루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 논문은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친족관계의 양상과 참사 이후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살피기 위해 4.16기억저장소에서 발간한 4.16 구술증언록 『그날을 말하다』 48권을 자료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사용된 48권의 구술증언록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 유가족의 직접적인 경험을 육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주된 자료로서 적합하였으며, 좀 더 풍부한 이해를 위해 필자가 그간 안산에서 수행해온 현장연구의 결과를 필요에 따라 참조하였다. 구술증언록 자료는 친족 관계와 관련된 주요한 다섯 가지 항목에 따라 코딩된 후,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적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친족 관계의 양상은 대체로 명절이나 의례와 관련해서는 친가친이 처가친보다 더 의무감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교류나 친밀감에서는 처가친이 더 활발한 모습을 띠었다. 이는 참사 이후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예컨대 진도체육관을 방문하는 것과 같은 대소사 참석에는 친가친이 더 넓은 범위로 참여한 반면, 장기간 체육관에 머물며 유가족 부모를 돕거나 안산에 남아있는 아이를 돌봐주는 것과 같은 일상적 돌봄의 행위는 처가친(특히, 아내의 오빠나 남동생)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졌다. 또한, 도시 간 이주의 상황에서는 친가뿐 아니라 처가의 친족 자원(특히, 아내의 언니)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세월호 참사 이후 약 1년이 지나면서, 유가족의 친족 관계는 급속하게 긴장 관계를 생성하거나 심지어 단절되는 경향이 발견되는데, 이는 유가족의 태도나 상황 때문이라기보다도 한국 사회의 정치적 환경에 의해 영향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유가족이 친족과 멀어지게 된 계기는 크게 세 가지 요인-명절이나 행사에서 느껴지는 아이의 부재, 진상규명 투쟁에 대한 친족들의 반대, 그리고 배·보상안 공표 이후 주변의 시기와 낙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세월호 참사 이후 대응 과정에서 국가의 무책임하고 미숙한 태도가 참사 피해자에게 불필요한 정치적 투쟁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친족 관계가 소원해지도록 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kinship and its change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mong the bereaved families through field research and oral data analysis. Based on the accumulated understanding of the contexts through long-term field research in Ansan city, the researcher coded and analyzed a total of 48 volumes of the 4.16 Oral Testimonies, Tell the Day, published by the 4.16 Memory Arch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holidays and rituals, paternal relatives are more obliged to participate than maternal relatives, who are more active in everyday exchanges and intimacy. This pattern of kin relations appears in a similar way after the disaster, for example, attending a major event such as visiting a Jindo gymnasium, where the paternal relatives visited in a wider range, while maternal relatives performed daily activities, such as staying in the gym for long periods of time to help the surviving parents or caring for the children remaining in Ansan. The act of caring was mainly carried out by maternal relatives (especially, the wife s younger brother). In addition, in the situation of inter-city migration, it was found that resources of maternal relatives (particularly the wife s sister) were actively used. Secondly, about a year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relatives of the bereaved families were found to be rapidly in tension or even disconnected, not just because of the attitudes or circumstances of the bereaved families. There were three major factors that led to the separation of the bereaved from relatives: the feeling of absence of their child at holidays or family events, relatives opposition to the families’ struggle against the state for finding facts, and the social condemnation and stigma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mpensation plan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As such, the country s irresponsible and immature attitude in the response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led the victims to participate in unnecessary political struggle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kin relations over time.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wo implications. First of all, in the event of a disaster, relatives still play a significant role as the most important support group for victims. Second, post-disaster government responses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victim s future life and social relations by affecting kinship.

      • KCI등재

        잊혀진 혁명

        이현정(Lee, Hyeon Jung)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1

        본 논문은『지연된 혁명』에서 마저리 울프가 답하고자 했던 핵심적인 질문-과연 중국 사회주의는 여성해방에 기여해왔는가-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허베이성 북부 농촌에서 현장연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혁개방시기 새로운 역사적 국면 속에서 다시 한 번 질문하고 대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특별히 그간 중국 농촌 사회에 나타난 두 가지 형태의 젠더정치학에 주목한다. 첫째, 국가가 주도하는 시장개혁 하의 노동구조 재편 속에서 나타나는 ‘농업 및 가족노동의 여성화?비가시화(非可視化)’ 경향이다.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은 산업화 및 도시화를 추구하는 과정 속에서 임금노동을 중시해 온 반면 농업노동 및 농산물의 가치를 하락시켜왔으며, 이러한 도농 차별적인 정책 속에서 현금이 필요한 농민들은 주로 도시 이주를 통해 임금노동에 참여해 왔다. 그러나 농민 여성들의 경우, 타지로의 신체 이동을 제약하는 사회적?문화적 조건으로 인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노동으로부터 배제되어 왔으며, 대신 남성이 떠난 농촌에서 농업노동 및 가족노동을 떠맡아왔다. 이러한 개혁개방시기 농촌의 성별 노동분업 양상은, 집체화를 통해 적어도 농업 및 가족노동을 공식적인 사회적 가치로서 인정해 온 마오시기에 비해 농촌 여성이 수행하는 노동을 가치폄하하고 비가시화하는 불평등 구조를 고착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둘째, 국가 개입의 약화와 시장개혁 정책 속에서 나타나는 ‘가부장적 가치의 부활’과 ‘새로운 여성성 규범의 등장’이다. 가족 및 여성 개인의 삶을 공산당이 규정한 가치에 의해 국가가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판단?처벌했던 마오시기와 달리, 개혁개방시기 농촌에서 공산당에 의해 비판되었던 가부장적 가치와 태도들은 경제적 부 또는 부계 친족 이데올로기의 지지 속에서 종종 정당화된다. 이로 인해 과거에 억제되었던 성매매, 첩살이, 여아방치와 같은 현상들이 조금씩 확산되고 있다. 또한 소비문화의 확산과 도농 간의 문화적 위계 속에서 여성성의 규범화는 시장의 논리 속에서 남성과 다른 생물학적 본질주의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즉 여성의 ‘신체적 아름다움’과 ‘자녀양육자로서의 모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이 물질적 궁핍을 상당 부분 해결하고 사회경제적 기회를 확장시켜왔다는 점에서 농촌 여성들의 삶을 이전보다 개선시킨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젠더 형평성의 측면에서 바라보자면 오히려 그 이전보다 성별 간 계층화가 고착되고 불평등이 강화되었다고 주장한다. Drawing on Margery Wolf’s classic work Revolution Postponed, and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in northern Chinese villages between 2004 and 2013,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whether China’s market reforms since 1978 have contributed to women’s liberation in rural areas. To attain this aim, the paper examines two forms of gender politics in reform-era rural China; the feminization and devaluation of agricultural and family work, and the revival of patriarchical violence and the emergence of new norms of femininity. First, compared with Mao-era China, where field and family work was socialized in the state project of collectivization, new forms of gender division of labor under market reforms have tended to devalue women’s agricultural and family work. Second, as the state intervention with the individual family has weakened under reforms, patriarchal violence, such as wife beating and having a second wife, has revived in rural areas. At the same time, marketization and consumer culture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new norms of femininity, emphasizing the urbanized body and the passion for child education. In short,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China’s market reforms have improved women’s life in terms of material enjoyment and socioeconomic opportunities, they nevertheless have reinforced gender hierarchy and inequality in rural areas.

      • KCI등재후보

        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과 회복탄력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이현정(Hyeon-Jung Lee),강경민(Kyoung-Min Kang),이유진(Yu-Jin Lee),이효진(Hyo-Jin Lee),최희지(Hee-Ji Choi),하미현(Mi-Hyeon Ha),이병호(Byung-Ho Lee)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19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7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emotional labor. Methods: For this study, 198 dental hygienist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4.0 program. Results: We obtained the next results. First, sub-factor of resilience that has affected emotional labor is emotion control(β=-.281) and relationship (β=.142), R2=.088. Second,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has affected emotional labor is regulation of emotion(β=-.218) and other s emotion appraisal(β=.171), R2=.063. Conclusion: These result indicates that in order to reduce the emotional labor of dental hygieni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intervention programs considering emotion control, relationship, regulation of emotion and other s emotion appraisal.

      • Xception 과 영상처리를 이용한 분말 공정에서의 과립 분류 방법

        이현정(Hyeon Jung LEE),조혜연(Hye Yeon JO),양혜린(Hye Rin YANG),정의현(Eui Hyun JU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세라믹 분말 공정 과정에서 과립의 품질은 세라믹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체 과립에서 비정상 과립의 비율이 높을수록 제품의 품질이 떨어질 확률도 높아진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 공정 전에 전체 과립의 개수에서 비정상 과립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미경으로 촬영한 과립 이미지에서 영상처리를 통해 개별 과립을 검출하고, 딥러닝 모델인 Xception 을 사용하여 과립의 품질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KCI등재

        병원에서의 반말 사용과 여성 노인 환자의 주체성

        이현정(Lee, Hyeon J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병원 입원실에서 여성 노인 환자를 향한 돌봄제공자의 언어사용 방식에 관한 경험적 사례를 기술하고 인류학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여성 노인 환자를 둘러싸고 나타나는 돌봄의 문제를 젠더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로 관찰된 세 쌍의 관계는 어머니와 딸, 환자와 고용된 간병사, 종교공동체의 선후배 관계로 각기 달랐지만, 모두 공통적으로 돌봄제공자들이 돌봄수혜자인 여성 노인환자에게 반말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비록 반말이 관계 내에서 갖는 성격은 각각의 사례에서 차이점을 나타냈지만, 여성 노인 환자에게 사용되는 반말은 돌봄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의도와 상관없이 노인, 환자, 여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 사회의 젠더화된 위계를 중층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필자는 여성 노인 환자들이 본인의 의지, 입장, 욕망과는 상관없이 어쩔 수 없이 반말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존재적인 조건 속에서, 타협적이거나 수용적인 주체성을 요구받고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language usage among female care-givers for elderly female patients in a hospital, and analyzes how the way care–givers use language for care-recipients reflects gender politics of care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pent 24 hours a day for a week in a patient room with research participants, while conducting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ir everyday behaviors and verbal communications. Data shows that the three pairs of relationships are different in character-mother and daughter, patient and employed care-giver, and sisters in a religious community, respectively-but all the care-givers spoke elderspeak or disparaging language to their care-recipients and no patient resisted. This phenomenon implies how elderly female patients, as three types of otherness (olders, patients, and women) combined together, occupy the lowest position in social hierarchy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ocial condition as well as their physical needs tend to force the elderly female patients to develop compromised or receptive subjectivity in which they accept such verbal communications however insulting it may be, since it is the way to guarantee to be cared for.

      • KCI등재

        연구논문 :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은 과연 저항인가: 서구 저항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살행위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분석

        이현정 ( Hyeon Jung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3

        최근 중국은 젊은 농촌 여성들의 빈번한 자살로 인해 역사상 유례없이 여성의 자살률이 남성보다 높은 국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은 학자들과 사회단체들은 지난 수십 년간 중국 정부의 개혁 정책이 만들어 낸 부정적인 영향의 결과라고 주장해왔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본 논문은 먼저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을 시장개혁 시기 이들이 처해 있는 고통스러운 삶의 조건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하는 두 편의 논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각각 제임스 스콧과 미셸푸코의 저항 개념에 기대고 있는 이 논문들은 중국의 농촌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해 온 구조적 어려움들에 대해서 바르게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자살 행위가 가질 수 있는 저항적 성격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여성 개개인이 자살을 문제해결 방식으로 선택하기까지 경험하는 다양한 개인적 삶의 맥락 및 과정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서구의 저항 개념에 의존함으로써, 다수의 중국인들이 자살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있는 저항의 의미를 구별해 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살 선택에 영향을 주는 중국 사회의 규범과 믿음 체계에 대해서 간과하고 있다. 한편, 연구자가 북 중국 농촌 마을에서 수집한 여성의 자살 행위에 관한 민족지적 자료들은 저항적 성격을 강조하는 학자들의 논의와는 사뭇 대비되는 사실들을 드러낸다. 자료에 근거해 볼 때, 농촌 여성들의 자살 행위는 분명히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구조적인 고통의 맥락을 보여 주지만, 그렇다고 해서 각각의 자살 행위가 반드시 저항적 동기를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의 자살 행위는 자살을 시도하게 되기까지 각각의 여성들이 겪어 온 특수한 삶의 과정과 맥락, 그리고 그 안에서 형성해 온 다양한 감정적 경험들을 드러내 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중국 농촌의 여성 자살을 저항으로 해석하는 것은 과도한 일반화일 수 있으며, 자살 행위에 관한 민족지적 현실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Over the past decades, high rates and uniquely gender-related characteristics of suicide in China, such as a suicide epidemic among rural women, have attracted much scholarly and public attention. The suicide phenomenon in China has been studied either from psychiatric or sociological perspectives, and researchers in social sciences have suggested that the high incidence of female suicides in rural areas is closely related to negative influences of the government`s market reforms since the 1980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wo recent articles on suicide in China which draw respectively on James Scott`s and Michel Foucault`s concepts of resistance and interpret female suicide in rural areas as resistance against women`s painful life conditions under market reforms. The two stud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obstacles faced by rural women, the obstacles which have possibly influenced some women`s suicidal behavior. However, by overly emphasizing the resistant character which a female suicide victim might have had, these studies fail to address the concrete contexts of individual lives and the different life processes by which rural women have chosen suicide as an ultimate solution to their different problems. I also contend that by relying on the Western conceptions of resistance, the discussions overlook different norms and beliefs about human relations predominant among the Chinese, which have influenced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by which rural women have attempted or committed suicide. Findings in my own ethnographic study in northern Chinese villages are counterposed to those in the articles. Based on my research, I argue that female suicidal behavior in rural China, in fact, is not necessarily motivated by a resistant character, but rather reveals diverse emotional experiences and subjective meanings within the specific contexts in which each woman was situated before her suicide attempt. Four cases of female suicidal behavior in this paper demonstrate that rural women in China have tried self-killing in the context of different painful situations, including a job layoff, a quarrel between spouses, domestic violence, poverty, and a state of clinical depression. Their suicidal behaviors have also involved different emotional experiences, such as feelings of injustice, guilty feelings, feelings of betrayal, anger or despair. Based on my ethnographic data, I argue that to interpret female suicide in rural China as an act of resistance is over-generalization and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living realities of suicidal behavior among Chinese rural women.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친환경 항만정책의 도입 중요도 순위에 대한 연구

        이현정 ( Lee¸ Hyeon-jung ),이정욱 ( Lee¸ Jung-wook ),이향 ( Lee¸ Hyang-sook )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6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선진국의 항만들은 항만에 기인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도입해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친환경 항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에서의 대기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친환경 정책의 중요도 순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AHP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학계, 하역사, 항만공사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AHP 구성요소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4개의 대요인, 16개의 세부요인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대요인의 우선순위는 선박정책, 하역정책, 트럭정책, 항만운영정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집단별로 구분할 경우 학계, 하역사, 항만공사 모두 선박정책을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나, 2순위 요인부터는 인식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의 우선순위는 선박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도입, 환경선박지수 도입, LNG선박 보급 및 벙커링 구축, LNG 트럭 전환사업 순으로 선박정책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친환경 항만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가장 먼저 시행되고 개선해야 할 정책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국내 항만들은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해외 선진항만 사례 벤치마킹, 이해관계자 간 협의 등을 통해 항만 내 대기질을 모니터링하고, 오염원을 규제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개발하며, 정책을 지속적으로 평가 및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air pollutants has been rising around the world. Ports in advanced countries have introduced various policies to reduce air pollution caused by ports and interest in green ports has recently been on the rise. This study evaluate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policies to encourage Korean ports to apply proper and necessry policies. AHP methodology was employed and survey was conducted for different groups like academic circles, loading and unloading companies and port authority. AHP components consisted of four great factors and 16 detailed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As results, the priorities of major factors were ship policies, loading and unloading policies, truck policies, and port operation policies. All groups answered that ship policies were the most important, however differences occurred in perception of the second-highest factor. The priority of detailed factors was relatively high in ship exhaust post-processing system, followed by environmental ship indices, LNG ships and bunkering, and LNG tru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co-friendly port policies and guidelines for identifying which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and improved. In the near future, ports will need systems to monitor port air quality, develop various eco-friendly policies that can regulate pollutants, and continuously evaluate and supplement policies throu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policies, benchmarking overseas advanced ports, and consultation among major stakeholders.

      • KCI등재

        대학생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소통과제’ 소개 및 결과물 사례 연구 : 인천대학교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현정(Lee Hye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인천대학교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수업에서 제시하는 ‘소통과제’를 소개하고, 수강생들이 제출한 소통과제 결과물과 설문조사를 통해 소통과제가 대학생들의 소통 능력에 어떤 도움이 되고 있는지 그 성과 및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19년 2학기와 2020년 1, 2학기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수강생들이 제출한 201편의 소통과제 결과물 중 정성평가 방법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형식과 내용으로 나누고, 내용은 처음-중간-끝으로 구분하여 불통의 원인, 감정 및 태도의 변화, 과제 후 느낀점을 분석하였다. 보조적으로 같은 수강생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Google 드라이브의 설문조사 프로그램을 이용해 ‘소통과제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고, 회신된 130명의 응답률을 통해 수강생들의 만족도 및 소견을 참조하였다. 결과 소통과제는 자신과 소통이 필요한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소통이 잘 안 된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과 소통을 시도해서 한 학기 동안 그 사람과의 소통 과정 및 느낀 점을 리포트 형식으로 작성하는 과제이다. 학생들의 소통과제 결과물과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난 소통과제의 성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학습에 그칠 수 있는 소통의 개념 및 방법, 소통의 중요성 등을 학생들 스스로가 일상에서 소통 대상과 직접 부딪히고 체감하면서 깨달을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타자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는 용기와 상대방과의 갈등해결능력을 향상시키며, 경청과 칭찬, 작은 정성과 웃음, 나-전달법과 인정의 법칙 등으로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상호 존중하며 타자와 연대하는 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소통 과정을 리포트로 작성하고 증거 자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문서작성능력을 향상시키고, 소통 과정과 자기 내면의 감정 변화를 기록하는 성찰적 글쓰기로 대학생들의 진정한 내적 성장을 도모해 주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종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실질적이고 다양한 방법들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대학 교양교육의 방법이나 방향을 넓히는 동시에 학습자 중심의 교과 교육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ommunication system” presented i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s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class, and to reveal the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tasks through the results and surveys submitted by students. Methods Among the 201 results of communication tasks submitted by the students of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nd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the case was selected as a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A “Communication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ame students using the Google Drive survey program from August 30 to December 31, 2020, and the response rate of 130 respondents referred to their satisfaction and feedback. Results The communication task is about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a person who is regarded as having bad communication even in the relationship in need of communication with themselves, and then writing a report on the communication process with the relevant person and feelings during a semester. The performance and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task are as follow. First, the students realized the concept, methods, and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hich could be simply regarded as theoretical learning, by directly facing and experiencing the target of communication in daily life. Second, it was helpful for improving the courage to approach the other first, an ability to solve conflicts with the counterpart,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respect and solidarity by using the intent listening, praise, small sincerity, laugh, I-message, and the law of recognition. Third, the process of writing a report on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inserting evidential materials improved their abilities to write documents while the reflective writing to record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their internal emotional changes promoted the true internal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broaden the methods or direction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t a time when practical and diverse methods are required to foster comprehensive communication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hile helping to study learner-center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