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형(許衡)과 정몽주(鄭夢周)의 화이관(華夷觀) 연구

        이해임(LEE Hae-im)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허형(許衡)과 정몽주(鄭夢周) 화이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두 사람은 중화와 이적의 준거를 문화로 설정한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는 『공양전』의 화이관과 일맥상통하는 지점이다. 여기서 문화는 유교의 전장과 예법이다. 지역이나 종족의 측면에서 중화의 국가라고 하더라도 유교 문화를 따르지 않는다면 중화에서 이적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반대로 지역이나 종족의 측면에서 이적의 국가라고 하더라도 그 국가가 유교 문화를 따른다면 이적에서 중화로 변화할 수 있다. 허형과 정몽주는 모두 중화와 이적의 준거를 문화, 즉 정주성리학으로 삼았다. 다만 허형은 군주의 통치 목적인 실용주의 노선에 맞추어 정주성리학을 이해했다. 이는 형이하와 실천을 강조하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몽주는 사대부 중심의 왕권 견제에 맞추어 정주성리학을 이해했다. 이는 힘의 원리를 넘어선 초월적 영역에 도덕의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성리학 이론 자체를 순수하게 이해하는 정통주의 노선으로 나아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eo Hyeong and Chung Mong-ju’s Sino-Barbarian Theory.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setting the standard of Sino-Barbarian Theory as Culture. This is in line with Sino-Barbarian Theory of Gongyangzhuan. Here, Culture represents the political system and ritual of Confucianism. Even a civilized nation in terms of region or race, if it does not follow a Confucian culture, it can be transformed from a civilized country into a barbarian one. Conversely, a nation is a barbarian in terms of region or race, if it follows a Confucian culture, it can change from a barbarian state to a civilized state. Heo Hyeong and Chung Mong-ju adopted the differences of Sino and Barbarian as cultural that is Cheng-Zhu Neo-Confucianism. However, Heo Hyeong understood Neo-Confucianism in accordance with the pragmatism, which was the purpose of the Emperor s reign. This was characterized by an emphasis on physical realm and practice. On the other hand, Chung Mong-ju understood Neo-Confucianism in line with the checking on the royal authority centered on the scholars. This is an orthodox line that purely understands Neo-Confucian theory itself by laying the basis for morality in the transcendental realm beyond the principle of power.

      • KCI등재후보

        지역 문화인물 콘텐츠개발연구 -보령, 토정(土亭) 이지함(李之?) 을 중심으로-

        이해광 ( Haekwang Lee ),김병수 ( Byoungso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1

        본 논문은 충남 보령의 역사인물인 토정 이지함과 그의 저술로 추정되는 <토정비결>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제안을 연구한 것이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고 실제 다양한 문화콘 텐츠들이 제작, 유통됨에도 우리나라의 지역 문화콘 텐츠는 단순한 관광상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운명학의 대가 이지함을 중심으로 다양 한콘텐츠 개발 방법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 하고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eans for Tojeong Lee Jiham, a historical figure of Boryeong, Chungnam Province, and his work <Tojeong Bigyeol> to be developed as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Interest and needs on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re enlarging, and so numerous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re produced and on the market nowadays. However,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in Korea`s rural areas are utilized no more than as simple tourist course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emplifies the methods of developing various contents, concentrating on Lee Jiham, a master in Korean divination.

      • KCI등재

        시각장애 아동의 작업기억과 점자읽기 발달과의 관계

        이해성 ( Hae Sung Lee ),김화수 ( Wha Soo Kim ),이해균 ( Hae Gyu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1

        이 연구는 시각장애 아동의 점자읽기 발달과 작업기억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만10세 시각장애 아동 7명과 만 12세 시각장애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작업기억검사(무처리 단 어폭 과제, 단일처리 단어폭 과제, 숫자폭 과제, 무의미단어회상 과제)와 점자읽기(점자단어 읽기, 점자읽기 속도, 점자읽기 정확도, 점자읽기 이해력)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작업기억의 경우 무처리부담 수준의 단어폭 과제와 숫자 바로따라하기 과제에서는 연령 간 비슷한 수행점수를 보였으나, 처리부담이 증가한 단일처리부담 수준의 단어폭 과제에서는 연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자읽기 과제인 점자단어 읽기, 점자읽기 속도, 점자읽기 정확도, 점자읽기 이해력 모두 10세에서 12세의 연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작업기억과 점자읽기의 하위 과제 간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10세 시각장애 아동의 숫자폭 과제 및 무의미낱말 따라하기와 점자읽기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12세 시각장애 아동의 경우에는 무의미낱말 따라하기를 제외한 작업기억의 하위 과제 모두에서 점자 읽기 발달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 아동의 인지처리과정에 있어서 작업기억의 발달과 함께 점자읽기가 증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development and Braille reading development of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age. To this end, subjects of 7 visually impaired children with chronological age of 10 and 7 visually impaired children with chronological age of 12 were sampled, to investigate their ability of working memory and development of braille reading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working memory and braille read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ase of the working memory task, the 10-year-old visually impaired children showed similar performance score to the 12-year-olds in no load condition task and number repetition task, but lower performance score in the load-increased single load condition tasks. Second, in case of Braille reading assign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Braille reading is accomplished between age 10 and 12, through the fact that their performance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and Braille reading, the 10-year-old visually impaire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Braille reading. The 12 year-old visually impaire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oth between functional working memory and Braille reading development, and betwee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Braille reading development.

      • KCI등재

        오이 발효음료가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급여한 흰쥐의 에탄올 대사와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이해인(Hae-In Lee),서권일(Kwon-Il Seo),이진(Jin Lee),이점숙(Jeom-Sook Lee),홍성민(Sung-Min Hong),이주혜(Ju-Hye Lee),김명주(Myung-Joo Kim),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본 연구는 다량으로 폐기되는 오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오이 발효원액을 주원료로 제조한 숙취해소 음료의 간보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섭취시킨 흰쥐에서 에탄올 대사, 항산화 방어계, 간독성 관련지표 및 지질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동물은 4 주령의 수컷 SD계 흰쥐 24마리를 1주간 고형식이로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하여 에탄올대조군(Control) 및 에탄올 섭취 흰쥐에게 헛개열매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여 개발한 숙취해소 물질인 SKM 급여군(SKM) 또는 SKM을 함유한 오이 발효음료 급여군(CF+SKM)으로 나누었다. SKM과 CF+SKM은 사람의 하루 섭취량을 기준으로 체중 ㎏당 7 ㎖씩 매일 일정시각에 경구투여 하였다. SKM과 CF+SKM은 체중과 식이섭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F+SKM군의 신장무게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장 중 에탄올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SKM군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 모두 각각 40.6%와 48.4% 유의적인(p<0.05) 개선 효과를 보였다. 간조직 중의 ADH 활성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CYP2E1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간조직의 CYP2E1 활성은 혈장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r=0.566, p<0.01)였다. 간조직의 ALDH 활성은 SKM과 CF+SKM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혈장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r=-0.564, p<0.01)를 보였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내 SOD와 CAT 활성과 GSH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SKM과 CF+SKM은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SKM과 CF+SKM 급여 시 에탄올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AST 활성은 29%와 44% 낮았으며, ALT 활성은 42%와 34% 낮았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KM과 CF+SKM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았으며 특히, CF+SKM의 간조직내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SKM군과 CF+SKM군의 간조직 중 지방축적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이와 같이 SKM과 CF+SKM은 간조직의 CYP2E1 활성을 억제하고 ALDH 활성과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에탄올로 인한 간독성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ucumber fermen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of preserv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cucumber beverage (CF) containing beneficial materials for an ethanol hangover based on Hovenia dulcis (SKM)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ethanol control, ethanol plus SKM, and ethanol plus CF+SKM. SKM or CF+SKM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7 ㎖/㎏ body weight once per day for 5 weeks. Control rats were given an equal amount of water. CF+SKM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ethanol levels, whereas SKM tended to decrease the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Both SKM and CF+SKM significantly lowered the plasma acetaldehyde levels and serum transaminas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SKM and CF+SKM did not affect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however, it significantly inhibited cytochrome P450 2E1 (CYP2E1) activity.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KM and CF+SKM groups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lasma acetaldehy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patic CYP2E1 (r=0.566, p<0.01) activity and ALDH (r=-0.564, p<0.01) activity.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as well as glutathione content increased with the SKM and CF+SKM administration, whereas lipid peroxid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Furthermore, SKM and CF+SKM lowered plasma and hepatic lipid content and lipid droplet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KM and CF+SKM exhibit hepatoprotective properties partly by inhibiting CYP2E1 activity, enhancing ALDH activity and stimulat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in ethanol-treated rats.

      •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감성모델 기반 모바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 연구

        이해성(Hae-Sung Lee),권준희(Joon-Hee Kw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본 논문은 인간의 감성에 가깝고 사용자의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진정한 기술 융합에 목적을 두고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웨어러블 센서기술과 감성인식기술, 그리고 웹의 태깅 기술 융합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융합기술을 적용한 사용자 감성모델기반 모바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하여 기술한다. To improve human's life, we focus on valuable convergence of techniques through understanding human's emo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technique in which wearable sensor computing technique, emotion awareness technique and tagging of Web are converged. Also, we describe users emotional model based mobile music streaming service in which our proposed technique is used.

      • 대류유동으로 수직 분사된 과열 와류분무의 분무특성

        이해천(Haecheon Lee),윤웅섭(Woongsup Yoon)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감압비등에 의한 미립화는 더 미세한 직경의 액적을 얻을 수 있고, 분무각이 증가하며, 더 좋은 혼합특성을 갖는 다는 점에서 단순 압력식 미립화와 차이가 난다. 감압비등이란 과열된 액체를 포화 압력 이하의 대기 중으로 분사하여 급격한 비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미립화이다. 본 연구는 금속 연료를 이용한 추진기관의 산화제인 물 공급기술에 감압비등과정을 이용한 와류분무를 적용시키기 위해 수행됐다. 분열길이와 같은 거시적 특성은 Charge-Couple Device(CCD) 카메라를 이용해 측정하였고, Sauter Mean Diameter(SMD)와 SMD분포와 같은 미시적 특성은 Global Sizing Velocimetry(GSV) 시스템을 이용해 측정했다. 실험은 압력과 온도, 대류 속도를 변화시키며 진행했다.

      • 단독주택지와 공동주택지의 교통사고 위험도 비교

        이해선(LEE, Haesun),한상진(HAN, Sangjin),이혜진(LEE, Hyejin)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아파트 등 공동주택단지는 주차면의 확충, 주차 공간의 지하화, 단지 내 차량 동선 처리 및 감속 등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공에서 개발하는 단독주택지는 이러한 노력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공동주택지보다 단독주택지에서 불법주•정차, 보차혼용 등 보행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많이 관찰된다.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와 공동주택지의 사고율을 비교하여, 주거유형별로 보행자 안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보험회사에서 제공하는 교통사고 자료를 통해 일산신도시에서 발생한 최근 5년간(2011~2015년)의 사고 자료를 공동주택지와 단독주택지로 구분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19.0을 활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두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주거유형에 따라 사고 발생 확률과 심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가로환경이 열악한 단독주택지의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시를 조성하는 단계에서부터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해나가야 함을 시사한다.

      • 기계학습 기반 전력망 상태예측 모델 성능 유지관리 자동화 기법

        이해,이병성,문상근,김준혁,이혜선,Lee, Haesung,Lee, Byunsung,Moon, Sangun,Kim, Junhyuk,Lee, Heysun 한국전력공사 2020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6 No.4

        초기 학습 데이터의 과적합으로 인한 전력망 상태예측 모델의 성능 감소를 방지하고 예측모델의 예측 정확도 유지를 통한 계속적인 현장활용을 위해서는 기계학습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력망 상태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측모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현장 적용 가능한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 전력망 상태예측 모델의 성능 유지관리 자동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워크플로우 관리 기술의 적용을 통해 전력망 상태예측 모델 성능 유지관리를 위한 일련의 태스크들을 워크플로우의 형태로 모델링하고 이를 자동화하여 업무를 효율화 하였다. 또한, 기존 기술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학습데이터의 통계적 특성 변화 정도와 예측의 일반화 수준을 모두 고려한 예측모델의 성능 평가를 통해 성능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관리하고 더욱 성능이 우수한 예측모델의 신규 개발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력망 상태예측 모델 성능 유지관리 자동화 기법을 통해 예측모델의 성능 저하문제를 해결하여 분산자원 연계 등 외부 환경의 변화에 유연한 예측모델 관리를 통해 정확성과 신뢰성이 보장된 예측 모델의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 to prevent the decrease in the performance of the grid network condition prediction model due to overfitting of the initial training data and to continuously utilize the prediction model in the field by maintaining the prediction accurac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hich increase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prediction model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grid state data that constantly changes due to various factors, and enables quality maintenance at a level applicable to the field. The proposed technique modeled a series of tasks for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power grid condition prediction model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workflow management technology in the form of a workflow, and then automated it to make the work more efficient.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result is secured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 model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nd the level of generalization of the prediction,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in the existing technology. Through this,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and further new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s with excellent performance is possible. As a result, the proposed technique not only solves the problem of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predictive model, but also improves the field utilization of the condition prediction model in a complex power grid system.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요골 골밀도치에 의한 골다공증의 빈도 및 폐경에 따른 변화

        이해남(Hae Nam Lee),박용문(Yong Mun Park),장미경(Mi Kyoung Jang),변용진(Yong Jin Bye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7

        목적 : 우리나라 여성의 나이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와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빈도를 알아보고 폐경 전과 후의 골밀도 변화와 골다공증의 빈도를 조사해 골다공증 발생과 폐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호르몬 대체요법 및 골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복용의 경험이 없는 지방공사 충주의료원을 방문한 여성 296명 (30대 16명, 40대 119명, 50대 79명, 60대 82명)을 대상으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 계측기 (osteoplan p-DXA)를 이용하여 요골 말단의 두 부위에서 측정한 골밀도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된 골밀도치를 이용하여 WHO의 기준에 따라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진단하였다. 결과 : 여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요골 말단의 두 부위에서 측정한 골밀도와 T-score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요골 말단 두 부위에서의 골다공증의 빈도는 30대에서는 0%, 6.2%, 40대에서는 7.6%, 3.4%, 50대에서는 26.6%, 27.9%, 60대에서는 81.7%, 87.8%으로 두 부위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40대와 50대 여성을 폐경 전과 후의 두 군으로 나누어 측정한 골밀도와 T-score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40대와 50대 여성 모두에게서 폐경 전 군보다 후 군에서 낮았다. 골다공증의 빈도도 40대 폐경 전 군에서는 4.6%, 2.3%였으나 폐경후 군에서는 15.6%, 6.3%로 폐경 후 군에서 높았고 50대에서도 폐경 전 군에서는 8.3%, 8.3%였으나 폐경 후 군에서는 29.9%, 31.3%로 높았다. 결론 :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는 낮아지고 골다공증의 빈도는 높아지는데 특히 폐경기 이후에 이러한 변화가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enopausal status on BMD in Korean women Methods : Ultra-distal and distal radius BMD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 ray absorptiometry (osteoplan p-DXA) in 296 women. The result was analysed, retrospectively. We diagnosed osteopenia and osteoporosis according to the WHO criteria Results : The ultra-distal and distal radius BMD and T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 of age. Of women in their thirties, the prevalence of ultra-distal and distal radial osteoporosis were 0%, 6.2%, and in their forties, they were 7.6%, 3.4% and in their fifties, they were 26.6%, 27.9% and of women in their sixties, they were 81.7%, 87.8%. Of women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premenopausal women had a higher BMD result tha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same age group. Of premenopausal women in their fortie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ere 4.6%, 2.3% and of postmenopausal women in that age, they were 15.6%, 6.3%. Of premenopausal women in their fiftie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ere 8.3%, 8.3% and of postmenopausal women in that age, they were 29.9%, 31.3%. Conclusion : With increasing age,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creased and the BMD decreased. In the postmenopausal state, this difference became larger

      • KCI등재

        현대시에서의 그로테스크

        이해운(Lee, Hae-W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2 한국문학과 예술 Vol.9 No.-

        그로테스크는 보통 ‘자연의 법칙과 비례로부터 어긋나고, 우스꽝스러우며, 양립할 수 없는 이질적 요소들이 섞여 있는 비정상의 상태’ 등으로 설명되는 개념이다. 쉽게는 ‘이상하고, 기괴하며, 부조리하고 흉측한 것’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한편, 근래 문학의 흐름을 진단하는 글들에서 ‘포스트모던, 해체, 혼종성, 몸, 환상’과 같은 용어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아마도 그로테스크에 관한 논의는 이러한 주제들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리라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최승자, 진은영, 김언희, 최승호의 시를 예로 들어 현대시에 나타나는 그로테스크의 몇 가지 양상과 성격을 간략히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로테스크를 일종의 ‘정체성’에 관한 물음으로 환원하여 접근하였다. 그로테스크하다고 여겨지는 반응 속에는 근원적으로 ‘그것은 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담겨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과장되거나 왜곡된 낯선 이미지를 접하면서 독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로테스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Grotesque normally means "anomalism mixed of running counter to a law of nature and proportion, ridiculous and incompatible elements". In plain language, it is defined "a thing strange, incongruousness and ugly". Meanwhile, in writings analyzing recent literary trend, we are able to find these sorts of words "postmodern, deconstruction, hybridity, body or fantasy". Perhaps a discussion of grotesque help to understand these subjects. In this thesis, instancing the poems of Choi seung-ja, Jin eun-young, Kim eon-hee and Choi seung-ho, the writer will find some aspect and character of grotesque in modern poetry. For this, this writing will study through reducting grotesque to "identity". Because in the grotesquery reaction, there is the question "what on earth is it?" basically. Although the readers feel uncomfortable contacting the exaggerated and contorted image, in having a opportunity to change our realization, the importance of grotesque will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