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학술지의 논문 검색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발효기간별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의 변화
김용식(Yong-Shik Kim), 조철훈(Cheorun Jo),최구희(Goo-Hee Choi),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073-1078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박유화(Yu Hwa Park), 임상현(Sang Hyun Lim),김희연(Hee Yeon Kim),박민희(Min Hee Park),이광재(Kwang-Jae Lee),김경희(Kyung Hee Kim),김영국(Young-Guk Kim),안영섭(Young Sup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079-1085
하수오와 백하수오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B16/F10 Melanoma 세포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서희(Hee Seo), 서근영(Geun Young Seo),고수지(Su Zie Ko),박영현(Young Hyu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086-1091
β-Carotene의 섭취가 당뇨 유도 흰쥐의 간조직 항산화효소 활성과 Glutathi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장정현(Jung-Hyun Jang), 이경순(Kyeung Soon Lee),서정숙(Jung-Sook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092-1098
오이 발효음료가 만성적으로 에탄올을 급여한 흰쥐의 에탄올 대사와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이해인(Hae-In Lee), 서권일(Kwon-Il Seo),이진(Jin Lee),이점숙(Jeom-Sook Lee),홍성민(Sung-Min Hong),이주혜(Ju-Hye Lee),김명주(Myung-Joo Kim),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099-1106
급성 알코올 중독에서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식품 조성물의 보호 효과
최근호(Geun-Ho Choi), 김종관(Jong-Gwan Kim),권승택(Seoung-Taek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107-1112
팜중부유를 이용한 대칭형 Palmitoyl-Oleoyl-Stearoyl Triacylglycerol의 효소적 합성 반응 연구
이선모(Seon-Mo Lee), 신정아(Jung-Ah Shin),홍순택(Soon-Tack Hong),이기택(Ki-Tea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113-1120
송석보(Seuk Bo Song), 서혜인(Hye In Seo),고지연(Jee Yeon Ko),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오병근(Byeong Geun Oh),서명철(Myung Chul Seo),윤영남(Young Nam Yoon),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121-1127
고지연(Jee Yeon Ko), 송석보(Seu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서명철(Myung Chul Seo),오병근(Byeong Geun Oh),곽도연(Do Yeon Kwak),남민희(Min Hee Nam),정헌상(Heon Sang Jeong),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p.1128-1135
SJR(SCImago Journal Rank)는 스페인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ntificas의 Felix de Moya 교수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모든 인용은 동등하지 않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입니다.
구글의 Page Rank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아 전체 인용 네트워크에서 노드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명성이 높은 저널에서의 인용은 고득점으로 평가되어 같은 인용이라도 보다 높게 평가 됩니다. 또한 저널의 주제분야, 질과 명성이 모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평가 지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Scopus 데이터의 인용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되며, Scopus에 등재되지 않은 OA 저널평가에도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