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외모:TV 화장품 광고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하나,Hannah Lee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0 No.-

        현재 한국 사회에서 외모는 자기 관리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과도한 외모 관리로 인해 정신적 문제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에 주목하여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가 외모에 대한 가치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지 않은지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화장품 광고를 선택하였으며, 기존 질적 방법론에 쓰인 분석법과 결과를 양적방법으로 재해석하여 광고 메시지의 이데올로기적 요소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화장품 광고는 수용자들로 하여금 외모를 통한 자기관리를 부추길 수 있는 메시지들을 내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37%의 광고에서 좋은 외모와 그렇지 않은 외모를 비교할 수 있는 단서를 제시하고 있었으며, 32.5%의 광고에서 이원대립구조를 지닌 메시지가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특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차이 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국내 화장품 광고는 주로 여성 수용자들을 소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었는데, 이는 아직까지 외모 관리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중요한 문제이며, 일상임을 말해주는 부분이다. In Korea, appearance has been recognized as an object of self-management.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excessive appearance management was strongly correlated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line with that,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s cultivation effect and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 representation of ideal appearance criteria in Korean society and to examine the social norm (or values) disseminated through television advertisements. The result showed that advertised message mostly contained and highlighted elements that underpinned the notion of appearance’self-management. Most advertising models were beautiful and young female. More specifically, 37% of the messages included clues that can be used to compare good or bad appearance. 32.5% provided dichotomous messages. This paper made clear that the television advertisement operated as a tool securing an ideological social values.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이 느끼는 짜증스러운 기분의 구성 차원 탐색

        이하나(Lee, Hannah),안순태(An, Soonta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후기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일상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기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학문적 논의가 활발하지 못했던 짜증스러운 기분을 주목하고, 세이어(Thayer)의 기분 이론을 토대로 이 기분이 어떠한 느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8세 이상 24세 이하 후기 청소년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짜증스러운 기분에는 ‘화’, ‘싫은’, ‘예민함’ 등 신경질적인 측면과 ‘우울’, ‘귀찮음’, ‘답답함’ 등 무기력적인 측면이 모두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일상적 기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짜증스러운 기분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했다. Daily negative moods may affect late adolescents’ mental health. This study focused on irritability and explored the composition of the feeling state. Thayer’s mood theory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s with 150 participants, aged 18 to 24. Based on a semantic analysis of open-ended responses, we found that the status of irritability reflects two dimensions. One dimension is related to nervous conditions such as anger, dislike, disgust, and being provoked. The other dimension is associated with feelings of helplessness such as feeling subdued, depressed, or discouraged. Th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rritability in understanding late adolescents’ daily mood for the overall purpose of mental health promot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oretical contribu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자살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다큐멘터리에 재현된 `우리`와 `그들`

        이하나 ( Lee Hannah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4

        한국 사회의 높은 자살률은 자살과 자살을 선택한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동반한다. 본 연구는 자살에 대한 한국 사회의 지배적 인식이 갖는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기 위해 현실을 재구성하는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가 생산하는 주류 사회의 인식이라는 학문적 틀을 토대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통해 재현되는 자살 시도자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KBS 1TV의 `행복 발전소: 포기 제로 프로젝트`를 분석 대상으로 토도로프와 채트먼의 서사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살에 대한 우리 사회의 주류적 시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살에 대한 두 가지 지배적인 담론이 발견되었다. 첫째는 자살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로 사회에 의존하기 보다는 스스로 이겨내야 한다는 개인적 책임 담론이었다. 다큐멘터리의 주인공들이 자살을 생각하게 된 원인이 모두 당사자들에게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으며, 현재 주인공들이 처한 상황은 그들 스스로의 의지로 충분히 극복될 수 있다는 점들이 강조되고 있었다. 두 번째는, 정상적인 가족 안에서만 정서적 안녕을 가질 수 있다는 정상 가정 담론이 발견되었다. 자살 위기에 놓인 주인공들은 건강하지 못한 가정 속에 사는 사람들로 묘사되고 있었으며, 결손 되거나 해체된 가정 속에서는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생겨날 수밖에 없다는 담론이 반복적으로 생산되고 있었다. Korea`s high suicide rates accompany negative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those who commit suicide. To address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s dominant perception toward suicide, we aim to critically examine media`s role in reconstructing reality. Focusing on stigma toward social minorities, we examined how those with suicide attempts were shown in a TV documentary. This study analyzed KBS 1TV`s `Happiness Generator: Zero Abandonment Project` based on the Todorov and Chatman`s narrative analysis method to see the mainstream perception of suicide in Korean society. Results identified two dominant ideologies on suicide. First was the `individual responsibility` argument suggesting that suicide is a personal matter in which individuals should cope with, without relying on society. The individual responsibility argument attributed the causes of suicide attempts to the individual themselves which, in turn, can be overcome by their own will. The second ideology was the `normal family` argument, emphasizing that stable emotional states can be only obtained in a normal family structure. Those with suicide attempts were described as people from unhealthy, abnormal families. The normal family argument repeatedly reinforced the stereotypical perception that single parent families or torn-apart families cannot help but yield troublesome individual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신건강과 자살 리터러시에 대한 탐색: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매개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중심으로

        이하나 ( Hannah Lee ),안순태 ( Soontae A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온 정신건강문제와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두고, 우울증 및 자살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전반적인 이해수준을 파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한 현 시대적 환경을 반영, 인스턴트 메신저를 매개로 발생한 정신건강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설정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상, 우울증, 자살 위기 상황을 설명하는 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들이 우울증 및 자살 위기상황에 대해 얼마나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당사자들이 처한 상황을 도움이 필요한 위기 상황으로 받아들이는지, 위기자들에게 어떠한 조언들을 제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주관식 답변들을 토대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은 정상과 우울증, 자살 징후에 대해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증상의 심각성 수준에 따른 걱정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제안된 조언들의 유형도 대체로 소극적 수준에 머물렀다. 종합하면, 참가자의 정신건강 이해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으며, 우울증 및 자살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방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위기 상황에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개입이 진행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자살 시도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으며, 자살 위기 상황에 대한 소극적인 개입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정신건강 이해수준을 높일 수 있는 리터러시 교육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symptom and treatment, focusing on interpersonal health communication that have been overlooked. This study set up communication situation through instant messenger reflecting the cur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mobile media.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whether participants were correctly aware of depression and suicide crisis and suggested appropriate coping advice for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s,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could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normal, depression, and suicidal symptom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worry depends on severity of symptoms. Recommendations for health crisis also mostly passive coping strategies. Taken together, most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d low mental health literacy, so there was no ac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in crisis situations. Untreated depression has a high risk of attempting suicide, and passive intervention in a suicidal crisis can lead to suic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urgent for literacy education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level of mental health.

      • KCI등재

        한국형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Suicide Literacy)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안순태 ( An Soontae ),이하나 ( Lee Hann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아직 국내에서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 척도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서구권에서 개발된 기존 척도 문항들을 기반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도했다. 한편,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척도를 번안하는 차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한국 사회의 자살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 일반인 조사 등을 병행하는 단계적 연구 과정을 거쳐 진위형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 축소 과정을 거치며 명확한 답을 내리기 어려운 문항들을 삭제했다. 결과적으로, 초기 57개의 문항은 최종적으로 15개로 축소됐으며, 1) 위기대응/예방, 2) 위기신호, 3) 위험요소 등 세 개의 요인을 구성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종 척도는 자살과 관련한 정보 문항들이 배제되고, 위기 신호와 위기대응ㆍ예방에 대한 부분이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사람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에 관한 지식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고, 이에 대한 측정 도구를 개발한 첫 연구로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uicide literacy. Based on the Scale of Suicide Literacy (LOSS), we attempted an exploratory study reflecting culture-specific items. This study focused on constructing items that can help reduce the suicide rate in Korean society. After compiling exploratory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 online in-depth survey, we first extracted distinctive factors with a Delphi expert consultation. In this study, items that were difficult to answer clearly were deleted through the scale-reduction process. Then, based on another survey of 552 adult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yielded 3 factors with 15 items: 1) treatment/prevention, 2) risk factors, 3) signs. The final scale was strengthened items measuring treatment/prevention and signs. This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 Korean suicide literacy scale.

      • KCI등재

        미세먼지 대응 행동 촉진을 위한 메시지 구성 전략 탐색

        김영욱(Yungwook Kim),이하나(Hannah Lee),김혜인(Haein Kim),문현지(Hyeonji M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2 No.-

        이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위험 메시지가 개인의 대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발생에 대한 원인 귀인과 미세먼지 위험에 따른 결과의 불확실성 수준이라는 메시지 요인이 저감 행동 의도와 예방 행동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 효과와 불안 감정의 매개 효과가 유효한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원인 귀인과 불확실성 수준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메시지 효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메시지 요인에 따른 예방 행동 의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먼 경우에는 외부 귀인 메시지를 받은 참가자보다 내부 귀인 메시지를 받은 참가자가 미세먼지 위험의 불확실성 수준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마지막으로, 불안이라는 감정의 매개 효과는 저감 행동 의도 및 예방 행동 의도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행동 동기를 자극하는 데 있어 감정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세먼지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이론적·실무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risk messages on individual coping behaviors. Specifically, the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attribution about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and the level of uncertainty on risk reducing and preventing behaviors with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both attribution and uncertain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attribution,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behavioral intentions. When psychological distance was perceived far,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internal attribution message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level of uncertainty than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external attribution message. In addition,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anxiety on both risk reducing and preventing behavior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particulate matter risk communication strateg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