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al Transmission of Social Media Native Advertising

        Soontae An(안순태),Hannah Lee(이하나) SBS 2017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5 No.4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공유 행위를 유도하는 메시지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감성 자극 네이티브 광고와 중립적 네이티브 광고가 세 가지 공유 행동(댓글 작성, 좋아요 누르기, 공유하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특히 심리적 각성의 매개 역할에 초점을 두고 감성 자극 네이티브 광고가 심리적 각성을 통해 공유 행위로 연결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감정 자극 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는 중립적 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보다 심리적인 각성이 높았으며, 메시지를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겠다는 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무엇보다, 메시지 특성으로 인해 유발된 심리적 각성이 공유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완전 매개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 각성 수준이 높은 네이티브 광고일수록 소비자를 통해 타인에게 공유될 가능성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native advertising that facilitate its social transmission. We investigated effects of content characteristics (emotionally charged vs. neutral) on sharing behavior (like, comment, and share). In particular, psychological arousal was examined as a mediator between message characteristics and sharing behavior.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exposed to emotionally charged messages became more psychologically aroused than did those exposed to neutral messages, and had higher intention to share messages. Importantly, psychological arousal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message characteristics and sharing activities.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arousal indicated people’s tendency to engage in social transmission of emotionally charged messag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형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Suicide Literacy)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안순태 ( An Soontae ),이하나 ( Lee Hann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아직 국내에서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 척도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서구권에서 개발된 기존 척도 문항들을 기반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도했다. 한편,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척도를 번안하는 차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한국 사회의 자살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 일반인 조사 등을 병행하는 단계적 연구 과정을 거쳐 진위형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 축소 과정을 거치며 명확한 답을 내리기 어려운 문항들을 삭제했다. 결과적으로, 초기 57개의 문항은 최종적으로 15개로 축소됐으며, 1) 위기대응/예방, 2) 위기신호, 3) 위험요소 등 세 개의 요인을 구성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종 척도는 자살과 관련한 정보 문항들이 배제되고, 위기 신호와 위기대응ㆍ예방에 대한 부분이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사람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에 관한 지식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고, 이에 대한 측정 도구를 개발한 첫 연구로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uicide literacy. Based on the Scale of Suicide Literacy (LOSS), we attempted an exploratory study reflecting culture-specific items. This study focused on constructing items that can help reduce the suicide rate in Korean society. After compiling exploratory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 online in-depth survey, we first extracted distinctive factors with a Delphi expert consultation. In this study, items that were difficult to answer clearly were deleted through the scale-reduction process. Then, based on another survey of 552 adult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yielded 3 factors with 15 items: 1) treatment/prevention, 2) risk factors, 3) signs. The final scale was strengthened items measuring treatment/prevention and signs. This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 Korean suicide literacy scale.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개인적 탄력성(resilience)

        안순태(An, Soontae),강승미(Kang, Seungm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태학 시스템 이론(bioeconological theory)을 적용하여 사회 환경적 요소가 개인적 탄력성(individual resilience)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커뮤니티 탄력성이 높을수록 개인적 탄력성이 높아지고, 이는 스트레스 정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개인적 탄력성에 대한 커뮤니티 탄력성의 효과는 기관 신뢰도와 상호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즉, 커뮤니티 탄력성의 영향력은 기관 신뢰도가 높은 경우에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커뮤니티 탄력성이 개인적 탄력성을 거쳐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기관 신뢰도의 조절적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커뮤니티와 사회 기관의 중요함이 밝혀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n college students` individual resilience and stress. Results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the individual resilience between the community resilience and the level of stress. That is, a higher community resilience led to higher levels of individual resilience, which resulted in lower levels of stress. Furthermore, the moderating role of institutional trust was found.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wa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 levels of institutional trust than those with low levels of institutional trust. This study highlights on the important role of social environmental systems in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stress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건강정보행동을 통한 심리적 건강

        안순태(Soontae An),임유진(Yujin Lim),정순둘(Soondool Chung)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5

        본 연구는 건강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심리적 건강 증진의 효과, 특히 건강정보행동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만 20세부터 79세까지 비노인과 노인 집단을 포함한 10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집단과 비노인 집단간 심리적 건강, 건강정보행동, 디지털리터러시에 있어 전반적인 수준 차이가 확인되었다. 무엇보다연령 증가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건강정보행동의 매개효과와 디지털리터러시의 조절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것으로 검증되었다. 노인의 경우 디지털리터러시가 높을 경우 비노인에 비해 건강정보행동이 크게 증가하여 심리적 건강의 향상으로연결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는 노인 집단에 있어 능동적인 건강 정보 추구와 디지털리터러시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health inform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e mediating role of health information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were examined. A total of 1,000 South Koreans aged 20 - 79, including an elderly group and a non-elderly group, participated in face to face interviews. ROverall, results confirm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health information behavior and digital literacy between the elderly and non-elderly groups. More importantly, both the mediating role of health information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turned out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the elderly with high levels of digital literac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health information behavior, while the non-elderly with high levels of digital literacy did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ctive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digitial literacy for the elderly.

      • KCI등재

        유튜브 먹방(먹는 방송, Mukbang)의 광고 내용 분석 연구 : 인스트림 광고와 인플루언서 유료 광고 콘텐츠 중심으로

        안순태(Soontae An),임유진(Yujin Lim),하시은(Sieun Ha)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 인기 유튜브 먹방(먹는 방송, Mukbang) 영상 40개에 포함된 105개의 인스트림 광고와 인플루언서 유료 광고 콘텐츠 두가지 광고 유형 모두 내용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튜브 먹방 인스트림 광고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은 어떠한지, 그 가운데 유튜브 먹방 인스트림 식품 광고의 비율과 특징은 어떠한지, 유튜브 먹방 인플루언서 유료 광고의 표기 여부와 특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유튜브 먹방 인스트림 광고에는 먹는 방송과 관련된 식음료 제품을 비롯해 청소년들의 관심 제품군인 게임, 뷰티 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체 분석 대상의 2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 식품 광고의 경우 가정이나 야외에서 인스턴트 또는 간편식으로 섭취하는 장면이 빈번하게 나타나 시청자들의 건강식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튜브 먹방 인플루언서 유료 광고의 표기 비율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20년 공정거래위원회의 광고 고지에 관한 경제적 이해 관계에 관한 규정 이전 과거에는 유튜브 먹방 프로그램 내 유료 광고가 빈번히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유튜브 먹방 식품 광고 및 인플루언서 유료 광고가 시청자들의 건강식생활에 미치는 막대한 파급 효과를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유튜브 먹방 광고 콘텐츠 기획과 제작 방향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dvertisement content in YouTube Eating Shows (Mukbang) in South Korea. 105 in-stream advertisements in 40 famous YouTube Eating Show video clips as well as paid influencer advertisement content we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format, content, and healthy eating behavior. Also, whether paid advertising content by YouTube influencers was notified and content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much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ncluded low nutrient food and unhealthy eating behavior. With the possibility of negative effects on YouTube viewers, Mukbang advertisement makers and content creators should take their role of social responsibility more seriously.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nsights and directions for YouTube advertisements to facilitate healthy eating behavio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건강정보검증에 대한 노인과 비노인 집단 비교

        안순태(Soontae An),임유진(Yujin Lim),정순둘(Soondool Chu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본 연구는 노인과 비노인에 있어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에 따른 건강정보검증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집단과 65세 미만 비노인 집단 1,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 고저에 따른 집단의 특성과 건강정보검증 행동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디지털리터러시-건강임파워먼트 저-저 집단과 저-고 집단에서 노인 집단이 많이 나타났으며, 고-저 집단과 고-고 집단에서는 비노인 집단이 많이 나타났다. 특히 노인 집단은 저-고 집단에 속한 빈도가 높게 나타나 디지털 건강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능력은 낮고 자신감은 높은 경우가 많은 반면, 비노인 집단은 고-저 집단에 속한 빈도가 높게 나타나 건강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능력은 높지만 자신감이 낮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집단에서는 건강정보검증행동에 미치는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의 상호작용이 검증되었으며, 비노인 집단에서는 건강임파워먼트의 주효과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집단은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의 균형있는 개선이 필요한 반면, 비노인 집단은 건강임파워먼트를 통한 건강 정보활용 능력에 대한 자신감의 개선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health information verification behavior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groups. Targeting a total of 1,000 people in the two group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were investigated. Interestingly, this study found that elderly people fell primarily in the category of low digital literacy and high health empowerment. However, non-elderly people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high digital literacy and low health empowerment category. Also, our analyses found an interaction effect in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on health information verification behavior in the elderly group, while the main effect of health empowerment was verified in the non-elderly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lderly need to improve both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while the non-elderly need to focus on developing subjective confidence through health empowe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