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PL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해석

        김영욱(Kim, Yungwoo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1

        지금까지 PPL에 대한 논의는 기능주의적인 효과성에 집중되어 왔지만, 이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관점에서 PPL이 가지는 사회적인 의미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자본론』에서 주장한 일반적인 노동과 마찬가지로 시청자의 시청시간은 노동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방송사들은 노동 시간을 절대적 혹은 상대적으로 착취함으로써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한다. 특히 PPL 상황에서는 이러한 착취가 실질적인 노동 착취를 포함해서 이중적으로 일어난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PPL이 사회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데는 물신 숭배의 영향이 크다. 사람들은 상품을 통해 사회적인 인간관계를 대체해 나간다. 노동은 상품 속에서 해체되고 상품의 교환 가치만이 유일한 사회관계로 살아남는다. PPL은 이러한 상품의 물신 숭배를 통해서 노동으로서 시청이라는 사실은 무시되고 자연스러운 이윤 창출 도구로서 수용된다. 프로모션 사회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노동의 유형과 무관하게 대상을 상품화하고 있으며, 이는 방송 광고의 자유 경쟁 체제를 주장하는 논리와는 무관하게 시청자의 복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논의했다. Discussions about product placement were focused on functionalistic effectiveness until now. However,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ally interpret the social meaning of product placement using a communication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Viewers’ viewing time can be considered as labor defined in Karl Marx’s Capital. Broadcasting companies exploit this labor, either absolutely or relatively, in an effort to maximize profits. Situations in product placement are especially problematic in that exploitation occurs in every aspect. Despite this problem, product placement is generally accepted in society largely due to the process of fetishism. People now substitute soc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roducts. Labor is forgotten in the presence of products, and exchange value is the sole represent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Product placement, through the fetishism of products, hides the fact that viewing is a form of labor, and is accepted as a natural tool for generating profit. A promotion society commodifies entities, regardless of the form of labor, in order to maximize profits. This kind of commodification does not match with the logic which espouses free competition between commercials, and deteriorates the welfare of viewers in the long run.

      • KCI등재

        코로나19에 대한 죽음 현저성이 정부 대응에 관한 의견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 중심

        김영욱(Yungwook Kim),김혜정(Hyejung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4 No.-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죽음 현저성이 정부 대응에 관한 의견양극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죽음 현저성에서 의견양극화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관계를 검증한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함께 분석하여 공포관리이론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했다. 선택적 노출은 죽음 현저성으로 인한 내집단 편향을 정보탐색 관점으로 확장한 것이고, 정치적 성향은 코로나19 정부 대응이 정치적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관한 일반적 평가에 대한 의견양극화에서만 선택적 노출의 매개효과와 정치적 성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치적 성향이 보수일수록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관한 일반적 평가에 대해 자기 생각과 유사한 정보에 선택적으로 노출함으로써 의견양극화가 더욱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관해 세부 정책을 체계적으로 고려하기보다 전반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의견을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위험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VID-19 mortality salience on opinion polariz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selective exposure and the moderating roles of political orientation. Previous studies that deal with mortality sa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rror management theory have focused on examining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mortality salience and opinion polarization. However, the current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theory by exploring addi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lective exposure extends in-group bias to a point of view of information seeking, and political orientation have some impact because governmental response to COVID-19 could be interpreted via political lens. As res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ective exposur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litical orientation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opinion polarization on the general assessment of governmental response to COVID-19. Specifically, the more conservative the political orientation is, the more polarized the opinion on the general assessment of governmental reactions by selectively exposing to information supporting one’s own previous attitude. It suggests that people evaluate the governmental response to COVID-19 by assessing it overall rather than systematically considering detailed polic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llowing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미세먼지 대응 행동 촉진을 위한 메시지 구성 전략 탐색

        김영욱(Yungwook Kim),이하나(Hannah Lee),김혜인(Haein Kim),문현지(Hyeonji M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2 No.-

        이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위험 메시지가 개인의 대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발생에 대한 원인 귀인과 미세먼지 위험에 따른 결과의 불확실성 수준이라는 메시지 요인이 저감 행동 의도와 예방 행동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 효과와 불안 감정의 매개 효과가 유효한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원인 귀인과 불확실성 수준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메시지 효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메시지 요인에 따른 예방 행동 의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먼 경우에는 외부 귀인 메시지를 받은 참가자보다 내부 귀인 메시지를 받은 참가자가 미세먼지 위험의 불확실성 수준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마지막으로, 불안이라는 감정의 매개 효과는 저감 행동 의도 및 예방 행동 의도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행동 동기를 자극하는 데 있어 감정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세먼지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이론적·실무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risk messages on individual coping behaviors. Specifically, the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attribution about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and the level of uncertainty on risk reducing and preventing behaviors with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both attribution and uncertain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attribution,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behavioral intentions. When psychological distance was perceived far,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internal attribution message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level of uncertainty than participants who received the external attribution message. In addition,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anxiety on both risk reducing and preventing behavior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particulate matter risk communication strategy.

      • KCI등재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공중들의 정보탐색과 처리에 대한 연구: 인지된 정보 수집 능력, 언론 정보원 신뢰, 책임 귀인과 경험 정도의 조절 효과 분석

        김영욱 ( Yungwook Kim ),이현승 ( Hyunseung Lee ),이혜진 ( Hyejin Lee ),김혜인 ( Haein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위험 정보 탐색 처리 모델을 이용하여 공중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탐색 및 처리과정을 살펴보고, 미세먼지 위험의 책임 귀인 및 건강 증상 경험 여부에 따라 집단 별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위험 정보 탐색 처리 모델에서 정보 불충분성을 정보탐색 및 처리행동에 대한 주요한 동기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과 다르게, 미세먼지 위험 사례에서는 정보 불충분성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 참가자들은 미세먼지 관련 정보가 불충분하다고 느끼면서도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절한 대처 행동을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추구하거나 체계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려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정보 불충분성이 주변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려는 경향은 낮추도록 동기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불충분성이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상정된 조절 변인들에 의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함의를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ublic seeks and processes risk information about particulate matter and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hich are classified by the level of China attribution and health symptom experience.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RISP) Model was adopt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information sufficiency does not have a major effect on the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in the case of particulate matter risk. Even though the survey participants perceive information insufficiency about particulate matter, they do not tend to seek information actively or process information systematically to understand particulate matter risk. Also, the effects of information sufficiency differ depend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 쟁점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영욱(Yungwook Kim),함승경(Seungkyung Ham),김영지(Youngjee Kim),최지명(Jimyoung Choi)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4

        이 연구는 사드 배치와 관련한 미디어 보도를 비판적 담론 분석 틀을 이용하여, 텍스트, 담론적 실천, 그리고 담론의 사회문화적 실천 차원에서 분석했다. 분석대상은 7천여 건의 빅데이터로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텍스트 분석을 한 결과 9개의 주제가 분석되었고, 진보지와 보수지 간의 주제 분포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담론적 실천 분석에서 적극적으로 담론적 실천을 보인 담론의 경우, 보수지는 위협, 안보, 경제 보복 담론이었고, 진보지는 MD 편입, 안보 외교, 사드 공방 담론이었다. 담론적 실천에서 보수지는 위협, 동맹 확대, 우려와 비판의 담론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보지에서는 비판, 외교 우선, 국민참여 전략을 사용해 담론의 헤게모니를 구축하고자 했다. 담론의 사회적 실천 분석에서 파악된 대립하는 담론들의 이데올로기는 진보와 보수,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담론 경쟁의 이론적인 함의와 향후 분석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논의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extual, discursive, and sociocultural practice of media discourses on the THAAD deployment with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perspective. The big data consisting more than 7,000 news articles were analyzed. The topic modeling method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For the textual analysis, nine topics were discovered by the topic modeling. The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beral media and the conservative media in terms of the topic distribution and keywords. In the discursive practice analysis, the conservative media showed the threat,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sanctions discourses while the liberal media showed discourses on MD deployment, diplomacy, and public opinions. Discursive strategies utilized in the conservative media were the military response, enhanced ally, prioritizing national security and the ones in the liberal media were sovereign national security, peace and cooperation, and public opinion. The strategies tried to construct hegemonies. The ideologies of sociocultural practices of discourses were left and right, conservatism, liberalism, and nationalism.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methodolog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디지털 공짜노동(free labor), 논쟁과 진화 그리고 공유지 회복

        김영욱(Yungwook Kim) 한국언론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7 No.3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특징적인 착취 대상으로 거론되는 디지털 공짜노동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 논문은 디지털 공짜노동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논의 과정과 비판적인 시각을 함께 소개한 다음, 디지털 공짜노동의 구성요인과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앞으로 디지털 공짜노동을 통해 자본의 착취 시스템이 점점 강화되어 가는 문제를 풀기 위한 해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디지털 공짜노동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 수용자상품론, 비물질노동, 생산소비자상품론 논의를 가져왔고, 이러한 논의가 오히려 착취의 범위를 넓히게 되는지, 아니면 혁명의 동력을 폭넓게 창출하는지에 대해서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현실에서 디지털 공짜노동은 프로모션 경쟁을 통해서 더 심도 깊은 착취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그러한 전망을 더욱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진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디지털 공짜노동을 통한 자본의 착취 구도 심화를 타개할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Digital free labor is one of the first things that comes to mind when exploring objects that are exploited in the digital media age. In order to delve deeper into the topic of digital free labor,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ritical perspectives that explain digital free labor. Next, the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constitute digital free labor and how digital free labor has evolved. Finally, the paper discusses possible solutions to the ever-strengthening exploitation system that capital has set up using digital free labor. In order to have a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digital free labor, this paper refers to the audience commodity theory, the concept of immaterial labor, and the prosumer theory. Furthermore, the paper comments on whether these theories widen the scope of exploitation or creates the drive necessary for revolution. Currently, the exploitation of digital free labor is evolving and intensifying due to promotion struggles,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only reinforces such exploitation. Basing itself on realistic diagnoses and prospects, this paper discusses means that can be used to defeat the intensification of capital’s exploitation system.

      • KCI등재

        세월호 침몰은 참사인가? 사고인가? -비판적 담론분석(CDA)을 적용한 세월호 담론 경쟁

        김영욱 ( Yungwook Kim ),함승경 ( Seungkyung Ham ) 한국PR학회 2015 PR연구 Vol.19 No.4

        A discourse struggles paradigm extends the analysis unit of PR communication to include social issues beyond the organization and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field of public discussions through the discourse struggles among various social agents, while giving consideration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is study analyzed the Sewol ferry case with the discourse struggles as a framework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discourse that formed aggressive discourse practices is the one about the fact-finding investigations of bereaved families and civic groups, which got to form the meaning of the Sewol ferry case, while being reconstructed as tail cropping, special law and remembrance discourses. The competing discourses by period are also investigated. In the rescue period, the disaster discourse configured by bereaved families, civic groups and progressive media competed against the accident discourse produced by government and conservative media. In the responsibility investigation period, the discourse about the truth ascertainment of bereaved families, civic groups and progressive media competed with the discourse about the compensation of government and conservative media. And lastly, in the countermeasures period, the heated struggles continued between the discourse about the remembrance of bereaved families/civic groups and the one about the fatigue of the conservative media to obtain social support. At first, citizens who were shocked at the Sewol ferry case supported the disaster discourse of bereaved families who claimed the reformation with progressive ideologies. However, with the passage of time, they came to embrace the ideologies of individualism and negligence liability principles of the compensation and fatigue discourses, and therefore the center of hegemony was moved to the discourse of the government and conservative media.

      • KCI등재

        미세먼지 위험을 둘러싼 공중 군집 분석 공중 세분화에 따른 위험 인식 및 관련 행동에 대한 차이점 도출

        김영욱 ( Yungwook Kim ),이현승 ( Hyunseung Lee ),장유진 ( Youjin Jang ),이혜진 ( Hyejin Lee ) 한국PR학회 2016 PR연구 Vol.20 No.3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sults of a previous in-depth interview, which was conducted to measure risk perceptions toward particulate matter among lay peopl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alize possible public clust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risk perceptions toward particulate matter, and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risk perceptions and risk-related behaviors among public clusters. The survey results were in line with the results of risk perceptions toward particulate matter in the previous in-depth interview. The cluster analysis following the item reduction process indicated three distinctive public clusters, which include ‘China attributing cluster,’ ‘Risk optimistic cluster,’ and ‘Risk indulgent cluster.’ The three clusters with different demographic compositi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t levels of risk percepti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policy-participating behavioral intention, and risk seeking and process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ach public cluster and theoretical ramif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세먼지 어플리케이션 이용 효과 및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

        김영욱 ( Yungwook Kim ),이하나 ( Hannah Lee ),김혜인 ( Haein Kim ),문현지 ( Hyeonji Moon ) 한국PR학회 2017 PR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 use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a particulate matter app. Firs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app usag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who used the app made greater efforts to seek information about particulate matter, had stronger prevention intentions, and showed higher level of empowerment than those who did not use the app. Next, we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the app,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Health Belief Model. As a result, the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pp acceptance. Also, the perceived severity and subjective norm had significant impacts on improving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isk communication strategy using the particulate matter app.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