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 경험 확장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연구 : 본인 작품 ‘The Third Place’를 중심으로

        이채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concept of space and time has undergone changes, leading to a transformation in the form of art and the emergence of interactive art. Interactive art is an artistic medium in which the viewer and the artwork are intimately fused through interaction, wherein the viewer assumes the role of the artwork's subject and becomes a user through interactive participation. Such interactions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 the artwork,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providing opportunities to perceive and expand spatial experience in novel ways. Among these factor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which involves the integration of artificial environment with the user's environment, holds the potential to re-evaluate and expa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pace. This overlaid environment brings the novel ways of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thereby offering new possibilities for the user's spatial perceptio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is the concept of a third place, reflecting the soci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desire for use of space close to the residential area increased due to urbanization and the increase in young independent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ird place for balance in life, proposed by Ray Oldenburg, in the user's personal and residential space and urban spaces near the residence. The augmented reality art, “The Third Place”, aims to harmonize personal and public spaces and facilitate augmented reality to provide a placeness experience, which is an expansion of spatial perception. The Third Place use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set up their own space using a mat. By augmenting the virtual images of sounds and objects collected in the park,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at the park can be augmented wherever the user chooses to which leads to an expansion of perception. Through this expansion of perception facilitated b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personal space and public space – the park – can be connected. The purpose of the interactive artwork is to act as a medium to provoke personal memories by bringing the placeness experienced at the park to the user’s personal space. The work “The Third Place” is an interactive media artwork that utilizing factors that expand spatial experience in interactive artwork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The research work expanded the personal space to public space and interfaced the space connected to people. Also, the aesthetic experience element derived from the mat interface designed to using augmented reality as marker image marking was expanded into an activity called picnic. Furthermore, the artwork incorporates the elements of a park's sense of place through the mat interface, enabling users to aesthetic experience virtual images as part of their "space” transforming into "place,” thus serv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interactive art. The Third Place focuses on utilizing factors derived from the expansion of spatial experience in interactive art and augmented reality. The artwork extends the concept of relating to space as an interface, from personal place to public space, and expands the experiential elements derived from the mat interface, designed as markers image of augmented reality, into a picnic activity. It is hoped that the expanded interface proposed in this research artwork for spatial experience will contribute to further diverse studies in relation to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uture.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공간의 개념은 변화하였고, 예술의 형태도 변화하면서 인터랙티브 아트가 등장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람자와 작품이 상호작용을 통해 긴밀하게 융합되는 예술 형식으로, 관람자는 작품의 주체로 존재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로 거듭나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사용자와 작품, 작품 공간 간의 관계를 형성하며, 공간을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 중에서도 가상공간과 현실 공간의 중첩이 일어나는 증강현실 기술은 공간에 대한 개념을 재고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이 가능하다. 이러한 중첩은 가상 이미지가 실제 공간에 영향을 끼치며 사용자의 공간 인식에 새로운 가능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증강현실의 실재감을 위한 기술적인 구현에 집중된 연구들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및 경험 전달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의 증강현실 작품은 사용자에게 편안함, 유대감, 자아실현, 삶의 원동력과 같은 제3의 장소적 특성을 전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이 제공하는 확장된 감상 경험, 특히 인터랙티브 아트의 인터페이스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사용자의 예술 경험과 확장된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중 공간적 경험에 의미를 둔 예술작품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한다. 그리고 증강현실의 개념을 현실에 가상 이미지가 중첩되는 원리를 사용하는 기술로 한정하여 증강현실에서 현실 공간을 매개하는 요인을 중심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하며 최종적으로 증강현실 작품을 구현하여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작품의 배경은 제3의 장소 개념으로 도시화와 1인 가구인 청년 독립가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지 인근에서 공간 사용에 대한 욕구가 높아진 현실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연구 작품의 목적은 사용자의 개인적 공간인 주거지와 주거지 인근의 도시 공간에서 레이올덴 버그가 제안한 삶의 균형을 위한 제3의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새로운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아트인 ‘The Third Place’ 작품을 통해 개인적인 공간과 공공의 공간을 융합시키고,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적 인식의 확장인 장소성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작품 ‘The Third Place’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돗자리라는 공간을 설정해 공원에서 수집된 사운드와 오브제의 가상 이미지를 증강함으로써 공원에서의 기억과 경험을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 어디서든지 증강하고 인식의 확장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인식의 확장을 통해 작품은 제3의 장소에서와 같은 긍정적인 가치를 가지며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공간과 공공의 공간인 공원을 연결한다. 또한 도시공원의 장소감 요소를 돗자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이미지를 경험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장소’로 거듭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 연구 작품 ‘The Third Place’는 이론적 배경에서 도출된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공간경험을 확장하는 요인과 증강현실의 공간적 특성으로 도출된 요인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연구 작품은 개인적 공간에서 공공의 공간으로 공간을 확장하여 인간과 관계 맺는 공간을 인터페이스화 하고, 증강현실 이미지 마킹 방식으로 설계된 돗자리 인터페이스에서 파생되는 체험 요소를 피크닉이라는 활동으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 작품에서 제안하는 확장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공간 경험이 앞으로의 증강현실 콘텐츠와 관련하여 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질병 지식, 불확실성 및 삶의 질

        이채린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질병 지식, 불확실성 및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3월 27일부터 2017년 11월 24일까지 서울소재 Y대학 병원 입원 및 외래를 방문하는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을 통한 설문지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인지장애가 없는 대상자 선별을 위한 K-MMSE, 모야모야 환자의 질병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 가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은 질병 지식 측정 도구, Mishel(1988)이 개발한 불확실성 측정 도구를 국문으로 번역한 도구(Chung, 2005), Ware과 Sherbourne(1992)이 개발한 삶의 질 측정도구(SF-36)를 이상 열(2001)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r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자가 61명(67.8%)이었고, 평균 나 이는 41.12(±9.98)세였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69명(76.7%)이었고, 직업 은 회사원이 44명(48.9%)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 정도는 대학교 졸업 이 상이 55명(61.1%)으로 가장 많았다. 2.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임상적 특성은 진단을 받게 된 경로에서 증상이 있 어서 병원을 방문하였다가 진단을 받은 경우가 74명(82.2%)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진단 기간은 3.54(±3.56)년이었다. 본인이 느끼는 질병 심각 도는 ‘심각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49명(54.4%)로 가장 많았고, 질병에 대 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인터넷을 통해서 얻는 방법이 74명(82.2%)이었다.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경험한 환자는 78명(86.7%)이었으며, 뇌출혈은 13 명(14.4%), 뇌경색은 17명(18.9%), 경련은 6명(6.7%)의 환자들이 경험하였다. 3.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질병 지식은 총 12점 만점에 평균 9.65(±1.84)점 으로 대상자의 나이(F=3.66, p =.030), 교육 정도(t=-2.02, p =.046), 진단 경로(F=8.85, p = . 001), 일과성 허혈성 발작 유무(t=-2.21, p =.030), 수술 유무(t=-2.82, p =.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불확실성은 총점 평균 93.11(±15.19)점으로, 하위 항목에서 불예측성이 15.38±3.17(평균 평점 3.07±0.63)점으로 가장 높 았고, 이는 음주여부(F=3.50, p= .034), 진단 기간(F=3.65, p= .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삶의 질은 백점 만점 환산 시, 신체적 삶의 질이 65.31(±16.15)점, 정신적 삶의 질이 60.11(±19.13)점으로 나타났고, 세 부 항목으로, 신체적 삶의 질 중에서는 신체적 기능이 79.61(±18.46)점, 정신적 삶의 질 중에서는 사회적 기능이 68.33(±20.8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삶의 질은 성별(t=3.51, P =.001), 직업(F=5.76, p =.001), 진단 경로(F=4.72, p =.011), 본인이 느끼는 질병 심각도(F=7.90, p =.001), 뇌경색 유무(t=2.04, p= .044), 경련 유무(t=2.41, p =.034)가 유 의한 것으로, 정신적 삶의 질은 성별(t=2.63, p =.010), 결혼 유무(t=-2.29, p =.024), 본인이 느끼는 질병 심각도(F=5.42, p =.006), 뇌경색 유무(t=2.10, p =.038)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질병 지식, 불확실성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서 는 질병 지식이 증가할수록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낮아지고(r=-.325, p =.002)를,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신체적 삶의 질(r=-3.51, p =.001), 정 신적 삶의 질(r=-.346, p= .001)이 유의하게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6.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삶의 질에서 직업, 진단 경로, 본인이 느끼는 질병 심각도, 경련 유무, 불확실 성이었고, 모형 설명력은 48.9%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삶의 질에서는 결 혼 유무, 직업, 진단 경로, 본인이 느끼는 질병 심각도 및 불확실성이 유 의한 영향 요인이었고, 모형 설명력은 31.4%였다. 본 연구는 성인 모야모야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 지식, 불확실성 및 삶의 질 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 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첫 연구로서, 질병 지식과 불확실성, 불확실성과 삶의 질이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 다. 이를 바탕으로 성인 모야모야 환자의 질병 특성 및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제공을 통해 질병 지식의 증대 및 불확실성을 감소 시키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Moyamoya disease is a chronic, progressive cerebrovascular disease with an unconfirmed cause. Patients who develop the disease require regular check-ups throughout their lives and require ongoing manage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dult patients who suffer from moyamoy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ult moyamoya disease. Furthermore, the factors associate with the quality of life of adult patients with moyamoya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design of the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90 adult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who were hospitalized or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at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between March 27, and November 24, 2017. A knowledge assessment tool composed of 12 items was developed and validity of the tool was verified by expert groups. In addition, uncertainty measurement tool with 33 items, an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 with 36 items were also completed by each patient. The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using survey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using SPSS 24.0. Results The mean of disease-related knowledge of adult patients with moyamoya was 9.65(±1.84) points out of 12,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y age, level of education, diagnosis route, presence of transient ischemic attacks and surgeries. The mean of uncertainty was 93.11(±15.19); among the sub-categories, unexpectedness was highest, 15.38(±3.17). The score of uncertain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lcohol drinking and disease duration. The physical quality of life was 65.31(±16.15) and mental quality of life was 60.11(±19.13) for out of 100; Among the sub-categories, physical functions of physical quality of life was 79.61 and social functions of mental quality of life was highest at 68.33. The physical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d by gender(t=3.51, p=.001), occupation(F=5.76, p=.001), diagnosis route(F=4.72, p=.011), severity of the disease(F=7.90, p=.001), infarction(t=2.04, p=.044), as well as the presence of seizures(t=2.41, p=.034). The mental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d by gender(t=2.63, p=.010), marital status(t=-2.29, p=.024), severity of the disease(F=5.42, p=.006) and infarction(t=2.10, p=.038). The significant correlation showed lower uncertainty with higher disease-related knowledge(r=-.325, p=.002) and lower uncertainty with higher physical(r=-3.51, p=.001) and mental(r=-.346, p=.001) quality of life. Last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quality of life included occupation, diagnosis route, severity of the disease, seizures and uncertainty, and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physical quality of life by 48.9%. When the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the associated factors were found to be marital status, occupation, diagnosis route, severity of disease and uncertainty, and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mental quality of life by 31.4%.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a patient’s knowledge of their disease as reducing uncertainty can ultimately help improv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comprehensive education that is customized for patients is needed for optimal patient management.

      • 변비증상이 있는 여대생의 식생활 요인 분석

        이채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젊은 여성들의 변비증세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20대의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일반사항, 신체계측, 식습관 및 식사섭취 상태를 조사하여 정상군과 변비군을 비교하고, 변비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 169명 중 변비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46%(변비군,77명), 변비증상이 없어 정상군으로 분류된 대상자는 54%(정상군, 92명)였다. 두 군간 신체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신체발달지수에서 정상군이 변비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2. 각 군 간의 배변의 용이성(p<0.001), 배변 횟수(p<0.001), 배변상태(p<0.001), 배변 후 기분(p<0.001), 배변시 소요시간(p<0.01), 변볼 때 시간적 상황(p<0.05) 및 배변시간(p<0.001)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1회 배변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30~60g으로 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다. 변비치료제의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각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3. 대상자들의 생활 습관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각 군별 스트레스(p<0.001)와 숙면정도(p<0.05)에 대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각 군간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각 군간 영양소섭취량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총 단백질(p<0.05), 식물성단백질(p<0.05 ), β-카로틴(p<0.01) 섭취량에서 유의적으로 변비군이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식품군의 섭취량 비교에서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해조류 및 그 제품에서 정상군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식품군 섭취 빈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변비군일수록 유의적으로 당류를 많이 먹고 조미료 및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배변상태와 일부 식습관, 영양소섭취량 및 건강관련 사항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을수록 1회 배변량이 많았고(p<0.05), 식사시간이 불규칙할수록 배변을 볼 때 시간적 상황에서 쫓기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수분섭취량이 많을수록 배변이 쉽고(p<0.01), 배변횟수(P<0.05)와 1회 배변량이 증가하는 것으로(P<0.01) 나타났다. 감자나 고구마를 많이 섭취할수록 배변시간이 짧아지고(p<0.001), 배변횟수와 배변량이(p<0.0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 열무, 깍두기 등의 섭취량도 배변량을(p<0.01)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빵이나 비스켓 등은 많이 섭취할수록 배변이 용이하지 않았고(p<0.01) 배변시 소요시간도(p<0.05)많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쥬스를 제외한 과일의 섭취량도 증가할수록 배변이 용이(p<0.05)하고 배변의 횟수도(p<0.01)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사항과의 관련성에서는 변비치료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변을 보기 힘들고(p<0.01), 배변 횟수가 적으며(p<0.01), 배변시 소요시간(p<0.05)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와 숙면정도도 배변상태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배변 시 소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특히 숙면정도는 배변량(p<0.05), 배변소요시간(p<0.01)에 관련성을 보였으며, 변을 볼 때 시간적 상황(p<0.05)이 숙면을 취할수록 여유롭게 변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변비 발현율은 약 46%로 높게 나타났고, 각 각의 영양소 섭취량보다는 섭취하는 식품의 종류가 변비예방에 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특히 섬유소를 많이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감자, 고구마, 김치류, 정제되지 않은 과일과 수분섭취량이 효과적인 예방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침식사나 규칙적인 식사등도 관련성이 높으며, 수면을 잘 취하는 것도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quires into the cause of young women’s constipation symptom and dietary life which is having an effect on. It examine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20s’ general aspects, body measurement, eating habit and condition of diet ingestion, then compared with Constipation Group and Normal Group. Also, it inspected about relation of each factor which influence of constipation. 1. Among total 169people, 46% of people(Constipation Group, 77 people), 169people, answered that they have constipation symptom, and 54% of people(Normal Group, 92 persons) who are divided from them as normal people. Comparison of result about anthropometric parameters between two of them, for body development index, it shows that Normal Group is higher than Constipation Group correlation (p<0.05). 2. It showed correlation difference among Difficulty of evacuation(p<0.001), the number of evacuation(p<0.001), the condition of evacuation(p<0.001), the feeling after evacuation(p<0.001), the time inquired when they have evacuation(p<0.01), time situation of evacuation(p<0.05) and evacuation time(p<0.001). There is no difference for evacuation quantity for one time, and there are many people who answered that it is 30~60g. It showed correlation difference for each Group about use of evacuation cure(p<0.001). 3. For result of comparison life style of people, it showed correlation difference between stress (p<0.001) and deep sleep.(p<0.05) 4. For result of comparison each Group’s eating habits, there is no correlation. 5. For result of comparison each Group’s caloric intake, Constipation Group is taking more correlation among intake of total protein (p<0.05), vegetable protein(p<0.05), and β-carotene(p<0.01). For comparison of intake each food group, intake of Normal Group is high correlation among seaweed and the food which have lots of fiber is high correlation(p<0.05). For result of comparison of food group intake frequency, if it is Constipation Group, it eats more sugars, and uses more seasonings and spice. 6. About relation among the condition of evacuation, certain eating habits, caloric intake and matters about health, if she did not miss breakfast, she can have more quantity of evacuation for one time(p<0.05), and if she has irregular meal time, whenever she has an evacuation, she is pressed by time situation(p<0.05). Also, if the more drink fluids (p<0.01), it is easier to evacuate, and it increases number of evacuation (P<0.05) and quantity of evacuation per once (P<0.01). If she eats more potatoes or sweet potatoes, evacuation time is getting shorter(p<0.001), and increases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evacuation(p<0.05), in addition, intake of Kimchi, young radish Kimchi, sliced white radish Kimch, and etc. make it increases(p<0.01). If she eats bread of biscuits a lot, it is not easy to evacuate (p<0.01) and it takes more time (p<0.05). It is easier if she takes more fruits except juice (p<0.05) and frequency also increased (p<0.01). If she takes lots of drug of constipation, it was harder to evacuate (p<0.01), in few times of evacuation (p<0.01), and it took a long time (p<0.05). Also, it related with stress and deep sleep, so if she has lots of stress, she take long time to evacuate (p<0.05). Especially, deep sleep has relation with quantity (p<0.05) and the time required (p<0.01), and if time situation has deep sleep, she could evacuate with keeping her composure (p<0.05). Results so far, these people have about 47% of rate of revelation for evacuation which is high. And, instead of each caloric intake, the kind of food they take is more important factor. In particular, we can see the effective prevention responsibility through potatoes, sweet potatoes, all kinds of Kimchi, unrefined fruits which are proved as lots of fiber contained food and amount of drink fluids. Also, we could define that regular breakfast or a meal has relation with it, and deep sleep is one of important factors.

      •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ICT 활용 GI협동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채린 강릉원주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ICT활용 GI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ICT 활용 GI협동학습 프로그램의 구성 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ICT 활용 GI협동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와 교육적 의의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GI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분석, 현장관찰, 교사면담을 기초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ICT 활용 GI협동학습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G시의 N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 같은 지역의 G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을 비교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3년 4월 22일부터 8월 22일까지 총 16주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급내상관분석(ICC), 독립표본 t검증, 반복측정변량분석(repeated measurement ANOVA)을 사용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과학적 탐구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기 변인이 반복 측정된 이원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LSD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ICT 활용 GI협동학습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2〕과학적 탐구능력의 사후 검사를 실시한 기술통계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반복 측정결과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ICT활용 GI협동학습 프로그램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총점과 하위요소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의 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의는 ICT매체 활용을 통해 유아들의 협동적인 탐구는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자연스럽게 과학적인 탐구와 태도의 변화를 보였으며, 탐구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또래들과 공유함으로써, 지식이 내면화되고 재구성됨으로써 과학적 탐구능력이 증진되는 변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CT group investigation (GI) cooperative program for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et two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How should be constructed ICT group investigation (GI) cooperative program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skills? [Research Question #2] To what extent is ICT group investigation (GI) cooperative program effective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skills? For the research question #1,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iterature related to ICT education and GI cooperative learning, observed kindergarten classes, and interviewed kindergarten teachers. After these investigation process, the researcher developed draft ICT GI cooperative program. The researcher conducted a pilot study with the draft program and improved it into a final program. The final program consisted of ‘having interest in natural phenomena,’ ‘observing nature cooperatively,’ ‘interacting cooperatively,’ ‘increas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having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fter developing the ICT GI cooperative program, the researcher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 research question #2.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5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15 children of 5-year-olds in the same area were allocated as compare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April 22, 2013 to August 22, 2013, for 16 weeks. Pre-test, mid-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to both groups to test their scientific inquiry skills’ change.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compare group on scientific inquiry skills, such as predic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 and discussion. This meant that ICT media use was helpful for kindergartners to increase their curiosity, interests on science subject, and consequently attitude on scientific inquiry.

      • 전단벽 해석을 위해 사용가능한 유한요소의 거동 특성 고찰

        이채린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인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건물구조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유한요소망으로 모형화하여 건물구조의 해석모형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건축구조설계 실무에서는 일반적인 유한요소해석과 다르게 건물의 구조체를 단순한 해석모형으로 모형화하며, 이러한 단순해석모형을 작성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 중 전단벽은 다양한 유한요소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단벽을 두 기둥열 및 슬래브 사이에 있는 하나의 유한요소로 모형화하고, 슬래브를 강체격막으로 모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해당 모형화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해석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전단벽의 합리적인 모형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 상황을 고려한 전단벽의 모형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전단벽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의 공식화 이론의 발전과정과 공식화 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면내회전강성을 갖지 않고 적합모드 평면응력요소와 면내회전강성을 갖지 않고 비적합모드를 고려하는 평면응력요소 및 면내회전강성을 갖는 평면요소로 나누어 구분한다. 여기서, 면내회전자유도를 가지는 평면응력요소의 경우에는 Allman-type의 면내회전자유도를 포함하는 적합모드 평면응력요소의 형상함수를 기본으로 비적합모드 또는 추가변형률 고려 여부, 비적합모드(또는 추가변형률)의 함수 차이, 회전에 대한 G 행렬 수정 여부, 페널티 함수 고려 여부에 따라 공식화 방법을 구분한다. 이후, 해당 공식화 방법들의 적용 가능성 검토를 위해 캔틸레버보의 해석을 수행하고 이론해와 SAP2000, MIDAS의 해석결과와 비교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멤브레인요소 공식화 방법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CSI(2022)에서 제시하고 있는 ETABS 프로그램의 검증 해석 예제를 이용하여 일반적 전단벽 해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 모든 프로그램별 해석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비적합모드를 고려하지 않는 멤브레인요소의 공식화 방법은 다른 프로그램들과 유사한 변위와 부재력을 출력하므로 실무에서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Wilson, Ibrahimbegovic의 비적합모드를 고려하는 멤브레인요소의 공식화 방법은 다른 프로그램들과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6층인 해석모형의 경우 모든 프로그램의 횡변위가 5% 이하의 오차율이 나타나며, 층수가 증가할수록 변위와 부재력의 오차율이 감소하므로 6층 이하의 전단벽 모형화 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멤브레인요소 사용 시 가장 작은 오차율을 보이므로 전단벽 해석을 위한 모형화 시 멤브레인요소를 사용하여 모형화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사회적 가치성향이 협조에 미치는 영향 : 도덕성 vs. 능력 평가의 조절효과

        이채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성향과 평가 기준이 협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협조 행동은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매우 중요한 행위이므로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협조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에 대한 탐색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기존 연구들은 타인의 존재 또는 시선에 의해서 협조 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을 밝혀왔다. 하지만 보다 세부적으로 타인의 평판이 아닌 타인의 평가 기준에 의하여 협조 행동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타인의 평판이 협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들은 대다수 옳고 그름의 방향성이 내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향성이 모호한 상황인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협조 행동을 살펴보기로 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딜레마 중에서도 죄수의 딜레마에서의 협조 행동을 전략 선택이나 협조 비율로 측정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협조 행동 중에서도 상대방의 배신이 이루어진 직후에 나타난 협조의 비율을 조건부확률로 산출하여, 상대 배신 직후 협조 비율을 협조 행동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더 나아가, 죄수의 딜레마 상황에서 사회적 가치성향과 협조 행동 간의 관계에서 평가 기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죄수의 딜레마 상황에서 타인이 자신에 대하여 평가를 한다고 하였을 때, 도덕성 또는 능력이라는 평가 기준이 개인의 사회적 가치성향과 상대방에 대한 협조 행동 간에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고, 이는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고려대학교 학부생 및 대학원생 총 115명(남성: 45명, 여성: 7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우선 사회적 가치성향을 측정하고,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수행한 후에 게임에 대하여 어떻게 인지하였는지를 물어보는 설문에 응답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평가 기준이 사회적 가치성향과 협조 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보임이 검증되었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를 보면, 게임 결과가 평가 기준일 때에는 친사회적 가치성향 집단과 친자기적 가치성향 집단의 협조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도덕성이 평가 기준일 때에는 친자기적 가치성향 집단이 친사회적 가치성향 집단보다 더 높은 협조 행동을 보였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친자기적 가치성향 집단에서는 도덕성이 평가 기준일 때와 게임 결과가 평가 기준일 때의 협조 행동이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협조 행동에의 구체적 의미와 범위를 정하였고, 협조 행동에 대한 사회적 가치성향에 따른 경향성과 환경적 조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근본적인 원인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협조 행동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므로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 어둠의 3요소 성격과 자아상 간 관계

        이채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역상관(Reverse Correlation; RC) 기법을 활용하여 어둠의 3요소 성격(Dark Triad; DT)과 자아상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30대 남녀 81명(여성 52명)과 독립평정자 26명(여성 17명)을 포함한 총 1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둠의 3요소 성격이란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그리고 정신병질을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방식인 자기보고와 시각적 방식인 역상관 기법을 모두 활용하여 세 가지 성격 특성이 자아상 혹은 자기개념의 측면에서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역상관 기법이란 무작위로 변화하는 자극에 대한 판단을 기반으로 정신적 표상의 프록시(proxy)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연구대상자들은 300회 시행의 2지 선다 이미지 분류 과제를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내적 표상을 시각화한 분류 이미지(classification image; CI)를 산출한 후, 산출된 CI를 본인 및 독립평정자가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실험의 원리에 대해 모르는 상태에서 자신의 CI를 타인의 CI보다 자신과 닮은 것으로 평가했다. 이는 CI가 자신에 대한 평가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언어적 방식(자기보고)으로 측정한 자아상과 시각적 방식(역상관 기법)으로 측정한 자아상 간의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CI에 대한 독립평정에서 마키아벨리즘 하위요인 중 통제욕구와 친절성은 부적 상관, 마키아벨리즘 하위요인 중 지위욕구와 강인함은 정적 상관, 정신병질 하위요인 중 1차병질은 강인함 및 대담함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나 이와 같은 결과는 자기보고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언어적 방식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으나 시각적 방식으로는 드러나는 자아상의 측면이 존재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셋째, 자기애 성격 특성을 보이는 사람들은 마키아벨리즘이나 정신병질 성격 특성을 보이는 사람들에 비해 자아상이 더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어둠의 3요소 성격 중 마키아벨리즘과 정신병질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두 개념이 명확하게 구분되기 어려움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rk Triad(DT) personality trait and self-image by using reverse-correlation(RC) method. The DT is composed of narcissism,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The study consisted of 81 participants and 26 independent raters, adding up to 107. Self-image was measured by both verbal form(self-report) and visual form(RC method) to examine the self-image differences between the DT components. The RC method is a technique of generating visual proxies of mental representations based on a judgment of a randomly changing stimulus. The subjects generated classification image(CI) which visualized internal representations of themselves through the two-choice image classification task of 300 tria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rated their CIs as more similar to themselves than others' CIs without knowing principles of experiment. This suggests that the CI might be related to self-evaluation.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elf-image measured by verbal form(self-report) and that measured by visual form(RC method). This suggests that some aspects of self-image which are not well revealed in the verbal form is revealed in the visual form. Third, narcissists had a more positive self-image than Machiavellian or psychopath. Fourth,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DT,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were highly correlated. This suggests that the two concept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clearl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전기 자율차와 내연기관 자율차의 가속패턴 차이에 따른 신호교차로 교통운영특성 분석

        이채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및 전기차 보급률의 확대에 따라 자율주행환경에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함께 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는 가속 특성이 서로 다르며, 이로 인해 가속이 잦은 신호교차로에서 교통운영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가속특성을 반영하여 교통운영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00% 자율주행환경인 신호교차로에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가속특성 차이에 따른 교통운영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속도에서 차량이 발휘할 수 있는 가속도인 가속 성능 곡선을 제시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후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인 VISSIM을 활용하여 자율주행환경에서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의 가속 행태를 적용하였다. 가상의 신호교차로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여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 비율에 따른 통과교통량을 산출하였으며, 비율별 결과 차이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한속도별 통과교통량 분석을 통해 제한속도별 결과 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기차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통과교통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연기관차가 일정 비율 이상이면 통과교통량의 변화가 크지 않으며, 내연기관차가 일부라도 혼입되는 경우에는 통과교통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호교차로의 제한속도가 높을수록 전기차의 비율에 따른 통과교통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100% 자율주행환경에서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의 가속행태를 반영하여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의 비율에 따른 교통운영특성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wo of the most significant trends in automobile industry are autonomous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 With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and electric vehicle technology, more and more vehicles are expected to be electric and have autonomous driving capability. It is believed that electric vehicles allow for simpler integration of the advanced technologies required for the cleaner and safer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lthough electric autonomous vehicles have many advantages over their gasoline-powered counterparts, not all autonomous vehicles are manufactured as electric vehicl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electric autonomous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nomous vehicles would be operated in a mixed environment. Even though autonomous vehicles operate without human inputs, electric autonomous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nomous vehicles are expected to follow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including acceleration profiles. Their different acceleration profiles would lead to differences in traffic operation characteristics at signal intersec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ffic oper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different acceleration profiles between electric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in a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Acceleration potential curves for electric autonomous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nomous vehicles are identified and modeled in a simple traffic network with an intersection in VISSIM,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It is demonstrated that more vehicles can pass with electric autonomous vehicles, compared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nomous vehicles. Also, the impact of different speed limits and market penetration rates of electric autonomous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nomous vehicles ar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