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ath Delay Test-Set Preservation of De Morgan and Re-Substitution Transformations

        이준환,이현석,Yi, Joon-Hwan,Lee, Hyun-Seok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7 No.2

        드모르간 및 재대입 논리변환은 unate gate network (UGN)을 보다 일반적인 balanced inversion parity (BIP) network으로 전환하는데 충분하다. 이러한 회로계층에 대해서도 자세히 논의하고 있다. 우리는 드모르간 및 재대입 논리변환이 경로지연고장 테스트집합을 유지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이용하여 함수 z를 구현하는 모든 UGN에서 모든 경로지연고장을 검출하는 상위수준 테스트집합은 함수 z의 어떠한 BIP realization에서도 모든 경로지연고장을 검출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Two logic transformations, De Morgan and re-substitution, are sufficient to convert a unate gate network (UGN) to a more general balanced inversion parity (BIP) network. Circuit classes of interest are discussed in detail. We prove that De Morgan and re-substitution transformations are test-set preserving for path delay faults. Us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can easily show that a high-level test set for a function z that detects all path delay faults in any UGN realizing z also detects all path delay faults in any BIP realization of z.

      • KCI등재

        『단어련어(單語連語) 일화조준(日話朝雋)』(1895)에서 보이는 조선인의 일본어, 일본 및 외부 세계 관련 기술과 인식

        이준환 ( Yi Jun-hwa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2

        이 글은 李鳳雲·境益太郎의 『單語連語 日話朝雋』(1895)를 대상으로 하여 이곳의 화제, 구조화, 설명, 예문에서 보이는 조선인의 일본어, 일본 및 외부 세계와 관련한 기술과 인식에 관하여 살펴보려 한 것이다. 이로써 일본어 학습과 관련한 바를 종합적인 시각에서 이해하도록 하는 발판을 마련하여 보려 하였다. 이 문헌은 단어를 각 부로 나누어 제시한 「單語」와 문장을 각 부로 나누어 제시한 「連語」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單語」에서 軍物部와 仕進部가 설정되어 있고 「連語」에서 軍整部와 政事部가 설정되어 있는 것은 정치, 군사, 행정, 외교, 법률 등에 관한 내용이 전개되는 데에 밀접한 관련을 맺는 것으로 주목된다. 음운·표기와 관해서는 淸音을 パ행으로 기술하고 있어 독특하고, ‘クワ→과’와 같이 역사적 가나 표기법 또는 九州 方言의 반영과 관련하여 이해해 볼 수 있는 표기가 보인다. 문법에서는 높임법 사용과 관련한 것이 관심을 끄는데, 이 책은 주로 정중형의 문장을 학습하도록 하고 있으면서도 ‘よろしい’, ‘ござる’와 같은 존경어가 쓰이는 경우에는 비정중형의 문장 형식이 쓰인다. 이런 정중형 문장은 대개 조선어의 하오체에 대응하는 양상을 띠는데 비정중형 문장에서도 하오체에 대응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하오체의 외연이 넓었음을 보여 준다. 끝으로 이 문헌에서는 국제관계, 군사, 전쟁 및 전투, 근대 제도 및 문물, 일본의 정치, 개화 등과 관련한 단어와 연어가 주요하게 출현하고 이에 관한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내고 있음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opics, structures, explanations, and techniques and perceptions of Koreans related to Japanese, Japan and the outside world in the examples of Yi Bong-un and Sakai Mastaro’s Daneo Yeoneo Ilhwajojeon (1895). Therefore, I would like to set the stage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Japanese language learning. This text consists of two parts: a word presented in each part and a sentence presented in each part.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affairs department and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 in the word and the military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affairs department in the salmon department are not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olitics, military, administration, diplomacy and law. In terms of phonology and notation, voiceless sounds are unique by describing them as lines of /pa/. In addition, there is an understandable signification in relation to the traditional kana notation in Japanese or reflection of the Kyushu dialect such as ‘ク (ku) ワ (wa) →과 (kwa)’. In grammar, the use of honorifics attracts attention. The book mainly requires learning polite sentences, and if respectful words such as ‘よろしい (yoroshii)’ and ‘ござる (gozaru)’ are used, non-common sentence forms are used. Such polite sentence style usually correspond to the level of Hao style in Korean, but in some cases, they also correspond to the level of Hao style in non-polite sentence style. Therefore, it shows that the external relationship of level of Hao style was wide. Finally, it can be seen in this text that words and sentences related to international relations, military, war and combat, modern institutions and civilizations, Japanese politics, and enlightenment have emerged and show positive perceptions of them.

      • KCI등재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자전 편찬과현대 한국어문학

        이준환 ( Jun Hwan Yi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이 글은 현대 한국어 형성기에 국문으로 뜻풀이를 한 『국한문신옥편』, 『자전석요』, 『신자전』 등의 자전이 연이어 나오게 된 배경을 당시의 어문 환경과 관련지어 보고, 이 자전들에 반영된 언어가 독본 등에 반영된 당시의 현실 언어와 어떤 관계를 맺고, 언어생활에서 어떤 역할에 했을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시기에 한자음에 대한 수요, 한자의 뜻에 대한 정확한 구별, 교육 등의 목적에서 실제 언어생활에 도움을 줄 국문으로 뜻풀이가 된 새로운 형태의 자전이 나오기를 갈망하고 있었다는 것은 여러 잡지의 기사를 통해서 볼 수 있다. 실제 독본 자료를 보면 한자음의 변화로 인한 한자음의 정리와 통일의 필요성, 한자어와 국한문을 이해하기 위한 한자의 뜻을 정확히 알고 한자가 쓰인 문맥에서의 의미나 기능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의어와 유의어를 충실히 반영한 자전의 필요성이 여실히 드러난다. 이렇게 편찬된 자전이 한문의 번역과는 어떤 관계를 맺을지를 살펴보니, 『시문독본』에서 최남선이 번역한 『열하일기』와 이윤재가 번역한 『도강록』을 한문 원문-국한문 번역문- 『신자전』의 뜻풀이와 견주어 본 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신자전』에 제시된 정보가 대체로 국한문 속에서 보이는 정보와 일치했고 국어의 통사적 질서와 맥락속에서 번역한 국한문이 언중들에게 자연스럽게 읽히도록 적절히 변형되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최남선과 이윤재는 번역을 하는 데에 『신자전』 등의 자전을 참고하거나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paper is as below. Firstly, I``d like to examine compilation of Chinese-Korean dictionary as Kukhanmunsinokpyeon, Jajeonseogyo and Sinjajeon that defined in Korean in relation with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Secondly, I``d like to examine relation with language of Chinese-Korean dictionary and reality language reflected in Korean reader. Thirdly, I``d like to examine the role of language of Chinese-Korean dictionary in language life at that period. There were many demand for arrangement and unification of Sino-Korean, exact distinction of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including and presentation of accurate and rich polysemy and thesaurus in Prensentday Korean formative period. And, It seems to have been used of Chinese-Korean dictionary in the translation Chinese into Korean. We can could that using of the definition, polysemy and thesaurus in Chinese-Korean dictionary in translation of Yeolhailgi by Choi, Nam-seon and Yi Yun-jae.

      • KCI등재

        국어학 : 『자전석요(字典釋要)』의 체재상의 특징과 언어적 특징

        이준환 ( Jun Hwan Yi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2

        이 글은 지석영(池錫永)이 편찬한 『자전석요(字典釋要)』를 체재상의 특징과 한자음, 국문 뜻풀이의 언어적 특징에 주목하여 살핌으로써 이 자전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도모한 것이다. 『자전석요』는 전통적인 자전의 틀에 따라서 편찬된것이나 서체(書體), 규범음·현실음, 한문 자석(字釋) 및 이에 전면적으로 대응하고 다의성이 반영되어 있는 충실한 국문 뜻풀이, 그림을 제시한 것으로 형음의(形音義)에 관한 종합 정보를 제시한 字典이다. 이런 특징에서 가장 주목되는것은 국문 뜻풀이이다. 이 풀이를 통해 우리는 한문 자석에 대응하는 국어 어휘 및 풀이 방식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은 이전 시기의 대응 어휘 및 풀이 방식을 참고하고 물려받으면서도 참고 대상이 없는 경우는 새롭게 뜻풀이를 함으로써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전면적인 국문 뜻풀이의 실시는 국한문 혼용기였던 편찬 당시의 시대적 요청과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character of Jajeonseokyo, focusing on the format, Sino-Korean, Korean explanation of Chinese description about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I intended overall comprehension about this book. Jajeonseokyo was published according to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dictionary. Bu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at Jajeonseokyo has various information about fonts, prescriptive and real Sino-Korean,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Korean explanation of Chinese description about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and illustration. In these respects it is possible to Jajeonseokyo has overall information about shape, Sino-Korean and meaning. From among these words that used in Korean explanation of Chinese description about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I could see characters of Korean words and methods of explanations. It seems that these explanations have accomplished by reference to Korean equivalent for Chinese character and methods of explanations. But when reference to Korean equivalent for Chinese character from prior period, new Korean explanations were accomplished. These Korean explanations of Chinese description about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period of using Chinese characters with Korean(Gukhanmuhonyonggi).

      • KCI등재

        『운해(韻解)』의 자모도(字母圖)와 운도(韻圖)의 현실 언어의 반영과 규범화

        이준환 ( Yi Jun-hwan ) 구결학회 2021 口訣硏究 Vol.46 No.-

        이 글은 申景濬이 지은 『韻解』(1750)에서, 신경준의 생각이 반영되어 작성된 字母圖와 韻圖에서 보이는 현실음의 반영과 규범화 양상을 살펴보아 字母圖와 韻圖에서 그리고자 한 바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이로써 韻學者로서 신경준이 지니고 있었던 음운 인식의 구체적인 내용이 어떤 것이었으며, 이런 인식이 華音, 국어 한자음, 일본 한자음에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찰 결과 자모도와 운도는 화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모도는 전통적인 36 자모의 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운도에는 開口呼, 齊齒呼, 合口呼, 撮口呼 등의 근대 한어에서의 四呼에 관한 인식 양상이 반영되어 있고, 실제 한자음 운모의 변화상이 반영되어 있는 등 당시 화음의 변화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성모와 운모의 처리는 상당히 다른 방향을 띠고 있다. 국어 한자음과 일본 한자음에 대해서도 성모는 상당히 규범적인 처리가 된 면이 있다. 그러나 운모에 관해서는 현실 언어의 양상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아 성모와 운모에 관한 인식은 세 언어에서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점에서 세 언어에 관한 처리가 균질하게 이루어진 면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결과로써 『韻解』는 규범화된 처리가 된 면이 분명히 있으나 당시 현실 언어의 반영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이를 드러내는 운도 작성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reflection and normalization of the realistic sounds in the Unhae(1750) written by Sin Gyeongjun, which reflects his thoughts, to find out what he wanted to draw in the initals and rhymes. As a scholar,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specific details of Sin Gyeongjun's perception of phonemes were, and what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se perceptions show in Chinese, Sino-Korean and Sino-Japanese. As a result of the consideration, initials and finals appear to be intended to represent the Chinese sound. However, initial system faithfully reflects the changes in the Chinese language at the time, while the rhyme table faithfully reflects the changes in the modern Chinese such as gaeguho, jechiho, hapguho, and chwalguho. Therefore, the processing of initial system and rhyme table is quite different. For the Sino-Korean and Sino-Japanese, initial system has been treated quite prescriptively. However, regarding rhyme table, it faithfully reflects the aspect of real language. Consequently, overall, the perception of initial system and rhyme table were judged to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three languages. In this regard, the processing of the three languages is homogeneous. As a result, it was evident that the Unhae was clearly standardized, but it was also written that actively reflected the real language at the time.

      • KCI등재

        『유몽천자(?蒙千字)』 국한문의 유형별 특성 고찰

        이준환 ( Yi Jun-hwan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4

        이 글은 J. S. GALE(게일, 奇一)이 편찬한 _유몽천자(?蒙千字)_(1901~)의 국한문(國漢文)이 보이는 문체상의 특징을 「권 1」, 「권 2」, 「권 3」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렇게 하고자 하는 까닭은 같은 국한문이기는 하지만 「권 1」, 「권 2」, 「권 3」은 국문과 한문의 혼용 정도에 차이가 있고 한문의 역할과 한문의 문법이 반영된 정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문의 역할과 한문 문법의 반영 정도를 살펴가며 구문상의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그러려면 언어적 분석을 위한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기준의 마련과 활용이 필요한데, 이 글에서는 ①한문 부사의 출현 여부, ②한문 접속사의 사용, ③한문 관형 구성의 등장, ④한문 어순에 따른 구문의 사용 등을 기준으로 삼고 『서유견문(西遊見聞)』(1895)와 비교하여 보았다. 각 권에서 보이는 문체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以`, `於`, `然`, `于`, `況`, `又`, `但`, `雖`를 이용하여 한문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부사의 사용 실태, `者`를 포함하는 관형 구성의 사용 실태, `有`, `無`, `不`, `如` 등과 같은 구문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권 1」은 한문의 문법보다는 국문의 문법이 지배적인 문체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권 2」는 국문의 문법 위에서 한문의 문법이 작용하는 문체로 이루어졌으며, 「권 3」은 한문의 문법이 주가 되는 문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특성을 『서유견문』과 비교하여 보면 『서유견문』은 대체로 「권 2」가 보이는 특징과 유사한 면을 보이되, 한문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부사의 사용 실태와 관형 구성의 실태에서는 「권 3」, 「권 1」의 특징도 섞여 나타나는 면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character of style of writing in Yumongcheonja(?蒙千字) published by J. S. GALE. Object of consideration is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volume of Yumongcheonja.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volume have same character of style of writing in that written by Korean and Chinese mixed up style. But there are difference in reflection degree in each volume role of Chinese and of Chinese grammar. In this paper, therefore, I`d like to examine syntactic features of Chinese in Yumongcheonja considering role of Chinese and of Chinese grammar. To achieve this goal, the objective for linguistic analysis and utilization requires the provision of practical criteria and I used following criteria. Firstly, whether the emergence of adverb of Chinese. Secondly, use of conjunction of Chinese. Thirdly, use of modifier form of Chinese. Fourthly, use of phrase of Chinese in accordance with word order of Chinese. Then I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 character of Seoyugyeonmun(西遊見聞). Through the study results I could see like below. The first volume has style of writing dominated by Korean grammar rather than that of Chinese. The second volume has style of writing affected by the Chinese Grammar based on Korean grammar. The third volume has style of writing dominated by Chinese grammar. I compared these results with character of Seoyugyeonmun. As a result style of writing of Seoyugyeonmun are generally similar to the second volume of Yumongcheonja but partially the first volume and the third volume.

      • KCI등재

        완판본 한글 고소설 「구운몽(九雲夢)」의 언어적 양상

        이준환 ( Yi Jun-hwa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7 No.-

        이 글은 완판본 「구운몽(九雲夢)」(1862)을 대상으로 하여, 이곳의 언어적 양상을 표기, 음운, 형태, 어휘 등을 중심으로 하여 경판본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살펴, 지역어문학 자료로서 한글 고소설의 가치가 어떤지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완판본 「구운몽」은 경판본과 비교할 때 대화의 비중이 높고, 문장의 길이가 길기는 하나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며, 한문 투의 사용이 적고 상대적으로 어려운 표현이 적게 나타나며 구어체가 많이 반영되어 있다. 완판본 「구운몽」의 표기는 경판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띤다. 이것은 전통적인 표기를 유지한 경향이 경판본보다는 강하면서도 현실 언어의 양상을 다양하게 반영한 데에서 기인한 결과이다. 특히 처격과 속격 조사로 ‘으’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전라 지역어의 구어의 특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특징적이다. 음운 면에서는 ㄱ 구개음화의 반영, 형태 면에서는 /ㅸ/을 지녔던 말들의 활용형이 일반적으로 /w/로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과 차이를 보이는 등의 특징이 보인다. 또한 ‘밭>밧’, ‘빛>빗’과 같이 어간 재구조화를 보이는 것들이 보인다. 그리고 사용 어휘에서 오늘날의 전라 방언에 대응하거나 비규범적인 형태로 간주되는 것들이 적지 않다. 이런 것들은 전라 방언적 요소로 볼 수 있는 것들로 앞으로 관심을 가지고 계속 관찰과 연구를 하여 전라 지역어의 역사적 연구의 소재로 삼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법적 특징에서 중세 국어와 연결이 되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관찰되며 경판본의 양상과는 다른 양상을 드러내는 것이 보여 전라 지역에서 나온 판본으로서 개별성을 드러내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Korean language of Wanpan version of Guunmong as a local language literature material by comparing the linguistic aspects of this place with the Gyeongpan version of Guunmong, focusing on notation, phonology, form, and vocabulary. The Wanpan version of Guunmong has a higher proportion of conversation compared to the first edition, the length of the sentence is long, but the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the use of Chinese writing style is relatively less difficult, and the spoken language is much reflected. The Wanpan version of Guunmong is relatively complex compared to the Gyeongpan version of Guunmo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endency to maintain traditional notation is stronger than the hard copy and reflects various aspects of the real languag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eu(으)" is reflected through the execution and rapid investig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in Jeolla Province. In the reflection of reflection of phonological change, there are features such as the reflection of the k-palatalization, and the use of words with /β/(ㅸ)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change to /w/. There are also fish restructuring such as 'bat>bas' and 'bich>bis'. In addition, there are many things in the vocabulary that are considered non-normative forms or responding to the Jeolla dialect. These can be seen as Jeolla dialect elements,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observe and study them and use them as the subject of historical research in the Jeolla region.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it is connected to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in it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showing its individuality as an edition from the Jeolla region, showing a different aspect from the script.

      • KCI등재

        鄕札 表記字 漢字音 硏究의 回顧와 展望

        李準煥(Yi Jun-hwan) 구결학회 2011 구결연구 Vol.26 No.-

        본고는 鄕札 表記字 漢字音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鄕札 表記字 漢字音의 특징을 개관하고 앞으로의 연구 方向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를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音借字를 대상으로 하여 고찰을 진행했다. 고찰 결과 鄕札 表記字에 반영된 漢字音에는 漢語音韻史의 다양한 層位가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韻母에 있어서는 中古音에 기반을 둔 것은 물론이고 中古音보다 다소 이른 시기의 漢字音에 기반을 둔 것이나 古音에 기반을 둔 것으로 나누어지고, 聲母에 있어서는 中古音에 기반을 둔 것 이외에 古音에 기반을 둔 것들이 상당히 있다는 점이 이와 같은 漢字音의 重層性을 보여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고의 결론이 보다 확정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古代國語 借字表記 자료에 대한 연구, 日本의 자료에 대한 연구, 漢語音韻史 연구가 더욱 풍성해지고 종합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며 木簡 자료 등에 나타나는 書體 등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아학편(兒學編)』의 구성과 뜻풀이의 특징에 대하여

        이준환 ( Jun Hwan Yi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다산(茶山)의 『아학편(兒學篇)』의 구성과 뜻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아학편』이 어떤 목록(目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우선 살피고, 한자(漢字)들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고 각각의 한자에 이루어진 뜻풀이가 보이는 특징을 이전 시기의 초학서(初學書)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학편』에는 비록 목록은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산은 54개 정도에 해당하는 부문(部門)으로 나누고 이 부문별로 한자를 구성하고 이에 걸맞은 뜻풀이를 하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를 꼼꼼하게 분석하여 이전 초학서와는 달리 그 구성을 간략화하여 윤곽을 제시하는 데에 신경을 써서 필요한 한자만 고르고 이전 초학서에서 빠진 한자는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한자들의 구성 방식은 병렬 관계, 유의 관계, 대립 관계에 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구성 방식에 어울리게 한자의 뜻풀이를 하고자 한 특징이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의 뜻풀이를 많이 참고하고 그대로 가져다 쓰거나 일부 변형하여 쓰는 경우가 있었고, 어렵거나 생소한 말 대신에 쉽고 익숙한 말로써 뜻풀이를 하는 모습도 보였고, 새로 풀이한 예들도 상당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다른 한자의 뜻풀이에 쓰인 어휘와 품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 있는데 이것이 당시 언어 현실을 고려하여 뜻풀이를 하는 과정에서 생긴 자연스러운 결과인지 다신이 품사의 일치까지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서 생긴 것인지는 좀 더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structure and definition in Ahakpyeon written by Jeong Yak-yong. For this aim, I will consider list and definition of Ahakpyeon in a comparative manner with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published in before the early 19th century. After a review of the text, I could see the following. First, it has a list of the 54 degree is made up of the sector in Ahakpyeon. Second, each sector is composed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s and the definition of these sectors to be in harmony. Third, the configuration is more compact than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 can be summarized as parallel relationship, similar relationship or opposite relationship.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fined to be a good match. In this process Jeong Yak-yong referred to the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s definition and he just brought it used. And he defined as easy and familiar words rather than difficult or unfamiliar words. And he used newly defined words too. However,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a different part of speech does not match the words and things were.

      • KCI등재

        16세기 후반,17세기 국어한자음운모(國語漢字音韻母)의 대응 양상 및 특징(2)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4 No.-

        이 글은 16세기 후반·17세기의 國語漢字音중 果攝·假攝·宕攝·梗攝·曾攝·流攝·咸攝·深攝을 대상으로 하여 中古漢語와의 韻母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고 한자음 層位및 변화를 중심으로 한 國語漢字音의 특성을 논의한 것이다. 그결과 이 시기 한자음의 특징은 中古漢語에 기반을 둔 主層에 古層과 新層의 한자음을 반영한 것들이 섞여 있어 複合層位를 형성하고 있음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古層과 新層중에서는 新層이 量的으로 더 많아 中國과의 지속적인 교섭의 결과 流入된 새로운 음들이 대체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漢字音의 대응상 특징 가운데 눈에 띄는 것으로는 한자음의 合口性을 구현해 줄 음절 형태가 국어에서는 자연스럽지 못했던 음절 구조 제약으로 인하여 脣音과 舌頭音聲母를 비롯하여 喉音과 일부 齒音聲母에서 合口音이 開口音처럼 반영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한자음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으로는 齒音의 口蓋音化로 인해 齒音아래에서 口蓋性介音이 탈락하여 3等韻의 甲乙의 구별이 혼란스러워지는 양상이 상당히 관찰되었고, 脣子音아래에서 平脣母音이 圓脣母音으로 대응하는 圓脣母音化현상과 반대로 원순모음이 평순모음으로 대응하는 양상이 있었으며, /·/ > /ㅏ/의 변화와 관련된 예들이 여럿 관찰되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ino-Korean`s final of Guoshe(果攝), Jiashe(假攝), Dangshe(宕攝), Gengshe(梗攝), Cengshe(曾攝), Liushe(流攝), Xianshe(咸攝), Shenshe(深攝) in late 16th and 17th century. To this purpose, I concentrated on the correspondency aspect of Sino-Korean to Middle Chinese, layers and changes of Sino-Korean. From this study I could see the fact that Sino-Korean had complex layers which composed of old layer, main layer and new layer. The simplest explanation about these layers is that old layer was reflected pre Middle Chinese, main layer was reflected Middle Chinese and new layer is reflected Modern Chinese. Among these layers, new layer which was reflected in Sino-Korean is much more than that of old layer. From this fact I could see that Modern Chinese had an considerable influence on Sino-Korean in the proces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s detailed character, rounded vowel became unrounded vowel in not only Chunyin(脣音) and Shetouyin(舌頭音) but also Houyin(喉音) and partial Chiyin(齒音). These characters are related with the restriction of syllable structure in Korean. As the aspect of Sino-Korean`s changes in late 16th and 17th century, there are elimination of medial in Chiyin(齒音), round voweliztion of unrounded vowel, change of /·/ to /ㅏ/ so to speak disappearance of /·/. Those charges are euphonic charges that had to do with Modern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