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와 국어 어휘 및 번역어 고찰 -공통 표제어 대응 어휘를 중심으로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80 No.-

        이 글은 언더우드(1890), 스콧(1891), 존스(1914), 게일(1924), 원한경(1925) 이렇게 5개의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를 살펴보고, 공통 표제어를 대상으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실태 및 다양화 양상, 새로 등장한 어휘의 기원, 국어 어휘 및 번역 어휘가 반영하고 있는 분야, 파생어를 중심으로 한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5개 사전의 구조를 보면 스콧(1891)과 게일(1924)는 단순한 미시 구조를 보이며, 언더우드(1890)는 품사 정보와 용례까지 제시한 좀 더 상세한 미시 구조를 보이며, 존스(1914)와 원한경(1925)는 동의어·유의어와 다의어를 미시 구조의 차원에서 구분한 더욱 상세한 미시 구조를 보이는 사전이다. 미시 구조가 상세할수록 국어 어휘나 번역어의 개수도 많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사전의 표제어의 개수를 품사별로 살펴보니 명사>동사>형용사순이었으며 명사로 대응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후대에 간행된 사전일수록 새로운 국어 어휘나 번역어가 반영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들 어휘는 대개 한자어(漢字語)였다. 기존 어휘가 누적되고 새로운 어휘가 등장하면서 동의어·유의어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고 다의성도 충실히 반영하려 한 시도가 나타났다. 새롭게 등장한 어휘의 기원을 살펴보면 외래적인 것 특히 일본어계와 중국어계가 많았는데 일본어계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일본어나 중국어를 참고하면서 영어 표제어에 대응하는 어휘를 모색하는 과정을 거쳐서 영한사전의 뜻풀이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새롭게 등장한 어휘들에는 전문 분야의 어휘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법률>종교>경제>군 사>의학>교육 등의 어휘가 두드러졌고, 이 외에 산업, 광업, 농업, 건설, 생물, 물리, 화학, 수학, 기하학, 박물학, 언어, 문학, 철학, 예술 등의 어휘도 다수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국어 어휘 및 번역어에서는 파생어가 많이 관찰되어 여러 접사를 추출해 볼 수 있었는데 접두사로는 ``부(不)-, 무(無)-, 몰(沒)-, 신(新)-, 귀(貴)-, 생(生)-, 초(超)-`` 등이 있으며 접미사로는 ``-관(官), -사(師), -증(症), -질(質), -자(者), -가(家), -인(人), -사(士), -원(員), -장(長), -수(手)`` 등이 있어서 접미 파생법이 발달했음을 보이는데, 고유어계는 ``-질``만이 관찰되어 고유어계 접사 의 생산성이 높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icroscopic structure of the five English-Korean Dictionaries(Underwood(1890), Scott(1891), Jones(1914), Gale(1924), H. H. Underwood (1925)) and real condition of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that corresponded to common headings. I specifically examined aspects of diversification, origins of the emerging vocabulary,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Among the five English-Korean dictionary, Scott(1891) and Gale(1924) has a simple microscopic structure. Underwood(1890) has a more detailed microscopic structure that enough to present word class information and examples. Jones(1914) and H. H. Underwood(1925) has more detailed microscopic structure that enough to classify and present synonym, thesaurus, polysemy in the micro-dimensional structure. There is tendency that more and more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are recorded in English-Korean dictionary as the microscopic structure details. I could see that the result of word class as nouns, verbs, adjectives, order the number of headings. The number of nouns was found to be overwhelmingly common. Later published dictionaries more have a strong tendency to reflect more translation to new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This contained most of the vocabulary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And the fact that I could see was also an attempt to see how the existing vocabulary is cumulative and the emergence of the new vocabulary, synonyms and thesaurus expanding ambiguity, was also trying to faithfully reflected. And Japanese based Sino-Korean vocabulary and Chinese-based Sino-Korean vocabulary emerged much. And Japanese-based Sino-Korean vocabulary are more common. So I could see that a compiler of a English-Korean Dictionary referred Japanese or Chinese vocabulary and decided definition of English-Korean dictionary. New vocabulary are mostly technical terms. There are a lot of legal, religious, economic, military, medicine and education technical terms that recorded in English-Korean dictionary``s vocabulary. And a lot of derivative were observed from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 Prefix list is ``부(不)-, 무(無)-, 몰(沒)-, 신(新)-, 귀(貴)-, 생(生)-, 초(超)-`` and suffix list is ``-관(官), -사(師), -증(症), -질(質), -자(者), -가(家), -인(人), -사(士), -원(員), -장(長), -수(手)``. Derivative by suffix were much rather than by the prefix.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익로(鄭益魯)의 『국한문신옥편(國漢文新玉篇)』의 체재와 언어 양상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이 글은 鄭益魯에 의해 편찬된 國漢文新玉篇이 어떤 틀을 보이고 있고 여기에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과 국문 뜻풀이 등의 언어의 양상은 어떠한지를 중심으로 이자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國漢文新玉篇』은 부녀자와 아동도 한자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국문으로 뜻과 음을 제시하고, 뜻과 음의 근거를 분명히 찾아서 편찬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 자전의 체재와 내용은 기본적으로 『全韻玉篇』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었으나 『全韻玉篇』보다 표제자의 개수도 많아지고 한자의 순서도 조정되는 등의 차이도 있고, 모든 표제자에 국문으로 된 뜻풀이를 제시하여 한자 대 국어의 대응 관계를 보여 주어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도 국문 뜻풀이를 제시하여 당시 언어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 자전은 큰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그리고 國漢文音韻字彙를 통해서 표제자를 음별로 묶어서 제시하고 국문 뜻풀이를 표제자 아래에 제시함으로써 쉽게 한자의 음과 뜻을 파악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였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 자전에 반영된 언어 양상을 보면 한자음은 대개 『全韻玉篇』과 같으나 한자음 사용 현실 등을 감안하여 한자음을 단순화하거나 속음만을 제시하는 등의 적절한 조정을 한부분도 있다. 국문 뜻풀이는 대개 한자의 기본 의미에 해당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 뜻풀이에 제시된 어휘가 대체로 이전 시기의 初學書와 일치하는 것임을 볼 때, 이전 시기의 초학서를 참고해 가면서 이를 근거로 하여 국문 뜻풀이를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on structure and language aspect in Kukhanmunsinokpyeon. Language aspect is involved in Sino-Korean and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Kukhanmunsinokpyeon was published to let women and children know information about Sino-Korean and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Jeong Ik-ro presented Sion-Korean and definition in Korean and made efforts to have adequate grounds on Sion-Korean and definition. The ground on structure and contents are basically based on Jeonunokpyeon. But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Kukhanmunsinokpyeon and Jeonunokpyeon, in regard to the number of entry,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entry and presentation of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Most of all, by presenting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Jeong Ik-ro wanted to help Korean people`s language life then. This was very valuable. And a presentation of Kukhanmuneumhunjahwi which has a character like index is evident. The aspect of Sino-Korean in Kukhanmunsinokpyeon are similar to that of in Jeonunokpyeon. But there are distinction in that adjustments like simplication in Sino-Korean were made and presentation of only Sokeum in other words a popular pronunciation of a Chinese character.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are relevant to basic meaning in most cases and these meaning are agreement with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beginner`s Chinese book. In that, I understanded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Kukhanmunsinokpyeon was presented in based on Korean definition on Chinese character in beginner`s Chinese book published in the previous period.

      • KCI등재

        ≪훈몽자회(訓蒙字會)≫ 주석(註釋)에서 볼 수 있는 중세국어 한자음의 모습

        이준환 ( Yi Jun-hwan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5 No.-

        중세국어 한자음 자료인 ≪訓蒙字會≫에는 漢文으로 된 註釋이 주기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한자음과 관련한 기술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런 한자음 관련 註釋을 포함하는 한자의 개수는 약 324자에 달한다. 이들 註釋을 뽑고 通作, 亦作, 俗作, 本作, 或作, 正作, 同作, 又作, 今作, 與X同, 기타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이들 가운데에는 ①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한자음 자료와 ② 다른 중세국어 문헌의 한자음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한자음 자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중세국어 한자음 연구 자료의 양을 늘릴 수 있게 되었는데, 수집된 자료의 개수는 ①에 해당하는 것이 97개, ②에 해당하는 것이 36개로 모두 133개에 달하였다. 이는 중세국어 한자음 연구 자료, 특히 현실음 연구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상당한 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가운데에는 복수음자의 복수 한자음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포함되어 있고 의미와 음 사이의 관계에 관한 정보도 제시되어 있어서 복수 한자음의 사용 양상과 각각의 한자음의 역할을 의미를 관련지어 살피는 데에 좋은 자료가 된다. 註釋에 실린 한자음 자료가 반영하고 있는 한자음들은 대개 중세국어 한자음과 中古漢語 사이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이해해 볼 수 있는 것들이나 상당수는 中古漢語 이후의 近代的 층위를 반영한 한자음과 관련되는 것들이었다. 대표적으로 舌上音의 正齒音化, 齊微韻 형성, 江陽韻 형성, 蕭豪韻 형성, 입성 운미의 소실 및 양성 운미의 변화와 관련한 모습이 반영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Middle Sino-Korean aspect written in annotation in Hunmongjahoe. For this purpose I extracted annotation related with Middle Sino-Korean first of all. And I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as 通作, 亦作, 俗作, 本作, 或作, 正作, 同作, 又作, 今作, 與X同 and etc. As a result I could see entirely new Middle Sino-Korean data which in other Middle Sino-Korean data that could not see and different Middle Sino-Korean data which in other Middle Sino-Korean data that could see. Thanks to this new and different data newly collected, we can increase the amount of material real Middle Sino-Korean. This new and different Middle Sino-Korean data newly collected involve multiple Sino-Korean which easily contain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and sound. Using this multiple Sino-Korean data, we can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and sound. The feature of Middle Sino-Korean reflected in annotation can be generally understandable based on Middle Sino-Korean and Ancient Chinese relations. But many of them were be understandable based on relation to Modern Chinese. For example, there are reflection of the change in 舌上音 正齒音 of intial, formation of 齊微韻, 江陽韻 and 蕭豪 韻, and disappearance of /-p/, /-t/, /-k/ and change in /-m/>/-n/ of final.

      • KCI등재

        池錫永 『兒學編』 영어 어휘의 모음의 한글 표기와국어와 영어의 음운론적 대응 양상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6 No.-

        이 글은 池錫永 『兒學編』의 영어 어휘의 한글 표기 양상과 국어와 영어의 음운 론적 대응 양상을 모음을 대상으로 하여 살핀 것이다. 고찰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요즘과 비교하여 볼 때 표기의 양상이 훨씬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에는 철자가 미친 영향도 있고 영어사의 모음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그리 고 이런 다양한 대응 양상이 나타난 데에는 영국 영어의 반영도 관련이 있다. 둘째, 영어와의 대응을 볼 때 국어의 ‘ㅔ’, ‘ㅐ’는 단순 모음의 특징을 분명히 보인다. 셋 째, 국어의 ‘ㅟ’는 [wi], [y], [uj]의 음성적 실현을 보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ㅚ’는 [we]로 실현되고 있음을 보인다. 넷째, 순치음 아래에서는 다른 자음 아래에 서는 ‘ㅣ’가 올 곳에 ‘ㅢ’가 오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순치음의 음성적 특색을 반영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다섯째, 영어 모음이 장모음이나 하향 이중 모음인 경우에 이들의 장음성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일 본어의 대응 양상과 비교하여 보면 유사한 면도 보이기는 하였으나 이질적인 양상 들이 훨씬 많이 보여서 영어를 수용하고 이를 표기하는 과정에 일본어의 간섭은 크 지는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Hangeul(Korean alphabet) transcription of English vocabulary and vowels` phonological response of English and Korean in Ji Seok-yeong`s Ahakpyeon published in 1908. Ahakpyeon was complied by Ji Seokyeong for the purpose of Chinese character learning and foreig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From this study I could see that Ahakpyoeon`s Hangeul transcription of English reflects various aspects of English phonetic feature and variation. Noteworth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aspects of Hangeul transcription of English vocabulary were relevant in spelling, English vowel change and British English. Second, Korean`s /ㅔ/ and /ㅐ/ has monophthongal feature. Third, Korean`s /ㅟ/ has complicated correspondence aspects in showing [wi], [y], [uj]. Fouth, Korean`s /ㅣ/ was replaced /ㅢ/ which located in below labiodental. This is action to reflect phonetical feature of labiodental. Fifth, there are investigated much effort to reflect long vowel`s feature of English long vowel and diphthongs that have off glide.

      • KCI등재

        16세기 후반,17세기 국어한자음운모(國語漢字音韻母)의 대응 양상 및 특징(2)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4 No.-

        이 글은 16세기 후반·17세기의 國語漢字音중 果攝·假攝·宕攝·梗攝·曾攝·流攝·咸攝·深攝을 대상으로 하여 中古漢語와의 韻母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고 한자음 層位및 변화를 중심으로 한 國語漢字音의 특성을 논의한 것이다. 그결과 이 시기 한자음의 특징은 中古漢語에 기반을 둔 主層에 古層과 新層의 한자음을 반영한 것들이 섞여 있어 複合層位를 형성하고 있음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古層과 新層중에서는 新層이 量的으로 더 많아 中國과의 지속적인 교섭의 결과 流入된 새로운 음들이 대체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漢字音의 대응상 특징 가운데 눈에 띄는 것으로는 한자음의 合口性을 구현해 줄 음절 형태가 국어에서는 자연스럽지 못했던 음절 구조 제약으로 인하여 脣音과 舌頭音聲母를 비롯하여 喉音과 일부 齒音聲母에서 合口音이 開口音처럼 반영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한자음에서 나타난 변화 양상으로는 齒音의 口蓋音化로 인해 齒音아래에서 口蓋性介音이 탈락하여 3等韻의 甲乙의 구별이 혼란스러워지는 양상이 상당히 관찰되었고, 脣子音아래에서 平脣母音이 圓脣母音으로 대응하는 圓脣母音化현상과 반대로 원순모음이 평순모음으로 대응하는 양상이 있었으며, /·/ > /ㅏ/의 변화와 관련된 예들이 여럿 관찰되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ino-Korean`s final of Guoshe(果攝), Jiashe(假攝), Dangshe(宕攝), Gengshe(梗攝), Cengshe(曾攝), Liushe(流攝), Xianshe(咸攝), Shenshe(深攝) in late 16th and 17th century. To this purpose, I concentrated on the correspondency aspect of Sino-Korean to Middle Chinese, layers and changes of Sino-Korean. From this study I could see the fact that Sino-Korean had complex layers which composed of old layer, main layer and new layer. The simplest explanation about these layers is that old layer was reflected pre Middle Chinese, main layer was reflected Middle Chinese and new layer is reflected Modern Chinese. Among these layers, new layer which was reflected in Sino-Korean is much more than that of old layer. From this fact I could see that Modern Chinese had an considerable influence on Sino-Korean in the proces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s detailed character, rounded vowel became unrounded vowel in not only Chunyin(脣音) and Shetouyin(舌頭音) but also Houyin(喉音) and partial Chiyin(齒音). These characters are related with the restriction of syllable structure in Korean. As the aspect of Sino-Korean`s changes in late 16th and 17th century, there are elimination of medial in Chiyin(齒音), round voweliztion of unrounded vowel, change of /·/ to /ㅏ/ so to speak disappearance of /·/. Those charges are euphonic charges that had to do with Modern Korean.

      • KCI등재

        『아학편(兒學編)』의 구성과 뜻풀이의 특징에 대하여

        이준환 ( Jun Hwan Yi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다산(茶山)의 『아학편(兒學篇)』의 구성과 뜻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아학편』이 어떤 목록(目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우선 살피고, 한자(漢字)들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고 각각의 한자에 이루어진 뜻풀이가 보이는 특징을 이전 시기의 초학서(初學書)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학편』에는 비록 목록은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산은 54개 정도에 해당하는 부문(部門)으로 나누고 이 부문별로 한자를 구성하고 이에 걸맞은 뜻풀이를 하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를 꼼꼼하게 분석하여 이전 초학서와는 달리 그 구성을 간략화하여 윤곽을 제시하는 데에 신경을 써서 필요한 한자만 고르고 이전 초학서에서 빠진 한자는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한자들의 구성 방식은 병렬 관계, 유의 관계, 대립 관계에 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구성 방식에 어울리게 한자의 뜻풀이를 하고자 한 특징이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의 뜻풀이를 많이 참고하고 그대로 가져다 쓰거나 일부 변형하여 쓰는 경우가 있었고, 어렵거나 생소한 말 대신에 쉽고 익숙한 말로써 뜻풀이를 하는 모습도 보였고, 새로 풀이한 예들도 상당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다른 한자의 뜻풀이에 쓰인 어휘와 품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 있는데 이것이 당시 언어 현실을 고려하여 뜻풀이를 하는 과정에서 생긴 자연스러운 결과인지 다신이 품사의 일치까지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서 생긴 것인지는 좀 더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structure and definition in Ahakpyeon written by Jeong Yak-yong. For this aim, I will consider list and definition of Ahakpyeon in a comparative manner with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published in before the early 19th century. After a review of the text, I could see the following. First, it has a list of the 54 degree is made up of the sector in Ahakpyeon. Second, each sector is composed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s and the definition of these sectors to be in harmony. Third, the configuration is more compact than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 can be summarized as parallel relationship, similar relationship or opposite relationship.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fined to be a good match. In this process Jeong Yak-yong referred to the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s definition and he just brought it used. And he defined as easy and familiar words rather than difficult or unfamiliar words. And he used newly defined words too. However,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a different part of speech does not match the words and things wer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世宗實錄」에 실린 反切 등의 注音 자료의 분석과 이해 - 『龍飛御天歌』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준환(Yi, Jun-hwan)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6

        이 글에서는 訓民正音 창제와 관련을 맺는 「世宗實錄」에 제시된 反切 등의 注音자료를 언어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이 실록에 실린 훈민정음 창제와 연관된 조정 내에서의 논의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살펴보려 하였다. 실록은 「세종실록」을 중심으로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등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龍飛御天歌』에 실린 주음 자료와도 비교하여 두 자료의 유사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세종실록」의 주음 자료는 중국 운서와의 일치도가 높지 않은데, 이런 점에서 한자음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만들어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용비어천가』의 주음 자료는 자체적으로 만든 것으로 보이는 것이 포함되어 있으나 대개는 중국 운서와의 일치하는데, 중국 운서와 일치하는 것들에는 중고음에 기반한 국어 한자음 틀로 이해 가능한 주음 자료가 많다. 따라서 이들 가운데 일부는 자체적으로 만든 것일 수도 있다고 판단하였다. 「세종실록」에서 보이는 주음 자료가 보이는 언어적인 양상은 청탁의 혼란, 칠음의 미구별과 같이 성모에 관한 것이 주가 되고 성조의 혼란에 관한 것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런 언어적 양상은 성모와 성조에 관한 불일치 양상이 보이는 『용비어천가』의 주음 자료와 공통점이 있다. 또한 『東國正韻』의 서문 등에서 제시한 국어 한자음의 실태와도 일치한다. 이런 내용들은 실록의 기사에서 과거용 운서의 사용, 『동국정운』 편찬을 통한 국어 한자음의 정리 및 이를 통한 『禮部韻略』의 대체, 『홍무정운』의 이해 및 『홍무정운역훈』의 편찬, 『동국정운』을 통한 『홍무정운』 등의 한음 학습이 제시되어 있는 것과 잘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를 통해 「세종실록」의 주음 자료는 국어 한자음의 정리와 체계화가 중요한 과제였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는 훈민정음이 『동국정운』 편찬 등의 한자음 정리 및 체계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성격을 지님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된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materials such as the Banjeol(反切) presented in the SejongSilok, which is related to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and examine how they relate to the discussion within the mediation related to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In addition to the SejongSilok, the materials to be reviewed included MunjongSilok, DanjongSilok and SejoSilok.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main notes were also examin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main notes in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First of all, SejongSilok’s phonological materials seems to have been made and presented on its ow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hinese Phoneme, given that it is not highly consistent with Banjeol(反切). On the other hand, the phonological materials of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include those that appear to have been made by themselves. Although most of them are consistent with Chinese rhyme books, it was judged that there would be more self-made phonological materials among them, given that there are many sound materials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Sino-Korean’s framework based on the Middle Chinese. The linguistic aspects shown in the main notes in the SejongSilok are mainly about initial, such as confusion in the method of consonants and the distinction of the location of consonants, and some about intonation. This aspec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phonological materials of Yongbieocheonga which shows discrepancies between the initial and tone. Thi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problems of Sino-Korean presented in the preface of Donggukjeongun(東國正韻). This is understood to be related to the use of Chinese rhyme book for Gwageo(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the compilation of Korean characters through the compilation of Dongguk-jeongun, the replacement of Yebuunryak(禮部韻略), the comprehension and compilation of Hongmujeongunyeokhun(洪武正韻譯訓) and the connection of Learning of Hongmujeongun(洪武正韻) using Donggukjeongun(東國正韻). This shows that organizing and organizing Sino-Korean was an important task. In addition, Hunminjeongeum is clos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Sino-Korean that were intended to be organized through the compilation of Donggukjeongun(東國正韻).

      • KCI등재

        『名物小學』의 언어적 양상에 대하여

        이준환 ( Yi Jun-hwa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3 언어와 정보 사회 Vol.49 No.-

        This article aims to help estimate the publication date of Myeongmulsohak (『名物小學』), which is not yet known, by examining the linguistic aspects found here, and looking at which period of Korean history this linguistic aspect is close to. The study suggests that Myeongmulsohak (『名物小學』)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utility of Chinese character learning books, such as arranging eight characters per line, dividing and clarifying meaning of word, and reorganizing them following the actual language use. In addition, given the aspects of notation, phonology and use of letters, this book can be summarized as intended as a study book that tried to actively accommodate actual language use. However, the presentation of Sino-Korean adopted a fairly standardized method due to the standardization caused by the influence of prosody book (韻書) and Sino-Korean dictionary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