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설문조사시 질문순서가 응답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사회과학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설문지 구성의 문제로 인해 상당수의 연구자들은 결과도출에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구성의 오류 중에서 측정오류를 야기하는 질문순서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연구에서는 측정오류를 얼마나 줄였느냐에 따라 연구의 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선행연구들은 질문순서효과에 대하여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대다수의 연구에서 질문순서에 따라 응답결과가 달라지는 점을 확인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질문순서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연구들도 있었다. 또, 한 연구 내에서도 응답자의 상황에 따라 질문순서효과가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즉, 질문순서효과는 설문의 주제나 응답자가 처한 상황 등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질문순서효과에 대해 재검토해 보았다. 해외 연구들에 비하여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질문순서효과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질문순서효과 검증을 위하여 두 가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특정 문항의 순서에 차이가 있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질문순서에 따른 응답결과를 비교해보았다. 두 번째 분 석에서는 특정문항과 관련 있는 질문의 제시 유무가 질문순서에 따른 응답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사례에 따라 질문순서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질문순서에 차이가 있는 두 유형의 설문지를 비교해 본 결과, 하나의 분석을 제외한 모든 분석에서 질문순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문순서효과가 나타난 분석의 경우에도 N의 크기가 작아 질문순서에 따라 응답결과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존재했다. 이러한 결과는 응답자의 지각순서와 질문제시순서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자동비교관점적 접근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련 있는 질문 유무에 따른 질문순서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질문순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에서는 특정문항과 관련된 질문이 선행되었을 때 프라이밍 효과가 발생하여 응답자들이 차후의 응답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정문항과 관련된 선행질문이 후속 질문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 없는 문항 삽입(buffer item)이 프라이밍 효과를 약화시켜 질문순서효과 발생을 억제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완충질문(buffer item)효과 검증을 위한 추가분석 결과, 완충질문이 프라이밍 효과를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 것은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 본 연구는 질문순서효과에 다양한 관점을 적용하여 논의를 풍부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설문지 유형별 분석의 N의 크기가 작아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지속적인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주요어: 설문조사, 설문지, 질문순서효과, 완충질문 A survey is used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as one of a measuring tool in social science. But many social scientists often draw a conclusion with measurement errors in their studi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question-order effects as one of the measurement errors in surveys. In empirical studies, the quality of research can be varied according to how many measurement errors are eliminated in surveys. Previous researchers have presented different views on question-order effects. In the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order of questions could affect respondent's answers. However, question-order effects were not found in several studies. In addition, question-order effects were shown in different ways in a study. So, we can assume that question-order effects are occurred differently according to circumstances. Based on those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reviewed about question order effects with domestic data. Because compared to overseas researchers, not many of domestic researchers have performed a study on question-order effects. This study carried out two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question-order effects in surveys. Firstly, this study compared the two forms of survey questionnaires to reveal question-order effects. Secondly,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one group, respondents were suggested specific questions with some questions which were related to specific questions. In another group, respondents were exposed to specific questions without any related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question-order effects were not found most of the analysis.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by Automaticity Comparison Process. Becaus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 order and respondent's perception order. Also, whether related questions were suggested or not, question-order effects were not shown. This result occurred by buffer items in surveys. Buffer items helped respondents to reduce priming effects even though the relevant information was still accessible in respondent's memory. The effect of buffer it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suggesting various aspects of question-order effects in domestic researches. But due to the small size of observations in some analysis,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e those results. Therefore, continuou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e study on question-order effects. Key words: survey, questionnaire, question-order effect, buffer item

      • 헤어 미용 전공 사회수요맞춤형 대학교육이 교육 만족도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헤어 미용 전공 사회수요맞춤형 대학교육이 교육 만족도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뷰티디자인학과 이주현 우리나라의 미용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그에 부응하 는 미용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미용 분야의 산업체는 현장에 서 필요로 하는 기술과 인성을 함양한 인재를 원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산업 체의 수요에 맞춘 인재 양성과 공급을 위하여 현장 실무중심형 교육의 중요성 에 대하여 인식하고 교육의 방향성 잡고 있다. 실용 학문인 미용 전공은 실무 중심형 교육 운영을 추구하기 위해 산업체와 대학 간의 긴밀한 교육 협력을 통해 산업체, 대학 그리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이점을 안겨주는 사회수요맞춤 형교육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사회수요맞춤형 교육이 헤어 미용 전공 분야의 학생 만족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소재의 사회수요맞춤형 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3년 11월 6일부터 11월 19일까지였고, 총 350부를 배포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3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312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쳐 SPSS ver, 25.0 을 활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수요맞춤형 대학교육의 사회수요맞춤형 대학교육의 교수자 역량이 학습만족도, 교수자 만족과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 결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의 역량이 학습만족도와 진로 결 정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교수자의 수준 높은 현장형 테크닉과 전공 분야에 대한 이론적 전문지식의 보유가 중요한 함을 확인했다. 둘째, 헤어 미용 전공 사회수요맞춤형 대학교육의 실무적합성이 교육환경 만 족도에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산업체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 는 실무 및 이론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산업체에 최적화된 교육방법을 구현해야한다는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사회수요맞춤형 대학교육의 교육 내용이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 로 결정 확신성에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학습자의 의식 수준을 고려한 맞춤 형 교육을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 하였다. 사회수요맞춤형교육의 교육자 역량, 교육 내용, 실무적합성, 교육환경은 사회 수요맞춤형교육 과정이 현재 헤어 미용 전공 분야의 대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인식 면 및 교육효과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수요맞춤형 교육과정의 효과 검증 및 실효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개선 방향성을 잡는 것이 중요할 것이며,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에서는 산업체 취업 후 사회수요맞춤형 교육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 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Effect Of Social Demand-Oriented Education in the Hairdressing Major at University up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in Beauty Ju Hyun Lee Department of Beauty Design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The beauty industry in Korea has been receiving significant global attentio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beauty techniques. In response, industry players in the beauty field are seeking individuals who possess the necessary skills and qualities for the industry. Univers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education that aligns with industry demands and are actively shap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rough practical and industry-focused training. The beauty major, as a practical field of study, aims to expand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by fostering close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offering various benefits to both industry partners and student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on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s in the field of hair and beaut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enrolled in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programs in the Gyeonggi, Chungcheong, Yeongnam, and Honam reg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6th to November 19th, 2023, and a total of 312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38 incomplete survey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coding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ver. 25.0.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in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 satisfaction, instruct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among hair and beauty students. This highlights the significant role of instructor competence as a key factor in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possessing high-level practical techniques and theoretical expertise in the field. Second, the practical suitability of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in the beauty major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enable students to acquire practical and theoretical knowledge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industry. Implementing education methods optimized for industry needs is also crucial. Third, the content of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certainty of career decision-making among hair and beauty students. It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ailored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consciousness level of learners. The competence of educators, educational content, practical suitabi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are all crucial factors that greatly influence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of hair and beauty students.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programs and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based on research findings are essential. Furthermore,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ly demand-driven education on students' experiences after employment in the industry.

      • 고온 용융 압출 기술을 이용한 펠렛과 필름의 제조

        이주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난용성이며 pH 의존적 용해도 가지는 Itraconazole(BCS classⅡ, pKa 3.7)은 매우 강한 산성 조건에서 잘 용해되는 약물로서 많은 연구들은 위에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위 환경에서 용해되는 고체분산체 뿐만 아니라 소장 환경과 위장관 모든 환경에서 용해되는 고체분산체 펠렛을 Hot Melt Extruder(HME)와 Pelletizer를 이용하여 제조한 후 캡슐에 충전하여 In vitro 와 In vivo에서 평가하였다. 펠렛들이 결정형에서 무정형으로 바뀜을 DSC, PXRD를 이용하여 규명하였으며, pH jump method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약물이 위와 소장 환경에서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펠렛들의 생체이용률은 Rat과 Beagle을 이용한 In viv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Rat 실험에서 Crystalline ITZ는 낮은 용해도로 인하여 혈장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Sporanox®는 2.8hr에 최대 혈중농도에 도달하였으며, AUC0-48h는 1073.9±314.7 ng·h/mL 로 측정되었다. 위장관 모든 환경에서 용해되도록 제조한 고체분산체 펠렛의 AUC0-48h는 2969.7±720.6 ng·h/mL 로 측정되었다. Beagle을 이용한 In vivo test 결과, 위 환경에서 용해되는 펠렛은 AUC0-24h 3.37±3.28 μg·h/mL 이였으며, 소장 환경에서 용해되는 펠렛은 AUC0-24h 7.50±4.50 μg·h/mL로 소장환경에서의 ITZ의 용해는 위환경에서 용해되는 펠렛보다 AUC가 2.2배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ITZ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약물이 용해되는 위치가 중요하며 또한 ITZ의 특성인 pH가 높아짐에 따라 침전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생체이용률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Hot Melt Extruder 기술은 보다 쉽고 비용 효과적인 고체분산체 제조 기술임을 알 수 있다. 3D printing 기술은 환자 맞춤형 제제를 제조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장비로 최근 pharmaceutical dosage form을 연구하는데 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Hot Melt Extrusion을 기반으로 하는 3D 프린트 기술인 Fused Deposition Modeling(FDM)을 사용하여 Tablet으로 시판되고 있는 BCS class Ⅱ 약물인 조현병 치료제인 Aripiprazole(ARP)을 필름형성 중합체에 로딩하여 Orodispersible Films(ODFs)을 제조하였다. 중합체는 Klucel® LF(HPC)와 PE-05JPS®(PVA)를 이용하여 3D Printing 및 Solvent Casting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과 중합체에 따른 필름의 물리화학적 및 기계적 성질을 비교하였다. HPC(3D-HPC)와 PVA(3D-PVA)를 이용한 3D Printing Film은 Hot Melt Extrusion과 Printing 공정 시 용융 과정을 거쳐 약물의 결정형이 무정형으로 바뀐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방법 및 중합체에 따라 초기 용출 및 붕해 속도 차이가 관찰 되었으며, 3D Printing Films이 Solvent Casting Film 보다 더 빠른 붕해 및 용출속도가 확인되었고, HPC Films이 PVA Films보다 더 빠른 붕해와 초기 용출 속도가 빠르게 관찰되었다. 이는 Atomic Force Microscope(AFM)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Rq(Roughness RMS)값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Rq값이 높을수록 표면이 거칠며 표면적이 넓어 많은 타액이 필름에 침투할 수 있어 더 빠른 약물 방출 및 붕해가 일어난다. Puncture strength 측정 결과 3D Printing Film 및 Solvent Casting Film 모두 변형을 방지할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Texture Analyzer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HPC 및 PVA를 이용하여 HME를 통해 3D Printer에 적용할 수 있는 약물이 함유된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필름 제조 방법인 Solvent Casting Film과 비교하여 더 빠른 붕해를 가지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3D Printing 방법이 ODFs 제조를 위한 대안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共同住宅의 瑕疵類型에 따른 對策에 관한 硏究

        이주현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xamines the early defects by types, suggests its cases and investigates preventive measures and repair cases in order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consumers, improve the quality and realize cost reduction. Consequently it obtains the following conclusions after analyzing the types of defects, causes and cases of defects and researching the preventive measures by casues of defects. First, total 10,189 defect cases by areas of apartment houses, it is shown that architectural areas are 5,757 cases (56.50%), civil engineering areas are 703 cases (6,90%), facility areas are 3,474 cases (34.10%) and electric areas are 255 cases (2,50%). Interior finishing works are 3,154 cases (54.79%) in construction area, subsidiary facility works are 499 cases (70.98%) in civil engineering area, heating facility works are 1,955 cases (55.12%) in facility area and incoming transfer and electric power system works are 117 cases (45.88%). Second, the defects in the area of construction are various and its causes are planning, structure, technique, process, construction management, materials and maintenance. It means that measures of defects in the area of construction should not be biased on a process and the management from developing project to the stage of maintenance is needed. Third, the major causes of defects in the area of civil engineering are mainly errors in structure, planning and construction. It means that all defects are not in construction and then quality construction should be done by organization power based on thorough examination from the stage of planning. Fourth, the defects in the area of facilities are caused by the errors of planning, materials and techniques. It shows the general review including required performance, degree of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convenience from the stage of planning are required. Fifth, the defects of electrical parts are mainly caused by the errors in plann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 It means the importance of planning stage and technical management capacity in construction is needed.

      • 라이프로그 기반 서비스 분석을 통한 기록 요소 연구

        이주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라이프로그 기반 서비스들의 가장 세밀한 요소를 도출하여, 요소 기반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라이프로그 기반 서비스들의 요소 분석을 통해 도출한 변수를 매트릭스에 삽입하여 요소들의 비교 및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추출한 매트릭스의 기준은 라이프로그 요소 중 가장 중점이 되는 요소로 선정했다. 도출한 요소는 기록-로그 요소로서, 현 라이프로그 기반 서비스들의 기록 요소 현황을 알고자 했으며 또한 서비스들의 하위 요소 분포도를 보기 쉽게 보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라이프로그 개념의 가장 하위 요소를 살펴볼 수 있었다. 라이프로그 기반 서비스 요소는 인간의 특정 맥락을 통해 수집된다. 그리고 입력 방식은 수동 입력에서 점차 자동 입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차적으로 빅데이터 구축 뿐만 아니라, 기록 행위에 관한 새로운 사회 현상을 야기했고 일상 뿐만 아니라 일상을 포함한 모든 시공간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라이프로그란 단어 등장은 기술 발달과 맥락을 함께 하는데, 개념 발전과 함께 인간의 일상에 큰 영향을 일으켰음은 자명해 보인다. 선행연구를 통해 기록과 라이프로그의 긴밀한 연관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남긴다는 행위만을 넘어서 라이프로그의 측면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라이프로그란 행태를 구성하는 요소를 이끌어내고자 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라이프로그의 정의와 개념을 바탕으로 행태를 살펴보고, 행태를 이루는 가장 미세한 요소를 데이터의 형태(형식)로 전제하여 분석한다. 연구대상 분석에 앞서, 기본 전제가 되는 로그 요소를 추출했다. 입력 센서를 기준으로 자동, 수동 로그 요소를 각각 분류했다. 총 16개의 로그 요소가 추출되었고, 해당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자동 : 방향, 위치, 거리, 시간, 나침반, 속도, 방향, 기술기, 수면, 기압/고도, 압력(경사), 십박수, 사진/영상, 음성, 온도/습도 ˙ ・ 수동 : 텍스트(TEXT), 태그(TAG) 라이프로그의 행태와 전제로 설정한 데이터 형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의 연구대상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선정했다. 앞서 살펴본 로그 요소를 바탕으로 구축한 매트릭스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자동과 수동 로그 요소가 중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입력 방식을 동시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했으나, 애플리케이션은 주로 목적에 따라 활용 정도가 다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기록(입력)한 콘텐츠를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었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수행해야 하며, 동일 목적의 서비스들과 정보 호환이 가능했다. 이와 함께 다른 사람과의 콘텐츠 공유를 강조하는데, 이 역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수행해야 한다. 기록의 첫 번째 목적은 자신과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록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은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도 기록으로 간주한다고 볼 수 있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자동 로그 요소를 중점으로 강조했다. 또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정보 확인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유무가 로그에 있어 중요한 역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 목적의 디바이스와 자동 로그 요소를 통해 입력된 콘텐츠 연동이 가능함은 정보 접근성과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목적별로 활용되는 로그 요소들이 다양했다. 헬스-케어 등과 같은 특정 목적의 경우, 특정 로그 요소가 활용되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는 목적에 따라 로그 활용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는데 현재는 가장 기본적인 큐레이션만 제시하고 있었다. 결과로 제시되는 콘텐츠가 입력 방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맞춤 콘텐츠를 위한 명백한 기준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연구대상의 분석을 통해, 라이프로그 기반 서비스는 점차 자동 로그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디바이스를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모든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맞는가도 생각해 볼 문제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더 쉽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입력 방식으로 기반으로 한 라이프로그의 기록, 로그 요소를 체계적으로 분류했다. 라이프로그의 현황을 비롯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콘텐츠로서의 라이프로그 정보 활용을 지원하는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deriving the most minute factors of lifelog-based services and forming the factor-based matrix. It also aims at comparing and analyzing factors through inserting a variable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on lifelog-based services into the matrix. A criterion of the abstracted matrix was set as the most central factor extracted. Such an analysis was done with a view to identifying a condition of log factors of the present lifelog-based services and looking into a service sub-factor distribution map easily. Through such a process, sub-factors of a lifelog concept could be examined. Lifelog-based service factors are collected through human certain context. Also, imput method is changing from manual to automatic input gradually. Accordingly, in addition to big data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check real-time every space-time including a simple daily life, causing a new social phenomenon of recording. The advent of the word 'lifelog' corresponds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t seems to have an obviously great effect on human everyday life with the conceptual development. Precedent studies show a close association between recording and lifelog.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closely aspects of lifelog beyond an act of putting on record and induce factors composing a behavior of lifelog. Hence, it examines such a behavior based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lifelog, and analyze the most minute factor forming a behavior as a form(format). LOG factors were extracted as the basic premise before research analysis. Automatic and manual log factors were classified each on a criterion of an input sensor. 16 log factors were extracted as follows. * Automatic: direction, location, distance, time, compass, velocity, gradient, water surface, air pressure/altitude, pressure(slant), heart rate, photo/image, voice, temperature/humidity * Manual: TEXT, TAG Based on a data format set by the form and premise of lifelog, research objects were selected as smart phone application and wearable device. Criteria of matrix constructed based on log factors above are as follows. * In a case of applications, automatic and manual factors were overlapped. Simultaneous using of input modes was impossible but it showed that application has different utilizations according to its purpose. Contents of a user were recorded based on log factors in terms of a purpose. In addition, in lifelog-based services, it was possible to interlock contents user recorded(inputted). It has to be done by a user directly, and information is compatible with services having the same purpose. Besides, contents sharing with others is emphasized and it also has to be done by a user manually. The first aim of log may be communication with the self. Sharing user's log contents means that communication with others may be regarded as the log. * In a case of wearable devices, automatic log factors were analyzed particularly. Furthermore, it showed that display enabling to identify user's information real-time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log. Also, interlocking of contents inputted by the same-purposed device and automatic log factor showed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extendability. Besides, like applications, there were various log factors used by purpose. In a case of specific purposes like health-care, specific log factor was used. As such, devices showed an obvious difference in log utilization according to a purpose. Particularly, wearable devices concentrate on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s based on input information, now providing only the most basic curation. Since resulting contents vary as input mode, it shows that clear standard is required for customized contents. Research analysis above shows that automatic log factors will be used actively by lifelog-based services. However, it requires consideration about whether it is adequate to input every data of a user automatically through a device. With a view to promoting users to use services more easily and continually,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ic analysis on log factors of lifelog based on input mode. Along with precedent studies including about a situation of lifelog, this study is expected to support lifelog information utilization as the future contents.

      • 사운드스케이프 기반 도시장소기록 전시 연구 : 블루아워 염천교 수제화거리 사운드스케이프展을 중심으로

        이주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문화디자인랩은 2022년 1월 21일부터 1월 26일까지 도시장소기록 소리전시인 <블루아워:염천교 수제화거리 사운드스케이프展>(이하 블루아워)를 진행했다. 이 전시를 제작하기 위해 2021년 9월부터 사운드스케이프와 염천교 지역에 대해 학술적 연구를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전시제작을 위한 전시 콘셉트 및 스토리라인 구성, 작품 제작 등의 과정을 거쳤다. 이후 전시를 통해 개발과 보존의 경계에 놓여 있는 염천교 수제화거리를 소리로 기록하여 전달하고자 했다. 또한 관람객들에게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장소의 속성과 그 변화에 대해 깊게 고민해볼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블루아워>는 전시를 제작한 문화디자인랩 소속 대학원생들에게도 도시장소와 소리를 연구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지역의 의미 있는 장소를 조사하고, 지역을 기록하는 도구로써 사운드스케이프를 연구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아워>를 통해 소리를 활용하여 도시장소를 기록하는 사운드스케이프 기반 도시장소기록 소리전시의 연구 및 제작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도시장소기록 소리전시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운드스케이프 전시와 지역문화콘텐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정리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주요 소재 중 하나인 소리에 대해서 연구했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소리의 특성을 정리하여 기록매체로서 소리의 특성을 도출했다. 이에 더해 국내 소리전시와 도시장소기록 소리전시의 유형별 특성을 정리함으로써, 여러 유형의 소리전시를 아우르는 소리전시 제작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 했다.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블루아워>의 주요 소재이자 방법인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염천교 지역에 대해 살펴보고, 염천교를 대상으로 한 도시장소기록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 했다. 이후, <블루아워>의 전시제작과정을 정리하고, 전시의 내용과 전시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도시장소기록 소리전시의 의의와 개선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도출한 사운드스케이프 기반 도시장소기록 소리전시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도시장소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사운드스케이프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도시장소를 기록하는 소리전시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체계적으로 소리를 분석하고, 정리하여 전시로 표현한 경우는 많지 않다. 사운드스케이프의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장소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소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사운드스케이프 기반 소리전시를 통해 평소에 주목받지 못하는 도시의 오래되고 낡은 공간들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리는 우리의 감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체이다. 이러한 도시장소에 감성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문화적·역사적 가치를 재발견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세 번째,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도시장소를 기록함으로써 더욱 새롭고 다양한 문화예술적 시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사운드스케이프는 소리라는 추상적인 매체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그러나 물리와 신경학적 영역에 머무르기보다는 실제 우리가 경험하고, 감각하는 소리의 영역에 주목한다. 이러한 사운드스케이프의 방법론을 활용하면, 도시장소기록을 위한 다양한 예술적·음악적 창작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블루아워> 전시의 과정을 정리하고 작품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실제 전시를 관람한 관람자의 입장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도시장소기록 소리전시는 여전히 그 사례가 부족하여, 앞으로 더 많은 전시가 이루어져 본 연구에서 정리한 내용들을 검증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에는 염천교 외에 다른 도시장소를 대상으로 사운드스케이프 기반 소리전시를 진행해봄으로써, 방법론을 더 체계적으로 정리해야한다. The Culture Design Lab at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held the <Blue Hour: Yeomcheon Bridge Handmade Painting Street Soundsc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ue Hour), an exhibition of sound recordings of urban places from January 21 to January 26, 2022. To produce this exhibition, academic research on Soundscape and Yeomcheon Bridge area have been studied from September 2021.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organizing exhibition concepts, story lines for exhibition, and producing works have been organized. Afterwards, through the exhibition, we have tried to record and deliver the Yeomcheon Bridge handmade shoe street, which is located on the border of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ovide visitors opportunities to think deeply about the nature of the urban place where we live and its changes. <Blue Hour> was an opportunity for graduate students from the Culture Design Lab who produced the exhibition to experience content production by studying urban places and sounds. It was also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tudy soundscapes as a tool investigating and recording the meaningful places of the region.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search and production process of sound exhibition of acoustic recording of urban places based on soundscape that records urban places using sound through <Blue Hour>. Through th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ound exhibition of urban place records are to be revealed. To this en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summarized through soundscape exhibition and prior research on local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se preceding studies, sound, one of the main subjects, was studi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were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as a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by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ound exhibitions and urban place recording sound exhibitions by type, the necessity was confirmed for producing sound exhibitions that encompass various types of sound exhibitions. As one of the methods for this, we also looked at soundscape, the main material and method of <Blue Hour>. In addition, the area of Yeomcheon Bridge was examined and the necessity of recording urban places for Yeomcheon Bridge was discussed. After that, the significance and improvement of the sound exhibition of urban place records were examined by organizing the exhibition production process of "Blue Hour"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the works of the exhibition. The implications of sound exhibition of soundscape-based urban place record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y of soundscape was confirmed as a method of recording urban places. There are sound exhibitions that record urban places using various methods. However,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sounds are systematically analyzed, organized, and expressed as exhibi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y using the method of soundscape, representative sounds that reveal places can be organized more systematical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oundscape-based sound exhibition can effectively illuminate the old and old spaces of the city that are not usually noticed. Sound is a medium that greatly affects our senses. By approaching these urban places emotional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Third, it was found that new and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attempts were possible by recording urban places through soundscape. Soundscape systematically analyzes the abstract medium of sound. However, rather than staying in the physical and neurological domains, we pay attention to the areas of sound that we experience and feel. Using this soundscape methodology, various artistic and musical creative activities for urban place recording are possible. It can also be developed into an educational program. This study organized the process of exhibiting <Blue Hour> and analyzed the work.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analyze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who watched the exhibition in detail. In addition, the sound exhibition of urban place records is still insufficient, and more exhibitions will be held in the future, indicating that it is necessary to verify and supplement the contents summarized in this study. After that, the methodology should be organized more systematically by conducting a soundscape-based sound exhibition for other urban places other than Yeomcheon Bridge.

      • A Radiographic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Maxillary Intraosseous Vascular Canal in Koreans : 한국인에서 상악동맥의 골내분지 분포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이주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악동저를 증강하는 일은 비교적 안전한 술식이나, 상악동 측벽에 골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맥이 손상될 경우 심각한 출혈이 보고되기도 한다. 따라서 술 중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악동의 혈관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상악동 측벽에 존재하는 후상치조동맥과 하안와동맥의 문합혈관의 빈도와 분포를 컴퓨터 단층촬영 (CT scans) 상에서 조사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2002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속 목동병원 치과에서 측벽접근법을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술을 시행한 환자 중 상악동 컴퓨터 단층촬영이 행해진 177명 환자에서 284개의 상악동을 조사하였다. 여자 환자는 68명 (109개 상악동), 남자 환자는 109명 (175개 상악동) 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5.9세 (33세&#8211;78세) 였다. 컴퓨터 단층촬영 축주위상(para-axial images)에서 디지털 캘리퍼스(digital caliper)를 이용하여 골내가지의 골성관(bony canal)의 높이 (치조정에서 골성관 하연까지 거리), 잔존치조골의 높이 (치조정에서 상악동저까지 거리) 및 상악동저로부터의 골성관 높이 (골성관 높이와 잔존치조골 높이의 차)를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위치에서 측정하였다. 상악동 측벽 내에서 canal의 수평적 위치를 상악동을 향한 부분골내형, 완전골내형, 치주막을 향한 부분골내형의 3가지로 분류하여 빈도를 조사하였다. 치아 위치에 따른 골성관 높이, 잔존치조골 높이, 상악동저로부터의 골성관 높이와 연령에 따른 골성관 높이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성별, 완전/부분무치악, 좌/우측에 따른 canal 높이는 t-test 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전체 상악동 컴퓨터 단층촬영 중 32%에서 상악동맥 골내가지의 골성관이 관찰되었다. 2.치조정으로부터 수직적인 평균 골성관 높이는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에서 각각 23.45(±2.81)mm, 15.92(±2.65)mm, 16.61(±2.92)mm로 나타났다. 3.상악동 측벽 내에서 골성관의 수평적 위치는 완전 골내형이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4.측정된 골성관의 높이는 15-17mm인 경우가 가장 빈도가 높았고 (33.7%), 13mm 이하인 경우는 전체의 12.0% 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골성관의 위치는 상악동 골이식술 시 적절한 측벽 형성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방사선적 연구라는 한계 때문에 골성관이 32% 에서만 관찰되었으므로, 골성관이 관찰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출혈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며,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knowledge of blood supply to the sinus is important to prevent vascular complication in sinus surgery.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the prevalence of intraosseous loop (anastomosis between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and infraorbital artery) in Koreans which could be detected on computed tomographic(CT) images taken prior to sinus augmentation surgery.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8, 284 CT scans from the 177 patients who underwent sinus augmentation with lateral approach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Implant Dentistry were evaluated. Of 177 patients and 284 sinus CT scans, 68 (109 scans) were women and 109 (175 scans) were men, age ranged from 33 to 78 years (mean 55.9 years). The canal height (CH), ridge height (RH) and canal height from the sinus floor (CHS) were measured on para-axial views using a digital caliper at the 1st premolar, the 1st molar, the 2nd molar each.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bony canals in lateral wall were also evaluated and classifi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estim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canal heights in each tooth region, and in groups of different ages, genders, edentulous/partial edentulous and right/left (p<0.05). 1.The intraosseous loops were detected in 92 CT scans (32%). 2.The mean vertical heights of bony canals from the alveolar crest(CH) were 23.45(±2.81)mm, 15.92(±2.65)mm, and 16.61(±2.92)mm at the 2nd premolar, the 1st molar and the 2nd molar each. 3.In the horizontal positions of bony canals, intraosseous type was most predominant. 4.The canal heights more than 15mm and less than 17mm were most prevalent (33.7%) and those under 13mm were 12.0%. The radiographic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cide the lateral osteotomy line avoiding potential vascular complication. However, only one third of the canals could be detected in CT scans, a precaution should be taken for the possibility of severe bleeding during lateral osteotomy.

      • 텔레비전 시청이 연애에서의 소비 및 소비 수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문화 계발 효과 이론을 바탕으로 텔레비전 시청이 사람들의 연애에서의 소비 및 소비 수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할수록 연애에서 소비를 중시하는 태도, 주변 연인들의 소비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인식과 연애할 때의 소비 수준이 높을수록 좋다는 태도가 계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연애관 관련 무화 계발 효과 연구들은 대부분 텔레비전 시청이 낭만적이고 이상적인 연애관을 계발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그런데 텔레비전은 흔히 낭만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소비의 이미지를 빈번히 활용하고 있으므로 텔레비전 시청이 연애에서의 소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는 이론적인 차원에서 초기 문화 계발 효과 이론의 거시적인 관점을 재조명하는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최근의 문화 계발 효과 연구는 세부 프로그램 시청 및 시청자들의 심리 성향에 따른 효과에 주목하는 등 점점 미시적으로 변해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초기 문화 계발 효과 연구는 텔레비전의 전체적인 시청이 시청자들의 사회적인 환경과 어떻게 맞물려서 나타나는지에 대해 천착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세 가지 이론적 초점을 바탕으로 초기 문화 계발 효과 이론의 거시적인 관점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첫째, 장르 프로그램 시청의 효과에만 주목하기보다는 전체 텔레비전 시청의 효과도 함께 살피고자 한다. 둘째, 연애관 문화 계발 효과 연구에서 나타나는 공명 효과를 검토한 뒤, 연애 경험이 텔레비전 시청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연애와 소비 관련 대화가 텔레비전의 문화 계발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텔레비전 시청은 연애에서 소비를 중시하는 정도, 연인들의 소비 수준에 대한 현실 인식 및 적당한 연애 소비 수준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텔레비전 시청 시간 및 연애장르 시청 시간의 영향력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종속변인의 수준에 따라 상응하는 시청 단위가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연애 경험의 양을 통제한 상태에서 경험한 연애 소비 수준은 텔레비전 시청이 연인들의 소비 수준에 대한 현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연애 경험의 양만 측정했던 기존 연애관 관련 문화 계발 효과 연구들보다 공명효과에 대한 진일보한 설명력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과소비를 지향하는 연애와 소비 관련 대화도 텔레비전 시청과 상호작용하여 연인들의 소비 수준에 대한 현실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에 따라 사람들 간의 대화도 텔레비전의 문화 계발 효과에 유효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덧붙여, 추후에도 미디어 효과 속 대화의 역할에 대해 충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