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면세균막 검사를 위한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Digital(QLF-D)의 활용 가능성 평가

        최다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dental plaque index, measured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with gingiva index, gingival bleeding index, and periodontal pocket depth, so as to confirm whether the QLF-D dental plaque test can be used to objective monitor the status of the gingiva. The full mouths of thirty three adults in their twenties, with relatively even teeth, were QLF-D photographed, and the photographed images were used to analyze their QLF-D and QLF-D ?R scores. After photographing the QLF-D images, the clinical indices (gingival index, bleeding on probing, Probing depth)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measured as well as the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subsequent to dyeing the dental surface of the subjects using a disclosing solu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conduct analysis on the average clinical indices of the full mouth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a t-test was used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average QLF-D score for each dental area and the clinical indices (gingival index, bleeding on probing, probing depth).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person correl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LF-D scores in each area and the clinical indices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QLF-D score and the PHP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 for males and that the QLF-D score and probing depth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military where oral care products are not used(p<0.05). 2. The assessment of the QLF-D scores of each dental area and the clinical indices revealed that the clinical indices including the QLF-D scores of the lower jaw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upper jaw, while the clinical indices of the posterior are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anterior area, and furthermore, the QLF-D score and PHP, gingival index values of the lingual surfa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buccal surface, during clinical index assessment(P<0.05). 3. Assessme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LF-D score and the clinical indices revealed that the average QLF-D score and the gingival index, bleeding on probing, probing depth and PHP indices displayed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p<0.01), with the bleeding on probing correlation being the highest(r=0.759) and the PD correlation being the lowest(r=0.683). 4.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 QLF-D scores with clinical indices revealed them to both have a high significant correlation(p<0.01), and the lower jaw clinical indices had a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5.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QLF-D scores with the clinical indices revealed that both had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posterior area against the PHP, gingival index, and probing depth indices appeared to be higher. 6.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QLF-D scores of the buccal and the lingual surfaces with the clinical indices revealed both to have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ith the buccal surface against the PHP and gingival index displaying a greater correlation coefficient.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the dental plaque index, which was objectively analyzed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may be used for educating continuing patient management and dental plaque management, and also the QLF-D dental plaque test, as a tool for objectively assessing gingiva status, is expected as an alternative that can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indices that previously assessed gingival health. Also, it may be used for large-scale clinical test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digital(QLF-D)을 이용하여 치면세균막 지수를 측정한 후, 치은 지수, 탐침 시 출혈 지수, 치태 지수, 치주낭 탐침 깊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부위 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비교적 고른 치아를 가진 20대 이상의 성인 33명을 대상으로 전악 QLF-D 촬영 후 촬영 된 영상을 이용하여 QLF-D score와 QLF-D score ?R 값을 분석하였다. QLF-D 영상 촬영 후 연구대상자의 임상지수로서 치은 지수, 탐침 시 출혈 지수, 치태 지수, 치주낭 탐침 깊이, 구강위생 관리능력 지수를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악 평균 임상지수 분석에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고 부위별 QLF-D score 및 임상지수 비교에는 양측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부위별 QLF-D score와 임상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에는 피어슨 상관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QLF-D score와 구강위생 관리 능력 지수가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고,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군에서 QLF-D score와 치주낭 탐침 깊이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부위별 QLF-D score와 임상지수를 평가한 결과, 상악에 비해 하악의 QLF-D score를 포함한 임상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전치부와 구치부의 임상지수는 구치부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협면과 설면의 임상지수는 설면에서 QLF-D score와 구강위생 관리능력 지수, 치은 지수, 탐침 시 출혈 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3. QLF-D score와 임상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악 평균 QLF-D score와 구강위생 관리 능력 지수, 치은 지수, 탐침 시 출혈 지수, 치주낭 탐침 깊이, 는 모두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전악 평균 QLF-D score는 치은 지수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고(r=0.749), 치주낭 탐침 깊이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r=0.683). 4. 상악과 하악의 QLF-D score와 임상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모든 임상지수에서 하악에서 상관계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5. 전치부와 구치부의 QLF-D score와 임상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전치부와 구치부의 평균 QLF-D score와 임상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구치부보다 전치부에서 상관계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6. 협면과 설면의 QLF-D score와 임상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협면과 설면에서의 QLF-D score와 임상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digital(QLF-D)를 이용하여 측정한 치면세균막 지수는 치은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써 지속적인 환자 관리와 치면세균막 관리 방법 교육에 활용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임상 지수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약물관련 악골괴사와 괴사를 동반한 악골골수염의 발생위험요인 비교분석 : 후향적 연구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operated on Osteonecrosis of jaw (ONJ) by gender, age, and location of occurrence, and to compare and analyze with MRONJ and osteomyelitis of jaw bone necrosis. It is also a retrospective study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ype of drug being taken and the drug that can cause MRONJ an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with known risk factors of MRONJ. Material &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outpatient records, radiation records, and surgical records of 54 patients who visited the oral and facial surgery department of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Hospital and had the surgery of Osteonecrosis of jaw from March 1, 2019 to March 31, 2021.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bone absorption inhibitor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MRONJ group and control group.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based on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8.0 program (Chicago, IL, USA) and chi-square test, Fisher's effect test, and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p<0.05.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more female patient than male patient in Osteonecrosis of jaw and in the MRONJ group. The Odds Ratio for female MRONJ patient group was 11.667 times higher (95% CI, 2.518-54.050) than that of male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2.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ith osteonecrosis was 75.59 years (±11.21 SD), 77.79 years (±8.34 SD) in the MRONJ group and 70.38 years (±15.19 SD) in the control group. (p=0.082). The Odds Ratio for MRONJ for a 1-year increase in age was 1.062 (95% CI, 1.005-1.123) (p=0.033). 3. Patients of Osteonecrosis of jaw with diabetes had 8.750 times of the Odds Ratio for MRONJ (95% CI, 1.041-73.54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6). 4. Osteonecrosis occurred higher in the posterior region than in the anterior region and more in mandible than in maxilla. (P=0.964). 5. 38 patients who had received bone resorption inhibitors accounted for 70.37% of patients with osteonecrosis. Bisphosphonate was used in 14 patients (35.9%) and denosumab was used in 7 patients (17,9%). Among bisphosphonates, zoledronate was the most common. 6. The Odds Ratio for woman to get MRONJ was 13.527 times higher (95% CI, 2.122-86.238) than man,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diabetes, site of occurrence, and tooth extraction. (p=0.006). The above results examined common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Osteonecrosis of jaw, and many patients appeared while taking bone metabolism-related drugs, showed association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systemic disease, oral lesions, and risk factors for dental trea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악골괴사증(Osteonecrosis of jaw, ONJ)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의 임상적 특징을 성별, 연령별, 발생위치별로 파악해보며, 약물과 관련한 악골괴사증(medication-related ONJ, MRONJ)이 가지는 특징, 복용중인 약물의 종류와 악골괴사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약물관련 악골괴사의 알려진 위험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해보는 후향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를 내원하여 악골괴사증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54명의 외래기록지, 방사선기록, 수술기록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8.0 program (Chicago, IL, USA )을 이용하여 성별, 연령, 임상증상, 동반한 전신질환, 복용중인 약물종류, 발생부위, 치과적 위험요인, 수술방법, 수술횟수, 병리검사결과를 백분율산출 및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골흡수억제제의 투여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환자를 구분하고, 각 군의 특징을 카이제곱검정, 피셔정확검정, T-test를 시행하였다. 약물관련 악골괴사 발병 위험요인 분석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통계학적 분석은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19년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악골괴사증으로 이대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는 여자 43명, 남자 11명 (총54명)으로 여자가 많았고 시험군은 여자35명, 남자 3명(총 38명), 대조군은 여자 8명, 남자 8명(총 16명)으로 시험군에서 여자가 더 많았다. 전체 환자 중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약물관련 악골괴사일 위험이 11.667배(95% CI, 2. 518-54.050) 크고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했다(p<0.05). 2. 악골괴사 환자의 평균연령은 75.59세였고 시험군은 77.79세(±8.34), 대조군은 70.38세(±15.19)로 시험군이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강한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p=0.082). 나이가 1세 증가 시 약물관련 악골괴사에 걸릴 위험은 1.062배(95% CI, 1.005-1.123)였다(p=0.033). 3. 동반된 전신질환으로는 두 군 모두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중추신경계질환의 순이었고 당뇨를 제외한 전신질환은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당뇨가 있는 악골괴사 환자가 약물과 관련되어 발생할 위험은 8.750배 (95% CI, 1.041-73.546)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46). 4. 구강내에 발생부위는 두 군 모두 전치부에 비해 구치부에서 높게 발생하였고(p=0.253) 상악에 비해 하악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고 두 군 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964) 5. 악골괴사가 나타나기 전에 선행된 치과치료로는 시험군은 임플란트가 14명(35.9%), 발치가 12명(31.6%), 의치가 5명 (13.2%), 치주염 4명(10.5%), 자발적 발생이 3명(7.9%)의 순이었고, 대조군은 임플란트 관련이 7명(43.8%), 의치가 6명(37.5%), 발치가 2명(12.5%), 치아가 1명(6.3%) 이었다. 발치로 인해 약물관련 악골괴사가 생길 위험은 3.231배(95% CI, 0.632-16.520)(p=0.159), 치아는 1.765배(95% CI, 0.182-17.149)(p=0.624)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 방선균(Actinomyces)이 검출될 경우 약물관련 악골괴사로 발생할 위험은 4.655배(95% CI, 0.538-40.284)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62). 7. 골흡수억제제를 투여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가 총 38명으로 전체의 70.37%였고 치료약물로는 비스포스포네이트가 14명 (35.9%), 데노수맙이 7명(17,9%)이었고 비스포스포네이트중에서는 졸레드로네이트계(10.3%)가 가장 많았다. 8. 치료방법은 부골적출술과 동시에 rhBMP-2를 적용하는 수술적 치료방법이었고, 87.0%에서 1회의 수술로 회복되었고 시험군과 대조군간의 수술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p=1.000) 9. 시험군의 주요한 발생요인별 상관관계를 보면 나이, 당뇨, 발생부위, 발치로 보정을 하여도 여자가 남자보다 약물관련 악골괴사에 걸릴 위험은 13.527배(95% CI, 2.122-86.238)였다(p=0.006). 다른 요인을 보정해도 당뇨환자가 약물관련 악골괴사에 걸릴 위험은 11.098배(95% CI, 0.854-144.276)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066) 이상의 결과로 악골괴사증 환자에서의 공통되는 특징을 살펴보았고, 70.37%에서 골대사에 관련된 약물을 복용 중에 골괴사가 나타났으며 임상증상, 전신질환, 발생부위, 치과치료의 위험요인에 따른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 간접 골성고정원을 이용한 설측 경사된 구치부 직립시 치아변위 및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 해석

        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ooth displacement in uprighting of the lingually tipped lower molar using indirect miniscrew anchorage.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including lower dentition, bone, miniscrew and connecting wire was constructed. Finite element model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non miniscrew anchorage group and 3 experimental groups with different length of connecting wire from miniscrew to anchor too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oth displacement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in first experimental model was reduced in comparison with one in the control model. 2. The tooth displacement of the second permanent molar in most experimental model was similar with one in control model. 3.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in the first experimental model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ison with one in the control model in each direction. 4.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in the third experimental model was increased. Thi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prominent efficiency on the anchorage control using indirect miniscrew anchorage. However,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wire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ults indicate that indirect miniscrew anchorage is effective, but increasing the connecting wire may not be sufficient for anchorage control, which brought on consideration upon using it. 최근에는 교정용 미니스크류(이하 미니스크류라 함)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부분 교정에 많은 발전이 있었으며, 장치의 설계 또한 간단해지고 고정원의 원치 않는 이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미니스크류를 직접법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미니스크류의 식립이 해부적으로 원하는 위치가 불가능할 경우, 간접 골성고정원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후자의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이때 미니스크류 식립 위치의 변화로 달라지는 연결강선의 길이 증가에 따라 고정원의 응력 분포와 초기 치아 변위량을 유한요소법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2대구치가 설측 경사되어 있는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을 제작하였고, 이 실험에서 미니스크류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원으로 제1대구치만을 이용한 대조모델과, 고정원 치아를 미니스크류와 연결한 실험모델을 3차원적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 때 실험모델은 3 종류로 미니스크류의 위치를 견치와 제1소구치사이,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경우 연결강선의 길이변화로 제1대구치에 가해지는 초기 변위량과 응력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한요소 분석을 통한 초기 치아 변위량의 비교분석 결과 제1대구치의 협, 설측의 변위량은 미니스크류와 연결하였을 경우 전반적으로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연결강선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미니스크류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함으로 대조모델과의 차이가 미미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응력분포의 von Mises stress의 값을 비교 시 condition 1에서 제1대구치가 23.1%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condition 2에서 21.4% 감소하였고 condition 3에서는 4.5%의 감소만을 보였다. 즉 연결강선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제1대구치에 가해지는 응력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간접법으로 미니스크류를 사용할 경우, 연결강선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미니스크류의 효과가 감소함으로 고정원의 보강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연결강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부위에 미니스크류를 식립하여야 고정원 보강의 최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Ti-6Al-4V 합금 표면에 생성된 TiO₂ 나노튜브의 전석회화 처리

        김시정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치과용 임플란트의 임상 경향이 전체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불활성의 티타늄 임플란트 표면에 활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표면처리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부위의 임플란트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표면 특성이 순 티타늄에 떨어지는 Ti-6Al-4V 합금의 골전도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0 × 10 × 2 ㎜의 Ti-6Al-4V 합금판을 준비한 다음 TiO₂ 나노튜브를 형성하기 위해 DC 정전원 장치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시편과 백금판을 결선하고 0.5 M Na₂SO₄와 1.0 wt% NaF를 함유하는 전해액을 사용하여 전압 20 V와 전류밀도 30 ㎃/㎠ 조건에서 2시간 동안 양극산화 처리하였다. TiO₂ 나노튜브 형성 후 산화 피막층의 결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60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였고, 표면활성도를 개선하기 위해 0.5 M Na₂HPO₄ 수용액 24시간 침적과 Ca(OH)₂포화 수용액에 5시간 침적하였다. 준비한 시편의 표면 반응성을 조사하기 위해 pH와 무기이온의 농도를 사람의 혈장과 유사하게 조절한 Hanks 용액에 2주간 침적하였다. 20 V에서의 양극산화처리로 직경 48.0~65.0 ㎚ 범위의 무정형의 TiO₂ 나노튜브가 전체 표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생성되는 양상을 보였다. TiO₂나노튜브는 600℃에서 2시간 열처리 후 상대적으로 강한 anatase 피크와 함께 rutile 피크가 관찰되었다. TiO₂ 나노튜브의 표면활성도는 0.5 M Na₂HPO₄ 수용액 24시간 침적과 Ca(OH)₂ 포화수용액에 5시간 침적으로 개선되었다. 열처리와 전석회화 처리 후 SBF에 침적한 결과, TiO₂ rutile 피크의 상대적 강도는 크게 증가되었지만 HA의 석출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양극산화 처리한 TiO₂ 나노튜브는 600 ℃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피막층이 안정화 되고 0.5 M Na₂HPO₄수용액 24시간 침적과 Ca(OH)₂ 포화수용액에 5시간 침적에 의해서 표면에 인산칼슘층을 형성하는 것이 표면활성도를 개선하는데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calcified treatment of TiO₂ Nanotube formed on Ti-6Al-4V Alloy. Specimens of 20×10×2 ㎜ in dimensions were polished sequentially from #300 to #1000 SiC paper, ultrasonically washed with acetone and distilled water for 5 min, and dried in an oven at 50℃ for 24 hours. The nanotubular layer was processed by electrochemical anodic oxidation in electrolytes containing 0.5 M Na₂SO₄ and 1.0 wt% NaF. Anodiz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regulated DC power supply (Kwangduck FA, Korea) at a potential of 20 V and current density of 30 ㎃/㎠ for 2 hours. Specimens were heat-treated at 600℃ for 2 hours to crystallize the amorphous TiO₂ nanotubes, and precalcified by soaking in Na₂HPO₄ solution for 24 hours and then in saturated Ca(OH)₂ solution for 5 hours. To evaluate the bioactivity of the precalcified TiO₂ nanotube layer, hydroxyapatite formation was investigated in a Hanks' balanced salts solution with pH 7.4 at 36.5℃ for 2 week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Vertically oriented amorphous TiO₂ nanotubes of diameters 48.0~65.0 ㎚ were fabricated by anodizing treatment at 20 V for 2 hours in an 0.5 M Na₂SO₄ and 1.0 NaF solution. 2. TiO₂ nanotubes were composed with strong anatase peak with presence of rutile peak after heat treatment at 600℃. 3. The surface reactivity of TiO₂ nanotubes in SBF solution was enhanced by precalcification treatment in 0.5 M Na₂HPO₄ solution for 24 hours and then in saturated Ca(OH)₂ solution for 5 hours. 4. The immersion in Hank's solution for 2 weeks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TiO₂ rutile peak increased but the surface reactivity decreased by heat treatment at 600℃.

      •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채득한 영상의 정확성 및 재현성 비교 : 협측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의 영향

        정유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제조사의 디지털 구강스캐너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스캐너의 정확성 및 재현성을 3차원적으로 비교하고 협측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의 존재가 3차원 데이터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이용한 디지털 구강스캐너는 Zfx Intrascan ®(Zfx-dental, München, Germany), E4D dentist®(E4D Dentist System, D4D Technologies, Richardson, Texas), iTero 1® (Align Technology Inc, Santa Clara, California), Trios® (3shape dental systems, Copenhagen, Denmark) 였으며, Control 모형, BKT 모형(협측 브라켓이 부착된 모형), WBKT모형(협측 브라켓에 교정용 호선이 삽입된 모형)을 각각 5회씩 스캔하였다. 획득한 3차원 영상을 수평적, 수직적으로 평가한 결과, 수평적 계측항목에서 기준값에 대한 최대 오차가 작은 스캐너는 iTero(0.15mm)>Zfx Intrascan(0.21mm)>Trios(0.22mm)>E4D dentist(0.27mm)의 순이었으며 최대 편차가 작은 스캐너는 Trios(0.54mm)> iTero(0.61mm)>Zfx Intrascan(1.86mm)>E4D dentist(3.95mm)의 순이었다. 또한 수직적 계측항목에서 최대 오차가 가장 작은 스캐너는 iTero 1 였으며(0.34mm), 최대편차가 작은 스캐너는 Trios(0.14mm)> iTero 1(0.22mm)> E4D dentist(0.45mm)> Zfx Intrascan(0.67mm)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네 종류의 스캐너 중에서 정확성이 가장 우수한 구강스캐너는 iTero 1 이었으며 재현성이 가장 우수한 구강스캐너는 Trios였다. 또한 협측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의 영향 평가에서 Trios는 9개, iTero 1은 7개, E4D dentist는 5개의 계측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Zfx Intrascan는 통계적 유의차를 보인 계측항목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네 종류의 구강스캐너의 정확성과 재현성은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교정의들은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구강스캐너를 임상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Intraoral scanners will play a pivotal role in digital workflow, and there is high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orthodontic field. The objective of the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digital intraoral scanners, and the effects of buccal bracket and orthodontic wire. For this study, three sets of models(Control:without any variable, BKT:with buccal bracket on, WBKT: with orthodontic wire inserted) were scanned with four types of intraoral scanners: Zfx Intrascan ®(Zfx-dental, München, Germany), E4D dentist®(E4D Dentist System, D4D Technologies, Richardson, Texas), iTero 1® (Align Technology Inc, Santa Clara, California), and Trios® (3shape dental systems, Copenhagen, Denmark).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from real model measurement were tested with Kruscal-Wallis test to compare the accuracy of 3D image acquired from each model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3D images with real model measurement, iTero 1 showed the highest accuracy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evaluation criteria.(Maximum error: 0.15mm, 0.34mm, respectively). Trios showed the highst precision(Maximum deviation: 0.54mm, 0.14mm, respectively)in both evaluation criteria. Trios, followed by iTero 1, was the most to b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brackets and wires.(p<0.05) But there was les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KT and WBKT. Orthodontists should consider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ccuracy and precision according to scanner type.

      •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표면처리방법이 콤포짓트 레진과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신혜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식으로 인한 유전치의 완전 피개를 위해 사용되는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은 치아의 보호와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나 심미성이 낮아 임상 응용에서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Composite veneered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경우 우수한 심미성과 함께 기존의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장점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레진 부착 수복물의 경우 구강 내 환경에 노출되어 교합력을 받으면 레진과 금속의 결합이 파괴되고 레진 비니어 부위에서 파절이 발생 될 수 있다 레진과 금속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려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순면에 미리 레진을 비니어하여 사용할 경우나 파절된 레진을 수복하기 위해 진료실에서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리코팅 방법과 샌드블라스팅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코팅 방법인 Rocatec system 처리군과 전통적인 샌드블라스팅 처리군 간의 결합강도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표면처리한 실험군이 열순환처리 후에도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의 표면을 Rocatec system으로 실리코팅한 후 실레인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경우와 샌드블라스팅한 후 실레인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경우에서 콤포짓트 레진과 스테인리스스틸 크라운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표면처리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리코팅 처리는 Rocatec system(3M ESPE)으로 하였고 실레인 처리에는 ESPE-Sil(3M ESPE) 실레인 표면처리제를 사용하였다. 표면처리한 시편에 광중합형 콤포짓트 레진(FiltekTM Z230, 3M ESPE)을 접착하고 인스트론 시험기(Instron, Model 4465)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구강내 조건을 재현하기 위하여 10000회 열순환처리 (5-55oC)한 후 열순환처리에 따른 결합강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vitro study was to determine and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and fracture pattern of composite resin(Filtek^(TM) Z250, 3M ESPE) to stainless steel crowns (SSCs) using different retention procedures for development and repair of a chair-side technique of producing esthetic SSCs. Sixty 3M SSCs, divided into six groups, were mounted in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so that the resulting specimen has the crown's flat lingual surface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acrylic resin block. Composite resin was placed in wax mold and bonded to treated SSCs (group 1, 2, 3, 4, 5, and 6). In group 1 and 4, crown surface was treated with silane. In group 2 and 5, crown surface was sandblasted with 110 ㎛ Al₂O₃. In group 3 and 6, crown surface was treated with 110 ㎛ Rocatec Plus . Group 4, 5 and 6 were thermocycled.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rosshead speed of 1 mm/min until the veneer was dislodged.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he debonded specimens were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10x). The mean (SD) shear bond strengths in MPa for group 1 to 6 respectively were as follows: 1.48 ± 0.30^(a), 8.00 ± 2.27^(b), 10.71 ± 2.70^(c), 0. 21 ± 0.06^(d), 11.17 ± 1.92^(b) and 9.25 ± 1.44^(b,c) Stereoscopic examination revealed adhesive and mixed bond failures.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sandblasting method is as effective as silicoating technique, when SSCs surface is planning to be treated with in order to enhance the bond strength.

      •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골 흡수 억제 약물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의 악골괴사증 발생률

        김주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criptions of patients’ who took medicine for osteonecrosis of the jaw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RONJ occurrence. The incidence of MRONJ was also investigated and served as basic education data for awareness of MRONJ risk factors and prevention. The study evaluated 7,058 patients who used drugs that could increase the risk of MRONJ, based on their medical records in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January 1st 2003 and February 29th 2016. The risk factor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ministrated drug, and the MRONJ-inducing property of the drug. The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by analyzing the risk factors of MRONJ on the basis of the incidence rate of MRONJ, survival analysis data, and weight dose deposited of bisphosphonate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SPSS, Chicago, IL, USA).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incidence rate (95% CI) were calculated and a Kaplan-Meier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data were adjusted for confounding factors such as age, sex, and route of administration. A p value of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prescribed was 70.78 years, while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MRONJ was 71.1 years. The incidence of MRONJ in patients aged ≥70 year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in patients aged <70 years (p>.05), and the age did not affect the incidence significantly (p>.05). 2. In patients administered bisphosphonates, the incidence rate of MRONJ was 3.26 per 1,000 patient-years (95% CI, 1.83-4.68). The incidence rate of MRONJ was 2.52 per 1,000 patient-years (95% CI, 0.65-4.38) for patients exposed to oral bisphosphonates, and 4.03 (95% CI, 1.74-6.30) for patients using intravenous bisphos¬phonates. 3. After adjusting for route of bisphos¬phonate administration, the risk of MRONJ occurrence between patient group with ≥3 years of bisphosphonate exposure and patient group with <3 years of drug exposur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5).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cidence and risk of MRONJ taking into account more data of patients and risk factor depending on duration of administration. The incidence of MRONJ according to route of administra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5) in the current study. 4. Risk of MRONJ occurrence associated with weight dose deposited of bisphosphona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amidronate (β= 0.197, 95% CI 0.004-0.391; p=.045) and zoledronate (β= 0.011, 95% CI 0.009-0.012; p=.001). In addition, the weight dose deposited for patients with MRONJ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for others. There are no definite treatment guidelines for MRONJ,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incidence of MRONJ.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dental specialists collaborate with medical attendants to build a cooperative system when considering drug treatment that could increase the incidence of MRONJ. It is believed that recognizing the risk factors of MRONJ can reduce the incidence and allow for its prevention. Continued education and research would be needed to bring about these changes, aid in early diagnosis, and in provide proper timely treatment.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definite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RONJ. 본 연구의 목적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목동병원에서 MRONJ (Medication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유발 관련 약제를 처방 받아 투여하는 환자에 대한 약물투여 현황과 MRONJ 발생 위험 요인과의 연관성 분석 및 본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MRONJ로 확진 된 환자의 발생률을 규명하여 잠재적 환자의 원인요소 인식과 발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3년 1월1일부터 2016년 2월29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목동병원에서 MRONJ 유발 관련 약제를 처방 받은 705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에 기초하여 발생 위험요인에 따라 인구 통계학적 특성, 처방약물에 관한 특성, 악골괴사증과 약물과의 관련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MRONJ 발생률, 생존분석,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성분별 약물축적량(Weight dose deposited)을 평가하여 MRONJ의 발생 위험 정도를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20.0 program(SPSS,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Incidence rate(95% CI), Kaplan-Meier analysis 및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고, Linear &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으며 보정을 위해서 연령, 성별, 투여방법을 고려하였다.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물 투여환자 전체의 평균 나이는 70.78세, MRONJ 발병환자의 평균 나이는 71.1세이며, 70세 미만과 70세 이상 그룹간의 MRONJ 발생 위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2. MRONJ 발병에 대한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Incidence rate은 환자 1000명 당 3.26명(95% CI, 1.83-4.68)으로 나타났으며,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투여 방법 별 Incidence rate은 경구투여 시 2.52명(95% CI, 0.65-4.38), 정맥투여 시 4.03명(95% CI, 1.74-6.30)으로 나타났다. 3.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투여 기간에 따른 비교에서, 약물을 3년 이상 투여 받은 그룹과 3년 미만 투여 받은 그룹의 MRONJ 발생 위험에 대하여 그룹 간의 투여기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향후 MRONJ 발생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해 투여기간에 따른 MRONJ 발생 위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투여방법에 따른 MRONJ 발생 위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4.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재의 성분별 약물축적량(weight dose deposited)에 따른 MRONJ 발생 위험은 Pamidronate(β= 0.197, 95% CI 0.004-0.391; p=.045) Zoledronate(β= 0.011, 95% CI 0.009-0.01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MRONJ 발병 한 군의 약물축적량이 발병하지 않은 군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MRONJ 발병에 대한 명확한 치료 지침이 정립되지 않아 발생 위험에 대한 뚜렷한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악골 괴사 유발 관련 약물을 이용한 치료 시에는 해당 과의 전문의와 치과전문인력과의 협진이 매우 중요하다. MRONJ 발생 감소 및 예방을 위해 발생 위험 요소에 대한 인식과 이에 관련한 지식을 습득해야 하며, 발병 시에는 초기 진단 및 시기 적절한 치료가 진행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MRONJ 발생 예방 및 명확한 치료지침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자가골을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 후 골 높이 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김은숙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상악동 골이식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은 예지성 있는 술식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골의 위축이 심한 부분 혹은 완전 무치악 환자의 상악 구치부 수복을 위하여 매우 유용한 술식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측방 접근법을 이용해서 자가골 만으로 상악동 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한 경우에서 이식된 자가골의 식립 후 2년간의 골변화를 방사선 사진을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1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이화여대 목동병원 치과진료부에 내원한 환자들 중 측방 접근법을 이용하여 상악동에 자가골 만을 이식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2년이상 추적 관찰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1군은 구내 자가골과 동시 식립된 임플란트 군이고, 2군은 구내 자가골 이식후 지연 식립된 임플란트 군이며, 3군은 구외 자가골 이식후 지연 식립된 임플란트 군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상악 임플란트 식립 직후부터 2년 동안의 추적 기간에 촬영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통해 이식된 자가골의 높이(GH), 임플란트 길이(IL)를 계측하여 이식골을 포함하는 전체길이(BL=GH+IL)와 임프란트에 대한 비를 계산하였다(BL/IL). 기간별 골 변화량 및 각 군 간의 차이를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가 골 공여부가 구내이고 즉시 식립된 1 군의 임플란트에서 BL/IL 비율은 24개월까지 감소하였으나 식립 직후의 BL/IL 비율과 비교하였을 때 12개월 이후의 감소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2. 자가골 공여부가 구내이고 지연 식립된 2 군의 임플란트에서도 12개월 이후의 BL/IL 비율의 감소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지연 식립의 경우 자가골 공여부가 구외인 경우가 공여부가 구내인 경우보다 BL/IL 비율은 낮았으나 감소 양상은 비슷하였고 12개월 이후의 BL/IL 비율은 안정적이었다. 4. 세 군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BL/IL 비율의 감소 양상은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05) 식립 후 2년의 시기에는 이식된 자가 골의 BL/IL 비율은 1,2,3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e clinical contemplating reconstruction of the posterior maxilla with osseointegrated implants must overcome a number of anatomic challenges. Buccolingual and/or apico-occlusal atrophy of the edentulous ridge and pneumatization of the maxillary sinus often limit the volume of bone available for implant placement. Augmentation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with bone grafting and subsequent placement of dental implant is a well-established and documented technique for functional and esthetic rehabilitation of partially or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with severly maxillary atro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ertical changes of autogenous bone grafted on sinus floor after sinus augmentation with lateral window approach. 23 patients aged between 30 and 71 years old, include 8 femal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BL(bone length)/ IL(implant length)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ime using panoramic radiographies.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donor site position and/or time of implant installation. Group 1, in which donor sites of graft were located on intraoral bones and simultaneous implant installation techniques were done: and Gruop 2, in which donor sites of graft were located on intraoral bones and delayed implant installation techniques were done: and Group 3, in which donor sites were located on extraoral bones and delayed implant installation techniques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BL/IL ratios decreased according to time, but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12 months after implant installation.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L/IL ratios between simultaneous implant installation group and delayed implant installation groups. 3. The differences of BL/IL ratio changes between intraoral autogenous bone graft group and extraoral autogenous bone graft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The differences of BL/IL ratio changes in 3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L/IL ratios of autogenous bone grafts decreased during the 1st year after augmentation. Thereafter only minor changes occurred in all 3 groups.

      • The effect of post surface treatments on adhesion of a resin based luting agent to a fiber post : 포스트 표면 처리가 레진 시멘트와 화이버 포스트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이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의 다양한 표면 처리가 레진 시멘트와 화이버 포스트의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사선 불투과성 반투명 화이버 포스트 (D.T. Light-Post??, Bisco, USA)와 dual-curing 레진 시멘트 (Variolink?? Ⅱ,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68개의 화이버 포스트를 다음과 같은 표면처리에 따라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무처리군 (대조군); 실란 처리군 (Monobond-S,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알루미나 분사 처리군 (Airsonic Aluminum oxide, Hagerwerken, Germany); 알루미나 분사 및 실란 혼합 처리군. 각각의 표면 처리 후에 시편들은 dual-curing 레진 시멘트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대로 접착된 후, 37 ℃ 항온 수조에서 24시간 동안 보관되었다. 포스트와 레진 시멘트간 접착 계면의 전단결합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crosshead speed 1 mm/min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일원 배치 분산 분석 (ANOVA)과 다중 비교 Scheffe, Bonferroni 검정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p<0.05로 통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화이버 포스트와 레진 시멘트 간의 전단결합강도는 포스트 표면 처리에 영향을 받았다. 알루미나 분사 처리한 포스트 군에서 다른 처리군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가 측정되었다. 반면, 실란 단독 처리는 포스트의 접착 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알루미나 분사 처리와 병행되었을 때 단독 알루미나 분사 처리만 한 것에 비해 오히려 접착강도의 감소를 보였다. 레진 화이버 포스트는 심미적이고 상아질과 유사한 탄성계수를 가져 치근 파절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근관 치료된 치아의 수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화이버 포스트와 레진 시멘트와의 접착결합강도는 포스트의 표면 처리에 영향을 받으며, 결론적으로 resin-based luting agent를 사용하여 fiber-reinforced epoxy resin post 접착 시 별도의 부가적인 술식 없이 알루미나 분사 처리만으로도 접착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임상 술식을 간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post surface treatments on the bond strength of a luting agent to a fiber post. Material and methods. Radiopaque translucent fiber posts (D.T. Light-Post??, Bisco Inc., Schaumburg, IL, USA) and dual-curing resin based luting material (Variolink?? Ⅱ,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were used in this study. Sixty eight fiber pos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performed one of the following surface treatments procedures: no treatment group (control); silanization group (Monobond-S,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airborne-particle abrasion group (Airsonic Aluminum oxide, Hagerwerken, Germany); or silanization subsequent to airborne-particle abrasion group. Specimens were bonded with dual-curing resin based luting agent on the post surface and stored in water at 37 ℃ for 24 hours. Shear bond strength (MPa) of the luting agent to the post was measured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rosshead speed of 1 mm/mi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NOVA and the multiple comparisons Scheffe and Bonferrni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5. Results.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and standard deviations (MPa) were as follows: 25.92 ± 7.80 for no treatment group, 34.26 ± 7.80 for silanization group, 51.48 ± 13.31 for airborne-particle abrasion group, and 39.80 ± 13.44 for silanization subsequent to airborne-particle abrasion group. Shear bond strength of the luting agent to the pos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urface treatments except silanization (p<.05). Treating the post’s surface with airborne-particle abrasion cause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and silanizatio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bond strength of resin luting agent to the fiber post was influenced by post surface treatments. Airborne-particle abrasion procedure may give a significant increase in bond strength between the post and the luting agent without additional treatments and this can simplify the clinical procedure.

      • Comparison of Stress Distribution Between Cement- and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es :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수복물에 발생하는 응력의 비교 연구

        이미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Purpose: Cement-retained implant prosthesis has been reported to be preferable to screw-retained design with regard to passivity of the superstructure thanks to the intervention of cement layer. This study evaluated the strain development in cement-retained and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es on the hypothesis that an ill-fitting cement-retained restoration with inadequate cement space is disadvantageous in achieving passive fit when compared with a screw-retained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A polyurethane resin block in which two implants were embedded served as a measurement model. A working cast was made from the measurement model. Three groups of implant restorations (n=30) were fabricated based on the working cast. Two groups utilized cement-retained design and conform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ternal surface of the first group was adjusted using Fit-checker until premature contact is disappeared. In the second group, only minor adjustment was carried out. The last group employed screw-retained design and specimen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protocol for titanium milling process by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system. Four strain gauges were fixed on the measurement model mesially and distally to the implants. The strains developed in each strain gauge were recorded during fixation of specimens. To compare the difference among groups, repeated measur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performed at a level of significance of α=.05. Results: The mean absolute strain value ranged from 15.4 µm/m to 101.7 µm/m. The second cement-retained prostheses group in which only minor adjustment was performed exhibited significantly high strain values (P=.007). No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detected between milled screw-retained and adjusted cement-retained prostheses group.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rocedure of internal adjustment of a cement-retained implant restoration is essential to achieve passive fit. 연구 목적: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의 수동적 적합은 장기적인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시멘트 유지형임플란트지지고정성보철물이수동적적합을달성하는데있어유리한것으로보고되어왔는데, 이는 시멘트가 게재되기 위한 공간으로 인해 보철물의 오차를 보상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너무 꽉 맞는 시멘트 유지형수복물은오히려나사유지형보다더불리하지않는지를알아보는것이고, 이를 위해 내면 조정을 충분히 시행한 것과 그렇지 않은 시멘트 유지형임플란트수복물, 그리고 나사 유지형임플란트수복물에서발생하는응력을스트레인게이지를이용해서측정하였다. 연구 방법: 임상적 조건을 재현하기 위해, 2개의 임플란트를 레진 블록에 고정시킨 후 각각의 임플란트 근원심 부위에 총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측정 모형으로 사용하였다.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각 10개씩 총 3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멘트 유지형보철물은통상적인방법에의해인상채득과모형제작후, 총 20개를 제작하였으며, 그 중 10개로 이루어진 첫번째 군은 보철물의 내면을 조정하여 적절한 시멘트 공간이 부여되도록 하였고, 나머지 10개로 이루어진 두번째 군은 이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대조군으로서 CAD / 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e) 기술을 이용한 동일한 규격의 나사 유지형보철물 10개를 제작하였다. 보철물을 측정 모형에 장착한 후, 나사 유지형보철물은권장토크(30Ncm)으로 조이고, 시멘트 유지형보철물은인스트론을이용하여 100N의 일정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발생한 응력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repeated measur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α= 0.05)로 통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적절한 내면조정으로 인해 충분한 시멘트 공간이 부여된 시멘트 유지형보철물과나사유지형보철물은응력발생량에유의할만한차이를보이지않았으며, 내면조정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응력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P=.007). 결론: 시멘트 유지형보철물에서의적절한시멘트공간의부여가수동적적합에중요한역할을하므로, 장기적인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보철물 내면 적합 및 조절의 과정이 필수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