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경제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이종향,안진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3

        본 연구는 전북과 경남지역 4개 도시 유아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경제교육의 운영실태, 경제교육의 운영방법, 경제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경제교육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조사방법이며, 설문지는 경제교육의 운영실태, 경제교육의 운영방법에 대한 인식, 경제교육의 개선방안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제교육의 운영실태는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경제교육의 운영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교육의 운영방법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경제교육을 다소 필요한 것으로 인식했고, 목적과 내용에서는 경제생활습관이 주로 다루어야 하며, 교수방법에는 통합적 접근, 평가방법에서는 관찰법을 주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경제교육의 개선방안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과 경제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되며 아울러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재교육 시스템 구축이 다소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경제교육 관련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n operation,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used in this research were 25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2 Provinces. In this study, a survey method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eacher’s operation,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hi square test, t-test, F-test were use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cher’s a background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 emerg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nursery school. Second,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conomic education was higher than the usual level. Their awareness coincided for economic education’s purpose and content but not coincided economic education’s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method. Third, the improvement pla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erged that they was need for awareness’ turnover, content’ accuracy, enough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a retraining syste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economic edu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경제교육을 위한 방향 제안 및 실효성 연구

        이종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is study has proven effectiveness of economic education for children, that has became one of the strategy to manage economic problem. The study suggest the way where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d head to, through exploring problems and improvements. First,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specified as a guideline of the relerant government ministries so that it can be started form infancy. Secon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harmonious viewpoint of public interest and the private interest. third, teaching mothed for improved economical thinking should be appli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se suggestions, we use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ake exploratory survey on as for this application result, problem-solving ability and economic concept has improved, compared to preactivity. This result shows possibility to practical use for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d based on my suggestions. 본 연구는 경제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유아경제교육이 대두되면 서 현 유아경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탐색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유아경제교육의 방향 을 제안하고 그 제안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유아경제교육의 방향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교육이 유아시기부터 시작될 될 수 있도록 관련부처의 지침으로 명 시되어야 한다. 둘째, 경제교육의 목적과 내용은 사익과 공익의 조화로운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경제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안에 대 한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탐색 조사의 성격을 지닌 단일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설계를 활용하였다. 적용결과, 사전활동에 비해 사후활동에서 경제개념 향상과 문제해결능력 이 증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의 제안이 유아경제교육으로 활용하는데 있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로봇활용동시활동이 만5세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동시짓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종향,주봉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etr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children's ability to compose poet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5-year-old children who were equally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For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poetry activities using an intelligent robot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for a total of sixteen sessions. For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oetry activities by using a computer were conducted the same number of times for the same period.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poetry activities using an intelligent robot were useful in improving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s well as their ability to compose poetry. 본 연구는 로봇활용동시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동시짓기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총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로봇활용동시활동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컴퓨터활용동시활동을 주 2회씩 8주에 걸쳐 총 16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로봇활용동시활동이 컴퓨터활용동시활동보다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동시짓기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공동체의식 측정도구 개발

        이종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3

        본 연구는 만5세 유아의 공동체의식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공동체의식 측정도구의 하위요인은 친밀․소속의식, 참여의식, 상호․공공의식, 정서의식으로 구성하였으며 공동체의식을 평가할 수 있도록 5평정 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261명(남아 131명, 여아 130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항양호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3문항을 제외한 44문항에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가 .80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도구의 하위요인 간 상관은 p<.01 수준에서 .341~.411로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하위 각 요인과 전체와의 상관도 .571~.771로 정적 상관을 보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총 15문항의 만5세 유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ense of Community Spirit Test for young children. The sense of Community Spirit Test consists of 4 sub-factors. These factors are familiar-community spirit, participation spirit, interactive-community spirit, and emotional spirit. The scale was development to assess you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spirit. The subjects us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were 261 (131 boys, 130 girls) five-year-old children.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7.0 and AMOS. The scale examined item response distrbution, item discrimination,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ll items were generally a sense of community good. Second, Cronbach’s α of the questions was .80. Third, the you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rating scale has a reliability: Cronbach’s α shows .566~.693 for total factors and .571~.711 for 4 sub-factors. As a result, the you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Spirit Test for 5-year-old children was developed in 15 items.

      • KCI등재

        아동기 왕따 경험과 그 회복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종향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0 No.2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Korean media in 1997, bullying has been a serious social issue, and the age of students involved in it is decreasing. Bullying experience in childhood when positive self–concept should be formed through evaluation and recognition within peer groups has very negative effects on victims’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school and society adaptation.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searcher studied 40 years of recovery from her own bullying experience in grade 4 of elementary school, using narrative inqui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earch questions were ‘How did bullying experience form my life stories?’ and ‘How did spirituality experiences construct stories of recovery from bullying experience?’ The researcher intended to tell her spirituality experience of recovery from the pain of being bullied, through her bullying experience, life after it, and recovery from the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meanings found in bullying experience and recovery from it. 왕따는 1997년 우리나라 언론에 처음 등장한 후부터 지금까지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현상이 일어나는 연령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또래 집단 내에서의 평가와 인정을 통해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시기인 아동기의 왕따 경험은 아동의 심리적 발달과 학교 및 사회 적응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 때의 왕따 경험 후 그 아픔에서 서서히 회복되어 온 연구자 자신의 40년 동안의 이야기를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연구하였다. ‘왕따 경험은 나의 삶의 이야기를 어떻게 형성하였는가’ 그리고 ‘영성체험은 어떻게 나의 왕따 경험 회복 이야기를 구성하는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왕따 경험과 그 후의 삶 그리고 왕따 경험 회복의 삶을 이야기하면서 영성체험을 통해 연구자가 왕따 경험의 아픔에서 회복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왕따 경험과 그 회복 경험에서 발견한 의미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경제 관련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경제 지식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종향,김성현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xperience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affects economic knowledge according to institutional type, teacher education type, and method for appropriat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and T cities in Gyeongsangnam-do. To measure the economic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conomic understanding test questions for schools from the Council on Economic Education (CEE) and the economic understanding test question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from the Korea Council for Economic Education (2013) are included in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Economic concepts were extracted and constr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test and F-test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and training type,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operation meth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teacher education plan to implement economic education for children in everyday life.

      • KCI등재후보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이종향(Jong-Hyang Lee),정재은(Jae-Eun Ju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로봇 활용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교수방법과 로봇 활용 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로봇을 사용하여 수업을 해본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6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심층면담과 교사의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수집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로봇 활용 수업의 가능성으로 매력적인 교수매체, 보조교사의 역할, 또래와 교사의 관계증진 도구, 교사의 교수방법에 대한 자신감 부여로 인식하였다. 반면에 로봇 활용 수업의 한계로 로봇과 로봇 수업에 대한 이해가 필요, 기능적인 한계로 인해 로봇 활용 수업 회피, 로봇 콘텐츠의 질적문제, 소수의 유아에서 다수의 유아로 수업할 수 있는 환경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Robot 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m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 KCI등재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종향(Jong Hyang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거제시 J동에 위치한 H유치원 유아 21명을 실험집단으로, 같은 동에 위치한 S유치원 유아 22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총 8주였으며 실험집단에는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반면 비교집단에는 문학접근법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유아의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 한 후 독립포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는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이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conomic concepts and community spirit. Participants consisted of 43 five-year-olds, divided equally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e group. The experiment group underwent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inquiry learning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for a total of sixteen sessions. The compare group did economic activities using a picture book the same number of times for the same period. The study found that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inquiry learning were useful in improving economic concepts and children`s community spirit.

      • KCI등재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종향(Lee, Jong-Hya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G시와 T시의 유아교사 21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검사지를 활용한 조사방법이며 연구도구는 전국 초 · 중 · 고등학생 경제이해도 조사의 문항을 기초로 수정 및 보완하여 총 20문제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유아교사보다 경제이해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에서 교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유아교사보다 경제이해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양성과정이나 현직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에 교사양성과정과 교육현장에서 경제교육을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1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G city and T city, Gyeongsangnam-do. The research method in an investigation method using a test paper and the research tool was compos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item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economic understanding survey. The analysis method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a t-test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conomic understanding was generally low. Second, It show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for econom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had higher economic Literacy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It show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for econom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had higher economic Literacy levels than those who did not partake. In conclusion, 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mprove economic literacy. so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a core component in the 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wider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교사의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이종향(Jong Hyang Lee),김나림(Na Rim Kim),김치곤(Chi Gon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유아체육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유아체육활동 인식 및 실태 조사와 관련된 문헌을 분석한 후 전문가 협의를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일반적 배경,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유아체육활동의 실태, 유아체육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예비교사시절에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가 있고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5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또는 χ²-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동작교육과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라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있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completion of movement education or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paper discusses ways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fter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early childhood expert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1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backgroun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statu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ctivation plan for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51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completed movement education or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 and χ2-test.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