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도르노(T. W. Adorno)의 역사철학적 시각으로 본 조성(tonality) 개념 : 베토벤의 중기와 후기 양식을 중심으로

        이은수 서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dorno's fragmentary analyses of tonality in his works based on his critical mind on 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 and to reinterpret them. Adorno's philosoph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y the history of mankind, which had proceeded with rationality, has relapsed into savagery. He tried to point out fundamental problems of society and to seek new ways to proceed using views of critical philosophy on one hand and art on the other. Adorno criticized identity thinking, which is a mode of perception and reasoning of enlightenment, and introduced negative dialectics, which is non-identity thinking, as an alternative. Adorno's criticism on identity thinking and pursuit of non-identity thinking were exposed in his analyses of tonality, especially in analyses of Beethoven's middle and late period sonatas. Music reflects the society even though it is its own autonomy. Moreover, music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concept in logical construction of formality. Even though Adorno did not mentioned "In music, tonality is the principle and the system of enlightenment" in his works, in respect that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his philosophical motives and his understanding of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music, it can be inferred that he thought tonality in music played a role as enlightenment in society and history. At the same time, it also can be inferred that results of tonality is totality. Previous researches studied this issue partially and cursorily. For this study, detaile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tonality and enlightenment was conducted. Firstly, tonality, a system which has ruled music microscopically and macroscopically for a long time, has been an important factor for western music. According to Adorno, tonality in music is the rationality of mankind and an instrument for rationalization in the role of enlightenment for history and also in its totality in its result. It is an effective treatment system, and plays a role of justification of dominance for an entity. It also makes a note or chord categorized and defined by its function, not by its intrinsic resonance. Secondly, systemicity and dominance of tonality in music emerged from musical form, which is another product of musical rationality, especially through the sonata allegro form. Another connection between Adorno's definition of enlightenment and tonality is that he compared Beethoven's music with Hegel's philosophy. Hegel made the identity thinking complete: "totality is the truth". The identity thinking is nothing less than a mode of thinking in enlightenment. Viewed from the background of period and the internal aspect of music, Adorno thought that the identity thinking in tonality and enlightenment has been accomplished in Beethoven's middle period style. He compared this accomplishment with Hegel's philosophy which was regarded as completion of Idealist Philosophy. However, after he found that identity thinking was avoided intentionally in the internal aspect of Beethoven's music, he mentioned that Beethoven's music was more truthful than Hegel's philosophy. Nevertheless, even though the resistance against totality appeared in the late sonata style, tonality still has overall influences on the entire system of music. This was the basis for Adorno to promote the philosophy of new musics, including atonal and twelve-tone music, and judge tonal and popular music in the twentieth century. Adorno's analyses was apt to be fragmentary and ambiguous because he refused conceptualization and systemicity in his writing style in his pursuit of non-identity thinking. This study has some significance in catching a glimpse of Adorno's esthetics which aimed at non-identity and non-concept for philosophical truth through explanation of musical ideology with the tonality.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저작들 가운데서 발견되는 조성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들을 계몽의 변증법이라는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면밀히 살펴보고, 나아가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아도르노 철학의 출발점은 합리성과 이성을 바탕으로 진행된 인류의 역사가 왜 유토피아의 상태에 가까워지는 대신 20세기의 양차대전과 아우슈비츠의 비극과 같은 야만의 상태로 회귀했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그는 한편으로는 비판철학적 토대와 다른 한편으로는 그에게 있어서 철학을 넘어서는 사유의 방식인 예술의 영역을 통해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지적하고, 인간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길을 모색하려고 했다. 아도르노는 계몽의 인식 방식이자 사유 방식인 동일성 사고를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비동일성의 사유 방식인 부정변증법을 제시한다. 아도르노의 철학과 미학 전반에서 주장되는 계몽의 동일성 사유 비판과 비동일성의 추구는, 그의 조성에 대한 분석에서, 특히 베토벤의 중기와 후기에서 나타나는 소나타 분석에서 드러나고 있다. 음악은 자율적이면서도 사회를 반영하는 한편, 그 형식적 논리 구조에 있어서 개념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기 때문이다. 비록 아도르노가 “조성이 곧 음악에서의 계몽의 원리이자 체계”라고 언급한 부분은 그의 저작 어디에도 없지만, 그의 철학의 동인(動因)인 계몽의 변증법과 그가 파악하는 음악 예술의 고유한 특질을 씨실과 날실로 배치했을 때, 조성이 다름 아닌 사회와 역사에서 드러나는 계몽의 역할을 음악 안에서 수행하는 동시에 그 결과인 전체성이자 총체라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이전의 연구들이 이를 피상적으로나 부분적으로 언급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계몽의 특징과 조성의 특징을 자세히 비교하였다. 첫째로, 조성은 음악을 거시적으로, 또한 미시적으로 지배하는 체계로서 오랫동안 서양음악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아도르노에 의하면 조성은 인간의 역사에서 계몽이 하는 역할 그대로 음악에서 발견되는 인간 이성과 합리화의 도구이자 그것의 결과로서의 총체이다. 그것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처리방식과 특정한 개체의 다른 개체들에 대한 우위가 정당화되며 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가진다는 것, 음 혹은 화음들이 그 자체의 특징, 곧 고유한 울림에 의해서가 아니라 기능에 의해 분류되고 규정된다는 것이다. 둘째로 이러한 조성의 체계성과 음악에 대한 지배는 또 다른 음악적 이성의 산물인 형식, 특히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을 통해 잘 드러난다. 아도르노의 계몽의 정의와 조성이 연결되는 또 하나의 증거는 아도르노가 베토벤의 음악을 헤겔 철학과 비교 및 대조했다는 것이다. 헤겔은 아도르노가 그 철학을 계승하는 동시에 비판했던 철학자로, 아도르노에 의하면 전체가 곧 진리라는 동일성 사유를 완성했다. 동일성 사유는 다름 아닌 계몽의 사유방식이다. 아도르노는 시대 배경적 측면과 음악 내적인 측면 모두에서 계몽과 조성의 동일적 사유의 성취가 베토벤의 중기 양식에서 달성된다고 보았고, 그것을 관념론 철학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는 헤겔의 철학과 유비한다. 또한 베토벤의 후기 양식에서 이러한 동일적 사유의 성취가 음악 내적으로 의도적으로 회피되는 모습을 발견하고 베토벤의 음악이 헤겔의 철학보다 진실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후기 소나타 형식 안에서 나타나는 전체에 대한 저항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조성은 전반적인 음악의 체계에 전반적이며 총체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조성의 본성은 아도르노가 무조음악과 12음 음악을 위시한 신음악의 철학을 옹호하고, 20세기에 잔재해 있는 조성음악과 대중음악을 비판하게 되는 근거로도 해석될 수 있다.

      • 구강점막에 발생한 호지킨림프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이은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지킨림프종의 림프절외 구강 내 발생은 흔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약 3주간 치유되지 않는 하악 구강점막의 궤양을 가진 78세 남성 환자의 증례를 보고한다. 생검과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이 병소는 림프절외 구강 내 발생한 호지킨림프종으로 밝혀졌다. 구강병소의 조기 진단으로 추가적인 PET-CT 검사를 통해 반대편 경부 림프절 병소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증례의 보고와 함께 관련 문헌에 대해 고찰하였다. Extranodal intraoral Hodgkin lymphoma is not common. We report the case of a 78-year-old male patient with ulcer of the mandibular oral mucosa that was not cured for about 3 weeks. In biops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it was found to be extranodal intraoral Hodgkin lymphoma. Early diagnosis of oral lesions led to early detection of lesions of the opposite neck lymph node in an additional PET-CT scan. We report this case and review relevant literature.

      • 열처리 조건에 따른 파라프로바이오틱스의 항염 및 신경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이은수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생산된 열사멸 유산균(LAB)의 항산화, 항염증 및 신경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SMF743 및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F796 균주는 김치에서 분리되었으며, 발암성 효소인 β-glucuronidase를 생성하지 않았으며, 고유내성을 제외한 모든 항생제에서 민감성을 나타내어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SMF743과 SMF796은 내산성과 내담즙성에 대한 저항성 및 HT-29 장세포에 대한 부착능이 우수하였으며, 병원성 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 및 공동응집력을 나타내었다. SMF743 및 SMF796 균주의 멸균된 시간을 기준으로, 멸균된 LAB 사균체(1 mg/mL)는 70°C에서 180분, 80°C에서 120분, 100°C에서 30분, 121°C에서 15분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SMF743과 SMF796은 살아있는 세포보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70°C 또는 121°C에서 열처리된 SMF743 및 SMF796은 80°C 또는 100°C에서보다 더 강력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산화질소(NO) 생성 억제를 유도했습니다. 또한 121°C에서 열처리한 SMF743 및 SMF796은 LPS(lipopolysaccharide) 자극 RAW264.7 대식세포에서 TNF-α, iNOS 및 COX-2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각각 최대 53.33%, 58.67% 및 83.67%까지 크게 감소시켰습니다(p<0.05). 유산균 사균체에 의한 신경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HT-29 장세포를 열처리 사균체와 함께 배양하여 조건배지(LAB-CM)를 제조하였다. SMF743과 SMF796사균체의 조건배지(SMF743-CM, SMF796-CM)는 세포 독성평가에서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IC50의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SH-SY5Y세포에 대해 최대 70.68%의 보호능을 나타냈다. SMF743-CM, SMF796-CM은 신경독성물질인 MPP+를 처리한 SH-SY5Y 신경세포에서 iNOS와 COX-2의 발현을 각각 최대 72.77%, 66.12% 억제하였다. 뇌유래신경성장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의 발현은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며(p<0.05), 세포사멸조절인자(Bax/Bcl-2)의 비율은 MPP+ 처리군(+)과 비교하여 1.06-1.32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이는 열처리된 LAB 사균체가 신경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음을 시사합니다. 본 연구 결과, 김치에서 분리한 2종의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제로도 활용 가능하며, 70℃(180분) 또는 121℃(15분)에서의 열처리 사균체가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신경보호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사균체로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at-killed lactic acid bacteria (LAB) produc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SMF743 and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F796 were originally isolated from kimchi. Two LAB strains did not show β-glucuronidase activity, an enzyme suggested to increase colon cancer risk, and were sensitive to all antibiotics tested except for intrinsic resistance, confirming their safety. The SMF743 and SMF796 strains showed strong acid and bile salt tolerance, adhesion activity onto HT-29 cell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Based on thermal death time of SMF743 and SMF796 strains, the heat-killed LAB cells (1 mg/mL) were prepared by heating at 70°C for 180 min, 80°C for 120 min, 100°C for 30 min, and 121°C for 15 min. The heat-killed SMF743 and SMF796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live cells (p<0.05). The heat-killed SMF743 and SMF796 at 70°C or 121°C induced stronge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than those at 80°C or 100°C. Furthermore, heat-killed SMF743 and SMF796 at 121°C significantly reduced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TNF-α, iNOS and COX-2 up to 53.33%, 58.67%, and 83.67%, respectively, in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ed RAW264.7 cells (p<0.05). In order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at-killed LAB, LAB-conditioned medium (LAB-CM) was prepared using HT-29 cells cultured with the heat-killed SMF743 and SMF796. The cell viability (50%) of the oxidatively stressed SH-SY5Y neuroblastoma cells with hydrogen peroxide increased to 70.43% and 70.68% under co-treatment with SMF743-CM and SMF796-CM, respectively. In 1-methyl-4-phenylpyridinium (MPP+)-stimulated SH-SY5Y cells, SMF743-CM and SMF796-CM significantly reduced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up to 72.77%, and 66.12%, respectively (p<0.05). In addition, SMF743-CM and SMF796-C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decreased the apoptosis-related Bax/Bcl-2 ratio in MPP+-stimulated SH-SY5Y cells (p<0.05), suggesting that heat-treated LAB might be helpful to prevent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at-killed L. fermentum SMF743 and L. plantarum SMF796 can potentially be used as multifunctional paraprobiotic products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 조선시대 중층목조건축의 전각부 가구법에 관한 연구 : 반칸물림형의 네가지 형식을 중심으로

        이은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층목조건축물은 단층건물에 비해 특별한 가구기술, 즉 층을 쌓아 올리기 위한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중층건물은 규모가 크고 높기 때문에 보방향과 도리방향의 부재가 만나는 모서리부분(轉角部)은 건물의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곳으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우리나라에 현재 남아있는 조선시대 중층건축물 20여동 中 전각부 가구법이 필요한 건물은 17동으로 전각부에 사용된 가구법은 모두 네 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네 가지 형식은 귓보, 귀잡이보, 무주(無柱), 귀고주형식으로 이 형식들은 가구법의 발생 시기, 평면 형태, 규모, 체감 등의 문제와 관련되어 상관관계를 이루면서 각 건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귓보와 귀잡이보형식은 하층 공포 위에 보를 놓고 상층의 귀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사찰의 주불전과 문루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두 가지 부재가 주불전에서 결구된 수법은 전각부의 규모나 형태에 제약을 많이 받는다. 또한, 귓보는 내진고주와 귓기둥에 결구되기 때문에 측면이 3칸 이상이고 전각부 규모가 작을때 구조적으로 유리한 방식이므로 문루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문루의 평면 형태가 측면 2칸이고 전각부의 규모가 커서 귓보를 걸기에 좋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귀잡이보는 주불전에서 사용된 경우 귀잡이보 양단이 주상포와 주상포에 놓이게 되어 귓보처럼 전각부 규모와 형태에 제약을 받지만, 문루에서는 주간포와 주간포 사이에 놓임으로서 전각부의 규모와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방식이다. 그래서 귓보는 주로 사찰 건물에서 사용되고 귀잡이보는 사찰의 사례도 있으나 대부분 문루에서 사용되고 있다. 무주형식은 말 그대로 기둥 없이 상층 전각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전면의 연두창방이 측면에서 연결된 부재와 만나 왕지를 구성하여 추녀의 뒷뿌리를 받는 형식이다. 유일하게 보통문에서만 사용되고 있는데 고려불화나 돈황석굴의 그림에서 보통문과 유사한 입면의 전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불화가 그려지던 14세기에서 보통문이 지어지던 1473년까지 보편적인 중층건축의 전각부 가구법의 한 형식으로 파악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귀고주형식은 조선시대 이전 사찰이나 왕궁터에서 귀고주의 초석이나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중국에서 사용된 방식과도 다른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조선왕조의 개국과 동시에 나타났다. 이 형식은 전각부에 상층까지 이어지는 고주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형식과 달리 절점(節點)이 생기지 않아 구조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정전과 같은 큰 규모의 건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성 문루, 궁궐 문루처럼 소규모 건물에서도 사용되고 있는데 모두 국가와 관련된 건물에서 사용된 것으로 볼 때 귀고주는 구조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상징적인 의미로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중층목조건물은 하층 규모, 전각부 규모, 전각부 체감율, 전체 체감율 관계에서 규칙성을 보이는데 패턴1, 2, 3으로 나타난다. 패턴 1은 하층규모가 크고 전각부 규모가 작으면 전각부 체감을 크게 하여 일정한 전체 체감율에 도달한다. 패턴 2는 패턴 1과 반대로 하층 규모가 작고 전각부 규모가 크면 전각부 체감율을 적게하여 일정한 체감율에 도달한다. 패턴 3은 하층 규모가 크고 전각부 규모가 큰 경우, 혹은 하층 규모가 작고 전각부 규모가 작은 경우인데 전각부 체감율을 적게하거나 적당하게 하여도 일정한 전체 체감율에 도달하지 못하는 예외적인 현상이다. 이처럼 네 가지 형식은 가구법의 발생 시기, 평면 형태, 규모, 체감 등의 문제와 관련되어 상관관계를 이루면서 각 건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멜로디 억양치료(MIT)가 조음장애 아동의 조음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이은수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멜로디억양치료(MIT)가 조음장애 아동의 조음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이 은 수 본 연구는 멜로디 억양치료(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가 조음장애 아동의 조음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I특수교육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2명의 조음장애 아동으로 7세 5개월의 남아와 4세 5개월의 여아이다. 본 연구는 2013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주 1회씩 45분 치료를 5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초기, 중기(Ⅰ·Ⅱ), 종결로 나누어 14~16회기 실시하였다. 대상아동의 조음변화는 연구자와 언어재활사가 아동용발음검사(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표현은 4가지 분류척도로 초기, 중기, 종결로 치료회기를 나누어 연구자와 특수교육전문가가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IT는 조음장애 아동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두 명의 대상아동 모두 자음정확도가 높아졌고 오류패턴이 감소하였다. 대상아동A의 자음정확도는 사전 75.7%에서 사후 91.4%로 15.7%의 향상을 보였으며, 대상아동B는 사전 77.1%에서 사후 82.9%로 5.8%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MIT를 통한 회기별 자기표현 변화를 살펴보면, 대상아동의 조음의 변화는 자기표현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상아동A는 초기에 긍정적 자기표현 횟수가 평균 7.5회로 나타났으나 종결에서 평균 25회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초기에 평균 5.75회로 나타났던 부정적 자기표현과 7회로 나타났던 부정적 타인표현은 종결 평균 0으로 감소하여 나타났다. 대상아동B는 초기에 긍정적 자기표현 횟수가 평균 3.3으로 나타났으나 종결 평균 9.3으로 증가하여 나타났으며 초기 긍정적 타인표현 횟수는 6.6이었으나 종결 평균은 10.8로 증가하였다. 또한 부정적 자기표현 횟수는 초기 8.3이었으나 종결 평균은 1.5로 감소하였고 부정적 타인표현 또한 초기 평균 8.3에서 종결 평균 1.5로 감소하여 나타났다. 회기별 관찰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변화는 긍정적 자기표현이 증가하고 부정적 자기표현, 부정적 타인표현이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MIT는 조음장애아동의 조음능력과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MIT, 자기표현, 조음장애, 조음

      • 하중지지부위 골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 담지 GelMA/지르코니아 하이브리드 스캐폴드의 제작 및 평가

        이은수 전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 The purpose is to fabricate cell-laden gelatin methacryloyl (GelMA) on zirconia hybrid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nd to evaluate phys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of the scaffolds. Materials and methods : A framework was fabricated by coating bioglass (BGS-7) on a 3D-printed structure with 40 vol% zirconia by FDM(Fused Deposition Molding). Through thermal analysis of zirconia feedstock and BGS-7, debinding and sintering schedules were set and proceeded. A solution obtained by mixing GelMA, photoinitiator(LAP), and MC3T3-E1 preosteoblast with a cell density of 1×106 cells/mL was placed in a sintered zirconia framework and photocured with UV light(365 nm) to fabricate a scaffold with zirconia and GelMA hydrogel. The experimental groups established four groups of Z5, Z15, G5, and G15, which were combined zirconia framework (Z) or glass-coated zirconia framework (G), and GelMA hydrogel concentration with 5% or 15%(w/v). Surface analysis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s.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were evaluated through Live/dead staining and WST-8 assay, and osteoblast activity was evaluated through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 and Alzarin-Red Staining(ARS) assay.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significant level was 95%, and it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P-value was lower than 0.05. Results : The bioglass coating on zirconia was confirmed through XRD patterns and surfa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roup Z was 100 MPa on averag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roup G decreased to 77% of Group Z,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ell response, it was observed that more filopodia of osteoblasts were attached to the framework of Group G compared to Group Z. In the WST-8 assay, the Z5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the Z15 and G15 groups on day 1 of culture, and the number of cell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Z5 and Z15 groups on day 7 of culture. In ALP activity, the G5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Z15 and G15 groups on day 14 of culture, and the ARS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5 group compared to the Z5 and Z15 groups on day 21 of culture, and showed the highest calcium deposition during the cell culture period (P<0.05).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zirconia and GelMA hydrogel can be applied to the fabrication of scaffolds for load bearing tissue regeneration, and the coating of bioglass can improve the bioactivity of the scaffold.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G5 group showed the best results for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of osteoblasts. 목적 : 본 연구는 골 조직 재생을 위한 젤라틴 메타크릴로일(GelMA)/지르코니아 복합 스캐폴드의 개발 및 그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생체활성 바이오글라스가 코팅된 지르코니아가 스캐폴드의 외벽을 구성하고 세포를 담지한 GelMA 하이드로젤이 내부를 이루는 이중구조 형태의 스캐폴드를 제작하여, 그 기계적 특성 및 표면 특성, 생물학적 반응이 골조직 재생을 위한 스캐폴드로서의 역할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재료와 방법 : 40 vol%의 지르코니아를 FDM 방식으로 3D 프린팅한 골조에 바이오글라스(BGS-7)를 코팅하여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지르코니아와 바이오글라스의 열분석을 통해 설정된 조건으로 탈지와 소결을 진행하였다. MC3T3-E1 preosteoblast와 광개시제(LAP), GelMA를 혼합한 용액을 소결된 지르코니아 구조체에 담아 365 nm의 UV로 광경화하여 지르코니아와 GelMA 하이드로젤이 조합된 스캐폴드를 제작하였다. 실험군은 지르코니아 구조체(Z)와 바이오글라스 코팅된 지르코니아 구조체(G)에 GelMA의 농도를 5, 15 %(w/v)로 달리하여 조합한 Z5, Z15, G5, G15의 4가지 그룹을 설정하였다. 실험군에 대하여 표면 분석 및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Live/dead staining과 WST-8 assay를 통해 세포의 생존 및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고,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와 Alzarin-Red Staining(ARS) assay를 통해 조골세포 활성화를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1.0를 이용하여 Kruskal-Wallis test 및 Dunn test 사후 검정하였다. 결과 : 스캐폴드의 XRD 패턴과 표면 분석을 통해 지르코니아의 바이오글라스 코팅이 확인되었다. 기계적 특성 평가 결과, Z 그룹의 압축강도는 평균 100 MPa이었고, G 그룹에서의 압축강도는 Z 그룹의 77 %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세포 반응 관찰 결과, Z 그룹과 비교하여 G 그룹의 구조체에 조골세포의 사상위족이 보다 많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WST-8 분석에서는 배양 1일째에 Z5 그룹이 Z15, G15 그룹과 비교하여 세포 증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배양 7일째에 G5 그룹이 Z5, Z15 그룹과 비교하여 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LP 활성에서는 배양 14일째에 G5 그룹이 Z15, G15 그룹과 비교하여 세포 분화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ARS 결과에서는 배양 21일째에 G5 그룹이 Z5, Z15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세포 배양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칼슘 침적을 보였다(P<0.05). 결론 : 이상의 결과, 지르코니아와 GelMA 하이드로젤의 조합은 하중을 지지하는 골조직 재생용 스캐폴드의 제작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바이오글라스의 코팅은 스캐폴드의 생체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험의 한계 내에서 G5 그룹은 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 광물화에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풍토

        이은수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시장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전 세계의 글로벌 기업들은 과거에 강조하던 리더십과는 다른 형태의 리더십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학계에서는 개별 조직의 독특한 상황에 효율적인 관리자들의 리더십스타일은 무엇이며, 이러한 리더십스타일이 회사의 조직풍토 형성과 경영성과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주제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 기업의 상황에서 조직효과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스타일의 유형과 조직풍토 요인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HayGroup(2000, 2002, 2003)에서 제시한 “조직효과성 모델”을 연구의 기초로 하였다. 조직효과성 모델에서는 조직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인 “성과의 향상(Improvement of Performa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Business Line”과 “People Line”으로 하고 있다. Business Line은 조직성과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성과에 약 70%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예컨대 비전·전략 및 방침·전술, 그리고 체제·조직 등이 여기에 해당되며, 조직의 환경적인 측면과 깊은 관련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People Line은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관계가 있는 요인이다. 특히 People Line에는 조직의 관리자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의 기대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관리자의 역할의 내용, 특정한 직무를 수행할 대상의 선발능력, 관리자가 보유한 역량 및 리더십스타일 그리고 자원 활용방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People Line은 해당부서 및 회사의 조직풍토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조직의 성과향상에 약 30%에 영향을 준다. 기존의 연구들은 Business Line의 환경-대응적인 측면과 관련한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내부-대응적인 측면의 People Line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성과향상에 30%의 영향을 주는 People Line의 측면에서 조직이 리더에게 어떤 리더십스타일을 요구하며, 조직에서 요구되어지는 각각의 리더십스타일이 조직풍토의 형성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또한 관리자의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풍토간의 관계가 조직효과성의 한 요소인 부서원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풍토에 관한 영미권의 선행연구 결과와 한국 기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비교해 보고, 한국 기업 상황에서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리더십스타일의 유형들과 조직풍토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주제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자의 리더십스타일과 전반적인 조직풍토간의 관련성 분석에서 지시통제형 리더십스타일은 전반적인 조직풍토와 부적 관련성을 보였으나, 관계중시형, 참여유도형 리더십스타일은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반면에 목표실천형, 솔선형, 육성형 리더십스타일은 전반적인 조직풍토와 관련성이 없었다. 둘째, 관리자의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풍토의 하위요소들 간의 관련성 분석에서 지시통제형 리더십스타일은 조직풍토의 하위요소들 중 성과책임, 업무수행의 유연성, 평가보상, 팀의식과 부적 관련성을 가졌다. 한편, 관계중시형 리더십스타일은 조직풍토의 하위요소 중 성과책임, 업무수행의 유연성, 팀의식과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참여유도형 리더십스타일은 방향의 명확성, 업무수행의 유연성, 팀의식과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그러나, 목표실천형, 솔선형, 육성형은 리더십스타일과 조직풍토의 하위요소와 관련성이 없었다. 셋째, 관리자의 리더십스타일과 전반적인 조직풍토간의 관련성이 부서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에 대해 관계중시형, 참여유도형 리더십스타일에서 전반적인 조직풍토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본 연구는 영미권의 선행연구인 Goldman(2000)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 결과와 부분적인 일치를 보였다. 특히 지시통제형, 관계중시형, 참여유도형 리더십스타일은 전반적인 조직풍토 및 조직풍토 하위요소와 관련성을 보였다. 선행연구는 6가지 리더십스타일 유형들과 전반적인 조직풍토 및 조직풍토 하위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본 연구는 리더십스타일 유형 중 목표실천형, 솔선형, 육성형 리더십스타일과 전반적인 조직풍토 및 조직풍토 하위요소들 간에는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In recent years, the managerial environment of corporations have been rapidly changing. Most of companies try to adapt in this situations. Also, in order to survive and achieve their goals, each company requires new strategic management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to use their resources effectively. Therefore many companies would like to find out the way of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pecially, They are interested in manager's competency, leadership style. In this views, the academic world, researchers would like to know that it is effective leadership in unique organization situation. Also, these days, it found that high performing organization have climates with direct and unique measurab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rends , many studies have find out relation of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climate. Also, they mak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s and leadership style impa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greeably to views, we would lik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cond, it try to find the correlation of each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limates would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we make an attempt to korea's company case study.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ercive, affliative, democratic leadership styles and most of aspects of climate. but Focusing on authorizing, pacesetting, coaching leadership style , we found that it was no correlation. Second, our research showed especially the affliative leadership style and democratic leadership style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wards , flexibility strongly positive. But according to research the coercive leadership style has strongly negative correlation , responsibility, rewards, flexibility, team commitment. Also, Authorizing and pacesetting leadership style , we found that it was no correlation. Third, analyzing a moderating effect of overall organizational climates perceive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 Overall Organizational climates play a role of moderating effect between affliative, democratic leadership styles a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 were provided in the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limates's correlation case studi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limates impacted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격려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격려와 현재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8228;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8228;6학년 4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양육행동 척도, 아동용 자기격려 척도,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격려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양육행동 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기격려와 생활만족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정&#8228;수용 양육행동과 자기격려 및 생활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거부&#8228;제재 양육행동은 자기격려 및 생활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허용&#8228;방임 양육행동은 자기격려 및 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기격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정&#8228;수용 양육행동과 거부&#8228;제재 양육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온정&#8228;수용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자기격려가 높게 나타나고, 거부&#8228;제재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자기격려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에 따라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정&#8228;수용 양육행동과 거부&#8228;제재 양육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온정&#8228;수용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거부&#8228;제재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개념 중 하나인 자기격려 및 현재의 삶의 만족을 반영하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이로써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상담 장면에서의 모 상담과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자기격려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has been investigated how maternal rearing behaviors perceived by children effects on the self-encouragement and life-satisfaction scale. Respects this in the object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458 people of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Measurement tools are Parenting behavior scale, Child's Self-encouragement Scale,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perceived their maternal rearing behavior, child's self-encourage and life satisfaction by the collected data, and observed depending on the type of parenting the child's self-encour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that each investig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rmth&#8228;Acceptance rearing behavior h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s self-encourage and life satisfaction, Rejection&#8228;Restriction rearing behavior h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s self-encourage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Permissiveness&#8228;Nonintervention rearing behavior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depend on different type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with child's self-encourage, Warmth&#8228;Acceptance rearing behavior and Rejection&#8228;Restriction rearing behavior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hich means, Warmth&#8228;Acceptance rearing behavior is higher in the higher self-encouragement, Rejection&#8228;Restriction rearing behavior is lower in the higher self-encouragement.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depend on different type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with life-satisfaction, Warmth&#8228;Acceptance rearing behavior and Rejection&#8228;Restriction rearing behavior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hich means, Warmth&#8228;Acceptance rearing behavior is higher in the higher self-encouragement, Rejection&#8228;Restriction rearing behavior is lower in the higher self-encouragement. Thus, 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to life satisfaction from children perceived maternal rearing behaviors on self-encouragement and to reflect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which were one of the child's self-concep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rearing and proposed the direction of parent education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self-encour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