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흙의 입도분포와 플랙탈 차원

        유찬,안성율,이창노,Yu, Chan,Ahn, Sung-Yul,Lee, Chang-No,Baveye, Philippe C. 한국지반공학회 2002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18 No.6

        전통적인 흙의 입도분포 곡선상에서 흙의 구성 성분에 따른 프랙탈 차원의 변화에 대해서 Wu등(1993)과Bittelli 등(1999)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Buchan 등(1993)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자료분석시에는 실트와 모래의 경계값의 변화에 따른 프랙탈 차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mu{m}$, 63$\mu{m}$ 그리고 125$\mu{m}$에 대한 프랙탈 차원을 산정하여 전체 범위에서 구한 프랙탈 차원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전통적인 입도분포곡선상에서 프랙탈 차원의 산정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트와 모래성분의 경계값은 Wu 등(1993)이 제시한 것 보다 Bittelli 등(1999)이 제시한 경계값이 더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ittelli 등(1999)이 제시한 실험식을 이용해서 실트영역의 프랙탈 차원을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었다. The fractal dimension that was evaluated with soil components from the traditional particle-size distribution(PSD) curve was analyzed using the results of Wu et al.(1993) and Bittelli et al.(1999). In order to find the change of the variation of fractal dimension with the upper and lower limit, three limit values(200$\mu{m}$, 63$\mu{m}$, and 125$\mu{m}$) were chosen, and these results of fractal dimension analysis were compared to the result that was evaluated in the whole range of the soils.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fractal dimension from the traditional PSD curve with the soil contents, and it showed that Bittelli et at.(1999)'s upper and lower limit value was more reasonable than Wu et al.(1993). Equations that were presented by Bittelli et at.(1999) also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analytical results in the silt domain.

      • KCI등재

        사질토 간극수의 이온 성분들에 따른 전기비저항값의 변화

        유찬,윤춘경,이영남,이용길,Yu, Chan,Yoon, Chun-Gyeong,Lee, Young-Nam,Lee, Yong-Gil 한국지반공학회 1999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15 No.1

        실내실험에 의하여 사질토 간극수의 이온 성분들사이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흙의 비저항측정 상자와 STING-Rl비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이온성분들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다. 또한 2~3가지 성분을 혼합한 경우에 대해서도 비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성분중에서 비소(As)의 비저항값의 감소가 가장 컸으며, 나머지 성분들은 일반성분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혼합성분의 경우에는 비저항값의 범위가 간극수에 포함된 성분들의 비저항값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 laboratory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ivity and ionic components in the pore water of a sand by using soil resistivity test box and STING-Rl. The resistiv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with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ionic components. Also, the resistivity change was evaluated for multiple compon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stivity of Arsenic was less than other heavy metals. In the case of complex components, resistivity ranges depended on the resistivity of components existed in the pore water.

      • 토양의 세립분 함량과 염분농도가 TDR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 고찰

        유찬,이근후,Yu, Chan,Lee, Geun-Hu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06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3 No.2

        Experimental laboratory tests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 effect of fine content and salinity of soils on the measurement of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In the test, using soil columm which was made by PVC pipe with the dimension of 25cm height and 20cm diameter, the salinity variation of soil was controlled by the solution which was dissolved NaCl to destilled water in the range of 0-40g.$L^-1$. The fine content of soil was controlled by kaolinite which was mixed with Jumunjin sand in the range of 0-50% to the total dry weight. The water contents of soil tested were measured with the conventional oven dry method beside TDR and compared the these values to figure out the extent of effect. As the results of tests, it was appeared that the water content measurement by TDR can be affected by the salinity level, fine contents, and the degree of saturation of the soil.

      • 산림부산물을 활용한 편백 양묘 생육에 관한 연구

        유찬열 ( Chan Yeol Yu ),김종익 ( Jong Ik Kim ),박지웅 ( Ji Woong Park ),강기현 ( Ki Hyun Kang ),정하규 ( Ha Gyu Jeong ),이영한 ( Young Han Lee ),최송현 ( Song 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의 제거대상인 칡덩굴과 산림병해충으로 고사된 소나무를 이용하여 산림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순환산림의 육림, 자연 영양원을 이용한 우수 묘목의 대량생산, 수입 원자재의 대체 및 기존 상토의 문제점인 이끼ㆍ잡초ㆍ굼벵이 발생저감을 위한 맞춤형 기능성 배양토의 개발에 있다. 본 연구에 앞서 기존 상토에 활용하고 있는 주요 원부자재인 피트모스, 코코피트와 칡덩굴 분쇄물과 소나무 톱밥을 상토분석법에 따라 11가지 항목에 대한 이화학분석(pH, EC, T-N, P2O5, K, Ca, Mg, Na, Fe, Mn, Cl)을하였다. 비료성분 분석 중 T-N(총질소) 분석은 중량분석법으로 하였고, 나머지 비료성분은 용량분석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산도와 총질소, 인, 망간, 철의 함량으로 산도의 경우 칡(pH6.82)>코코피트 (pH6.47)>소나무톱밥(pH5.24)>피트모스(pH4.03) 순이었고, 총질소는 칡(1.02%)>피트모스(0.86%)>코코피트(0.39%)>소나무(0.02%), 인산 함량은 칡(46.1ppm)>코코피트(14.05ppm)> 소나무(1.79ppm)>피트모스(0.13ppm)로 나타났으며, 특히 칡덩굴의 경우 총질소와 인산함량에서 월등히 높았다. 인산의 역할은 작물의 에너지대사 및 호흡작용에 관여하는 요소로서 결핍시 생장점부위가 억제되고 뿌리의 발근과 분열이 억제되기도 하며 초기생육 뿐만 아니라 생육 전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성분이다. 그리고 미량원소 성분인 망간과 철은 각각 소나무톱밥과 피트모스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망간 함량은 소나무톱밥(7.74ppm)>칡(1.68ppm)>피트모스(1.43ppm)>코코피트(1.31ppm)으로, 철의 함량은 피트모스(38.0ppm)>코모피트(1.56ppm)>칡(1.07ppm)>소나무톱밥(0.36ppm)이었다. 위의 이화학성 분석 자료를 기초로 칡 분쇄물과 소나무톱밥, 코코피트, 피트모스 외에 보수력 및 보비력등 상토의 물리성 개선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펄라이트와 함께 중량비를 기준으로 A~G까지 7개의 배양토 조성물을 만들었다. 배양토 조성조건은 칡과 소나무톱밥을 주원료로 하여 중량비를 기준으로 칡은 5%.10%.15%.50%, 소나무톱밥은 50%와 60%로 하였고, 부재료인피트모스와 코코피트는 각각 10%.15%.20%에서, 펄라이트는 5%내에서 혼합하여 전체 중량비 100%로 만들었다. 위 조성물에 대해 11가지 항목(pH.EC.T-N.P2O5.K.Ca.Mg.Na.Fe.Mn.Cl)의 이화학분석을 통해 가장 최적화된 산림부산물 배양토를 만들고자 하였다. 각각의 배양토 조성비는 A시료(소나무톱밥60%+칡10%+피트모스10%+코코피트20%), B시료(소나무톱밥60%+칡10%+피트모스20%+코코피트10%), C시료(소나무톱밥50%+칡5%+피트모스30%+코코피트10%+펄라이트5%), D시료(소나무톱밥50%+칡10%+피트모스20%+코코피트15%+펄라이트5%), E시료(소나무톱밥50%+칡15%+피트모스10%+코코피트20%+펄라이트5%), F시료(소나무톱밥50%+칡15%+코코피트20%+펄라이트5%), G시료(소나무톱밥50%+칡50%)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시료에 대한 pH.EC.T-N.P2O5.K.Ca.Mg.Na.Fe.Mn.Cl에 대한 측정치는 5.09.0.09.0.13.10.63.0.42.0.74.0.5.0.24.3.34.4.93.0.05로 나타났고, B시료는 4.81.0.07.0.08.6.59.0.37.0.87.0.52.0.2.3.97.5.03.0.04, C시료는 4.6.0.06.0.15.3.72.0.34.0.98.0.51.0.21.6.65. 4.54.0.03, D시료는 5.03.0.08.0.2.7.64.0.4.0.79.0.53.0.23.3.41.4.93.0.05, E시료는 5.23.0.1.0.1 7.14.65.0.48.0.77.0.58.0.27.2.26.4.1.0.06, F시료 6.03.0.12.0.09.12.14.0.63.0.69.0.65.0.33. 0.62.4.51.0.06, G시료 6.19.0.1.0.37.23.37.0.29. 0.81.0.85.0.12.0.6.4.44.0.02로 나타났다.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일반 시중에서 판매 중인 상토의 산도(pH)6.0~6.5 기준에서 보면 F와 G시료가 적합하였다. 기존 상토는 피트모스와 코코피트가 주원료이며, 화학 비료를 이용하여 산도를 조정하고 있다. 하지만 F와 G시료는 주원료만으로 적정산도를 유지하였고, 특히 칡 분쇄물과 소나무톱밥50:50 비율로 혼합된 G시료의 경우 pH6.19로 적합하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총질소(0.37%)와 인(23.37ppm)도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약 pH6.0의 산도 수준에서 최적의 생장을 보이는 편백을 공시수종으로 하여 ‘15. 5. 16에 편백 종자 파종 및 묘목(1-1)을 식재한 후 생육 상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매달1개월 단위로 1회씩 9월까지 총 4회(6.19, 7.20, 8.20, 9.24)조사 실시하였다. 실생묘는 5개체를 무작위 추출하였고, 유묘는 3개체를 무작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실생묘의 경우 T/R율, 세근폭 및 발근수를 조사하였고, 유묘의 경우측근 수,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기간 동안 8, 9월에 2차례복합비료를 500배액으로 200㎖/㎡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편백 실생묘(1-0)의 경우 T/R율은 기존 상토의 경우 1.51로 나타났고 배양토는 1.11으로 나타나, 배양토에서 식물이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근을 제외한 세근폭을 측정한 결과 기존 상토에 비해 배양토 실생묘가 46.5%높게 신장했으며, 발근 수는 배양토에서 31.8%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 묘목(1-1)의 경우 측근 수는 배양토에서 46.8%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24시간 건조시킨 후 뿌리의 건중량을 측정한 결과 기존 상토보다 배양토의 뿌리 건중량이 32.3% 높은 것으로 나타나 배양토의 경우가 생육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기존 상토에 비해 배양토의 경우 소나무톱밥의 탄닌 성분에 의한 영향으로 육묘상에 이끼발생은 상대적으로 억제되었고 절간 마디가 짧고 뿌리량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제1분과 : 보호지역 식생구조 및 관리 ;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이상철 ( Sang Cheol Lee ),강현미 ( Hyun Mi Kang ),최송현 ( Song Hyun Choi ),바오위친 ( Yu Qin Bao ),유찬열 ( Chan Yeol Y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가지산도립공원은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민휴양 및 정서 함양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1979년11월에 지정되었다. 가지산도립공원은 백두대간에서 분기되어 남동쪽으로 뻗어있는 낙동정맥에 일부 속해 있으며, 주위의 운문산(1, 190m), 천황산(1, 189m), 신불산(1, 209m), 간월산(1, 083m), 영취산(1, 059m)과 함께 영남알프스로 불린다(Kim et al., 2010). 또한 가지산도립공원은 사찰을 중심으로 통도사지구, 내원사지구, 석남사지구 등 3개의 지구로 나눠 관리중이다. 가지산도립공원에 관한 연구는 석남사지구, 내원사지구등 지구별로 수행되었지만 통도시지구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통도사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나(Kim et al. , 2014) 현존식생과 그 식생구조에 대한 현황에 그치고 있다. 현존하는 식물사회는 그들이 처한 다양한 환경 인자에 적응하여 이룩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으므로(Ellenberg, 1992), 본 연구는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를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대표적 식물군락과 그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2013년 7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군락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금수암, 백운암, 반야암 등을 중심으로 Ellenberg(1956)와 Westhoff and Maarel(1973)을 참고하여 200~300㎡ 크기의 방형구 (quadrat) 31개소를 설치하였다. 식생조사는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으로 나누어 수관층위별로 실시하였고, 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상대우점치(Brower and Zar, 1977)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Hill, 1979a)과 DCA ordination(Hill, 1979b)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 구성의 다양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종다양도 분석 및 유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 산림지역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31개 조사구 내에서 임의의 지점 3곳을 골라 Ao층을걷어내고 표층으로부터 30cm정도의 깊이의 토양을 채취·혼합하여 실내에서 음건하였다. 분석용 토양을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에 의한 pH, EC, 유기물함량, 유효인산과 전질소함량, 치환성양이온의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산림군락은 환경요인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지며, 군락구조를 분석하고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ordination방법이널리 이용되고 있다(Song and Kim, 1992). Ordination 분석은 DCA(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의 확장인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d Analysis)를 사용하였으며(Hill and Gauch, 1980), DCCA결과에서 식물군락은 점으로 분포를 나타내고 환경요인은 화살표로 나타내어 화살표의 방향과 길이로부터 식물군락과의 유의성을 알 수 있다(Jongman et al. , 1995). MVSP (Multi-Variate Statistical Package) 3. 2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산림식생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체 31개 조사구에 대해 유형별 분류를 하기 위하여 classification 분석 중 지표종(indicator species)을 중심으로 군락을 분류할 수 있는 TWINSPAN기법을 적용한 결과, 소나무-갈참나무군락(Ⅰ), 개서어나무-참나무류군락(Ⅱ), 소나무-개서어나무군락(Ⅲ), 소나무-굴참나무군락(Ⅳ),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Ⅴ) 등 총 5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Classification 분석의 상호보완적 방법으로 군락분포를 알아보기 위해(Lee et al. , 1994; Choi and Kang, 2006) ordination 분석 방법 중 DCA 기법을 적용하여 군락의 분포상태를 살펴 본 결과, 소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는 군락Ⅰ과 굴참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군락Ⅴ를 제외하면, 그 외 군락들은 소나무,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등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분포하였다. Classification 분석과 ordination 분석을 통해 분리된 5개군락에 대해 각 군락별로 층위별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 점치를 분석하였다. 군락Ⅰ은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갈참나무, 졸참나무 등과 함께 경쟁하고 있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소나무가 출현하지 않았다. 갈참나무, 노각나무, 비목나무 등이 아교목층에서 우점하고 있었고, 관목층에서는 노각나무, 비목나무 등이 우점하였다. 군락Ⅱ는 교목층에서 개서어나무가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과 경쟁하고 있었으나, 아교목층에서 개서어나무에 비해 졸참나무, 굴참나무의 세력이 크게 형성되지 못하였다. 관목층에서는 비목나무, 생강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어, 군락Ⅱ는 향후에도 개서어나무를 중심으로 한 낙엽활엽수림으로 유지될 것으로 사료된다. 군락Ⅲ은 교목층에서 소나무와 개서어나무, 졸참나무 등이 경쟁을 하고 있었다. 아교목층에서 개서어나무와 때죽나무가 우점하고 있어, 소나무와의 경쟁을 통해장기적으로는 개서어나무를 중심으로 한 낙엽활엽수림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군락Ⅳ는 소나무-굴참나무군락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경쟁하고 있어, 낙엽성 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군락Ⅴ는굴참나무와 신갈나무가 교목층에서 우점하고 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쇠물푸레나무, 철쭉, 생강나무 등이 우점하였다.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31개 조사구에 대하여 토양을 채취·분석한 결과, 평균 수소이온농도는 pH 4. 9로 경남의 전체적인 평균 pH 5. 27(Jeong et al. , 2002)보다 낮게나타났다. 수소이온농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시·공간적으로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산림지역에서 pH 5. 0 이하의 강산성토양 분포비율의 증가는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토양산성화물질의 기여도가 높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Lee and Park, 2001). 또한 침엽수의 생육범위가 pH 4. 8~5. 5(Lee, 2000)인 점을 고려하고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에는 소나무림이 폭넓게 분포하며 본 연구의 평균 수소이온농도 pH 4. 9 이하의 조사구에서 소나무가 상당수 출현하는 점을 감안할 때, 그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함량은 약 96g/kg으로 나타났고, 전질소함량은 0. 33~0. 74%의 범위로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값인 0. 19%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31개 조사구의 산림식생을 5개 군락으로 분류하여 해발고, 경사, 토양의 화학적 특성 등 11개의 환경요인과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해발고도, 경사도, 수소이온농도(pH), 유기물함량, Ca2+, K+ 등이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다. 제 1축에서 해발고 외에 수소이온농도(pH), 유기물함량, 경사도 등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제 2축에서는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해발고도는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는데(Seo et al. , 1995;Chung et al. , 1997; Song et al. , 1998; Lee et al. , 2010), 본 연구에서도 해발고도가 군락의 분포에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Ⅴ)은 비교적 해발고가 높은 지역에서 출현하였다.

      • KCI등재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1a

        이상철 ( Sang Cheol Lee ),강현미 ( Hyun Mi Kang ),김지석 ( Ji Suk Kim ),유찬열 ( Chan Yeol Yu ),최송현 ( Song 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인 통도사를 중심으로 지정되어 있는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식물군락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200~300㎡크기의 조사구 31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으며, 환경요인으로는 해발고도, 경사도 등의 물리적 환경과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치환성양이온 등의 토양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환경요인과 식물군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위해 DCCA기법을 활용하였다.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갈참나무군락, 개서어나무-참나무류군락, 소나무-개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으로 총 5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천이는 소나무에서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로 진행되고 있었다. DCCA분석 결과,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 내 군락분포는 해발고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해발고도가 비교적 낮은 곳에는 소나무-갈참나무군락, 높은 곳에는 굴참나무-신갈나무군 락이 분포하였다. Tongdosa, which is located in Gajisan(Mt.) Provincial Park of Yangsan City, is one of three representative templ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plants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ongdosa(Temple) District of Gajisan(Mt.) Provincial Park. In order to find out vegetation structure of Gajisan(Mt.) Provincial Park, thirty one plots(unit size: 200~300㎡) were set up and surveyed. For environmental factors, it were surveyed and analyzed physical factors such as altitude, aspect etc. and soil characteristics such pH, organic content, total nitrogen content, exchangeable cation and so on. Using DCCA technique, a relation between plants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The surveyed plo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are Pinus densiflora - Quercus aliena, Carpinus tschonoskii - Q. spp., P. densiflora - C. tschonoskii, P. densiflora - Q. variabilis, and Q. variabilis . Q. mongolica community. Vegetation succession was progressed from Pinus densiflora toward Carpinus tschonoskii and Quercus spp. It was found out that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was affected by altitude. Pinus densiflora - Quercus aliena community is located lower altitude and Q. variabilis.Q. mongolica community is located higher area.

      • KCI우수등재

        승학산 참억새군락의 생육환경 특성 및 쇠퇴에 관한 연구

        박슬기,최송현,홍석환,이상철,유찬,Park, Seul-Gi,Choi, Song-Hyun,Hong, Suk-Hwan,Lee, Sang-Cheol,Yu, Chan-Yeol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5

        억새군락은 생태계 서비스 중 문화서비스 측면에서 하나의 경관자원으로 가을이면 전국적으로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다. 하지만 참억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천이의 특성상 빠른 쇠퇴가 진행되는 공간이라 경관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며, 인위적 관리가 필요하다. 참억새군락은 척박한 토양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건조지 천이초기식생으로써, 우리나라 산림에서 지속성을 가지는 군락은 아니며, 산림천이과정 중 2차 천이 초기에 발생하는 식물군락으로 기존 산림식생의 훼손이후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군락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숲의 경관다양성을 위해 대도시의 대규모 참억새군락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승학산 억새군락의 생육환경 특성을 조사하고, 억새군락의 급격한 쇠퇴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승학산 참억새군락의 토양은 승학산 정상부 일대 참억새군락의 경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일반적 산림토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 질소함량과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토양으로 일반적 산림토양에 비해 비옥한 토양으로 볼 수 있다. 현존식생 현황은 화재 등 교란이후 숲의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으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고, 주요 식물 군락별 면적비율에 있어 리기다소나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일부 곰솔군락 및 벚나무군락이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었다. 참억새우점군락은 전체면적의 8.7%로 대부분 지역에서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칡과 비목나무의 이입으로 인한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어, 참억새군락의 쇠퇴는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어졌다. 식물군집구조 현황에서 당분간은 참억새군락으로 유지될 것이나, 목본식물이 이입되는 과정으로 비목나무의 생장에 따라 참억새 생육에 부정적 영향이 작용할 것이고, 억새-계요등군락은 경관개선을 위해 상부에 식재한 왕벚나무군락의 그늘로 참억새군락은 향후 급격히 쇠퇴할 것이다. 참억새-비목나무군락은 비목의 생육에 따라 참억새의 본격적인 쇠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칡-참억새 군락은 탐방객에게 부정적 영향이 큰 지역이다. 칡 우점군락들은 참억새의 피도는 낮고, 교목과 관목의 유입은 거의 없으나, 칡이 우점 하는 군락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참억새군락은 쇠퇴할 것이다. 경관관리 측면에서 참억새군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용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승학산 곳곳에 조성된 묘지와 참억새군락 내부 샛길은 억새 생육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반면, 참억새군락의 보호를 위해 조성된 목책 및 로프 울타리는 사람들의 출입을 억제하여 많은 샛길들이 자연스럽게 복원되고 있다. 참억새 경관을 즐기기 위해 상대적으로 관찰이 용이한 지점과 참억새군락을 설정하여 이들 지역을 중점적으로 관리한다면 관리예산을 줄이면서 보다 효과적인 억새군락 관리가 될 것이다. Mt. Seunghak'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s not only a landscape resource in terms of cultural services within the Ecosystem Services but also a site that is visited by many mountaineers in autumn. As the current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s been experiencing a rapid decline due to Korean forest succession characteristics, ongoing artificial management is thought to be needed for landscape resource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he cause of the rapid decline of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n Mt. Seunghak, which is located inside a large city with a large scale and outstanding accessibility. As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s the representative early vegetation that appears temporarily in dry, barren soil,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n Korean forest succession tends to be unsustainable. As the current soil on Mt. Seunghak is inappropriately fertile for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other wetland woody plant communities are anticipated to succeed it. I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maintenance is needed for Miscanthus sinensis landscape scenery, various alternatives apart from overall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maintenance should be determined for cost-effective management. For example, while many byways toward the inside of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ve affected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growth environment, the installation of wooden fences and ropes has been a control in approach. As a result of this positive effect, many byways toward the inside o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ve been restored naturally. Through viewable range analysis, as good scenery sites on the observatory have a good viewable range on the main trail as well, if these scenery sites are intensively managed, effective Miscanthus sinensis ccommunity management will be done despite maintenance budget cutback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regarding the alternatives for a sustained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and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other growth in poor soils of fallow fields and unused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