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쓰기 교육을 통한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가능성 모색 -맥킨타이어의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이원봉 ( Won Bong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7

        최근 인성교육진흥법이 발효하면서, 인성교육은 우리 교육계의 명실상부한 방향이 되었다. 인성교육이 무엇인지 그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한 가운데, 본 논문은 인성교육의 핵심은 도덕교육이며 기존의 자유주의적 도덕교육의 방향을 공동체적 덕목교육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덕교육에서 있어서 덕목 교육의 방향은 결코 새로운 것이라고 할 수 없지만,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덕목교육은 그 정당성과 가능성에 대한 학계의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다.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도덕교육은 어떤 목적을 갖고 있는가? 그리고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교육방법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적절한 대답을 하지 못한다면,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은 단지 요란한 구호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본 논문은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을 정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맥킨타이어의 덕 윤리에서 찾는다. 맥킨타이어는 자유주의 사회에서 도덕성 상실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현대 사회의 도덕성 회복을 위해서는 덕의 실현으로서의 도덕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서사적 삶의 통일성을 덕의 실현을 위한 출발점으로 삼고 있는데 우리가 서사적 삶의 통일성을 통해 개별적 행위의 도덕적 의미를 확보하고 덕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은 서사적 삶의 통일성의 달성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본 논문은 서사적 삶의 통일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교양교육에서 서사적 글쓰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실용적 글쓰기 능력 배양이나 논리적 비판적 사고능력 향상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기존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윤리적 글쓰기로서의 서사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As recently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comes into force, character education has become a de facto direction of our education. The contentious debates are going on about what Character education is and how such education can be practiced.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essence of Character Education is demanding that moral education is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existing liberal moral education into the communitarianistic virtue education. The virtue education as Character education is never but it would be new, but if the virtu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is to take place in a democratic liberal society, a serious reflection is needed for its legitimacy and feasibility. What purposes has moral education in colleg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what specific method for realizing the purposes? If you do not have an appropriate answer to this question, Charact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is not merely just a loud slogan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virtue ethics of McIntyre to justify the possibility of the Charact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McIntyre has sharply criticized the morality loses in a liberal society, and argues that in order to restore morality in modern society a moral education should be the realization of virtues. He makes ‘the narrative unity of life’ a starting point for the realization of the unity of virtue, because we get the moral significance of individual behavior through the narrative unity of life and to realize the virtues. Therefore, moral education as Character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university ought to aim to achieve the narrative unity of life. This paper presents a narrative writing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s one of the ways to achieve the narrative unity of lif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writing education at university which aims for improving th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self-narrative writing as a mean of Character education at university.

      • KCI등재

        한국호텔경영학 연구문헌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와 소속기관

        이원봉(Won Bong Lee)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1 호텔경영학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JHA) in order to improv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JHA., especially those related to the hospitality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2 parts regarding the individual researchers and the institutions to which these researchers belong, by using a content analysis technique, which accumulates and tabulates information about the researchers who contribute to JH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Researchers have their own ranking, according to the consistency of their submissions and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y appear in the journal. 2. The related institutions of the researchers are also ranked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it submits, and according to the mean productivity of each institution.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JHA, more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support will be required, along with developments in themes and methodologies as well as improvements made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the academic journal.

      • KCI등재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선석계획과 안벽크레인할당의 동시 결정

        이원봉(Won-Bong Lee),구평회(Pyung-Hoi Koo) 한국SCM학회 2010 한국SCM학회지 Vol.10 No.2

        This paper addresses berth scheduling and quay crane (QC) allocation problems in seaport container terminals. Identifying the berth and QCs as bottleneck resources, we present an optimization model to simultaneously determine the berth schedule and QC allocation, with the objective of minimizing ship turnaround time. Since the optimization model is a NP-hard, a GA(genetic algorithm)-based berth scheduling procedure is proposed to solve real problems. Numerical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tudy can drive a berth schedule and QC allocation decision of satisfactory quality.

      • KCI등재

        칸트 윤리학과 도덕적 자살의 가능성

        이원봉(Lee Won-Bong)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2 No.-

        칸트는 자살이 인격 안의 인간성을 단지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덕적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인간성을 지키기 위한 자살을 허용하는듯한 주장도 하고 있다. 자살에 대한 이런 모순된 주장은, 칸트 윤리학 안에서 도덕적 자살의 가능성과 관련한 다양한 논쟁을 불러왔다. 나는 이런 논쟁이 칸트의 인간성 개념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했다고 보며,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성 개념을 이중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도덕적 자살의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칸트의 인간성 개념에는 주관적 목적을 설정하고 적합한 수단을 찾는 합리성으로서의 인간성과 도덕적 이념으로서의 인간성이 결합해 있으며, 이런 이중의 인간성 개념이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덕적 이념으로서의 인간성을 지키기 위한 자살은 도덕적 의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자살이 자기 사랑의 동기에서 나온 것인지 도덕적 동기에서 나온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진실한 인식이 요구되는데, 나는 이러한 자기 인식은 도덕적 준칙을 통해서 일관되게 추구되어온 내적 가치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Kant says suicide is a violation of moral obligations by using humanity in personality only as a means. Others, however, claim to allow suicide to protect humanity. This contradictory claim to suicide has sparked various debates about the possibility of moral suicide in Kant s ethics. I believe that this debate originat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Kant s concept of humanity, and argue that the possibility of moral suicide can be secured by doubl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humanity as a rational being. Kant s concept of humanity combines humanity as a moral end with humanity as a rationality that sets a subjective objective and seeks a suitable means. Therefore, suicide to protect humanity as a moral end can be a moral dut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suicide is from the incentive of self-love or the moral incentive, sincer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one is faced is required. This article explains what it means to use humanity as end as the only reason for prohibiting suicide in order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moral suicide in Kant s ethics (Chapter 2). It will be revealed that duties to oneself require genuine self-recognition to confirm the motives for fulfilling the duties (Chapter 3). Finally, genuine self-recognition is achiev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general principle of life, the actor will argue that his motiv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alues of life consistently pursued through moral maximes (Chapter 4). Through this process, you will be able to identify some conditions to enable moral suicide.

      • KCI등재

        웨딩컨벤션에서 식공간 연출의 중요성 인식

        이원봉 ( Won Bong Lee ),조성호 ( Sung Ho Cho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10 호텔리조트연구 Vol.9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mpirical analysis on the food space design, food styling, table decoration of wedding convention Customers. For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pplied to total 316 in the Seoul area wedding convention Customers. Method of analysis for survey data was SPSS 12.0 an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one 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321 surveys were received representing a 96% usable response rate. First Wedding convention of food space design, food styling, table decoration and a woman customer, depending on ag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customers, depending on the hypothesis food space design, food styling, table decoration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atial direction of research hypotheses that appear to have been adopted in part. Finally, causal influence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from food space design, rendering men and women according to age groups and appears to significantly impact theory has been adopted in par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useful information on Wedding Convention on the implications presented.

      • KCI등재

        성과 결혼의 윤리적 정당화

        이원봉(Lee, Won-bo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성은 동물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능에 속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 인간은 어떤 이유와 방식으로 성 행위를 하고 성적 결합을 지속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성과 결혼을 규범적으로 정당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성과 결혼을 순전히 개인의 선택과 계약을 통해 정당화하려는 자유주의적 해석은 상대의 인격을 성적 욕구 충족의 수단으로 삼을 밖에 없다는 점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칸트는 인간의 존엄성의 훼손할 수밖에 없는 성 행위가 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결혼을 통한 두 인격의 의지의 통일에서 찾는다. 칸트는 성이 본질적으로 비윤리적이며 성의 윤리적 허용가능성을 결혼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보수적인 성 윤리와 유사하지만, 성의 비윤리성을 인격의 대상화에서 찾고, 결혼의 정당성을 두 인격 사이의 성의 교환을 위한 계약에서 찾았다는 점에서는 자유주의적 계약론과 유사하다. 하지만 칸트가 결혼 계약의 근거를 두 인격의 동의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연법칙에 따른 의지의 통일에서 찾았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입장과 차별된다. 인간의 존엄성을 이념으로 하는 민주주의의 원칙들을 받아들이면서, 성과 결혼을 윤리적으로 정당화하려고 한다면, 칸트의 입장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논문은 성과 결혼을 정당화하는 칸트의 논의를 해명하면서, 칸트의 입장을 자유주의적으로 해석하는 매프스(Mappes)와 덕 윤리의 관점에서 받아들이는 너스바움(Nussbaum)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들의 오해와 한계를 밝히려고 한다. Sex and marriage is route into classical philosophical issues such as the good and the scope of individual choice, as well as itself raising distinctive moral questions. Moral philosophers have debated whether marriage has a special moral status and relation to the human good. The ancient and Christian philosophers claimed that sex and marriage is permissible in purpose of reproduction. But nowadays, contractualists claim that sexual activity and marriage is justified on condition of consent and reciprocity. But in sexual activity, individuals involved in it reduce themselves mutually to mere things. Libertarianist like Mappes claims this mutual 'reducing mere thing' is morally acceptable only if it happen 'mutally'. Consent and reciprocity satisfy the conditions to make sexual activity morally acceptable. However, person's providing free and informed consent is, in general for Kant,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or satisfying the Second Formul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In addition, treating someone as a person, for Kant, includes taking on the other's end as if they were one's own ends. Therefore, Kant claims no one can have a right to another's "sexual attribute" without having a right to the whole person. Kant also claims that there is only one sort of enforceable contract related to sexuality and he calls this sort of contract a 'marriage.' In this paper, Thomas Mappes and Martha Nussbaum's theory of sexual morality will be examined to see differences between their position and Kant's.

      • KCI등재

        장성한 자녀는 부모에게 어떤 의무를 지고 있는가 : 칸트의 자선의 의무를 통한 자녀 의무의 정당화

        이원봉(Lee Won bo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4 생명연구 Vol.33 No.-

        Because of a rapidly growing elderly population, our society is facing a variety of challenges to caring of elderly people. In particular, as social welfare system undertakes duty of caring elderly people that has been duty of family members in past, instead of the increased economical supporting, elderly people's emotional sense of isolation is deepening. Therefore emotional supporting for elderly people is critical challenge to the aged welfare policy.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emotional alienation of elderly people restoring of family as ethical community is urgent, but traditional family ethics is outdated nowadays. Therefore, in present society, it is necessary to justify the filial obligation to elderly parents on new ethical foundation. This paper is researching various theories that are justifying filial obligation and criticizing the limits of the theories that justify filial obligation on special emotion (such as friendship or filial love) and special good between parents and adult children. Instead, this paper examines Kant's duty of beneficence suggesting that at its core, performance of filial duty occurs in response to the needs of elderly parents. The needs of parents make imperfect duty of beneficence to perfect duty because of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adult children. 급속하게 고령화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는 노인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과거 가족공동체에게 맡겨졌던 노인부양의 의무를 사회복지체계가 담당하면서, 노인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향상되었지만, 정서적 소외감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은 앞으로의 노인복지 정책이 고려해야할 중요한 문제이다. 노인의 정서적 소외를 해결을 위해서는 가족공동체의 회복이 시급하지만, 오늘날 전통적 가족윤리를 복원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개인의 자유의 확대를 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부모에 대한 자녀의 의무는 새로운 윤리적 근거에 따라 정당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논문은 부모에 대한 자녀의 의무를 정당화하는 다양한 이론을 호혜성에 근거한 이론과 특별한 관계에 근거한 이론으로 나누어 검토하여 그 한계를 지적하고, 칸트의 자선의 의무가 자녀의 의무를 정당화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밝힌다. 칸트의 자선의 의무는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의무를 위반하지 않으면서도 부모와 자녀의 특별한 관계에서 비롯하는 특별한 의무를 정당화할 수 있다. 이것은 자선의 의무가 넓고 불완전한 의무이고, 넓고 불완전한 의무는 특별한 개인적 관계와 사회적 맥락 안에서 완전한 의무가 된다는 것을 통해 밝혀진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생명윤리와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먼의 존엄성에 관한 논쟁을 중심으로-

        이원봉 ( Won Bong Lee ) 한국환경철학회 2013 환경철학 Vol.0 No.16

        과학기술의 발전은 한편으로 생명윤리의 등장배경이며, 다른 한편으로 생명윤리에 대한 도전이다. 최근의 과학기술은 나노공학, 생명공학, 정보통신기술, 인지과학(NBIC) 등이 결합하면서 과거의 인간이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영역을 열고 있다. 트랜스휴머니즘은 이러한 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해서 인간의 능력향상을 추구하는 사상이다.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의 근본적 조건인 노화, 질병 등을 극복하는 것뿐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인간 종인 포스트휴먼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트랜스휴머니즘, 혹은 포스트휴머니즘은 근대 이후의 인간 존엄성 사상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인간 존엄성이나 생명의 존엄성에 근거한 생명윤리에 대한 반성을 요구한다. 포스트휴먼은 존엄성을 갖는가? 또는 포스트휴먼은 인간 존엄성을 증진하는가, 훼손하는가? 인간과 포스트휴먼이 공유할 수 있는 인간 존엄성의 근거가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본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이 주장하는 포스트휴먼의 존엄성에 대해 어떤 비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 비판이 갖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포스트휴먼이 존엄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밝히려고 한다(2장, 3장). 인간 존엄성을 통해서 가능한 도덕적 지위의 인정이 인간에게 공통된 속성에서 기인한다면, 그 속성은 도덕적 능력, 즉 정의감과 선의 개념을 형성할 능력이며(4장), 이런 점에서 포스트휴먼도 존엄성을 가질 수 있지만, 그것은 인간과 포스트휴먼이‘선의 개념’을 공유할 때뿐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이 ‘선의 개념’의궁극적 한계는 인간의 유한성에 있으며, 이 유한성의 본질은 ‘죽음’이라고 주장할 것이다(5장).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on the one hand,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bioethics, on the other hand a challenge for bioethics. Latest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 (NBIC) and a combination of these technologies is opening a new area which human has not been experience past. Trans-humanism is a thought movement which is seeking to improve the ability of human by using these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Trans-humanism is aiming to overcome aging, illness that are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as well as to reach post-human, or new human species. Thus, trans-humanism, or post-humanism is raising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notion of human dignity, requires a radical reflection to bioethics based on human dignity and the sanctity of life. Does the post-human have the dignity? Is post-human to promote human dignity, or do damage to human dignity? Do human and post-human share fundamental sources of human dignity in common, then what they are? In this paper, I will look through the position of the trans-humanist around the dignity of post-human and arguments against those position, then point out the conditions that a post-human can have the dignity.(Chapter2, Chapter3) Recognition of moral status which is possible through human dignity is due to common human attributes, then the attributes are moral capacities, that is a sense of justice and a capacity for a conception of the good.(Chapter4). I will argue, thanks to these capacities, post-human can have dignity, but only in that case which human and post-human share ‘a concept of good’in common. And I will argue the final limitation of this ‘concept of the good’ is in human finitude, whose core is ‘death’(Chapter5).

      • KCI등재

        중국의 국가전략이념과 대외관계

        이원봉(Lee Won Bo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08 정치정보연구 Vol.11 No.1

        중국의 국가전략은 국가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과정이다. 중국의 지도자와 정치치제가 변화하면서 중국의 국가전략이념도 변화해 왔다. 마오쩌뚱 시기의 혁명이론, 덩샤오핑 시기의 개혁개방론, 장쩌민시기의 3개대표론, 후진타오시기의 과학적 발전관이 등장하였다. 덩샤오핑 등장 이후 중국은 ‘개혁개방’과 ‘평화발전론’이라는 국가전략이념 하에 경제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중국의 경제발전과 중국의 부상에 의해 중국위협론이 등장하였다. 덩샤오핑은 국가전략이념으로 ‘도광양회(韜光養晦)’와 ‘유소작위(有所作爲)’의 국가전략이념을 제시하였다. 장쩌민체제 등장 이후 중국은 ‘신안보관’을 국가전략이념으로 제기하였고 이는 강대국관계는 물론 주변국들과의 협력관계를 확대시켜 나가는 전략이다. 장쩌민체제 이후 중국의 국가전략이념에는 민족주의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후진타오체제 이후 국가전략으로 ‘평화굴기’가 등장하였고 이는 ‘평화발전’으로 전환되었다. 중국의 국가전략이념은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관계를 강조하는 다자주의를 강조하고 있고 이는 중국의 발전을 지향하고 미국의 중국견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후진타오체제는 국내통합을 지향하는 과학적발전관을 국가전략이념으로 정하였다. 궁극적으로 중국의 국가전략이념은 중국이 부국강병을 실현해 아시아의 중심국가로 부상하기 위한 것이다. Chinese national strategy is about how to achieve national goals effectively. National strategic ideology of China has been transformed along with the changes of its leaders and political system; ‘Revolutionary Ideology’ with MaoZeDong, ‘Reform-Opening Conception’ with DengXiaoPing, ‘New Security Conception' ’with ZhangZeMin, 'Peace-Development Conception' with HuZinTao. China of DengXiaoPing government drove economic development under the national strategic ideology, named 'Peaceful Development Conception.' and ‘Reform-Opening Conception’. Rise of China with its economic development led to the 'Conception of China's Threat'. DengXiaoPing brought up new national strategic ideology like 'TaoGuangYangHui' and 'YouSuoZuoWei'. The government of ZhangZeMin adopted the policy of 'New Security Conception', which aims at expanding cooperative relationship not only with world powers but also with its neighbor states. Chinese nationalism appeared in this government, too. The government of HuZinTao enforced 'Peaceful Rise Conception', which was transformed to 'Peaceful Development Conception' later. Chinese national strategic ideology emphasizes Multilateralism that values cooperation with Asian countries. Actually China's Multilateralism was adopted to cope with the check of America and achieve national development. The national strategic ideology of this government is 'Scientific Development Conception'. It aims for domestic integration. Ultimately, the Chinese national strategic ideologies have pursued enhancing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nd moving up to dominating state in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