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RR과 단순한 루프안테나를 유도 결합시킨 자기장 검출기

        이왕주(Wangjoo Lee),주정호(JeongHo Ju),김동호(Dong Ho Kim),최재익(Jae Ick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5 No.8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신호검출기로 활용 가능한 간단한 형태의 자기장 검출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검출기는 SRR(split ring resonator)이라고 하는 음의 투자율을 구현하는데 최초 사용되었던 일종의 LC 공진회로와 간단한 루프안테나를 유도성 결합시킨 것으로 기존의 MRI 신호검출기에 비해 단순한 구성으로 유사한 감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magnetic field detector as a potential MRI receiver is proposed. The proposed device is composed of SRR(split ring resonator) which is a kind of LC resonator first introduced as a negative permeability material and a simple loop antenna. The proposed device showed similar degree of performance to commercial one with a simpler circuit.

      • KCI등재

        매체, 니체, 그리고 춤

        이왕주(Lee Wang-Joo)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6 No.-

        이 소론이 주장하려는 것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디지털 시대의 매체 환경이 조장하고 있는 소통양식은 ‘탈육체’라는 플라톤주의의 존재론적 전제에 연계되어있다. 흔히 기술지상주의의 단순한 역기능 정도로 간주되는 ‘육체적 인간’의 위기는 여기서 우연적이거나 주변적인 것이 아니라 필연적이고 본질적인 것이다. 논자는 여기에 매체 권력의 조직적인 음모가 개입해있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눈부신 약진 덕분에 매체 집단이 비상하게 권력화된 것이 아니라 매체 집단의 권력화가 소통 테크놀로지의 약진을 견인해냈다는 사실을 논변해 보이겠다. 이 논문이 주장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는 이러한 상황이 특정한 형이상학적 세계관을 전제하고 있는 만큼, 그 대안도 세계관의 근본적 전향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플라톤적 탈육화의 비전에서 야기된 위기는 육체성의 복권과 그를 지지하는 세계관의 복원에서 그 돌파구를 찾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가 니체를 끌어들이는 것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다. 니체는 육화된 삶의 구체성을 회복해야할 무대를 ‘대지’로 제시했을 뿐 아니라 친절하게도 대지 위에서 그것을 수행할 구체적인 전략까지 처방해주었다. 그것이 곧 ‘춤’(Tanz)이다. 니체에 따르면 육체를 갖고서야 우리가 춤을 추는 게 아니라, 춤을 추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우리는 육체의 인간으로 태어난다. ‘어떻게 우리가 다시 몸의 주인이 될 것인가’ 이것이 시대의 화두라고 할 때, 니체의 이러한 통찰은 우리에게 여전히 소중한 것이다. 문화사의 메이저 권력인 기독교가 장악한 어느 시대에나 니체는 이단이었지만, 이 디지털 시대에 니체의 이단성은 더욱 선명하고 현저하다 I suggest two main points in this paper. The one is a fundamental reflections on our existential situations in these cyber ages. In these alienated environmental situations of communication, we are nothing but some nullified subjects which had lost every independence in experiences and judgements. I believe thar some of these tragic situations resulted from some high tech strategies of media which had strengthened itself through the human history of culture. To demonstrate this facts I use the logic of Hegel, namely his famous dialectic theory of the domination and the subjugation. The other is the prescription of these problems. We should descend from the lofty place of the subjectivity to the flat of the beings. In order to keep the concreteness of the life-world, we should live the Nietzschean vision that man should encounter the earth with his flesh and hone and accept the way of living with the body which could be expressed in Nietzschean Dance brilliantly.

      • KCI등재

        카를로스 알베르토 광장의 니체

        이왕주(Lee, Wang-joo)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논자는 영화예술의 본질을 니체의 예술생리학의 관점에서 해명해보고자 한다. 니체에 따르면 영화에서 빛나는 미장센들은 작가인 감독의 힘에의 의지의 표현이다. 그것은 자, 수, 추 등의 플라톤식 척도로써 모방을 재모방해낸 게 아니라 감독의 몸카메라(body-camera)로써 생의 약동하는 근원표상 대지(Erde, die ursprüngliche Vorstellung)를 프레임화해낸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영화는 본질적으로 몸과 대지가 카메라로 매개되는 생의 예술(die Kunst des Lebens)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예술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것은 눈이나 머리가 아니라 몸이다. 하지만 이때의 몸은 자본에 의해 조작, 통제, 변용되는 할리우드 표준관객의 둔중한 신체를 뜻하지 않는다. 우리는 상처와 도취로써 흔들리는 몸, 저 춤추는 듯 싱그럽고 가벼운 몸으로 작품 앞에 서야 한다. 이런 경우에만 ‘몸으로 영화보기’는 일상에서 작은 혁명들을 성취해낼 수 있다. 가령 벨라타르의 영화 <토리노의 말>을 그런 몸으로 접하게 된다면 우리는 더 이상 왜소화된 인간, 저 떼거리화된 인간(der Herde-Mensch)에 머물러 있지 못한다. 또한 벨라 타르의 저 심원한 미장센들은 왜 니체가 ‘진리로부터 멸망 당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에게 예술이 있다’고 했는지 깨닫게 해줄 것이다. I try to elucidate the essence of cinematic art in terms of Nietzsche s physiological philosophy of art. According to Nietzsche, the mise-en-scènes in the film are expressions of willingness to the power of the author, the director. These are not re-imitations of the imitations with Platonic measure, sinker, number, but framing the elan vital Erde, die ursprüngliche Vorstellung with the director s body-camera. In this context, the film is essentially dieKunst des Lebens, in which the body and the earth are mediated by cameras. Therefore, it is not the eyes or the head, but the body that is necessary to appreciate film art. But the body at this time does not mean the heavy body of Hollywood standard audiences manipulated, controlled, or transformed by capital. We should stand in front of the film work with body shaking between trauma and Rausch, a dancing body, and a light and fresh body. Only by watching film with the body, can we achieve the small revolutions in everyday life. For example, if we watch Béla Tarr s film The Turin Horse in such a way, we can no longer be the dwarfed human beings, der Herde-Mensch. Also, Béla Tarr s mise-en-scene will make us realize why Nietzsche had said that there is art to us not to be destroyed by the platonic truth.

      • KCI등재

        라캉의 마지막 탱고

        이왕주(Lee, Wang Jo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지혜사랑의 영원한 지향점은 ‘근원’ 이다. 탈레스가 이미 철학함이란 이 근원을 향한 심원한 열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실천적으로 보여주었다. 학문의 정체성이 뒤죽박죽 헝크러져버린 이 장르혼성 시대, 우리가 귀소(歸巢) 해야할 최종 준거는 여전히 탈레스다. 이런 맥락에서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의 베르톨루치, 『세미나』 연작의 라캉은 자신들이 선 자리에서 탈레스 하기를 실천한 철학자들이다. 베르톨루치는 빈방, 광장, 성의 진리를 무대화 함으로써, 라캉은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변별해냄으로써, 각각 저 시원의 아르케를 향한 횡단의 몸짓을 인상깊게 각인시킨다. 이 소론이 제시하는 선언적 결론은 퇴색해버린 철학의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 ‘시궁창에 자빠짐’ 을 ‘아르케를 향해 기투하라’ 는 정언명법으로 받아들이는 ‘탈레스하기’ 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The permanet target of the philosophy (the love of wisdom) is the pursuit of the Arche. In the age of the ancient Greek, Thales had taught us that practical lesson by the way of being modell by himself. We should refer to his teachings because it show us what we ought to do keep the pure original spirit of Philosophieren in Kantian context in these days of mixed interdisciplinary. Bernardo Bertolucci, the director of the famous film 〈The last tango in Paris〉 and Jacques Lacan, the author of Seminars Series are the typical Thalesian philosophers. Bertolucci showed us the diverse props symbolizing mise-an-scenes of the vacant room, square, and the truth of the loves, and Lacan, the diverse discourses of the notorious three oder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They are the icons of Philosophieren to which we should refer, for their works are the brilliant achievements of philosophical Entwurf.

      • KCI등재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의 영상 기호 분석

        이왕주 ( Wang Joo Lee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08 아시아영화연구 Vol.1 No.1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에서 결정적 의미를 지니는 4개의 영상 기호를 분석하였다. 우선 첫 시퀀스에 등장하는 ``죽은 나무``는 주인공의 독백내용으로 미뤄보아, 생명을 잃어버린 세계에 대한 상징으로 해석된다. 아버지는 죽은 나무를 살리는 방법을 아들에게 전수함으로써 세계의 구원에 대한 열망을 드러낸다. 두 번째로 ``자전거``는 기술지상주의에 저항하는 삶의 양식으로 이해된다. 두 부류의 인간군이 있다. 자전거를 차는 자와 자동차를 타는 자다. 영화에서 자전거는 바퀴의 이미지를 통해 니체의 영겁회귀 사상을 환기시켜준다. 세 번째 오토가 선물한 ``17세기 유럽지도``는 이성과 질서를 절대화하는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을 상징한다. 기계기술 중심주의, 물질만능주의 등이 이러한 데카르트적 세계관에서 파생되어 나온다. 희생이 필요한 파국은 결국 여기서 발원한다. 마지막으로 ``불타는 집``은 그 결과를 기약할 수 없는 희생을 상징한다. 알렉산더는 전쟁으로 백척간두의 위기에 내몰린 세계의 구원을 위해 자신에게 생명처럼 소중했던 집과 자동차를 불태우는 제의를 실행한다. 이러한 상징들의 분석을 통해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데카르트적 세계관에 대한 대안적 철학으로 니체적 세계관을 선호하는 타르코프스키의 철학적 관점이다.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four signs in Andre Tarkovsky`s last famous film <The Sacrifice>. The first sign is the dead tree that symbolizes the dead world. The protagonist Alexander had taught his son that he could revive the dead tree if he waters it everyday. The second sign is the bicycle that takes a role to discriminate the pro-lives and anti-lives. But it has the deep meanings to signify the Nietzschean perspectives of the world and the life which has been well known as the ``Permanent Return of the Same.`` The third sign is the map of Europe in 17th century that symbolizes the metaphysics of Descartes. The machine centrism and the extreme materialism stem from this philosophy make our life world dangerous more and more everyday. The director Tarkovsky seemed to try to suggest a new paradigm, namely the Nietzschean Philosophy to save our life world. The last sign is the burning house which means the holy sacrifice of the protagonist Alexsander who loves his son, house, wife, daughter, friends, his country and this world. This analysis informs us of Tarkovsky`s some ambitious dream or his philosophy of changing andsaving this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