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프로파일 분석에 기반한 초등교사 경력별 수업전문성 연구

        이옥화(Lee Okhwa),길혜지(Kil Hye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6단계 경력(0-4년, 5-9년, 10-14년, 15-19년, 20-24년, 25년 이상)에 따라 수업전문성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관찰 전문가들이 2017년부터 2019년 4월까지 ICALT 수업관찰 도구를 활용하여 직접 관찰한 수업 283건을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한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AMS 분석결과, 초등교사의 대표적 프로파일은 2개 차원에서 ‘수업관리형’과 ‘학생맞춤형’으로 나타났으며 개인모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맞춤형’에 대한 유사성지수와 학생참여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수업관리형’에 대한 유사성지수와 학생참여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경력별로 수업전문성에 관한 프로파일을 추출한 결과 경력별로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통계 분석결과, 다른 경력집단들에 비해 10-14년과 20-24년 경력교사 집단의 전문성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반면 25년 이상 경력교사 집단은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전문성을 요구하는 영역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수업전문성을 다룬 선행연구들과 달리, 20-24년 경력교사들이 수업전문성에 한해서는 그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높은 난이도가 요구되는 영역에서의 수업전문성이 높을 때 학생참여 또한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kill development differs according to six levels of career (0-4, 5-9, 10-14, 15-19, 20-24, 25 years and above) by using PAMS(Profile Analysis vi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his study analyzed 283 lessons of 283 primary school teachers that were observed by classroom observation experts using the ICALT class observation tool from 2017 to April 2019.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AMS, the representative profi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two: class management type and student-centered type ,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dividual paramet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imilarity index for student-centered type and student participation,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milarity index for class management-type and student particip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profiles of teaching skills by carrer showed different patterns individually. The level of teaching skills in the group of 10-14 teaching career years and that of 20-24 year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other career groups. Teachers with more than 25 years of experience had a high level of expertise while the teaching performance level for lower domain was low.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of 20-24 career years could have the highest teaching skills while most previous studies did not and higher level of teaching domain drove higher students’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인 학습자 대상 외국어 학습 시스템 휴리스틱스 개발: 온라인 세종학당 중심으로

        이옥화 ( Lee Okhwa ),김화 ( Jin Hua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성인학습자 대상의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에 있다. 외국어학습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휴리스틱스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초안을 만들고, 교육공학 전공자와 외국어 강사들의 델파이를 통해 도구를 검증하였다. 휴리스틱스 초안 구성에는 일반적인 웹기반 사이트의 일반적인 사용성 특성, 교육 사이트의 특성을 감안한 교육적 문맥에서의 사용성, 그리고 외국어 학습 사이트의 문맥을 고려한 사용성의 특성을 포함하였다. 초안의 내용에는 온라인 학습을 위한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제2 언어 습득이론에 근거한 외국어학습 사이트의 사용성 특성을 포함하였다. 초안은 15명의 전문가들이 온라인 세종학당 사이트를 활용하여 2번에 걸친 델파이 방식으로 도구의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휴리스틱스는 총 8영역의 23개 항목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학습 사이트를 기반으로 휴리스틱스를 개발하였으나, 본 도구가 일반적인 제2외국어 학습 사이트의 사용성 검증 도구로 사용되려면 추후 다른 언어 학습 사이트에서 타당성을 검증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for adult learners. The draft of heuristics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nalysis, and experts of educational technologists and foreign language teachers testified the draft.The draft includes three layers of usability: general web site usability, education context usability and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ability. The draft contained items based on the theorie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adult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web site. The draft was validated by 15 experts by implementing theDelphi method twice to finalize 8 domains and 23 items. This study used the online King Sejong institute to validate the heuristics but in order to make the tool be general for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system; however in order to generalize the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validating the heuristics in other language learning systems is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육행정 정보시스템 구축 전략 연구

        이옥화(Lee Okhwa),조부경(Cho Boo-Kyung),고영미(Go Young-Mi),안경진(Ahn Kyung-Jin),이준희(Lee Jun-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행정 정보시스템(NEIS) 구축을 위한 전략 제안이다. 본 전략제안 연구는 선행연구인 유치원 NEIS 도입에 대한 교원의 인식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유치원 NEIS 대상의 15개 항목을 결정하고, 이의 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유치원 교육행정정보화 항목의 선정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 통계와 NEIS 항목 분석 및 2차의 전문가 회의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총 15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유치원 NEIS 구축 전략은 유치원 NEIS 구성, 관련기관의 역할규정, 서버 구축 모델, 시스템 구축 단계별 전략 모델, 정보화 소요 비용 산출 전략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rategies for kindergarten NEIS (National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arlier research of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toward the Kindergarten NEIS and information status in Kindergarten in Korea", items for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NEIS was selected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NEIS were suggested. In order to select items for the NEIS development, 15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KEDI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educational statistics items and pre-existing NEIS items and two Delphi seminar. Strategies for the Kingarten NEIS development were components for the NEIS development, suggested roles of institutes related, models for the server development, strategies for each stage of the development, cost and resources involved.

      • KCI등재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따른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 후 교사들의 인식 변화

        이옥화 ( Okhwa Lee ),유민선 ( Minseon Yoo ),김득준 ( Deukjoo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위기 완화를 위해 2020년도 4월에 온라인 원격수업이 전국의 학교에 전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일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면서, 교사들이 보인 인식의 변화,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 새로운 교육적 기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전국의 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4월과 8월에 수집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였고, 교사들과 면담을 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온라인 원격수업의 형태는 학기 초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을 포함하는 혼합형 수업이었으나, 학기말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으로 바뀌었다. 관심을 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도입은 학기 내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교사들은 콘텐츠 활용 수업이 온라인 원격수업의 장점을 잘 살리는 수업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온라인 원격수업에 사용되는 콘텐츠는 학기초에는 EBS 제공 동영상이나 교사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학기말에는 민간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의 직접 제작이 학생을 위해 좋다고 생각하나 학기 내내 제작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지속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온라인 원격수업의 기술적 우려는 학기초와 비교해 학기말에는 크게 줄어들었다. 디지털 교과서나 다른 기술 사용은 용이성이 기술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교사들은 학기 초에 온라인 원격수업 운영의 큰 애로사항으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부여 및 참여 유도와 같은 수업 활동을 꼽았고 이는 온라인 원격수업의 적응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교사들은 이로 인해 수업 전문성이 발현되기 어려웠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이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나오므로, 에듀테크를 통해 학사관리나 수업 운영을 지원받는 환경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비대면 수업 기간 동안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개별학습으로 지원하여 교육격차를 완화시키는 기회로 삼는 창의적 적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Online distance learning has been forced in 2020 April to alleviate the pandemic crisi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while experiencing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is study used two survey don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pril and August 2020,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At the beginning of distance learning, a “combined learning format” (including a content applied instructional model) was the most used, but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contents applied” format was most common.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though it ha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it draws most of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contents mostly used were teacher produced contents at the beginning and EBS videos, but at the end private sector produced contents were the mostly used. Teachers recognize that teacher made video contents are effective but they were exhaus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o produce their own contents any more. At the beginning, teachers perceive how to motiva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online learning management as the most difficulty task for online instruction and it remained until the end of the semester. Teachers claimed that those difficulties prohibited teachers’ practice of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Teachers asked the support of EduTech to deal with instructional management and academic activities. Teachers recognized the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schools and showed creative adoption by supporting individualized learning to release educational gaps.

      • KCI등재

        수업관찰 유형에 따른 수업전문성 요인 차이 분석: ICALT 수업분석 관찰도구 활용을 기반으로

        장순선 ( Soonsun Jang ),이옥화 ( Okhwa Lee ),김득준 ( Deukjoo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 관찰과 직접 관찰 수업분석결과를 비교하여 두 수업관찰 유형 간에 분석결과에 수업전문성 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함이다. 두 가지 수업관찰 유형의 분석을 위해 수업전문성 분석도구인 ICALT를 활용하였다. ICALT 도구 사용법 훈련을 통해 검증된 수업관찰 전문가가 2016-2017년 충남, 충북, 대전, 경기도 울산지역에서 수집한 총 458건(동영상 관찰 103건, 직접 관찰 355건)의 수업분석결과를 대상으로 두 관찰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동영상 수업관찰과 직접 관찰 수업관찰의 결과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동영상 관찰의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제거되었던 ICALT 수업전문성 요소는 1 영역(안전하고 고무적인 수업분위기)와 2 영역(효율적 운영 영역)은 모든 문항과 4영역(집중적이고 활발한 수업)의 3 문항, 3영역(명료하고 구조화된 수업분위기)과 6 영역(교수학습 전략)은 1 문항이었다. 반면, 수업 전문성의 난이도가 높은 5영역(학생 간 차이를 반영한 수업과 학습자 조절)의 경우는 모든 문항이 제거되지 않았다. 따라서 수업분석을 위한 동영상 녹화시 안전하고 고무적인 수업분위기와 효율적 운영, 집중적이고 활발한 수업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도록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활동들이 포함되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고, 명료한 방식으로 수업내용을 제시하고 설명하고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활동이 동영상에 포함되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Many teachers are interested in enhancing their teaching skills and class observation is often used as the practice to meet their needs. There are two kinds of class observation: direct classroom observation and indirect class ob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se two observation shows differences in analysis of teaching skills. ICALT observation tool is used. Data of 458 cases (103 video observation and 355 direct class observation) was collected in 2016-2017 throughout Chungnam, Chungbuk, Daejeon, Kyunggi and Ulsan area.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proven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lass analysis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eaching skills which were not grouped are domain1 (safe and stimulating learning climate), domain2 (efficient organization) and domain4 (intensive teaching). It is recommended that video taping for class requires caution for domain1,24 while still an item from domain 3,6 require also extra considerations.

      • KCI등재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임연욱(Yeonwook Im),이옥화(Okhwa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상호 연관성이 깊을 것으로 기대되는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그리고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으로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학습만족도와 성취도와의 관계, 학습만족도와 학습참여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를 위해 사이버대학에 개설된 Y강좌 수강생 92명을 대상으로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관한 설문조사 및 시스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는 정의 상관관계이고 인과관계가 존재하였다. 반면 학습만족도와 학습참여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인과관계도 존재하지 않았다.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통념적으로 학습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이 학업성취도가 높을 것이라는 기대를 벗어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한 학습 지원 전략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만족도보다는 학습참여도를 높이는 전략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the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yber learners which are expected to show meaningful correl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s each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92 students" responses on the questionnaires and students" data in the lecture room of Y Cyber Univers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their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reveale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correlation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had no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learning participation, and those students with high learning satisfaction didn"t necessarily show high level of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idn"t show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common idea. This result would provide appropriate guideline for effective learning in the cyber space and contribute on improving learner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 고등교육에서의 콘텐츠 러닝타임(running time)에 관한 학습자 인식 및 실태 분석

        임연욱(Im, Yeonwook),이옥화(Lee, Okhwa),정민승(Jung, Minsung),이지은(Lee, Jie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2

        콘텐츠 러닝타임은 이러닝의 질관리를 위한 기본 장치로 인식되어 왔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기준이 이러닝 서비스 기관마다 달라, 관리 주제별로 러닝타임이 다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송통신대학교, 사이버대학교, 오프라인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성찰일지 분석을 실시하여 콘텐츠 러닝타임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실제 학습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적합한 콘텐츠 러닝타임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과목당(3학점) 한주 적정 강의시간은 57.53분이었으며, 오프라인 대학과 사이버대 학습자의 경우 현행 75분 기준보다 다소 낮은 62분, 67분을, 방송통신대 학습자는 현행 학습시간인 45분에 근접한 44분을 적절한 콘텐츠 제공시가능로 제시하였다. 즉, 학습자들은 기존 콘텐츠 러닝타임에 비해 약간 짧은 정도를 적정 시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90% 이상의 학생이 강의 콘텐츠를 반복 학습하고, 학습 전후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소속한 기관의 콘텐츠 제공시간을 적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며, 실제 학습자들의 학습시간은 콘텐츠 러닝타임과 별개의 개념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전반적인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콘텐츠 러닝타임은 각 대학마다의 사정이 반영된 사회적 결과물로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Even though e-learning content running time is considered as the basic guideline for e-learning quality assurance, it is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ype of universities or e-learning service institutes in Korea. Thus,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appropriate content running by investigating learner"s perception and current contitions on coneten running time. For this, the research performed surveys and had students in cyber universities, the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offline universities wriet reflective journals.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perceived the appropriate content running time per week (credits) was 57.53 minutes as those in offline universities, cyber universities and the Open University perceived it was 62 minutes, 67 minutes and 44 minute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students expected a little shorter time than the current ones. And over 90% students studied the same e-learning content repeatedly and spent a lot of time on study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is reveals that they regard their current content running time as an appropriate one, and their actual studying time is quite different from content running time. In conclusion, current content running time in each higher educational institute represents the social agreement based on each university"s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