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진단과 특수교육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이예다나(Yedana Lee),손승현(Seung Hyun Son),사쿠라 유스케(Sakura,Yusuke )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본 연구는 최근 일본의 특수교육지원과 핀란드의 교육적 지원을 비교·분석하고, 학습장애 진단과 정책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최근 교육현장은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과 ‘지원’이 핵심 키워드로 별도의 교육적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학습자부터 특수한 교육적 요구로 인하여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습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습지에 대한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 흐름으로 가고 있다. 일본은 2007년 학교 교육법 개정 시 법적 근거 명확하게 제시하여 특별지원 교육을 지탱하는 구조로 초등학교 내에서의 교육 사각지대 학생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교내 차원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로 인해 특별지원 교육은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의 실천을 보장하고 있으며 실천 규범의 맥락에서 교육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핀란드는 보편적 복지제도 하에 “2020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능력 있는 국민으로”라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교사양성과정과 교사 연수의 장기적인 개선을 추진하며 학생의 개개인에 대응하고 개별화된 관점으로 특수성과 다양성에 접근하여 학생을 교육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나라의 교육적 관점에 대하여 현 지원 실태와 현황, 정책을 파악하고 비교하며 그 내용을 기반으로 한국의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모든 학생들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책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국내 장애대학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예다나(Yedana Lee)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장애대학생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인 대학생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전자도서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장애인 특별전형이 시행된 2007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장애대학생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하고 233개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제목에서 제시하는 키워드 추출과 코딩, 정제과정을 통하여 핵심 키워드 35개로 1-mode 네트워크 행렬을 만들어 Krkwic과 Ucine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동향은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에 활동된 장애대학생과 관련된 연구는 총 233편으로 대부분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와 진로 관련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었다. 둘째, 주요 키워드는 ‘장애대학생’, ‘학업지원’, ‘교과교육’, ‘대학생활적응’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영향’, ‘발달장애’, ‘진로결정’, ‘스트레스’로 장애대학생과 관련하여 진로결정이나 스트레스 중재를 실시하고 그 영향을 살펴본 연구가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대학생 분야 연구의 최근 동향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장애대학생 분야의 연구주제 및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recent research tren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33 artic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7 to 2019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fter keyword extraction, coding, and data cleaning, we made an 1-mode network with the final 35 keywords using KrKwic and KrTitile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keyword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ere used. The network analytic tools were UCINET and NetDraw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233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7 to 2019 in the educational research journals(special education, disability and career, etc), education, and psychology journals. Seco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support’,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so on. Third, the low degree centrality words were related to each other.

      • KCI등재

        질적 지표에 근거한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교육에 관한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이예다나(Lee, Yedana),장량(Liang, Zhang),사가선(Jiaxuan, Sh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적 기능 학습자의 중재 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고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관련 연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0년 6월까지 경계선 지적 기능학습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출판된 총 24편의 논문을 기반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CEC의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논문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특히 2017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검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업 기술과 사회성 기술 중재가 주로 다루어지고 그 결과는 대부분 긍정적이었다. 연구의 질적 수준 분석은 준거를 충족하는 연구가 37.5%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경계선 지적장애 학습자의 교육과 관련된 중재연구에 대하여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n intervention research and itsqualitative indicators for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 Twenty-four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June 2020 in Kore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literature and their quality was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developed by CEC (2014). Result: Research on educational interventions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since 2000, specially from 2017 onwards, and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pre-post design researches were common. Also, independence variables were educational skills and social skills and the interventions in all stud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searches achieved sufficient quality scores, along with 37.5%.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 KCI등재

        국내지적장애학생대상읽기중재연구의특징및질적지표분석

        이예다나 ( Yedana Lee ),김소영 ( Soyoung Kim ),길한아 ( Hanah Kil ),임보라 ( Bora Lim ),손승현 ( Seunghyun S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15년 6월까지 발표된 읽기 중재연구 24편을 중심으로 읽기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중재 연구에서 제시하는 중재의 특성과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그 뒤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 지표를 Jitendra 외(2011)의 3점 평가척도를 적용하여 각 중재연구의 질을 평가,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읽기 중재 연구의 증거기반 중재가 무엇인가를 제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부분 단일대상연구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으며, 3편을 제외한 21편의 연구들이 연구대상과 선별기준을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이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었으며 연구자가 자체 제작하여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한편 2011년 이후 컴퓨터 혹은 미디어를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중재연구의 특성을 살펴본결과, 읽기의 하위 영역 중 음운인식은 한편도 수행되지 않고 있었으며 유창성과 읽기 이해를 종속변인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중재는 전체 12회기~42회기, 4주~42주간, 회기 당 30~50분간 진행되고 있었으며 대부분 학교 교실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또한, 효과크기의 경우 단일대상연구는 유창성과 어휘, 읽기 이해에서 각각 1편씩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준)집단설계연구 역시 Cohen’s d > 1.25 이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낸 연구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질적 지표 충족도 평가결과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는 (준)집단설계연구 중 단 1편으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를 선정하는 데에는 다소 미흡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지적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증거기반 중재를 위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by addressing the trend of reading intervention studies focusing on 24 intervention research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June 2015 targeting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quality of each intervention research was evaluated using the scale of 3 criteria suggested by Jitendra et al.(2011), Horner et al.(2005) and Gersten et al.(2005) to show evidence based intervention of read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earches are performed a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using single subject design method and 21 researches, except for 3, are presenting subjects of study and screening criteria. In addition, most of researches are being performed at school and their results are prepared and presented by researchers. In the meantime, researches utilizing computer or media are getting more popular since 2011. Seco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research, phonological awareness which is a sub-area of reading is not performed at all while most of the researches are tak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s dependent factors. Intervention is performed 12 to 42 times for 4 to 42 weeks and each time takes 30 to 50 minutes and it is usually performed at class. In addition, single subject research showed considerably high effect size having more than 80% except for one research from fluency,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respectively. Many of group design researches showed high effect size having Cohen’s d>1.25. Lastly, regarding the evaluation result of sufficiency of quality indicator, there was only 1 research which satisfied the criteria for evidence-based practice so it was not sufficient to select the effective evidence-based intervention. This study is to serve as a foundation to suggest implications and meanings of effective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장애학생 대상 스마트러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예다나(Yedana L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 of smart learning and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 by exploring domestic research trends targe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235 keywords derived from a total of 105 studies conducted from 2010 to 2022. Textom and UCINET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rough this, general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and centrality between keywords were examined. Results: First, smart learning, intellectual disability, mobile, and learning disability were shown in relation to smart learning studies, and TF-IDF weight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similar results. Furthermore, the N-gram analysis also showed a high rate of 'smart learning' and 'learning disability' appearing at the same time. Finally, in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smart learning, smart education, and social skills showed high degree centrali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basic data for special education educators to establish support plans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국내 중등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 연구 동향

        이예다나 ( Yedana Lee ),권회림 ( Hoilym Kwon ),문은경 ( Eunkyung Moon ),유현옥 ( Hyunok Ryu ),손승현 ( Seung Hyun So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학교현장실습은 예비교사들이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는 교사 역량 및 전문성을 키우고 성찰할 수 있는 직접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연구기반의 전략들이 제공되어야 하며, 효율성을 기반으로 하는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이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5년 8월까지 수행된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총 40편의 해당 연구들을 주제와 연구 방법, 키워드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사범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예비 교사교육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분석 결과, 연구의 주제는 총 7개의 대주제, 13개의 중주제, 47개의 소주제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연구들에서 최종적으로 90건의 소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예비교사와 현장실습에 대하여 다루고 있었다. 주제를 세분화시켜 살펴본 결과 반성적 실천이나 교직 신념을 다루는 교육프로그램과 예비교사의 지식과 신념을 고찰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적용된 연구 방법의 경우, 질적연구가 19편인 47.5%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연구의 키워드 분석 결과, 총 164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교육실습``, ``예비특수교사``, ``현장실습`` 등의 단어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요구분석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provides a direct chance to foster and reflect the teacher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that can be utilized later in actual teaching at schools. This addresses the needs to create such a program in a way that it delivers research-based strategies for teaching in schools, and guarantees efficient teaching components and activiti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examine the current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Universities by analyzing 40 papers published from the year 2000 to August of 2015. The primary focus of the analysis is research methods and key words.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exists the classification of 7 major themes, 13 subthemes and 47 sub-subthemes, most of which focus on pre-service teachers and school training. Further analysis reveals that most popular themes are about training programs that address reflective practice or a teacher`s creed and also about knowledge and beliefs as a pre-service teacher. As for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methods are most commonly used and found in 19 papers (47.5%). With regard to key words, 164 units are identified, the most central are "teacher trai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raining at school." The findings will be useful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to conduct a need analysis and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urther, it is argued that a theoretical framework should be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approach, which is essential for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and that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a variety of needs from diverse learner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 관련 법률 고찰 연구

        이예다나(Lee, Yedana)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2

        우리나라 헌법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누구나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은 법률에 따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다양한 법률과 정책은 양적․질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교육권 구현을 위하여 실행되어야 할 과제들이 많으며,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 관련 법률을 점검하고 교육권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하여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유관 법률들을 분석하고, 교육권의 측면에서 특수교육 실행과 관련된 부분에 있어 실질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요구 아동의 교육권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any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entitled to the rights to education. The laws and policie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have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stably and consistently.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agendas to analyze the current laws related to the disabled by comparing those of other to implement aspec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view current laws and policie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by enhancing the education rights. As a results, it is to suggest special education policy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for all who have special needs as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Suggestions for discussion with the future work for these results was discussed.

      • KCI등재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조기선별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사정 어휘검사도구의 타당화 연구

        이예다나(Lee, Yedana),손승현(Son, Seung-Hyu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ocabulary CBA based on an analysis of Korea s language curriculum in the 1st, 2nd and 3rd grades of school. To do this study, vocabulary CBA was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roperties of vocabulary CBA were assessed using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Pearson r correlation coefficient. In addition,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ain validity as screening test for classify group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813 students completed the tests, and results showed promising evidence of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Limitation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선별하고 중재 계획 수립에 대한 개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인 교육과정중심사정 어휘검사도구의 예비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813명 학생들이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적문항신뢰도와 피어슨상관관계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중심사정 어휘검사도구는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을 선별하는 데 적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철자 및 단어인지 유형이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선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유형으로 파악되었으며 하위 26~28% 학생으로 집단을 구성하였을 때 판별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교육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관련 실험연구 동향 분석 : 2011년-2020년 학술지 중심으로

        장량(Zhang Liang),이예다나(Lee, Yedana)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1

        This study analyzed 40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related to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which were recently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1 to 2020,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ost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special classes of general schools,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most widely used experimental design is the pre-post control group design of group design research. Most of the experiment period is 2-4 months. And most of the test sites are in school classrooms. Third, the most widely us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was conducted using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personal factors related to self-efficacy. Fourth, most of the studies showed positiv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research related to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expand the scope and targets in the future, and cooperative education, multidisciplinary education centered on themes, and field-oriented education research are needed.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국내 학술지 게재된 진로․직업교육 관련 실험연구 논문 40편을 연구대상, 연구방법,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 연구결과로 나누어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수행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은 집단설계연구의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2-4개월간, 학교 교실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독립변인은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을 활용한 진로·직업 교육을 실시한 것이, 종속변인은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개인적 요인을 살펴본 것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결과는 90%이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었다. 논의에서는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관련된 연구가 향후 보다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고 협력 교육, 주제 중심의 다학문적 교육, 현장 중심 교육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