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통한 효율적인 언어교육방안 모색

        허명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1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doesn't listen auditory information should be different from linguistic systems processing with normal hearing students. It does not take activity at first auditory cortex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bout auditory stimul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to how processing for linguistic systems o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surve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investigat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m.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revealed activation at superior parietal lobule in left hemisphere, differ with normal hearing.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hearing impaired children received linguistic information through space-sensory. Therefore, to grow learning ability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increase experiential information using their space-sensory, like as sign language. But in Korea, special schools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not educational planning for sign yet. Hence we have to establish linguistic education plain to learn sing for their parents and teacher.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피드백의 결손으로 인해 언어자극을 받아들이는 대뇌 경로가 건청아동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청각장애아동은 청각적 결함으로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활성이 청각이 아닌 다른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합한 언어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자극을 받게 되면 청각적 피질이 아닌 공감각적 피질인 두정엽영역의 활성이 활발하며, 언어자극을 기억하는 대뇌 피질영역들이 공감각적인 요소들을 기억하는데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아동이 초기 언어지도를 위해 수화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 특수학교에서는 수화 관련된 교육과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영유아부에서는 부모나 교사들의 전문성이 고려된 언어지도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각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언어지도를 위해 다양한 언어지도방법에 숙련된 교사와 부모, 그리고 구화를 강조하지 않은 융통성있는 언어지도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생애사 접근법에 기초한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은정,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7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perception change to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of teachers in the level of the kindergarten of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 based in life history. Two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of the school dor the hearing impairment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wo teachers had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3 years.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wo hours every three meeting were required for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preferred the oral method other than those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b) the teachers' perception in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changed after experiences of newly appointed teacher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kindergarten maintained the main point how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focused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infant. 이 연구는 생애학적 접근에 따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하여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로 재직 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지, 전화, 이메일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면접을 시행하였다. 또한 현직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삶과 교직생활을 토대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생애사 연구의 주된 접근 방법인 내러티브 분석 방법의 절차를 거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주된 선택은 구화법이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변화는 초임 교사 시절을 보낸 후에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의 선택 배경과 인식변화는 교사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경험이 다양해지면서 청각장애유아를 교수함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청각장애학교 유치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은 청각장애유아의 개인적인 특성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청각장애 교육과정 적합성 고찰

        권순황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2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culum had about five decades since the Education Department issued the first Special Schools Currculum in 1967. The object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based on the half-century history. First, what 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Korean deaf curriculum? Second, to what extent has the curriculum been appropriate? To answer those inquiries, the author first conducted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the deaf curriculum. In addition, the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The results tell us that first, the deaf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in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Still it faces endogenous demand for the betterment of deaf students’ academic ability and exogenous demand for the reflection of the societal turbulences. Seco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af curriculum is directly related to its achievement standard. The balance between content- and performance- standard is the key to raise the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문교부가 1967년 제1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을 공포한 이래 2015년의 현 개정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약 반 세기가 흘렀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청각장애 교육과정 변천 역사를 중심으로 다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변천과정별 우리나라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공포된 청각장애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럼에도 청각장애 교육과정은 내재적으로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력신장이 요구되며, 외재적으로는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청각장애 교육과정의 적합성은 청각장애학생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적정선을 고려한다.

      •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최성규,김수향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2 No.1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received the education in integrated education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self-identity.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ing, we perform the research with the questionnaire format, utilizing open-ended questions which is made up the class to selected of study participants from November 2011 to December 2011. The study participants received the integrated education as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We gave a question to the study participants with the articulation oralism, sing language and receive the answer about question. We get a major conclusion by research as followed. There is self-identity in characteristic of the teenager which appears in a developmental stage of the human. The self-identify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become a mature and desirable human because inner sprit which determines the behave of personal. Therefore, forming the positive self-identity in the teenager is the essential way which can prepare the adulthood of future as well as help itself self-realization in order to suitably adapt in communities.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has limited the faculty of speech and communication have to consider the way which has society and emotional ability for interaction with communication skill in order to form desirable self-identity in integrated education. So, we investigate the realization about self-identity with pros and cons of integrated education with high school student which receives the integrated education in this paper. First, we exactly understand the real cond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 and ability of each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apprehend. We support the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ervices for users and provide the chance related making relationship programs. Second, to enhance the quality of self-identity, we have to support the methodical the deaf culture. Then, we need the program development for self-identity of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Hearing impaired in the formation of youth identities using sig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study participants deulegeseo lover revealed an important variable. The degree of hydration expertise to do their part in determining the culture will affect. So learning sign language to hearing-impaired youth at an early stage to be done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as a language of the deaf sign language affects identity formation showed that. 청각장애학생의 교육환경은 과거와는 달리 통합교육으로 급변하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학생은 수화 또는 농문화 등에 대한 사전 지식이 결여되어 있다. 언어와 문화는 정체성 형성의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반 교등학교에 재학중인 청각장애 청소년 3명을 대상으로 현재의 교육환경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13문항, 자신의 정체성 괸련 4문항, 그리고 농문화 6문항을 반구조화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은 부모의 일방적인 의사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청각장애에 대한 정체성 등은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 체육 관련 문헌분석

        정승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earch direction of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the ‘hearing impairment physical’. Due to the nature hearing impairment characteristics raised are a lot of education difficulties, whereby academic research was done for various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s, mathematics accordingly. However, research regarding domestic ‘hearing impairment physical’ is very limited. So it was analyzed the articles published in trends in domestic journals in 2006 by ‘the year of publication, subject of study, the research method, topics of study’ of related to the ‘hearing impairment physical’. The result that the subject of the studies were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 most frequently the topics of study for physical change of the hearing impairment. These results raised the need for research on various topics in relation to the ‘hearing impairment physical’. The should be a various studies on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ment. 이 연구는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한 문헌분석을 통하여 청각장애학생의 청각적 특성을 고려한 체육 교과의 구성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청각장애 특성으로 인하여 교육적 어려움이 많이 제기되어왔고, 이에 따라 국어, 수학 등 여러 교과에 대하여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내에서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하여 2006년부터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게재년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각장애 중․고등학생과 성인 대상의 연구가 많았으며 실험연구의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많았다. 그리고 청각장애의 신체적 변화에 대한 주제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 체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즉 청각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 교수․학습, 평가 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학생의 음악과 운영의 현실화를 위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고뇌와 노력

        박혜림,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 음악과 교육의 필요성과 청각장애 특수학교 음아교육과정 운영에서 나타나는 가창과 악기 연주를 위한 지도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는데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음악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청각장애 학교 음악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초등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후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첫째, 청각장애학생의 음악교육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언어, 인지, 정서, 사회성 등의 다양한 능력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다. 둘째, 가창 및 악기수업 운영 시 어려움을 가지지만 대안적인 방안을 통하여 음악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셋째, 청각장애학생의 청력손실의 정도와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사용하지만 다양하고 실용적인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질적이고 양적인 확충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music subject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alitative research. Semi-structur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er. Four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special schools. The teachers had teaching experiences at least 8 years to 28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music subject was very important subject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 teachers had taught song, instrument, listening, and socialization in the field of music; (b)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song and instrument were difficult, so the teachers switched the song and instrument to alternative method such as sign language and captioned film; and (c) the teachers taught the music based on the type and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and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real life environment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usic subject was useful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fore the teachers were endeavored to teach the music various methods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

        장효민,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s methodology of teachers for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ndividual interview was utilized for this study. Four teachers were participate for this study. The teachers's working experiences for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t the special school were at the least three years to eight years.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efficiency and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positive; (b) th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were very importance to teach the mathematic knowledge; and (c) the teachers' efficiency wes very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attitudes of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hearing impairment at the special school toward mathematical importance was very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effective mathematic achievement of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출생 후부터 약 만4세까지의 유아는 수학적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를 경험한다. 특히, 청각장애유아의 수학적 발달에는 조기교육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수화의 사용이 익숙지 않은 청각장애유아는 수학적 상호작용 표현과정에서 더욱더 효율적인 의사소통 활용방안이 필요하였으며 이와 함께 청각장애유아들의 수업태도와 수학적 성취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연구 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현장에서 수학교과 교수방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수반되어야하는 선행조건들을 파악하고, 현실적인 수학교과 교수방법을 조사 및 개발하여 수학교수-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과 관계를 밝혀 특수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특수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수업의 질을 높여 효율적인 특수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현장에 있는 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대구지역의 청각장애학교에서 근무 중인 유치원과정을 담당하는 교사들로 구성되어 개별 심층 면담 및 반구조화된 면담지, 추가적인 질문 등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청각장애유아들은 조기교육을 통해 사고 및 표현의 향상으로 인한 언어적 표현기술이 수학적 상호작용의 향상으로 연결되고 자신감과 유능감이 형성되어 긍정적인 수학적 태도가 형성된다. 이는 수학적 성취도 및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다시 유아의 성취도와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 교사의 언어교육방법 선택과 효율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윤지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5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6 No.1

        In the hearing impairment education the selection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effective educatio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and effectiveness in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level of elementary at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Two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Researcher and the two teachers met the fifty to one and half hour every three time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election of language teaching method of the hearing impairment school teachers in the level of elementary was influenced by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language and educational needs; and (b) the effectiveness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influenced by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need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parents was main factor to select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the attitudes on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 also was main factor to determine the effective language teaching metho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언어교육방법의 선택과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특수교육 총 경력이 15년 이상이며 청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경력이 10년 이상인 교사 중에서 청각장애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 이상을 수료한 경우로 제한하였다. 연구 참여자 면담결과를 내러티브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교육방법의 선택배경은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와 교육적 요구에 기초하고, 수화와 구화 중에서 선택하기보다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수용하고 있었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언어교육방법의 효율성은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한 언어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보다 청각장애학생과 부모의 요구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또한 시사하고 있다.

      • 우리나라 청각장애학생 교육의 과제와 전망

        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tasks and prospects on the educ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to adjust the rapid changed future. The six subjects such as deaf culture, system of the special teacher licens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school subject education support, hearing impaired students with cochlear implant support, and hearing impaired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support were discussed. Also the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the identity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 acceptance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academical performance,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in curriculum application in this study was suggested to ensure educational effects in future. 이 논문에서는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의 과제와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의 과제와 전망을 크게 6가지 주제로 구성하여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6가지 주제는 농문화, 특수교사자격증 제도, 통합교육 지원, 교과교육 지원, 인공와우 청각장애학생 지원, 농중복장애학생 지원 등이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미래 청각장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수화와 국어의 차이에 대한 인식과 청각장애학생의 정체성 형성, 국어의 수행능력을 기대수준 이상으로 도달시키기 위한 교육적 노력과 배려,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언어교육방법론의 수용, 그리고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효율성 검증 등과 같은 과제도 함께 제안하였다.

      • 미국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지원과 시사점

        최상배,이한나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5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n inclusion support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of U.S. and the implication for Korea. For the study researcher analysed the literature regarding hearing impaired students’ inclusion. The results of inclusion support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of U.S are following. First, there was co-teaching and co-enrollment in administrative supports. Second, there was educational coordinator, master teacher, itinerant teaching in provision of human resources. Third, there was hearing services, sign language interpreting, stenography services in communicative supports. Forth, identity development program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The implications for Korea of America’s inclusion supports were necessity of co-enrollment, itinerant teaching through reconstruction of Deaf school, communicative supports through auditory rehabilitation, sign language interpreting and stenography services. The researcher also presen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more practical and various support strategies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inclusive setting.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지원이 우리나라에는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미국의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지원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성이 네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행정적 지원에서는 협력교수와 동반입학 제도, 둘째, 인력지원에는 교육코디네이터와 수석교사, 순회교사 지원, 셋째, 의사소통지원에는 청각서비스, 수어통역, 속기서비스, 넷째, 정체성 발달 프로그램이 있었다. 미국의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이 우리나라에 시사한 바는 동반입학 제도 실시의 필요성, 청각장애학교 재구조화를 통한 순회교육 실시, 청능재활과 수어통역 속기지원을 통한 의사소통 지원 등이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실제적이고 실천 가능한 다양한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