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대상 연구 동향 비교

        사가선(Jiaxuan, Shi),이예다나(Lee, Yedana)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양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관련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양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실시 발표년도, 학술지 영역,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 5가지 항목에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는 중국 24편, 한국 35편으로 나타났다, 첫째, 한국에서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논문들이 2013년부터 꾸준하게 발표된 반면, 중국은 비교적 적은 수의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었다. 둘째, 한국과 중국 모두 실태 분석 및 개선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은 질적연구를 수행한 것이 가장 많았던 반면, 중국은 문헌 연구가 많았다. 넷째, 한국은 교육과정 및 교과교육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던 반면, 중국은 정책/제도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결론: 첫째, 중국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양적으로 부족하여 지금보다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과 중국 모두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실태 분석 및 개선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보다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은 질적연구 뿐 아니라 실험연구 등의 양적연구가 보다 많이 수행되어야 하며, 중국 또한 양적․질적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가 발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이 중국에 비하여 정책 및 제도가 발전되어 있음을 기반으로 할 때, 중국은 정책 및 제도가 구축되고 나아가 교육과정 및 교과교육에 대한 연구가 보다 더 많이 수행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special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China by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and their research trends. Method: Comparisons were drawn from researches on special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rom 2013 to 2020, in five categories: the year of the presentation, the area of the academic journal,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ethod of research, and the contents of the study. Result: The findings included 24 research papers in China and 35 in Korea, that were conducted on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First, research on spec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3, however there are fewer journals published in China than in Korea. Second, several studies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in Korea and China and devised plans for improvement. Third, qual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in Korea, while literature studies were in China. Fourth, as for the research content, the most researched topic in Korea was the curriculum and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most researched topic was policy/system in China. Conclusion: First, the findings suggest the expansion of research targeting special clas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ina. Second, in China, the purpose and content of research about spec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enriched. Third, while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 China, studies that apply various research methods ne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질적 지표에 근거한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교육에 관한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이예다나(Lee, Yedana),장량(Liang, Zhang),사가선(Jiaxuan, Shi)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적 기능 학습자의 중재 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고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관련 연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0년 6월까지 경계선 지적 기능학습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출판된 총 24편의 논문을 기반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CEC의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논문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특히 2017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검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업 기술과 사회성 기술 중재가 주로 다루어지고 그 결과는 대부분 긍정적이었다. 연구의 질적 수준 분석은 준거를 충족하는 연구가 37.5%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경계선 지적장애 학습자의 교육과 관련된 중재연구에 대하여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n intervention research and itsqualitative indicators for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 Twenty-four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June 2020 in Kore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literature and their quality was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developed by CEC (2014). Result: Research on educational interventions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since 2000, specially from 2017 onwards, and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pre-post design researches were common. Also, independence variables were educational skills and social skills and the interventions in all stud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searches achieved sufficient quality scores, along with 37.5%.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