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연구의 새로운 동향

        이연선(Younsun Lee)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의 질적연구가 여전히 실증주의의 인식론적 지배를 받아왔음에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동향인 후기질적연구(post-qualitative research)에 대한 사상적 기초와 방법론적 이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시작된 후기질적연구 사상에 대한 문헌강독과 연구자의 내부작용적 연구일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결과를 제시한 문헌연구이다. 연구내용은 첫째, 후기질적연구의 등장배경과 포스트철학에 대한 개관, 둘째, 후기질적연구 이해하기: St. Pierre를 중심으로, 셋째, 탐구(inquiry)로서의 후기질적연구방법론으로 구성되었다. 신물질주의, 포스트휴머니즘, Barad의 행위적 실재론과 Deleuze 철학을 사상적 기초로 하는 후기질적연구는 기존의 질적연구가 갖는 방법론적 재현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존재론적 전회를 시도한다. 따라서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에 대한 관계적 존재론으로의 관점전환과 결과분석시 해석에 대한 저항 등이 방법론적 특징이 된다. 즉, 기존의 질적연구의 특징인 재현과 반성을 넘어선다. 발현적 특성이 강한 유아교육현장은 리좀적이고 수행적 형태를 띄므로 실험적인 후기질적연구가 적합할 수 있다. 이는 천개의 작은 방법들(a thousand tiny methodologies, Lather, 2013:635)로 나타나 유아교육연구를 다채롭게 해줄 것이다. 후기질적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자신의 문제의식과 사유과정, 이론, 개념, 물질과의 내부작용을 가치있게 여기며, 방법-기반(method-driven)이 아닌 탐구기반(inquiry-driven)으로 향하는 모험과 실험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ost-qualitative research and its methodological theory by problematizing the epistimic prevalence and dominance of positivism in the field of qualtiative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follows literature review which has been started from 2017 by collecting and synthetically analizing researcher’s continuous and deep reading and intra-active journals. The resul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introduction of background of post-qualtitative research and post-philosophy, second, understanding post-qualtiative research: focused on St. Pierre, and third, post-qualtative research methdology as inquir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ost-qualtative research is posthumanism, new-materialism, Barad’s agential realism and Deleuze’s thought. It overcomes the limits of methodological representationism and attempts to turn ontologically. Accordingly, perspective shift to relational ontology and resistance against interpretation during data analysis are important methodological issues. Post-qualitative research, as “thousand tiny methodologies”(Lather, 2013, p.635), goes beyond reflection and representation and is more likely to be diffractive, rhizomatic, experimentational and performative. I hope researchers would regard their own problems, thoughts, theories, concepts and intra-action with materisals valuable. Its own inquiry will be adventure and experimentation as long as it travels towards inquiry-driven way, not method-driven.

      • KCI등재

        어린이집 CCTV 설치에 대한 언론의 보도경향 분석: 10대 주요 신문을 중심으로

        이연선 ( Lee Younsun ),연희정 ( Yeon Heejong ),손하린 ( Son Har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보육실 내 CCTV에 관련한 언론의 보도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언론이 어떠한 담론을 생성, 유지, 전파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국내 주요 신문사의 어린이집 CCTV 설치 관련 보도경향은 어떠한가?’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2005년 6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전국지 47개 중 상위 10개의 신문사에서 보도된 CCTV와 어린이집 관련 보도내용을 연도별 기사 빈도, 기사 유형, 기사 크기 및 정보원의 특성, 기사 표현 방식과 보도의 중심 등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언론이 뉴스를 적극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교사를 잠재적 범죄자로 보게 하고, 교사의 목소리는 소외시키거나 거의 주목받지 못하게 함에 따라 어린이집 CCTV 설치의 의무화에 대한 인식을 보편화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news trends of CCTV installation in the classroom for young childre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one of the powerful mass- communications, that is, newspaper plays a role in social discourse formation, production, maintenance, and distribution with regards to the CCTV installation in the child-care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How are the news trends on the issue of the CCTV installation in the child-care centers? Among the forty seven newspapers, top ten newspapers were selected. Relevant news were collected from June, 2005 to January, 2016 in order to analyze the frequency of news articles, news types, news size, news source, expression mode of news, and the main contents of news. The result revealed that mass coverage played an critical role in the CCTV installation in the classroom for young children. By partially selecting words and controlling the size, frequency, source, and types of coverage, newspapers let child-care center teachers be socially seen as potential child-abusers. At the same time, newspapers excluded teachers voice intentionally, held hegemony over discourse of the CCTV installation, and made this idea socially universalized. We could conclude that newspapers worked as an important power institution who played an main role in the CCTV installation.

      • KCI등재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이연선 ( Youns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유아다문화교육정책분석을 통해 "유아다문화교육"의 개념, 목적과 이데올로기를 밝히고, 중간전달체계인 교육청의 자료분석을 통해 정책이 어떻게 해석되고 전달되어지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담론분석을 통해 재해석, 협상, 저항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실행적 격차를 드러냄으로써 유아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 볼 때, 유아다문화교육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가정"이라는 용어와 동반어의 사용을 통해 이중적 태도와 동화주의-수혜적 입장이라는 지배적 관념을 생산해 내고 있었다. 반면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문화를 관광식 접근을 통해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관용적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둘째, 교육청은 국가정책에 대한 비판적 안목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정책 이데올로기는 교사용 지침서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은 지역적 특성과 현장의 특수성이 무엇보다도 중요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향식이 아닌 현장중심의 다문화 교육 자료들이 모아지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지침서가 지역교육청을 통해 생산되어질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동화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현장에서 성실히 수행하는 텍스트 소비자(text consumer)도 이론적 지식, 경험 그리고 확고한 철학적 기반을 가지고 다문화수업을 수행하는 적극적 동참자도 아니었다. 국가정책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은 아이들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적용으로 소비될 수 있다. 교사들은 이데올로기와 오개념, 그리고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Derman-Sparks & Ramsey, 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올바른 모습은 교사 스스로 지속적인 자기반성과 다문화적 경험을 통해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late 1990s, demographic diversity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because of marriage-immigrants and migrant-workers, and this has engendered much discours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late 2000,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ursued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as a major task. However, the ensuing discourse has focused on having children with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adapt to Korean language and customs, ignoring other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might relate to how national institutions narrow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oducing an ideology for it. To determine the national goal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ideology inherent in them as it is transmitted by local agencies and interpreted by teachers, th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amines the promoted values and hidden ideologies in various written and spoken texts and identifies the potential space between the ideology of policy and implementation. Findings demonstrate that, by selecting favorite words from Wester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or theories, policymakers frame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o assimilate ethnic minorities in Kore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functioned as the dominant form of controlling the n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 School inspectors were active disseminators of national ideologies within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structures. Policies underwent transformations and met resistance by teachers interacting with local factors, including the top-down imposition of the new curriculum, their busy schedule, and their experiences with individual children. Teachers were neither assimilationists nor active multicultural educators.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policy makers consider experiences of teachers and voices of parents and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backgrounds in develop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a comprehensive effort to change the delivery 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Cre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share diverse ideas with colleagues, parents, and professionals within, between, and across schools could be key to improving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ies.

      • KCI등재

        자유놀이에서의 남아와 여아의 담화전략 및 권력관계에 관한 연구

        손유진(Shon yoonin),이연선(Lee Youn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는 남아와 여아의 담화전략 사용이 성(gender)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또한 또래동성집단 내에서 유아들의 사회적 위치, 즉 권력에 따라서 담화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현상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관찰과 본관찰을 포함하며 총 9개월간 12명의 유아를 자유놀이 상황에서 관찰하였고, 담화전략은 영향과 개입의 두 차원으로, 권력관계는 권력아, 추종아, 고립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아가 남아에 비해 대화를 많이 하였으며 여아는 직접적이고 관계맺는 전략(협력, 44.56%)을 많이 사용하였고 남아는 직접적이고 거리두기 전략(통제, 37.88%)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권력과 담화전략과의 관계눈 남아와 여아 또래집단내의 권력아, 추종아 고립아에 따라 상당히 복잡하고 역동적이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남아 권력아는 통제와 철회 전략을 잘 사용하며, 반면 여아 권력아는 배려와 협력 전략을 잘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유놀이어서 여아는 집단을 중요시 생각하여 협력적으로 갈등을 해결하고 남아는 놀이에서 명령적이며 경쟁의 문화를 만들어감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 in boys and girls discourse strategy and also analyzed the use of discourse strategy according to boys and girls social status, in other words, power in same-sex group. 12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uring the free play for 9 months including preliminary observation. Speech acts were coded as either collaborative(affiliative involvement and direct influence), controlling(distancing involvement and direct influence), obliging(afflilative involvement and nondirect influence), or withdrawing(distancing involvement and direct influence) and power relationship was analyzed into three social status: leader, follower and isolated. The result shows that first, girls speak more than boys and girls use direct and affliliative strategies(collaborate, 44.56%) more frequently than boys, however, boys use direct and distancing strategies(control, 37.88%).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discourse strategies, although boys and girls in the same-sex group make a considerably complicated and dynamic micro-society, leaders in boys group adopt control and withdrawal strategy, however leaders in girls group use oblige and collaborate strategy. In conclusion, girls tended to focus more on "group" and solve conflicts in collaborative way in order to keep their good relationship, on the contrary, boys are likely to join their play in a imperative way and eventually make culture of competition.

      • KCI등재

        일본 보육기관 공간혁신 사례 탐구

        김민우 ( Kim¸ Minou ),이연선 ( Lee¸ Youn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5

        본 연구는 일본 규슈의 보육기관 4곳의 공간 혁신 사례 분석을 통해 변화에 담긴 실천적 의미와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연구 자료는 첫째, 기관 방문을 통한 관찰 및 사진자료, 둘째, 간담회 자료, 셋째, 기관에서 제공한 자료이다. 연구 결과 첫째, ‘견고함에서 유연함으로’에서는 적용과 변형에 있어 유연한 자재로인 목재 및 로프로 구성된 공간들의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수직에서 수평으로’에서는 공간 변화에 학부모가 참여 한 사례와 원장, 학부모, 유아, 건축가가 함께 공간 변화를 위해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이어가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단순함에서 얽힘으로’에서는 보육 기관들의 공간이 한눈에 포착되기 어려운 구조로, 마치 얽혀있는 구조로 나타난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소극적 태도에서 적극적 귀 기울이기로’는 교사의 이야기로써 공간 변화에 있어 교사의 주체적인 실천을 위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innovation cases at four childcare centers in Kyushu, Japan. The research question was 'How was about the spatial changes of Japanese childcare institu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From Rigidity to Flexibility', implications were drawn on cases of spaces composed of wood and rope, which are flexible materials in application and transformation. Second, in ‘Vertical to Horizontal’, we looked at cases in which parents participated in spatial change and cases in which the director, parents, children, and architects continued to form a network for spatial change together. Third, in ‘From Simplicity to Entanglement’, implications were drawn for cases in which the spaces of childcare institutions were difficult to capture at a glance, as if they were entangled. Fourth, as the teacher's narrative, 'From a Passive Attitude to an Active Listening', examples for the teacher's independent practice in spatial change were examin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 KCI등재

        이야기 나누기 시간 동안 교사-유아의 담화 속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유지 전략에 관한 연구

        유수경(Yoo Sookyung),이연선(Lee Younsun),손유진(Shon Yoo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교사-유아의 이야기 나누기 활동 동안 교사와 유아의 담화 속에 나타나는 교사의 수업 유지 전략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야기 나누기 시간은 교사와 유아의 가장 빈번한 상호작용을 돕는 시간으로써 유아교육의 다양한 영역 중의 하나로 교사 그리고 유아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부여하고 있는 시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의 수업유지 전략을 내용에 따라 수입 태도 통제와 수업 참여 통제로, 유아에게 주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서는 직접적 영향을 주는 유형과 간접적 영향을 주는 수업 유지 전략으로 분류하였다. 16주 동안 교사 5명을 대상으로 비디오, 오디오 및 현장 기록을 포함한 관찰기록 자료를 전사하여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개방코딩과 축코딩 절차를 거쳐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수업을 유지하기 위해 직접적 영향을 주는 수업 유지 전략으로 강요와 명령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교사는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유아의 행동, 태도, 언어, 자세 등의 통제하면서 수업을 유지시켜나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strategies to maintain their class during the large group discussion. A large group discussion is a time for making the natural atmosphere of the most frequen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it gives meaningful experiences to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In this research, we divided teacher's strategies for maintaining class into direct and indirect patter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fluence and also divided teacher classroom discourse strategies into control of children's attitude towards class and control of children's participation according to cont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 kindergarten teachers for 16 weeks and includes video and audio-recording data and field notes.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wo process of open-coding and axis-coding based on Ground The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highly used strategy was coercion and command strategy in the category of the direct influence. Teachers used strategies of direct-influence to maintain their class. Furthermore, teachers used classroom discourse strategies to control children's behavior, words, attitude by giving a chance to tell their ideas to those who participate in class effectively and do not disturb the class.

      • KCI등재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태 비교에 관한 질적 연구

        류수민(Ryu, Sumin),이연선(Lee, Younsun),이소민(Lee, Somin),정계숙(Chung, Kai-S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 연구는 교육정책변화 속에서 서로 다른 교육철학과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현장에서 부모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내 소재의 생태유아교육기관, 레지오 교육기관, 몬테소리 교육기관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오래전부터 수행하고 있는 국공립 유아교육기관, 10곳을 중심으로 부모교육 연간계획안 및 관련 문서자료들을 수집하고 원장과 교사를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계획, 내용, 실시, 평가 네 부분으로 범주화하여 설문지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부모교육은 각 기관의 원장의 교육신념과 철학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이와 함께 표준화된 평가기준과 누리과정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각 기관이 갖는 철학적 고유성에 다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의 실시에서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무담으로 부모교육은 또 하나의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었으며 부모들에게 현실적이면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관에서 연간계획안의 문서상 프로그램과 현장에서의 구현은 상당히 달랐다. 현 실정에 맞는 부모교육에 대한 정책적 이해 및 실행이 절실히 요구되며 기관의 철학적 다양성과 지역적 특수성이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함께 고려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compared parent education programs (PEP) and their actual implementations in 10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We focused on four parts: 1)the planning of PEP, 2)the contents of PEP, 3)the implementation of PEP, and 4)the evaluation of PEP. For data collection, annual parent education plans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EP was affected by the Nuri curriculum. The PEP in public education sectors was regarded as one of the administrative works. However Reggio and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programs showed us different story. They encouraged parent participation through PEP. PEP was regarded as important way of philosophy reflect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e pressure of the Nuri curriculum. Some child care centers come to lose their autonomy of application of their own educational perspectives. Therefore PEP was gradu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administrative works that teachers have to write, not implement. We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 to think deeply what will be going on in the education fields when everything is standardized.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한 영유아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고찰

        연희정 ( Heejong Yeon ),이연선 ( Youns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최근 아동학대 사례가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도되면서 어린이집에 대한 사회적 불신이 커져갔다. 이를 반영하듯 2015년 9월 19일부터 보육실에 CCTV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이 CCTV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은유는 특정집단의 인식이나 신념을 이해하는 중요한 연구방법이다. 연구결과, 감시(29.3%), 제약(22.4%), 보호(17.2%), 해결(12.1%), 기록(6.9%), 기타(3.45%)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교사들(51.7%)은 CCTV를 규제와 감시의 도구로 여기고 있었다. 아동과 자신을 보호하고 문제해결을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는 29.3%에 머물렀다. 한편, 일부 교사들은 CCTV에 대하여 중립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는데 단순히 기록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CCTV의 역기능인 사생활 침해나 교사권리보장의 어려움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언급은 나타나지 않아 개인의 권리(privacy)와 교권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CCTV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할’ 일이었으며 ‘권리의 문제’로 인식되지 않았다. CCTV는 인권, 교권, 사생활 침해에 앞서 감시의 시선이었다. 감시와 제약의 관점에서 연구되고 논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보육실 내 CCTV 도입에 대한 정책적 제고와 함께 CCTV의 기능과 관리에 대한 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정책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Increasing fears for safety in child-care centers have resulted in a rapid growth in the use of security measures, that is, closed-circuit television(CCTV) systems. The CCTV provision in child-care centers, particularly, classrooms, has been compulsory since incidents related to child abuse in child-care centers had made headlin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the reason-statements among 116 teachers aiming to examine how they perceive CCTV in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text. As a result, seven categories of “CCTV” were classified: 1) Surveillance(29.3%), 2) Regulation(22.4%), 3) Protection(17.2%), 4) Solution(12.1%), 5) Recordings(6.9%), 6) Both Sides(6.9%), and 7) Others(3.4%). Among the categorized themes, the vast majority (51.7%) perceived CCTV as surveillance and regulation. One third (29.3%) of the total responses about CCTV were protection and problem-solving tool. 15.5% of the teachers regarded CCTV as simple recording tool. These result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lack an awareness of privacy and teachers’ rights. Early Childhood teachers seemed to perceive their classrooms as place where children’s rights were protected and educational practices were performed. For teachers, CCTV was perceived as not ‘the issue of rights’ but ‘discomfort to endure.’

      • KCI등재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김민우 ( Kim Minou ),강승지 ( Kang Seungji ),이연선 ( Lee Youn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최근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 공간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목적별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7년2월까지 국내학술지에 등재된 학술지에서 유아 공간과 관련된 논문 11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술지 분야별논문의 수는 유아교육분야 51편(44.75%), 건축·디자인분야 44편(38.57%), 교육 분야 12편(10.54%), 기타 7편(6.14%)로 나타났다. 연구 공간은 유아교육기관 75편(65.79%), 유아교육기관 외에 유아 대상 공간(숲, 동네 놀이터, 박물관, 도서관, 체험관, 키즈카페 등) 39편(34.32%)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 50편(43.86%), 양적연구 41편(35.96%), 설계·디자인 연구 15편(13.16%), 문헌연구 8편(7.02)으로 나타났다. 연구 목적 별 동향은 사례를 통한 공간의 의미 고찰이 목적인 연구 37편(32.46%), 공간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확인이 목적인 연구 22편 (19.30%), 공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인 연구는 19편(16.67%), 공간 디자인과 개선방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인 연구 14편(12.28%), 공간의 안전이 목적인 연구 8편(7.02%)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 내 실내 공간 연구와 기존 공간에 대한 의미탐색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볼 때 유아 공간 연구에 대한 사회적 시선 확장과 최근 급증하는 상업형 혹은 공공형 유아 공간에 대한 관심 또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research in the trend space for children`s in Korean journa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trends of the space related to children in the Korean journal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senting direction of research on children related space. From 2006 to February 2017, 114 articles related to children space were analyzed in journals registered in Korean journ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field of journals was 51 (44.75%)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44 in architecture and design (38.57%), 12 in education (10.54%) and 7 in other (6.14%). The study area consisted of 39 (34.32%) of 75 spa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65.79%) and infant education space (forest, neighborhood playground, museum, library, The research methods were 50 qualitative research (43.86%), 41 quantitative research (35.96%), 15 design and design research (13.16%) and 8 literature research (7.02). The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ed: 37 studies (32.46%) aimed at examining the meaning of space through case studies, 22 studies (19.30%) aimed at confirming the effect of space on infants, 19 (16.67%), 14 studies (12.28%) and 8 studies (7.02%) for the purpose of space design and improvement. As a result, the research on indoor space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and research on the meaning of existing space are mainly focused on the social perspective on children space research and suggest that research on commercial space or public children space are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