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보육기관 공간혁신 사례 탐구

        김민우 ( Kim¸ Minou ),이연선 ( Lee¸ Youn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5

        본 연구는 일본 규슈의 보육기관 4곳의 공간 혁신 사례 분석을 통해 변화에 담긴 실천적 의미와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연구 자료는 첫째, 기관 방문을 통한 관찰 및 사진자료, 둘째, 간담회 자료, 셋째, 기관에서 제공한 자료이다. 연구 결과 첫째, ‘견고함에서 유연함으로’에서는 적용과 변형에 있어 유연한 자재로인 목재 및 로프로 구성된 공간들의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수직에서 수평으로’에서는 공간 변화에 학부모가 참여 한 사례와 원장, 학부모, 유아, 건축가가 함께 공간 변화를 위해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이어가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단순함에서 얽힘으로’에서는 보육 기관들의 공간이 한눈에 포착되기 어려운 구조로, 마치 얽혀있는 구조로 나타난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소극적 태도에서 적극적 귀 기울이기로’는 교사의 이야기로써 공간 변화에 있어 교사의 주체적인 실천을 위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change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innovation cases at four childcare centers in Kyushu, Japan. The research question was 'How was about the spatial changes of Japanese childcare institu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From Rigidity to Flexibility', implications were drawn on cases of spaces composed of wood and rope, which are flexible materials in application and transformation. Second, in ‘Vertical to Horizontal’, we looked at cases in which parents participated in spatial change and cases in which the director, parents, children, and architects continued to form a network for spatial change together. Third, in ‘From Simplicity to Entanglement’, implications were drawn for cases in which the spaces of childcare institutions were difficult to capture at a glance, as if they were entangled. Fourth, as the teacher's narrative, 'From a Passive Attitude to an Active Listening', examples for the teacher's independent practice in spatial change were examin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 KCI등재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김민우 ( Kim Minou ),강승지 ( Kang Seungji ),이연선 ( Lee Youn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최근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 공간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목적별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7년2월까지 국내학술지에 등재된 학술지에서 유아 공간과 관련된 논문 11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술지 분야별논문의 수는 유아교육분야 51편(44.75%), 건축·디자인분야 44편(38.57%), 교육 분야 12편(10.54%), 기타 7편(6.14%)로 나타났다. 연구 공간은 유아교육기관 75편(65.79%), 유아교육기관 외에 유아 대상 공간(숲, 동네 놀이터, 박물관, 도서관, 체험관, 키즈카페 등) 39편(34.32%)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 50편(43.86%), 양적연구 41편(35.96%), 설계·디자인 연구 15편(13.16%), 문헌연구 8편(7.02)으로 나타났다. 연구 목적 별 동향은 사례를 통한 공간의 의미 고찰이 목적인 연구 37편(32.46%), 공간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확인이 목적인 연구 22편 (19.30%), 공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인 연구는 19편(16.67%), 공간 디자인과 개선방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인 연구 14편(12.28%), 공간의 안전이 목적인 연구 8편(7.02%)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 내 실내 공간 연구와 기존 공간에 대한 의미탐색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볼 때 유아 공간 연구에 대한 사회적 시선 확장과 최근 급증하는 상업형 혹은 공공형 유아 공간에 대한 관심 또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research in the trend space for children`s in Korean journa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trends of the space related to children in the Korean journal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senting direction of research on children related space. From 2006 to February 2017, 114 articles related to children space were analyzed in journals registered in Korean journ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field of journals was 51 (44.75%)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44 in architecture and design (38.57%), 12 in education (10.54%) and 7 in other (6.14%). The study area consisted of 39 (34.32%) of 75 spa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65.79%) and infant education space (forest, neighborhood playground, museum, library, The research methods were 50 qualitative research (43.86%), 41 quantitative research (35.96%), 15 design and design research (13.16%) and 8 literature research (7.02). The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ed: 37 studies (32.46%) aimed at examining the meaning of space through case studies, 22 studies (19.30%) aimed at confirming the effect of space on infants, 19 (16.67%), 14 studies (12.28%) and 8 studies (7.02%) for the purpose of space design and improvement. As a result, the research on indoor space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and research on the meaning of existing space are mainly focused on the social perspective on children space research and suggest that research on commercial space or public children space are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