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스 리터러시 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계획된 행동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숙정(Sook-Jung Lee),육은희(Eun-Hee Youk),진소연(Soyeon Ji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4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 이론을 적용하여 뉴스 리터러시 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계획된 행동 이론의 기본 모형을 검증하는 것에서 나아가 행동 의도의 선행변인에 영향을 주는 신념 요인을 탐색하고 행동에 대한 행동 의도의 예측력을 높이는 요인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계획된 행동 이론의 기본 모형이 검증되었다. 즉 뉴스 리터러시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 주관적 규범(지시적 규범·기술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감이 행동 의도를 예측했고, 행동 의도와 지각된 행동 통제가 뉴스 리터러시 행동을 예측했다. 그러나 행동 의도의 설명력이 낮았다. 행동에 대한 행동 의도의 예측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일상적 대화의 조절효과를 살펴 보았으나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뉴스 리터러시 행동을 동기화하는 근원적 요인으로 신념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뉴스 리터러시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뉴스 리터러시 행동이 사회적 현안에 대한 이해, 비판적 이해 능력, 다른 사람의 입장 이해 등을 높일 것이라는 신념과 관련이 있었고, 지각된 행동 통제는 뉴스 리터러시 관련 지식 습득과 뉴스 관련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의 확보에 대한 통제 신념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뉴스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which predict news literacy behavi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ing on beliefs related to the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nvers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through two online survey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injunctive norms, descrip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creased behavioral intention. Second, behavioral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 Third, behavioral beliefs affecting attitude were beliefs about understanding social issues, understanding the point of view of others, and improving critical comprehension ability. Injunctive normative beliefs that reinforce injunctive norms were beliefs related the expectations of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for their own behavioral performance, and descriptive normative beliefs that influence descriptive norms were beliefs related to behavioral performance expectations of college students, news users, and democratic citizen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found to be reinforced through control beliefs related to acquiring news literacy-related knowledge and having people with whom to engage in news-related conversations.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news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WHO의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 이후 언론의 게임 보도에 대한 내용 분석

        이숙정(Sook-Jung Lee),육은희(Eun-Hee Youk)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라는 맥락에서 게임에 대한 언론 보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 5개의 종합일간지에 보도된 게임기사 694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게임 산업에 대한 보도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주로 산업 동향 · 기업사 경영 현황에 관한 보도였다. 정책 보도는 규제 정책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특히 중독관련 정책 보도가 주를 이뤘다. WHO의 질병 코드화를 찬성하는 의견만 다룬 보도는 매우 적었고 반대하는 의견만 다루는 보도와 찬반 의견을 모두 다루는 보도량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반대 근거로는 산업계와 학계의 관점이 반영돼 있었다. 이용 효과 보도는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으나 게임을 극단적인 범죄 · 일탈행위의 원인으로 보도하는 기존 관행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how news has covered games since the decision to include gaming disorder in ICD-11. Data were 694 news article on games in five major newspapers.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While the proportion of reports on game industry was high, those reports were mainly straight news announcing industry status and corporate management status. Reports on game policy focused on regulations, particularly game addiction or disorder. Reports on game uses and effects showed very low rates, but they have followed the existing practices of reporting games as the cause of extreme crimes and deviant behaviors.

      • KCI등재

        국내 게임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 분석: 언론학, 청소년학, 심리학 분야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이숙정(Sook-Jung Lee)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국내 게임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언론학, 심리학, 청소년학 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게임 관련 논문 총 89편을 분석했다. 언론학(미디어학) 분야 연구들은 게임 이용과 경험, 효과, 중독, 규제, 제작 기술, 공간, 담론, 통치성, 노동 등 다양한 주제로 게임을 탐구하고 있었다. 반면 청소년학과 심리학 분야 연구는 게임 중독과 게임 이용의 부정적 효과에 편중되어 있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 언론학 분야 연구는 설문조사, 실험연구, 심층인터뷰, 참여관찰, 데이터 크롤링 등을, 청소년학 분야 연구는 설문조사를, 심리학 분야 연구는 설문조사와 실험연구를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hemes and methodologies of 89 game studies published in the fields of media studies, youth studies, and psychology. Youth studies and psychology have mainly covered the theme of game addiction and negative effects. Game research in media studies have covered game use and experience, effects, addiction, regulation, game production, game space, discourse, governmental mechanism, game play as labour, etc. Game research in the fields of youth studies and psychology have mainly relied on surveys and experimental design. Game research in media studies included survey, experimental design,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crawling, etc.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

        이숙정(Sook-J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는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을 통한 자기결정적 조절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이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기본심리욕구, 즉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지지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26개의 중독방지 앱을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8개는 자녀폰 연동 부모관리형 앱, 18개는 자기관리형 앱이었다. 내용분석 결과, 분석된 앱 중에서 오직 3개의 앱만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지지하는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자기관리형 앱의 경우, 대부분이 차단 · 제한 · 잠금 등 이용환경을 자율적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 자율성 지지 속성들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상 행동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능성과 관계성 속성은 매우 낮았다. 자녀폰 연동 부모관리형 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속성이 모두 낮았으며, 자기결정적 동기를 저해하는 통제성이 상당히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유통되고 있는 중독방지 앱이 청소년 이용자의 자기결정적 조절동기를 촉진시키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용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를 고려한 중독방지 앱 개발이 요구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al features of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s have features to support adolescent users basic needs, that i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26 apps were analyzed. Among them, 8 apps were parental management apps installed on a parents phone and a childs phone, and 18 apps were self-management apps installed on a childs phone. According to a content analysis, only 3 of 26 apps addressed all three basic needs. Overall, the functions to support users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rarely found. Particularly, parental management apps had a high level of controling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ction management apps have limitations in stimulating adolescent users’ self-determined motivation to manage their phone use.

      • KCI등재

        면접자의 사건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피암시성

        이숙정 ( Lee Sook-jung ),유안진 ( You An-jin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4

        사후 오정보 및 유도질문에 의해 자신이 경험한 것과는 다른 진술을 하는 정도를 피암시성이라 한다. 본 연구는 유아가 경험한 놀이사건에 참여한 면접자가 면접하는 경우와 참여하지 않은 면접자가 면접할 경우 유아의 피암시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차이는 유아의 연령, 성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4세 유아 59명과 만 6세 유아 54명을 대상으로, 실험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질문에 대한 유아의 응답을 면접자가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프로그램에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삼원변량분석, t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되었다. 연구 결과 4세 유아가 6세 유아보다 피암시성이 더 높았으며, 유아와 함께 놀이사건에 참여한 면접자가 면접할 경우가 참여하지 않은 면접자가 면접할 경우보다 유아의 피암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면접자의 사건참여 여부에 따른 유아의 피암시성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아가 남아보다 면접자의 사건참여 여부에 따른 피암시성의 차이가 크고, 4세 유아가 6세 유아보다 면접자의 사건참여 여부에 따른 피암시성의 차이가 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schooler's suggestibility according to age, sex, and interviewer's participation of the event. Subject were fifty-nine 4-year-olds and fifty-four 6-year-olds recruited from three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Each preschooler participated in suggestibility assessment session and completed a set of understandimg of mind.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hree-way ANOVA, t-tes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er's suggestibility according to age, sex, and interviewer's participation of the event. 4-year-olds showed higher suggestibility than 6-year-olds. The preschoolers interviewed by the participant showed higher suggestibility than by the non-participant. And the suggestibility of the girls showed the more wide gap between the participant and the non-participant than that of the boys. The suggestibility of 4-year-olds showed the more wide gap between the participant and the non-participant than that of 6-year-olds.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인터넷 일탈행위와 부정적 자아개념에 관한 종단 연구 : 잠재성장모형 적용

        이숙정(Lee Sook-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초기 청소년시기에 인터넷 일탈행위가 어떻게 변하는지, 그 변화에 부정적 자아개념의 변화가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결과로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4에서 초6까지 3년간 종단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초기 청소년시기에 인터넷 일탈행위는 증가의 추세를 보였고, 흥미롭게도 긍정적 자아개념은 변화하지 않는 반면에 부정적 자아개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자아개념과 인터넷 일탈행위의 관계에 대한 원인모델과 결과모델을 비교분석한 결과, 인터넷 일탈행위의 증가가 부정적 자아개념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Internet deviant behaviors and positive and negative self-concept over time among pre-adolesc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question as to whether negative self-concept is a cause or an outcome of Internet deviant behaviors.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and the fourth grade cohorts of elementary school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s Internet deviant behaviors increased, the positive self-concep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nd negative self-concepts increased over time. I In addition, increases in Internet deviant behavi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creases in negative self-concept.

      • KCI등재
      • KCI등재

        음악과 동작 개념에 기초한 만 3세아 통합적 음악활동의 구성과 적용

        이숙정(Lee Sook-Jung),김영연(Kim Young-Yo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동작 개념에 기초한 통합적 유아음악활동의 내용을 구성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유아의 반응과 활동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만3세아 유아교사에게 음악과 동작 개념을 통합한 음악활동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유아음악활동안의 구성과 현장적용, 활동의 특징 분석이며 관련문헌고찰, 비디오 촬영, 반성적 저널을 수반한 관찰 조사가 연구방법으로 활용되었다. 연구대상은 B도시 소재 B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3세아 20명이고 연구자가 개발한 총 15회기에 해당하는 음악과 동작 개념에 기초한 통합적 유아음악활동을 연구대상에게 적용하였다. 적용의 과정에서 수집된 관찰 자료는 통합적 음악활동에 대한 유아의 흥미 정도와 활동의 이해로 나뉘어 분석되었는데 결과적으로 만3세아는 통합적 음악활동 과정에서 자발적인 탐색과 반복을 즐기고 움직임 요소보다 소리 탐색을 통한 음악 요소를 우선 이해하여 표현한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construct the concept based music and movement integrated activities for three-year-old children and to apply them into the practical teaching settings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the ways of understanding mu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It is a quasi-qualitative research utilizing videotapping, photographing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addition to the activity plan construc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the child's interest and cognition and response on the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performed in the preschool classroom.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ree-year-old children exhibited high level of interest on the concept based music and movement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i.e., voluntarily exploring and repetitively trying the activities with expression of pleasure). Research concluded that three-year-old children were able to construct various movements along with duple-time rhythm while they confused pitch with speed and strength or softness of tunes as well. However they seemed to be understood the flows of tunes relatively well, expressing with the correspondent high and low movements. Also, children enjoyed repetitive performances of movement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music, and showed their feeling of phrases by their changing directions and movement response. And children were able to distinguish different types of sounds and expressed them using their bodies, but they focused more on searching the sounds than expressing the sounds through movements also they made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s adjusting the space width and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strength and softness of the music. They also controlled the speed of their movement according to the tempo of the music. Also they actively responded to various sound flows such as staccato and legato and made their expressions accordingly.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 이용과 부모 중재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숙정(Sook-jung Lee),전소현(so-Hyun jeo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7 No.-

        청소년 인터넷 이용에 대한 부모의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는 것에 비해, 부모들이 자녀의 인터넷 이용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 중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적 요소가 무엇인지, 부모의 중재가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는지, 그 한계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청소년 인터넷 이용 경험과 부모 중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부모와 자녀의 입장에서 바라본 효과적인 중재와 그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주된 중재 동기는 지나친 이용 시간으로 인 한 공부 방해와 중독에 대한 염려였으며, 대표적인 중재 방식으로는 시간제한, 주의 사항에 대한 설명 등으로 나타났다 중재 방식의 효과에 대한 평가 또한 자녀가 이용시간을 얼마나 잘 따르느냐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자녀들은 부모의 중재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부모의 시간적 중재가 지나치다고 생각함과 동시에 부모의 시간적 제재와 같은 외부적 통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부모와 자녀 모두 청소년의 자율성 및 사생활 보호와 부모의 관여 및 통제 간의 균형점을 찾는 데 어려움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효과적인 바탕으로 효과적인 부모 중재에 대한 논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adolescent experience of Internet use and parental mediation practices, focusing a parent' perspective of mediation motives, strategies, and mediation effects and a child's perspective of parental medi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18 parents and 18 children were conducted. Parents' main motive of Internet mediation was the concerns of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net addiction due to excessive online time. The primary mediation strategies included time restriction and negative instructive mediation. Parents' focus of mediation effect was on whether their child complied with time restriction. The children had a contradictory attitudes of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Complaints of excessive interruption and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ime restriction. Both parents and children struggled to keep balance between control and autonomy. The discussion of parental media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discussion of media education in terms of mediation motives, strategies, and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