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적장애성인 독서모임에 대한 실천 철학 및 활동 현황

        이숙정(Sukjeong Rhie)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연구목적: 사회적 문해 social literacy로서 지적장애성인의 책 읽기 및 독서모임활동 가능성 및 필요성에 대한 철학적, 교육학적 기반을 고찰하고, 양국 운영 현황을 통해 국내 장애인평생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함 연구방법: 문헌고찰 및 질적 내용 분석 연구결과: 지적장애성인 책 읽기 활동은 우선 Cassierer의 인간이해(animal symbolicum)에 기반을 두고, 나아가 영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새로운 문해 연구(New literacy studies)’에 따른 문해이해에서 사회적 실천 social practices으로서 그 당위성을 담보할 수 있음. 나아가 지적장애성인의 독서모임활동으로 미국에서 전개된 NCBC활동과 독일의 LEA-Club활동은 양국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고유의 형태와 전략으로 발전됨. 특히 미국 컨셉은 현재 공공도서관 및 지역사회기반 독서모임활동으로 전개되어 장애당사자의 문해이해력은 물론 사회통합적 문해활동(inclusive literacy)에 중점을 두며, 독일 컨셉은 독서모임활동을 너머 쉬운 읽기책(easy to reading books)개발 및 문화참여 활동으로 확장되어 장애당사자의 자기계몽 및 자기해방으로서 사회적 문해 실천 행위로 간주됨. 이러한 양국 현황을 통해 책읽기 활동의 의미지평이 확대됨은 물론 발달장애인의 문해교육이 단순히 기초문해 및 기능적 문해를 너머 사회적 문해로 확대되어야 함을 확인함 결론: 국내 지적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문해교육의 의미 및 지원에 대한 교육학적, 철학적 기반을 정립하고, 장애당사자의 삶의 질 개선과 사회적 통합을 의해 책읽기 활동과 문해교육이 사회적 실천으로 그 범주를 확장할 필요성을 논의함.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 단일대상연구 문헌분석

        이숙정(Rhie, Suk Jeong),강윤아(Kang, Yoon Ah)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한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가 증거기반실제(Evidence Based Practice)에 부합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질적지표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폐성장애인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국내에 최초로 발표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상황이야기 중재 단일대상연구 23편을 분석하였다. 중재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①연구대상 특성, ②방법론적 특성, ③독립변인, ④종속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증거기반 실제에 부합하는 정도는 Reichow 등(2008)이 제시한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중재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첫째, 국내 상황이야기 중재는 6~11세 이하 연령의 초등학생 및 경증장애 아동에게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둘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는 특수학급과 클리닉(센터)등 주로 제한적인 환경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셋째, 상황이야기 중재는 주로 다른 중재들과 결합되어 사용되었으며, 넷째, 주요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많고, 문제행동과 의사소통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분석 결과, 분석논문 중 증거기반 실제의 ‘높음’ 수준에 해당하는 연구는 없었고, ‘적절함’ 수준은 14편(60.9%), ‘미흡함’ 수준은 9편(39.1%)으로, 이는 국내 상황이야기 중재연구가 증거기반 실제의 상위 수준인 ‘과학적 기반의 실제(Established-EBP)’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의 질적 측면에서 증거기반 실제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세부 요소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with qualitative indicators to determine whether Social Stories research for autism spectrum disorder(ASD) conducted in Korea with the single-subject research is consistent with evidence-based practice. For this purpose, journal articles from 2000 to 2019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via research databases, and a total of 23 studies were chosen based on criteria for this study. General research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 four categories; subject characteristic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degree of conformity with evidence-based practice was analyzed through a multi-step process based on the qualitative indicators presented by Reichow and colleagues (2008). The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und no studies corresponding to “Strong” levels of the rigor of research reports, 14 studies(60.9%) with “Adequate” levels, and 9 studies(39.1%) with “Weak” levels. These results of evaluation of research report regor can be assessed as “established evidence-based practies(E-EBP)”,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 discussion reviews factors that enhance the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terms of the quality of Social Stories for ASD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구성을 위한 "기초적 관계"(Elementare Beziehung)이론 분석

        이숙정 ( Suk Jeong Rhi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대부분의 중도중복 장애학생들이 직면하는 의사소통 및 주변세계와의 관계 형성 어려움에 근거해볼 때, 그들과의 교육은 의사소통 및 관계형성을 출발점으로 하며, 수업 역시 의사소통 관계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구성하는 것이 기본적 원리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관계적 측면을 핵심으로 삼은 독일 중도중복 장애학생 교육이론인 "기초적 관계" 이론에 대해 인식론적 근거를 분석논의하고, 이 이론이 제시하는 수업 구성 원리의 구체적 사례를 분석하는것이 이 연구의 주요내용이며, 이를 통해 중도중복 장애인의 교육가능성에 대한 사유의 폭이확대되고, "기초적 관계"이론이 국내 중도중복 장애학생 교육현장에 변용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The phenomena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 of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can be characterized as defect relationship, mainly due to the misunderstanding or neglecting of the first care-givers/teachers on their communicative requiring and purposing. Regarding these aspects, debates and arguments on learning and teaching to these children should be started with a fundamental question such as how they communicate or construct their own world, followed by the philosophical and anthropological reflecting on the existence of human-beings. In this paper,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theory "elementary relation" ("Elementare Beziehung) of B. Fornefeld,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ologne in Germany, as an instructional concep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resented. Some of those principles are based on the philosophy of communication Bodenheimers, Body-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 and developmental theories like the attachment theory J. Bowlbys. In addition, a sample of effective instruction according this elementary relation-concept was introduced and analyzed and finally some issues of this relationship-oriented approach to these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통과 장애에 대한 윤리적 논쟁

        이숙정(Rhie, Sukjeong)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3

        인간의 고통은 의심할여지 없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지만, 유전공학의 발달에서 특히 장애를 가진 인간의 고통이 주요논쟁으로 다루어질 경우, 장애라는 사실이 고통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데, 이때 장애가 곧 고통스런 삶으로 이끈다는 생각은 대부분 비장애인의 무지와 편견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주장에서는 장애의 개념이 순수한 신체적 손상 차원으로 축소되고, 그 결과 장애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사회적 요소들이 간과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의 장애로 진단된 태아나 신생아의 생명권에 대한 실천윤리학 논쟁을 장애와 고통을 동일시하는 선입견에 기인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러한 선입견에 담긴 윤리적 모순을 특수교육적 시각에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 사회에 팽배해 있는 장애와 고통에 대한 동일시적 인식을 외국의 법률적 사례에서 살펴보고, 나아가 실천윤리학자인 피터 싱어가 특히 중증의 장애를 가진 태아나 신생아의 생명권에 대해 주장하는 바를 고통의 장애의 연관성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논쟁에 대한 특수교육의 윤리적 입장 정립과 실천적인 과제에 대해 모색하였다. Das Leid der Menschen hat zweifellos großes Gewicht, wenn es als Argument für einer Weiterentwicklung des genetischen Fortschritts in die Waagschale geworfen wird. Jedoch hat die vorliegende Arbeit gezeigt, daß dieser Argumentation ein Verständnis von Leid zugrunde liegt, welches dieses durchweg als schlimmes Übel auffaßt, das es möglichst immer zu vermeiden gilt. Es bleibt zu wenig Raum, um zu fragen, wie dem Leid zu begegnen ist. Aber da das Leid unausweichlicher und auch notwendiger Bestandteil des Lebens ist, den es immer geben wird, läuft eine Zielsetzung, die eine Leidvermeidung fokussiert, gewissermaßen an den wesentlichen Dingen vorbei. Es wäre wünschenswert, anstelle der Leidvermeidung verstärkt nach den Möglichkeiten der Leidverarbeitung zu fragen. Dazu müssen aber gesellschaftliche Rahmenbedingungen geschaffen werden, in denen das Leid nicht ständig verdrängt wird, was in der Ausgrenzung der Menschen gipfelt, denen man schweres Leid unterstellt. Die Sonderpädagogik hat die Möglichkeit, an der Verwirklichung solcher gesellschaftlicher Strukturen mitzuwirken. Sie muß sich also in die gesamte Diskussion um Leid und Leidvermeidung mit Nachdruck einschalten. Zwar deuten die aktuellen Entwicklungen darauf hin, daß das Streben zum leidfreien Menschen sich noch verstärken wird, so ist davon auszugehen, daß nach dem therapeutischen Klonen auch das Klonen zu reproduktiven Zwecken folgen wird. Aber die kritischen Stimmen sollten nicht übersehen werden. Es gilt, diese Stimmen zu verstärken, allerdings ohne dabei bestehenden Frontlinien zu vertiefen, und so das Gewicht der eigenen Argumente unnötig zu untergraben.

      • KCI등재
      • KCI등재

        인터넷 동호회 활동을 통한 장애아 부모들의 상호작용 유형 분석

        이숙정 ( Suk Jeong Rhie ),이경아 ( Kyung Ah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이 연구는 비교적 불특정 다수의 회원과 익명성이 지배적인 인터넷 동호회 활동에서 포착되기 힘든 회원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근거이론에 바탕하여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를 둔 부모가 장애 대처 전략으로서 구성하는 동호회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고 나아가 상호작용을 통한 고립감 극복 및 대처에 대한 이론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해당 부모는 자녀의 장애로 인한 심리적 충격과 더불어 ‘도움이 필요한’인과적 조건에서 인터넷 동호회를 통하여 같은 경험을 가진 동질집단을 만남으로써 ‘고립에서 벗어나고자’하였으며, 중심현상으로서‘정보를 얻고자’여러 대처전략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부모들의 상호작용 및 장애 대처 전략 유형을 결정하는 데는 맥락적 조건(회워가입시기, 사례글 작성시기, 진술방식)과 중재조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사이버 동호회는 해당 부모들에게 안전한 쉼터와 아고라로서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of an interactive model between the web site club-members in cyber space. A club in cyber space has a large anonymous membership in general, so it is in need of specific methodical approach to find out the interactive relations and influence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 Corbin(1998), a self help-club in cyber space of paren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ADHD)in Korea and its interactive styles as coping strategy were analyzed to construct an theoretical model of interaction between their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eir interaction started from a causal condition "need help" and "shock" and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various forms(encouraging, express their feelings, information etc.), the parents tried to overcome their shock and could accept the handicaps of their children. Furthermore there are another factors, which influence complexly how to build their own coping strategy: 1) contextual conditions (period of membership, the time of writing out and styles of messages) and 2) medial conditions(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the types of delivering messages). In the various communicative styles of interaction provides this self-help club for parents 1) security base 2) "agora" for their social-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학교교육 현황에 관한 일고찰

        이숙정((Rhie Suk Jeong)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1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교육현장에서 어떤 교육을 받고 있는지 설명하고, 그들의 교육 요구에 비추 어볼 때 현재의 교육현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를 설명하기 위해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재학 중인 특수학교 48개교를 대상으로 84부 설문지 자료를 근거로 학교교육 현황을 2개 영역으로 구분, 1)해당 장애학생에 대한 전반적 인식 및 해당 학생을 위한 학교의 교육기반 영역과 2)교육과정 운영 영역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 학생 담당교사는 해당 학생이 지닌 능력과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충분하지 못하며, 교육과정 등 관련 자료 부족을 이유로 해당 학생을 위한 적합한 교육활동에 대한 확신이 부족했다. 특히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막연히 알고 있는 직무상의 어려움과 실제 느끼 는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의 이론적 반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했 다. 특수학교 교원양성 과정이나 연수과정에 특히 ‘표준전공이론’을 통한 보완조치 논의가 해결의 실마 리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With increased efforts to educat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re was not been an accompanying evaluation of current curricular implementation. Especially,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have not been secured regarding curricular implementation for these students. This study is conducted to appreciate the implementation of school-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al school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surve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seek information from respondents. In order to validate contents of the survey, 15 special teachers were asked to identify the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that teachers could influence. The survey included 22 indicators of the curricular basement area and 17 indicators of the curricular implemental area. A Sample of 84 special teachers who serve these students in special school nation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respondents showed low degrees of recognizing of capacities and abilities of these students and they showed their uncertainty and helplessness in their own teaching-activities. To overcome these pedagogical limits, it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policy for university-curriculum or teacher-training program like standard-qualification in terms of mastering about certain educational theories for these students. With the appropriate curricular contents and strategies could these educational political consent enhance the safety in the praxis.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이숙정(Sukjeong Rhie)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3

        이 글은 특수학교 중도x중복장애 학생의 교과 교육과정에 담당교사의 인식과 운영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준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을 사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 중도·중복 장애 학생이 주로 입급되어 있는 특수학교 2군데를 선정하고, 학교별로 교사 3명씩을 선정하여 학교별로 집단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목표 및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막연하나마 학생들이 기능향상을 통해 전인적 성장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보며, 핵심역량으로는 삶을 영위하기 위한 매우 기본적인(basal) 능력(최소 의사소통, 자기결정, 행위의지 및 동기, 사회적 관계 확대)을 꼽았다. 둘째, 중도x중복장애 학생 교육을 위해 각 학교급별 특성 및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학교수준 교육과정’ 정립이 필요함을 주장하였고, 셋째, 교과교육 편제 및 운영과 관련하여 우선, 담당교사가 인식하는 ‘교과’ 의 의미와 그 범위가 상이하였으며, 교과는 교과(군)별 시수를 감축하여 다른 활동으로 운영하는 경우와 교과 시수 범위에서 학생에게 필요한 관련 생활기능 내용을 가르치는 경우로 양분되어 나타났다. 넷째, 교과 교수학습 형태와 관련하여 현장 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과간 통합과 더불어 이를 생활주제와 연결하는 ‘생활주제 중심 교과통합’ 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연구결과와 관련한 통합적 논제로 첫째, 중도x중복장애 학생의 교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이 고취되어야 하고, 둘째, 해당 학생에게 적합한 교과별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와 합의가 요청되며, 마지막으로 추후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는 교과의 표준중심 교육과 기능적 교육과정이 통합되어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교과별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In dieser Untersuchung handelt es sich in erster Linie um die Einstellung von Lehrpersonalien von Schülerinnen mit schwerster Behinderung, und zwar vor allem über die Erziehung und Erziehungmöglichkeiten von diesen Personengruppen. Obwohl diese Schülergruppe bisher eher als erziehungunfähig bzw. lernunfähig galten für die tradierten Fachunterrichten, haben diese Menschen jedoch in neuerster Zeit eine andere positive Erziehungsperspektive gewonnen in der sonderpädagogischen curricularen Entwicklung in Korea. Daher richtet sich diese Arbeit auf die Darstellung bzw. Erweiterung der Erziehungsu. Unterrichtsverständnissen von den Lehrpersonal für diese Menschen und aufs Schlussfolgern für die weitere Sonderschulpraxis. Für diesen Zweck wurden 6 Klassenlehrern von 2 Sonderschulen mit semi-structured interviewbogen nachgefragt und zwar in 3 Bereichen: Erziehung allgemein, Implementation der schulischen Curricular und Didaktisch-Methodische Herangehensweisen in Fachunterrichten. Nach der Darstellung der Ergebnissen von Interview wurden deren sonderpädagogischen Relevanzen in 3 Themenbereich folgend diskutiert: Erstens, auf der Seite von Lehrern ist die fachdidaktische Kompetenz immer stärker nachzufragen, auch für individualisierte curriculare Implementation. Zweitens, für individual adäquate Unterrichtspraxis für diese Schüler ist eine fachliche Diskussion bzw. Übereinstimmung von Bildungsstandard für Unterrichtsfach nötig. Drittens, für die curriculare Entwicklung in Zukunf für diese Schüler ist eine integrative Herangehensweise von (Kompetenz) Standardsorientierte- Curriculum und Functional-Curriculum zu forschen.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다감성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초기 문해 능력 분석

        정민주 ( Min Joo Jeong ),이숙정 ( Suk Jeong Rhi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영미언어권 및 독어권의 중도.중복장애 교육학에서 최근 국제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다감각적 스토리텔링TM’’ 및 ‘다감성적 스토리텔링TM’’컨셉은 스토리텔링 등 문학 활동을 통해 해당 장애인의 초기 문해 능력 습득 및 범주 확장 뿐 아니라 문화 참여 및 자아실현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래동화「콩쥐팥쥐」를 다감성적 스토리텔링으로 개발하고 이를 중도.중복장애학생 3명에게 각 5회기 적용하여 이들의 초기 문해 능력 관련 반응행동을 긍정적 및 부정적 행동 양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반응행동 변화의 의미를 모색하였다. 결국 중도 중복장애 학생에게 어려워 보이는 문학(동화)일지라도 이를‘다감성적스토리텔링’을 통해 이들의‘이해 양식(modus)’에 맞게 전달한다면, 이들 역시 이야기에‘접근’하여 맥락적으로(apprehensive)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이들이 보이는 반응행동의 변화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이들의 초기 문해 능력 역시 위와 같은 문학 활동을 통해확장될 수 있기에 문학을 접할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이 곧 사회구성원으로서 문화 참여(cultural participation)에 이바지함을 강조하였다.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people of profound intellectual and multiple disabilities(PIMD) of the UK and Germany has emerged MSSTTM and MSGETM in recent international issues. It focuses on early literacy ability, as well as cultural participation and self-realization of people with PIMD through the literary activities such as storytelling.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arly literacy-related reac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PIMD, when they are exposed to ``Mehrsinn Geschichte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 「Kongji and Patzzi」.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three students with PIMD. The ``Mehrsinn Geschichten`` of「Kongji and Patzzi」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as equally delivered to each of the students during five sessions. The students`` early literacy-related reactive behaviors were videotaped, recorded and then analyzed. The students`` early literacy-related reactive behavi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ffec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ACA) on each of the student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as: reactive behaviors according to sentence in each session; positive and negative reactive behaviors over entire sentences; and categories of positive and negative reactive behaviors over entire sentences. First, as for the students`` reactive behaviors according to sentence in each session, the students felt unfamiliar with the story at the beginning, but felt familiar later. Second, the reactive behavior of the entire story sentences were more or less by the rate of change and difference in student behavior. Positive action has increased as the session continued, the latter half showed a decline. On the other hand, negative effects act decreased as the session continued, the latter half showed a slight increase. Third, categories of positive and negative reactive behaviors over entire sentences included facial expressions, gestures, movements, and vocalization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PIMD can acquire earlyliteracy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