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파트단지 조경수 적정식재밀도 연구

        오충현,정욱주,이임규,김민경,박은하,Oh, Choong-Hyeon,Jeong, Wook-Ju,Lee, Im-Kyu,Kim, Min-Kyung,Park, Eun-Ha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입주 초기 아파트 외부조경의 효과를 높이고, 입주자들에게 조경수목 식재가 주는 효용을 부각시키면서 적정한 식재밀도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식재밀도의 적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법적 조경기준의 식재밀도 적정성을 검토하고, 장기적인 생육을 고려하기 위해 조림지를 대상으로 산정한 도시림의 입목밀도를 적정 식재밀도로 가정하여 이를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현장조사는 최근 10년 이내에 준공된 수도권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 3개소를 대상으로 각 단지별로 10개소씩 검토대상지를 선정하여 단위면적당 수목 밀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표준규격의 경우와 대경목 식재에 따라 가중치를 인정한 경우로 구분하여 현행 조경기준과 도시림 적정 입목밀도 기준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하층식생의 적절한 생육 및 적절한 그늘 제공 등을 검토하기 위해 수관투영면적 비율 산정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현행 조경기준의 최소식재기준은 매우 합리적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경목을 식재하여 식재밀도의 가중치를 인정받는 경우에는 조경기준의 식재밀도가 도시림의 적정 입목밀도에 비해 부족하고 수관투영면적 비율 역시 50% 미만으로 부족한 것으로 산정되어 추가 식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파트 단지 3개소에 대한 검토 결과 모두 법적 조경기준을 충족하거나 초과하고 있었다. 조경기준에 따라 상록교목 대경목의 가중치를 인정한 경우 경관을 고려하여 추가식재가 이루어짐에 따라 식재밀도가 과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광범위한 조사를 거쳐 대경목 식재에 따른 가중치 인정 항목의 삭제 또는 인정의 최소화, 식재 당시 수관투영면적 비율을 50% 이상 100% 이하로 설정하는 등과 같은 조경기준 개정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um planting density for apartment complex. The valid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of Korea was checked for it. We compared our field data with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In this step, the tree density of urban forest was regarded as standard. Field study was examined in 3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capital area, especially completed during these 10 years. 10 sites in each complex were selected and tree density per unit area were calculated. This field study data was divided standard size and large size which received weight. And,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crown projected area(CPA) was calculated considering proper growth of low vegetation and sufficient shade. The outcome shows that minimum size of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is rational. But, in the case of planting large size tree received weight, tree density was short comparing with the tree density of urban forest and CPA was less than 50%. By the result of field study in 3 apartment complex, the tree density of apartment complex satisfied or exceeded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But, in the case of planting large size tree, tree density and CPA show high density due to addition planting for deficient landscape. Therefore, the revision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was required such as deletion or minimization of the weighted clause about the large size tree and regulate the limit CPA not less than 50% and not more than 100%.

      • KCI등재

        우리나라 수도권 신도시 주거단지의 생태면적률 분석

        오충현,김한수,Oh, Choong-Hyeon,Kim, Han-Soo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4

        Biotope Area Ratio ($BFF; BiotopFl{\"{a}}chenFaktor$) was developed in Berlin, Germany in 1990s and introduced to Korea in 1999. It is the ratio of the uncovered soil areas which have the natural circulating capability compared to whole development areas. This study seeks for alternative ways to increase Biotope Area Ratio of residential area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Korea by investigation on new housing developments. The study investigates four new towns including Seoul Eunpyung new town, Yongin Kusung district, Goyang Pungdong and Juyeopdong districts and Hwasung Dongtan district. The Biotope Area Ratio of study sites is between 23.51 % and 40.69%. This result is not relevant to land use conditions, such as the building-ta-land ratio, natural ground green area ratio. This ratio satisfies the minimum requirements of City of Seoul, except 2 sites. Considering that the study sites are relatively low density land use areas compared to Seoul's average, thus, a higher standards is necessary for new town housing complexes. Because Biotope Area Ratio includes artificial ground green area ratio, Biotope Area Ratio is possible can be increased with decreased natural ground green area ratio. And so, when Biotope Area Ratio is applied to new town development, it must go side by side with a definite natural ground green area ratio.

      • KCI등재

        수목장림의 조성 및 관리 방안 -인천가족공원을 대상으로-

        오충현 ( Choong Hyeon Oh ),김용훈 ( Yong Hoon Kim ),이숙미 ( Sook Mee Lee )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3

        As social environment of Korea was changing, the cremation is increased instead of traditional funeral culture. Therefore woodland burial appears new funeral culture in Korea. This research had been executed to find ou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of woodland burial forest. The case study was worked at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which was national pilot projec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were surveyed in slope, soil compaction, actual vegetation, vegetation communities,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nd so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didn`t consider the damage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environment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Problems for the Law on funeral facilities of Korea is a lack of natural friendly standards for slope, management 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facilities for users in it. It had steep topography, soil compaction, reduction of species diversity and poor plant growth on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Therefore the users of it increase in the future, vegetation environment of woodland burial will be devastated. And so we need to improve standards of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 settle down burial culture of woodland burial in Korea.

      • KCI등재

        충남 덕산도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도입 방안

        오충현(Oh, Choong-Hyeon),김동효(Kim, Dong-Hyo),오창길(Oh, Chang-Gil),이윤환(Lee, Yun-Hwan),박은하(Park, Eun-Ha)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2

        우리나라는 현재 제공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가 사유지에 의해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정한 보상 대책 등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를 국내에 도입하는 방안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덕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생태계서비스 지불제(PES :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 시행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덕산도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지불의 주체는 정부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충청남도와 중앙정부가 나누어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불방법은 실비보상이 적합하다. 실비보상을 통해 토지주의 소득감소분에 대해 지불하고 추가적으로 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진을 위한 활동이 진행될 경우 이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공익형 지불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긴밀한 제도 및 재정적 연계가 필요하다.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는 지방정부 단독으로 시행하기에는 재정, 제도, 사회적 합의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토지주의 소득감소분에 대한 기본지불은 중앙정부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물다양성 증진 이행에 대한 가산지불은 지방정부가 시행하는 합리적이다. 이때 엄격한 생태성과증명 및 이행에 대한 관리를 통해 토지주의 무임승차를 방지해야 한다. 국립산림과학원(2007)에서 제시한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도입 의사결정 흐름도를 통해 덕산도립공원의 PES 도입 타당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제도 도입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덕산도립공원은 여러 가지 환경관련 문제를 가지고 있고, 이는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 엄격한 기준과 관리감독이 적용된다면 경제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정치적으로도 수용 및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태계서비스 지불에 대한 잠재적인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며, 이들 간의 협상이 타결되기 위해서는 적정 지불금액 및 지속적인 비용확보가 필요하다. 덕산도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지불금액은 ‘산림공익기능 가치평가(2013)’를 고려해 산정한 결과 최대 273,837,090원이다. Though various kinds of ecosystem services are provided by private land in Korea, reasonable compensation plan can’t be arrang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rrange introduction plan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PES) for arranging solution about this problem. Thus this study examined PES for Deoksan Provincial Park in Chungcheongnam-do.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in the following. The buyers of PES are government and it need to be paid by Chungcheongnam-do and central government. The way of payment is actual expense compensation. Through actual expense compensation, the land owner can be paid decline in income and additional incentives for consisting and increasing biodiversity. These payment systems correspond with basic payment and additional payment. To carry out public payment, the institutional and financial connection are needed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Because of difficulty in conducting PES by local government peremptorily, central government has to pay basic payment about compensating decline in income and local government has to pay additional payment about increasing biodiversit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t this time, it has to prevent ‘Free-riding’ by land owners through strict "Ecological product prove’ and management. The result of considering validity of introduction of PES through ‘Decision making flow diagram of introduction of PES’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7) are that PES of Deoksan Provincial Park is reasonable. Deoksan Provincial Park has many kind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y can be solved by PES. It is also economically reasonable if strict standard and management are applied. It can be accepted and supported politically. The potential buyers and sellers exist about PES and the appropriate payment and securing expense are needed to make negotiation successful between buyers and sellers. The PES in Deoksan Provincial Park is maximum 273,837,090won considering ‘Assessment of value of public function of forest(2013)’.

      • KCI등재

        민통선 지역 폐 군생활관 주변 식물의 입지별 귀화율 연구

        오충현 ( Choong Hyeon Oh ),김용훈 ( Yong Hoon Kim ),이호영 ( Ho Young Lee ),반수홍 ( Su Hong Ban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09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2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ly basic data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s in Civilian Control Zone, with surveying naturalized plants around abandoned military camps. The total study sites are 72 abandoned military camps, from Gosung in east region to Paju in west region of Civilian Control Zone. The naturalized index of total area is 12.6%, and naturalized index of east and middle regions are 12.1% and 8.4%. But its index of west region is 15.9%. These results are due to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east and middle regions are in steep mountainous districts, and so but west region is flat district, and so naturalized plants was imported by only army. But west region is in flat districts, and so imported method of naturalized plants is very various. The main naturalized plants are Ambrosia trifid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in Civilian Control Zone. The main dispersion pattern of naturalized plants are gravity dispersion pattern (D4) and wind and water dispersion pattern (D1). The all naturalized plants are photophilic plants in survey sites. And so, if abandoned military camps are recovered to forests, the naturalized plants are disappeared because of the change of sunlight condition. So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recover forests, even if that area is Civilian Control Zone.

      • 우리나라 도시농업 10년의 성과와 과제

        오충현 ( Choong-hyeon Oh ),최지원 ( Ji-w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우리나라는 세계에서도 도시 인구집중이 매우 높은 국가이다. 2020년 현재 92% 이상의 국민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화로 인해 도시농업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1차 세계대전이 취약계층에게 신선한 농산물을 제공해주기 위해 시작된 서구의 도시농업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농업에 대한 향수와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서구 도시농업의 기반으로 영국의 얼롯먼트와 독일의 분구원이 있다면 우리나라에는 주말농장이 있다. 하지만 최근 도시농업이 활성화되면서 주말농장에서 진행되는 도시농업보다 생활권에서 진행되는 상자텃밭, 베란다 텃밭 등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을 반영하여 2010년 서울시 강동구는 도시농업조례를 제정하였고, 2011년 도시농업지원법이 제정되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차원에서 도시농업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2011년 도시농업지원법 제정 이후 10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도시농업정책을 분석하여 성과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도시농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도시농업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도시농업의 수요와 가치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인 서울시 도시농업 기본계획은 2012년 1차 계획이 수립된 이후 2014년 2차 기본계획, 2020년 3차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추진되고 있다. 서울시의 현대적 도시농업의 출발은 1992년 서울시 농촌지도소에서 주말농장을 운영하면서 시작되었다. 조선시대 왕실에서 유지하던 도성 내의 내농포, 선농단, 선잠단 등의 역사가 있지만 도시화가 진행된 이후 현대적인 도시농업의 시작은 1992년 주말농장 운영을 시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2009년 농촌진흥청에 도시농업팀이 신설되고, 2010년 서울시 강동구에 도시농업조례가 제정되었다. 2012년 서울시는 도시 농업 원년을 선포하고, 서울시 도시농업박람회를 개최하여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2015년에는 서울시에도 도시농업과가 신설되었다. 2012년 서울시에서 제1차 도시농업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1차 도시농업 기본계획의 표어는 Agro-City 서울이다. 이 계획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추진되었다. 주요 추진 내용은 다양한 형태의 도시농업 실천공간 확보, 도시농업 인프라 구축 활동 진행, 도시농업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추진이다. 실천공간 확보는 자투리 텃밭, 옥상텃밭, 상자텃밭, 학교텃밭이 조성되었다. 이외에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하는 도시텃밭인 싱싱텃밭이 조성되었다. 1차 기본계획이 추진되면서 도시농업 활동이 당초 계획보다 활발해지기 시작하면서 서울시에서는 2014년 1차 기본계획을 수정하여 2차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2차 기본계획의 표어는 함께하는 생활 속의 도시농업이다. 2차 기본계획의 추진내용은 도시농업 만족도 향상, 생활권 주변 도심 텃밭 조성, 공동체 활성화 및 민관거버넌스 방식의 추진이다. 도시농업 만족도 향상은 기존 도시농업이 실천공간확충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것에서 도시농업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도시농업공원 조성, 박람회 개최, 도시농부학교 운영 등이 추진되었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도시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거버넌스 활동이 진행되어 관주도 도시농업에서 관과 민이 협력하는 도시농업이 활성화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차 도시농업 기본계획은 2019년 다시 개정되어 3차 도시농업 기본계획이 2020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3차 기본계획의 표어는 100만 도시농부가 만드는 건강한 서울이다. 서울시민 10%가 참여하는 도시농업을 추진하겠다고 하는 취지이다. 추진계획으로는 도시농업 공간확보, 참여확대, 가치증진이다. 공간확보는 공유공간 확보, 권역 확장, 일상공간 확충이 추진되고 있다. 참여확대는 공동체 활성화, 연대와 협력, 홍보와 문화이다. 가치증진은 환경개선, 복지증진, 창업육성이 추진되고 있다. 3차 기본계획에서는 일상생활의 중시,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연대와 협력, 환경과 복지 등이 강조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도시농업 추진계획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안전한 농산물 생산과 여가활동에서 사회적 가치인 복지와 환경 등으로 가치가 변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2000년 3차 서울시 도시농업 기본계획이 수립되었지만 200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 확산은 도시농업 활동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코로나로 인해 소규모 도시농업의 활성화, 비접촉도시농업, 생활권 도시농업, 치유도시농업이 진행되고 있다. 소규모 도시농업의 활성화는 베란다, 옥상, 벽면, 상자 텃밭 등이 활용되고 있다. 비접촉 도시농업은 SNS를 활용한 교육과 정보 공유, 도시농업 자재의 통신 판매 등이다. 생활권 도시농업은 실내공간 활용, 스마트 기술 활용, 생활권 내 유휴공간의 활용 등이다. 치유도시농업은 노약자 돌봄, 코로나 우울증 치유, 반려식물의 보급 등과 같은 도시농업의 사회적 가치 확산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반려식물 보급 및 관리 활동은 사회적 일자리의 확보, 활동을 통한 노인들의 돌봄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도시농업과 사회복지가 연계된 활동이다.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도시농업은 매우 빠르게 발전해왔다. 도시농업의 수요와 가치도 개인적인 여가활동과 안전한 농산물의 자가생산에서 치유와 돌봄과 같은 사회적 가치의 실현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가치의 변화는 코로나 확산을 계기로 더욱 촉진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의 도시농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성과가 기대된다.

      • KCI등재

        전주지역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오충현 ( Choong Hyeon Oh ),최일기 ( Li Ki Choi ),이은희 ( Eun Heui Lee ),임동옥 ( Dong Ok L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비오톱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비오톱 유형별로 식물상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여 입지별 귀화율을 산정하였다. 조사결과 총 113과 525종을 식물이 조사되었고, 이 중 귀화식물은 총 19과 54종이 나타났다. 비오톱 유형중 입지별 귀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농촌형 건천 유형에 속하는 하천으로 36.4%였고, 가장 낮게 나타난 곳은 산림지역 침엽수 자연림 유형으로서 귀화식물이 한 종도 조사되지 않았다. 전주지역의 전체 도시화지수는 18.9%로서 우리나라에서 중소규모 크기 도시의 도시화지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database for bioto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Jeonju region in North Cheolla Province. To accomplish this task,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region. From May to June 2008, the flora and lists of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se data,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as follows: a total of 113 families and 54 species were found in the flora. The naturalized plants among them amounted to 19 families and 54 species.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most high in the biotope type of rural dried stream(36.4%). The biotype that showed the lowest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oniferous natural forest type, which had no naturalized plants in it. The average naturalization ration of the Jeonju region turned out to be 18.9%, which is similar to that of other mid-size cities in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