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극산화 임플란트 표면에 적용된 헤파린과 골형성단백질(rhBMP-2)이 치조골 증대에 미치는 효과: 방사선학적 평가

        이소현,조재영,윤미정,전영찬,허중보,정창모,Lee, So-Hyoun,Jo, Jae-Young,Yun, Mi-Jung,Jeon, Young-Chan,Huh, Jung-Bo,Jeong, Chang-M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골형성단백질의 서방출을 위해 헤파린과 골형성단백질 (rhBMP-2)을 화학적으로 고정시킨 양극산화 티타늄 임플란트가 골 결손부에서 임플란트 주변의 수직적 골증대에 미치는 효과를 방사선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Pure-Titanium을 사용하여 길이 7.0 mm, 직경 3.5 mm의 실험용 임플란트 18개를 제작하였다. 모든 임플란트를 양극산화처리 하였고, 플랫폼 하방 2.5 mm에 식립 기준선을 표시하였다. rhBMP-2가 코팅되지 않은 임플란트 집단을 대조군으로, dip and dry 방법으로 rhBMP-2를 물리적 흡착시킨 집단을 BMP군, 3,4-dihydroxyphenylalanine(DOPA)-heparin을 이식하고 rhBMP-2를 화학적으로 고정시킨 집단을 Hep-BMP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군별6개씩의 임플란트를 3마리의 비글견 양측 하악에 한쪽에 3개씩 총 18개를 치조정 상방으로 2.5 mm 노출시켜 식립하였다. 식립 직후와 4주, 8주에 식립부위의 방사선학적 검사가 시행되었고, 각 시기별, 각 군별 임플란트의 근원심 변연골의 수직적 재생량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4주, 8주에서 대조군과 실험군들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유의 수준5%에서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방사선학적 관찰 결과 임플란트 근원심 변연골 재생량(평균값 ${\pm}$ 표준편차)은 4주에 대조군은 $0.09{\pm}0.22mm$, BMP군은 $1.02{\pm}0.72mm$, Hep-BMP군은 $1.29{\pm}0.51mm$ 였으며, 8주에서는 각각 $0.11{\pm}1.26mm$, $1.11{\pm}0.58mm$, $1.59{\pm}0.79mm$였다. 두 실험군 모두 4주와 8주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유의한 수직적 골증대를 나타냈으나(P<.05), Hep-BMP군과BMP군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변연골 재생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골형성단백질을 물리적으로 흡착시키거나 서방출 위해 헤파린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고정시킨 양극산화 임플란트 표면은 모두 골 결손부에서 임플란트 주변골의 수직적 증대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방사선학적 관찰의 한계 내에서 골형성단백질의 이 두가지 적용방법간에는 수직적 골증대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mmobilization of the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rhBMP-2) on anodized titaum implants coated with heparin to enhance the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in the supraalveolar peri-implant defect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18 pure titanium implants (7.0 mm in length, 3.5 mm in diameter) were manufactured for this study. All implants were anodized and designed insertion reference line marked with laser at the apical 2.5 mm from the fixture platform. Implantation of 6 noncoated anodized implants (Control group), 6 anodized implants physically adsorbed with rhBMP-2 by dip and dry method (BMP group) and 6 anodized implants chemically immobilized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heparin/ rhBMP-2 (Hep-BMP group) was performed in the both mandibular of three male adult beagle dogs using split-mouth design. Radiolog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implant placement and 4 and 8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The amount of mesio-distal bone augment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platform to the marginal bon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PSS version 18.0)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of The Kruskal-Wallis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the 5% significant level. Results: At the 4 weeks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of Control group, BMP group and Hep-BMP group is $0.09{\pm}0.22mm$, $1.02{\pm}0.72mm$, and $1.29{\pm}0.51mm$, At the 8 weeks $0.11{\pm}1.26mm$, $1.11{\pm}0.58mm$, $1.59{\pm}0.79mm$ according to radiographic observations.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ing in vertical bone heigh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5).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MP group and Hep-BMP group (P>.05). Conclusion: The rhBMP-2 coated implants were enhanced the vertical bone growth in the supraalveolar peri-implant defect area.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emically and physically coating method.

      • KCI등재

        서구 근대기 전시제도와 공예에 대한 인식의 변화 연구

        이소현 ( Lee So Hyo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전시exhibition’문화는 18세기 중반 공공 뮤지엄의 탄생과 함께 근대적인 제도로 발전하였다. 공공 뮤지엄과 만국박람회 등의 근대 전시공간은 선별된 전시물을 보여주며 대중적 계몽을 추구하는 권위적 장소였고,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공예품이 그러한 공간에 등장하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일상적 사물로서의 역할을 양산된 산업제품에 넘겨주었던 공예품은 전시장에서는 오히려 일상적 사물의 우수한 본보기로써 전시되었다. 이점에 주목하여, 근대적인 전시장에 공예품이 전시되기 시작한 초기의 상황을 살펴보고 이후 현대공예가 전개되면서 전시제도가 수행한 역할과 공예에 대한 인식 변화에 끼친 영향을 추적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공예품이 처음으로 공공 전시장에 진열되어 대중에게 대대적으로 노출된 장소는 만국박람회장이었다. 만국박람회는 유럽과 미국 각지의 장식미술 및 공예협회의 결성과 이들의 전시 개최를 유도하였을 뿐 아니라, 각국의 뮤지엄이 과거의 공예품과 현대공예품을 두루 전시하도록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박람회와 협회, 뮤지엄은 각기 다른 성격의 공예전시를 기획하였다. 박람회의 공예전시는 고급 상점의 진열 방식을 적용하여 공예품을 훌륭한 상품으로 인식하게 만들었고, 공예 관련 협회의 전시는 상품이면서 회원들의 작품이기도 한 공예품의 특성을 드러냈다. 한편 뮤지엄에서는 공예품을 고급 문화를 전달하는 질 높은 상품으로 다루었다. 결론적으로, 20세기 전후의 공예 전시장은 고급 상점과 같이 꾸며져, 좋은 물건의 견본을 널리 홍보하기 위해 기획된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대중은 전시된 공예품을 통해 생활 및 소비 취향을 학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예품이 전시제도에 진입하여 일반 양산제품과는 차별화된 위상을 얻었고, 대중 생활문화의 발전과 소비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소재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hibition culture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a modern exhibition system along with the emergence of public museum around the middle of 18th century. Modern exhibition system such as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public museums started to be recognized as a place of authority designed to enlighten the public by displaying only selected objects. By the middle of 19th century, craftworks could possibly enter this modern exhibition system. Even though mass products replaced craftworks``practical functions in everyday lif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raftworks were able to earn a reputation as an ideal model of articles for daily use in this system. International Expositions played a leading role in displaying crafts and exposing them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International Expositions successfully induced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decorative arts and crafts societies and the organization of many society exhibition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lso, influenced by international expositions and society exhibitions, public museums started to hold various craft exhibitions. Along with this transition, International expositions, societies and museums started to organize craft exhibitions with their own ways. International expositions, for instance, applied luxurious retail display to make visitors recognize craftworks as attractive commodities. Society exhibitions emphasized the meaning of craftworks not only as commodities but also as artworks of society members while museums paid attention to the value of craftworks as high quality products which conveyed the high culture of living. Consequently, craft exhibition spaces designed like luxurious department stores in around 20th Century provided a great opportunity for craftworks to be evaluated as a standard of excellent commodities. In these spaces, craftworks could be also utilized as the public educational equipment for the better taste of living. By examining the role of modern exhibition system in modern crafts, this study focuses on what has led crafts``change in status and how craftworks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public living culture and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consumption demands.

      • KCI등재

        현대장신구의 발생과 그 배경-1920~50년대 스튜디오 장신구를 중심으로-

        이소현 ( So Hyou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이 논문은 1950 년대에 등장한‘현대장신구’의 근원적 배경에 대한 역사적인 연구이다. 장신구는 일반적으로 인체를 장식하고 돋보이게 하는 도구로 존재해왔으나, 오늘날‘현대장신구’라고 불리는 장신구는 작가적 표현을 위한 예술품으로인식된다. 이러한 현대장신구의 특성이 발현된 시점과 그 발생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장신구의 현대적인 성격은 1920 년대 유럽에서 외부적 자극을 통해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1 차 세계대전으로 신분사회가 무너진 상황을 들 수 있는데, 장신구 착용 행위가 계급을 넘어 보편화되며 장신구에 대한 인식이 현대적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었다. 둘째로, 고도화된 기계문명이 장신구의 형태적 변화를 유도하였다. 이는 당대 사물 형태에 반영되었던기하학적인 조형요소와 공업용 신재료가 장신구에도 적용된 덕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제 2 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현대장신구는 모던 아트를 수용하며 새 국면을 맞았다. 장신구 작가들은 모던 아트를 영감의 원천으로 삼았고 현대장신구는미술관에서 전시되며 예술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졌다. 한편, 이렇게 등장한 현대장신구는 1940 년대 전후에 내부적인움직임을 통해서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먼저, 장신구 작가들은 제작방식을 현대화하고 새로운 형태의 현대장신구를 만들었다. 이들은 길드나 공장이 아닌 개인 작업공간에서 예술가 artist-jeweler 의 입장으로 만든‘스튜디오 장신구 Studio Jewelry’를 발전시켰다. 또한, 대학과 사회교육, 관련 협회 등 제도적 차원에서 장신구 창작 지원 활동이 증가하여 현대장신구는 학문적으로도 인정받고 저변을 확대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마침내 현대장신구는 1960 년대에 독립적인예술분야로 자리매김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beginnings of modern jewelry, which began in the 1950s. In contrast with earlier jewelry, modern jewelry is considered an art form unto itself.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that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evolution of jewelry making. Largely, because of three external factors, the quality of modern jewelry developed in Europe in the 1920s. First, the collapse of hierarchical society during World War I created a widespread jewelry-wearing culture and changed the concept of jewelry. Second, the highly developed machine civilization influenced the shape of jewelry; because of geometric elements and industrial materials not only applied to daily necessaries but to jewelry as well. Third, modern jewelry incorporated the concepts and ideologies associated with visual Modernism. Jewelers were inspired by modern art, and jewelry was adapted as art, thereby making it the subject of major exhibitions. Around 1940, modern jewelry developed its own identity through the rise of internal movements. Jewelers modernized how they made jewelry and created a new form of jewelry, studio jewelry. This type of jewelry was not produced by guilds or in factories but was created in personal workspaces by artist-jeweler. Finally, institutions that supported modern jewelry making, such as universities, social education centers, and professional associations, began expanding scholarly and cultural influence of modern jewelry. With all this in place, by the 1960s modern jewelry was seen as an established art form internationally.

      • KCI등재

        CAD/CAM system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이시은,이소현,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Lee, Si-Eun,Lee, So-Hyoun,Jeon, Young-Chan,Jeong, Chang-Mo,Yun, Mi-Jung,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1

        Alveolar bone loss and deformation can be a risk factor in removable prosthetic restoration treatment for partially or fully edentulous patients. The use of implants to solve this problem could improve the support, retention and stability of removable restoration. Attachments used in implant overdenture are versatile. The attachment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s. Milled bar has been chosen when readymade bar could not be used because of the narrow distance between implants or firm stability and support of supra-structure were needed. Milled bar design is able to provide cross arch stabilization and comfortability to patients. However, it needs skilled laboratory procedures. Recently, the fabrication of milled bar has become simple and its suitability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AD/CAM system. In a 67-year-old female Alzheimer's disease patient with 8 implant fixtures on the fully edentulous site of mandible, implant overdenture with using milled bar and magnet attachment was planned. As rapid treatment was required, CAD/CAM system was used to make a simple laboratory procedure instead of a traditional fabrication process. With this system, implant overdenture with milled bar can be fabricated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완전, 혹은 부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보철물 수복치료에서 치아 상실에 따른 치조골 감소와 별형은 의치 사용에 어려움을 준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가철성 보철물에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환자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어태치먼트를 선택해야 한다. 그 중 milled bar의 경우 임플란트 간 거리가 좁아서 기성 bar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기성 bar보다 상부 구조물의 확고한 안정성과 지지를 얻고자 할 때 선택 된다. Milled bar는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이룰 수 있고, 저작 시 의치의 움직임이 없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지만, 숙련된 기공과정을 요한다. 그러나 최근 CAD/CAM의 발전을 통해 milled bar의 제작이 간결해지고 적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본 증례는 8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하악 완전 무치악의 알츠하이머 환자로 milled bar와 magnet을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전신병력이 양호해진 기간 동안 빠른 치료종결이 필요했기 때문에, 통법의 기공 작업을 CAD를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복잡한 기공과정을 좀더 단순하게 하였고 이로써 치료 기간을 줄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과정 중 CAD/CAM system을 적절히 사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한 후방 연장 국소의치 수복 증례

        권보라,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Gwon, Bora,Jeon, Young-Chan,Jeong, Chang-Mo,Yun, Mi-Jung,Lee, So-Hyoun,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4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수복을 계획하는 경우 임상의는 많은 어려움과 직면하게 된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식 보철물로 수복하려는 경우 높은 치료 비용과 장기간의 치료 기간뿐만 아니라 고도로 흡수된 치조골로 인해 추가적인 수술을 동반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제작 시에는 수복물을 위한 악간 공간의 부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되고 있는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한 가철성 수복 증례의 하나로,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전치부의 소수 임플란트 식립 후 이를 지대치로 하는 후방 연장 국소의치 수복을 수행하였다. 이는 치조골 이식 등의 부가적인 수술 가능성을 줄여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며, 고령의 환자에게도 비교적 받아들이기 쉬운 치료법이 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기존의 보철물 양식과 유사한 보철 수복을 제공하여 빠른 적응과 저작 효율 및 심미성을 회복하였으며, 만족할만한 치료 결과를 보여주었다. Clinicians are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when planning prosthodontic restorations with implants in a complete edentulous patient. When planning fixed implant prosthetics, it is often necessary to have additional surgery due to highly reduced alveolar bone, as well as high treatment costs and long-term treatment durations can be required. In addition, lack of interocclusal space can be a problem when planning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s. In this study, we planned to place a small number of implants on the anterior maxilla and used them as the abutments for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on the posterior side in a maxillary fully edentulous patient. This would reduce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invasive operations such as alveolar bone graft, shorten the treatment time, and be relatively easy for elderly patients to burden. In this case, the patient was provided with a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anterior implant fixed prostheses, which was similar to the previous one, and showed good adaptation, and chewing efficiency and esthetics was recovered.

      • KCI등재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증례

        정병석,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Jung, Byung-Suk,Jeon, Young-Chan,Jeong, Chang-Mo,Yun, Mi-Jung,Lee, So-Hyoun,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4

        엇갈린 교합 환자의 치료 방법은 피개의치, 이중관 의치를 사용하여 치료하거나 결손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 지지를 회복해주는 방법이 있다. 잔존 치조골의 양이 양호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교합지지 및 기능,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증례는 발치 후 심한 치조골 흡수가 동반되어 좌우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수직, 수평적 치조골 증대술을 실시하였다. 이후, 보철적으로 이상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시 보철물로 환자의 고유의 기능 및 심미를 평가한 후 이를 반영할 수 있는 double scann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엇갈린 교합을 성공적으로 극복하였으며, 저작 및 심미를 회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rossed occlusion can be treated either by overdenture and telescopic denture or by placing an implant at the edentulous area to reestablish the support on the occlusion. If alveolar bony support is sufficient and an the environment where an implant is inserted is favorable to restoring the masticatory and aesthetic function of a patient, the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can provide more definitive occlusal support and more aid for other oral functions. In this case report, a patient with a severe residual alveolar bone resorption following the extraction of teeth and who had a crossed occlusion was treated with sinus bone graft and alveolar bone augmentation in order to place the implants at prosthetically position. The definitive restoration was made to reflect the patient's occlusal and aesthetic function using the CAD/CAM double scanning method. Finally, the treatment had the masticatory and aesthetic function adequately restored, which is reported here.

      • KCI등재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bar와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부분 피개의치 수복 증례 보고

        정윤수,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Jeong, Yun-Su,Jeong, Chang-Mo,Yun, Mi-Jung,Lee, So-Hyoun,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2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0 No.4

        For treatment of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 treatment using implant is widely used. Treatment method using implant are implant fixed prostheses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d for patients with severe bone resorption, removable implant overdenture with the effects of aesthetic and reducing cost can be used as treatment options. Specially, prosthesis with milled-bar and attachment has the effect of being splinted between implant fixtures, higher retention and stability than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t has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aesthetic through lip support by denture base. In this case, the pati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partial edentulous maxilla and mandible was treated by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Milled-bar and ADD-TOC attachment. The esthetic was improved by removing the clasp because of effects of additional retention by using the attachment, and reducing palatal coverage of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clin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on the aspect of aesthetic and masticatory function.

      • KCI등재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자유 착탈가능 임플란트 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수복증례

        오유경,정창모,윤미정,이소현,이현종,허중보,Oh, You-Kyoung,Jeong, Chang-Mo,Yun, Mi-Jung,Lee, So-Hyoun,Lee, Hyeon-Jong,Huh, Jung-Bo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1

        완전무치악환자의 보철 치료를 위한 방법 중에서 임플란트 지지 상부보철물을 서베이드 금관의 형태로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활용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 치료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치료 방법에서 지대치로 사용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은 유지 형태에 따라 전통적으로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으로 분류되며 각각 장, 단점이 존재한다. 시멘트 제거, 수리의 어려움, 나사구멍(screw hole)으로 인한 비심미성 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새로운 유지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 시스템인 EZ crown system (Samwon DMP, Yangsan, Korea)이 소개되었다. 이 시스템은 fixture에 체결되는 나사 일체형의 특수 abutment와 니켈-티타늄 스프링과 지르코니아 볼이 포함된 cylinder 구조물을 microlocking 방식으로 연결하여 유지력을 얻는다. 이번 증례의 환자는 하악 피개의치의 지대치가 발거되어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 맞춤형의 진단 과정을 통해 전방부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를 계획하였다. 특히, 전통적인 방식의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EZ crown system을 적용한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제작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IARPDs) treatment is being performed in a fully edentulous patient using implant surveyed prosthesis as an abutment.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s an abutment of IARPDs is classified into screw-retained and cement-retained type according to the retention type, and each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EZ crown system (Samwon DMP, Yangsan, Korea) has a cylinder combined with abutment, and the nickel-titanium spring in this cylinder provides a constant force on the zirconia ball to obtain retention in EZ crown system. In this patient, the natural abutment teeth of the mandibular overdenture was hopeless. We planned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nterior implant surveyed prosthesis considering functional and esthetical rehabilitation, cost and patient's needs. When fabricating IARPDs using implant as abutment, we could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implant-supported prosthesis retention type and made the design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easy due to using EZ crown system.

      • KCI등재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solitary attachment를 연결한 임시 보철물로 조기 부하를 가한 후, 조립식 바를 이용한 최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제작증례

        박도현(Do-Hyeon Park),이소현(So-Hyoun Lee),전영찬(Young-Chan Jeon),정창모(Chang-Mo Jeong),윤미정(Mi-Jung Yun),허중보(Jung-Bo Huh) 대한치과의사협회 2016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4 No.1

        SFI-bar is prefabricated bar system and can be assembled at chairside without soldering or welding, thus reducing bone loss, costs and time. A 53-year-old male patient, who had severely absorbed mandible, hoped to wear a stable mandiblular denture. Four implants were placed in the extraction site of canine and 1st molar. Early loaded temporary denture with solitary type attachment was delivered 3 weeks after surgery. 3 month later, SFI-bar was connected and adjusted at chairside. Then, implant overdenture using SFI-bar was delivered. This case report showed that a satisfactory clinical result was achieved by 4-implantsupported overdenture using the SFI-Bar system in a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

      • KCI등재후보

        외측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경부 디자인이 임플란트 주위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

        배은빈(Eun-Bin Bae),이소현(So-Hyoun Lee),전영찬(Young-Chan Jeon),강은숙(Eun-Sook Kang),박상례(Sang-Rye Park),이진주(Jin-Ju Lee),허중보(Jung-Bo Huh) 대한치과의사협회 2017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5 No.11

        This clinic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a concave neck of external connection type implant fixture designed for platform switching on the peri-implant tissue responses. Two types of implants with different neck designs were implanted in 20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bioseal(BS) implant fixtures with ‘s’ shaped concave profile on the neck were used, and non-bioseal(NBS) implant fixtures with a straight profile on the neck were used as control(Total of 40 implants, NBS: n = 19, BS: n=21). During the one-year period after implant placement, implant survival rate, marginal bone resorption, bleeding, plaque,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The survival rate of NBS and BS group was 94.74% and 90.48%,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marginal bone resorption, bleeding and plaque between the two groups (P>.05).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implants with a concave neck design showed similar clinical results to implants with a straight neck design on the peri-implant tissue responses. Longitudinal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to confirm more effective clinic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