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李二曲의 儒學의 本質에 대한 反省的 論議와 明體適用

        정병석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李二曲은 유학이 가지고 있는 궁극적 관심이나 목표가 思辨的․ 理論的인 것이 아니라 實用的․ 實踐的인 것에 있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한다. 그는 현실을 외면하고 고상한 도덕이나 의리만을 이야기하는 유학자와 유학을 口頭聖賢 또는 紙上道學이라고 비판하고, 유학의 궁극적 목적이나 성격을 사람과 현실이 가지고 있는 고통이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明體適用의 관점에서 보아야 할 것을 분명히 주장한다. 이런 점에서 이곡은 道德과 經濟가 모두 具足하여야 비로소 全儒라고 할 수 있고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儒者는 그 때 그 때 부딪힌 상황이나 경우에 따라서 천하의 사람들을 위하여 각각 다른 기능과 작용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이유에서 모든 백성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일러 儒라고 하고 君子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유가의 복장을 하고 유가의 말을 한다고 하여서 眞儒가 아니고 유가가 해야 할 행동을 하여야 진정한 유가인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儒者가 다만 四書를 암송할 수 있고 나아가 일등으로 고시에 합격하는 것이 아니라, 事功이나 節義⋅經術⋅文藝를 모두 겸하여 실천할 수 있는 明體達用의 학문에 능한 사람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李二曲은 유학의 본래적 의미가 단순히 개념적인 지식을 다루는 추상학문이 아니라 현실과 삶의 문제를 다루는 것에 있음을 말하고 이를 통하여 유학을 구체적인 철학으로 정립하려는 시도를 한다. 李二曲은 온 힘을 다하여 유학의 참된 정신을 찾아내려고 하고 선진 유학의 원전 정신을 이용하여 유학의 실학적 성질을 발휘하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여기에서 유학은 바로 明體適用의 學이라는 것을 논증하여 유학에서 官學의 외투를 벗어버리게 하여 유학의 참된 정신과 主導的 方向을 康濟群生⋅匡正時弊⋅悔過自新으로 집중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은 바로 貴族化되고 官學化된 유학의 말단을 유학의 참된 흐름과 平民儒學으로 바꾸고 回歸시켰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명암(明庵) 이태일(李泰一)의 역학관

        정병석,이오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명암 이태일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에 활동했던 유학자로 주요 활동 무대는 경상북도 영천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이다. 그는 유학 전반에 거쳐 조예가 깊었으며, 특히 주역 해석에서 매우 독창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명암의 주역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은 특히 수(數)의 관점을 통하여 주역의 형성과 철학적 특징인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런 명암의 해석은 이전의 역학자들의 관점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독창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명암은 주자학적 전통에 입각하여 태극을 최고이자 최초의 본체로 가정하고 음양이기(陰陽理氣), 만물의 상, 수, 괘획(卦劃) 등의 역학 개념들은 모두 태극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 또 수 1과 2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여 우주의 변화 및 주역의 건괘와 곤괘의 발생은 모두 수 1, 2에서 나오는 것임을 강조한다. 또 초연・중연・대연의 삼연(三衍)에 대한 주장은 명암 역학 가운데 가장 독창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명암은 수 1에서부터 10을 사용하여 초연・중 연・대연을 나누고 이를 통해 우주의 변화를 설명한다. 나아가 명암은 36궁(宮) 의 숫자 36이 주역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수라고 말한다. 이런 관점은 소강절의 관점을 빌려와 그것을 더 심층적인 각도에서 해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36을 반괘(反卦)・8괘・64괘의 괘서(卦序)・「잡괘전」의 관점을 통하 여 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周易의 三才之道와 天生人成

        정병석 한국유교학회 200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4 No.-

        역전은 ‘천인’(天人)의 문제를 천⋅지⋅인의 삼재(三才)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역전이 ‘천인’의 문제를 천⋅지⋅인의 ‘삼재’로 나누어 설명하려는 의도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 것인가? 역전은 이 세계의 생성작용을 은유적(隱喩的)인 방식을 통하여 생동적,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천과 지의 역할을 분명하게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부단히 생성하는 천지의 사이에서 존재하고 있는 인간 역시 자신의 분명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이런 천지와 인간이라는 삼재의 주요 역할을 한 마디로 압축하여 말하면 바로 천생인성(天生人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천생인성’의 ‘천’은 ‘천’과 ‘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실은 ‘천지지도’(天地之道) 또는 ‘천지의 도’를 의미한다. 역전은 이런 ‘천인관계’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통하여 천도⋅지도⋅인도 등의 삼재지도가 말하려는 논의의 핵심이 바로 ‘천생인성’에 있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역전은 ‘천지의 도’를 통하여 ‘인도’를 말하지만 ‘인도’는 주동적으로 ‘천지의 도’에 참여한다. 이런 관점을 역전은 철학적인 차원으로 전환시켜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하는 것을 도라고 하고, 그것을 이어받은 것은 선이고, 그것을 이룬 것은 성이다”라고 하여 변역하는 ‘천지의 도’를 파악하고 그것을 통하여 ‘인도’를 말하고, 또한 ‘천지의 도’에 근거해서 인간 자신이 능동적인 작용을 발휘하는 ‘인문화성(人文化成)’을 실현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본 논문은 ‘천지의 도’를 파악하는 ‘지천지’(知天地)의 단계에서, 천지의 도를 본받는 ‘법천지’(法天地)의 단계로 나아가고 다시 천지의 도를 현실에 응용하고 적용하는 ‘용천지’(用天地)의 단계로 나아가는 ‘인성’ 실현의 단계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웅십력의 성지 수양법 — ‘格物致知’ 논변을 중심으로 —

        정병석,김대수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the characteristic of Xiong Xhi Li's Xing Zhi Cultivation of the mind which is proposed to enlighten the real human nature. To efficiently deal with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show the difference between Cultivation of the mind by scholars in Song-Ming dynasties and that by Xiong(熊)'s Cultivation of the mind by means of examining and comparing their theories. In interpreting the phrase of 'Ge Wu'(格物) in Great Learning(大學), there are very different viewpoints of human nature between Zhu-zi Xue(朱子學) and Yangming Xue(陽明學). Xiong tried not only to point out the weakness of their Cultivation way but to redefine the meaning of human nature by examining ‘Ge Wu Zhi Zhi'(格物致知).’ Xiong was willing to accept the concept Liang Zhi(良知) of Yangming Xue(陽明學) in relation with human nature, but he changed the concept into that of Ti-Yong(體用) which he had devised. Even though Neo-Confucians presented their own cultivation way focused on Mind control, most of them are short of theoretical ground and valid explanation. Xiong devised the concept of 'Xing Zhi'(性智) to prepare on the theoretical basis of Liang Zhi which gains knowledges spontaneously without artificial effort. It is Xing Zhi(性智) cultivation of the mind that he proposed as the way to enlighten the real human nature. Xing Zhi Cultivation of the mind based on the Consciousness-Only(唯識) Buddhism deals with the way to recognize and enlighten the real human nature in Neo-Confucianism. Xing Zhi, the opposite concept of Li Zhi(理智) which belongs to a type of discriminating thinking, means a wisdom to intuitively capture the human nature. Xiong presents a way of Cultivation called 'Reflecting on himself in mind'(返觀自識) which Liang Zhi(良知) reveals in the mind, while he insists that we cannot perceive our human nature by using logical and analytic way of thinking. He explains that "Reflecting on oneself in mind', so-called self-awareness, is a kind of internal intuition which manifests moral mind called Liang Zhi in the process of cognition. It is quite different from Bergson's intuition concept. Liang Zhi naturally reveals itself in the mind only when the opposite thoughts of recognition disappear in the mind. Under the premise that Nature(天) and Human Being(人) are not essentially separated, the central point of Xing Zhi Cultivation is to remove conceptual thinking which block off Liang Zhi, the Original mind. However, this kind of Cultivation way, focusing everything on only Mind, is likely to fail knowledge acquisition needed to Cultivation training on account of cutting off the external world. Therefore, to know whether Xiong's Cultivation theory gets over the systemic drawback of the previous theory and gets explanatory validity of his theory or not, we have to deal with his theory under the whole context of his philosophy, including Ontology and Cosmology. 본 논문의 목적은 본성을 체인하는 熊十力의 性智 수양법의 특징과 이론적 근거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 먼저 기존 유학자들이 제시한 수양 방법과 성지 수양법을 비교ㆍ검토함으로써 그 특징적 차이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대학』 ‘격물치지’ 구절에서 ‘격물’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주자학과 양명학 간에 이치[理]의 所在와 본성에 대한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웅십력은 ‘격물치지’ 해석에 나타난 기존 학설의 앎에 이르는 수양 방법의 한계를 지적하고 본성의 의미를 재규정하고 있다. 본성과 관련해서 웅십력은 양명학의 ‘良知’ 개념을 적극 수용하고 있지만, 그 개념을 자신의 ‘체용론’ 틀 속으로 끌어와 다루고 있다. 그는 기존 성리학에서 마음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본성을 인식하는 나름의 방법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근거나 설명이 부족하다고 진단하고 있다. 웅십력은 인위적인 노력이 아닌 저절로 획득되는 본성 ‘양지’의 자발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性智’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성지는 분별적 사유 형태에 해당하는 理智와는 대별되는 개념으로 본성을 직각적으로 파악하는 지혜를 뜻한다. 웅십력은 성지 사유란 자기-인식의 형태인 ‘返緣’ 방식을 통해 양지의 발현을 드러내는, 이른바 ‘直覺’의 통찰력이라고 설명하면서 베르그송이 사용하는 맹목적인 생명의 충동인 ‘直觀’ 개념과는 구별할 것을 강조하였다. 인식 주객의 분별적 대립이 사라질 때, 본심인 양지는 마음으로 深入하여 자신의 본 모습인 본성을 스스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유식불교의 인식론을 토대로 하여 세워진 성지 수양법이 기존 성리학 수양론에서 노출된 이론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아울러 ‘자연과 인간이 근본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우주 본체가 펼치는 작용이 바로 세계’라는 體用不二의 세계관이 유학자의 최종 수양경지인 天人合一의 길로 이어질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 KCI등재

        해상법 분야의 국제사법 준거법 조항 개정을 위한 입법론적 검토

        정병석 한국국제사법학회 2022 國際私法硏究 Vol.28 No.1

        1. 국제사법 준거법 규정이 2001년 전면 개정된 지 20여년이 지났다. 20세기말 ~ 21세기 들면서 한국의 해운산업(조선 포함)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고, 전 세계적으로도 컨테이너를 20,000TEU이상 선적할 수 있는 대형 컨테이너 선박과 38만-40만 DWT의 VLOC (Very Large Ore Carriers:일명 Valemax라고함) 가 등장하는 등 선박 또한 대형화 되었다. 2008년 말의 경제위기 (이른 바 리먼 브라더스사건) 상황으로 인하여 용선계약 분쟁, 선박건조계약 및 Offshore Plant계약 분쟁, 해운회사의 도산을 포함한 다양한 해상 관련 분쟁이 국제분쟁화하고 아울러 대형화된 선박의 사고 발생시 많은 당사자 사이의 여러 관할에 걸친 대형의 해상 분쟁이 발생하면서 국제사법적 쟁점을 포함한 판결이 다수 선고되고 해상법 학자나 실무가들 사이에서도 국제사법 (국제재판관할 및 준거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났다. 이에 해상법 실무가 및 학자들사이에서 국제사법 해상법 규정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 및 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제기되었다. 2. 2001년 국제사법이 전면개정되어 시행된 지도 20년이 지났으므로, 국제사법상 해상관련 준거법 규정도 그간의 실무례 및 해운산업의 변화를 반영하여 개정할 부분이 없을 지 검토할 단계에 와 있다. 특히, 해상법 특유의 양대제도인 ‘선박소유자의 책임제한’이나 ‘선박우선특권’의 연결점을 현행 국제사법과 같이 선적국법으로 계속 유지하는 것이 타당한 지 여부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현재 국제사법에서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아니한 사항들 중에서 해상 분쟁과 관련하여 준거법 조항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3. 이러한 검토에 앞서 해상 준거법과 관련이 있는 국제사법의 일반 이론들을 살펴 본다. 즉, ㉮ 준거법으로 약정할 수 있는 것은 특정 국가의 법인 지 아니면 특정 법이나 조약, 법규범도 준거법으로 약정할 수 있는 지, ㉯ 절차 vs.실체의 구분의 문제, ㉰ 연결점으로서 선적국법 등이 해사 국제사법의 개정 논의와 관련이 있는 논점이 될 것이다. 4. 그리고, 개별 사안의 경우 준거법 문제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현행 규정의 개정 의견 내지 규정의 신설을 제안하기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법정지법에 의할 사항, 편의치적과 예외 규정의 적용 배제, 선하증권/개품운송과 준거법, 책임제한과 준거법, 선박우선특권과 준거법, 공동해손과 준거법, 해난구조와 준거법, 선박충돌과 준거법, 직접청구권과 준거법, 보험자 대위와 준거법 문제를 다루기로 한다. 법인격부인과 준거법에 대하여도 언급을 하였으나 아직 법제화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어 개정의견의 제시를 보류하였다. 1. More than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governing law provision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was completely amended in 2001. In the late 20th and 21st centuries, Korea's shipping industry (including shipbuilding) grew dramatically, and globally, large container vessels capable of loading more than 20,000 TEUs of containers or VLOCs (Very Large Ore Carriers, also known as Valemax) of 380,000 to 400,000 DWT emerged. Due to the economic crisis at the end of 2008 (the so-called Lehman Brothers Incident), various maritime disputes, including disputes over charterparties, disputes over shipbuilding contracts and offshore plant contracts, and cross border insolvency of shipping companies, became international disputes, and large-scale maritime disputes over various jurisdictions broke out among many parties in the event of large-scale ship accidents. As a result, a number of judgments, including thos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were handed down, and interest in private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jurisdiction and governing law) gradually increased among maritime law scholars and practitioners. This led to criticism of the provision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and the need for amendment among maritime law practitioners and scholars. 2. Since 20 years have passed after the amendment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2001 was enforced, the provisions of the governing law on the maritime matter under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are in the process of reviewing whether there is any part to be amended to reflect the past practices and changes in the shipping industry. In particular, we will review whether it is reasonable to maintain the “connection”to the port of registry in respect of the two major systems of the maritime law, "limitation of shipowner's liability" and "maritime lien," as in the current Private International Law, as well as the matters to be included in the governing law provision in relation to maritime disputes among the matters not expressly addressed in the current Private International Law. 3. Prior to such examination, we examine the general theori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pertaining to maritime law. In other words, ㉮ whether rather than a system of a certain country, a certain law, treaty can be agreed as the governing law, ㉯ the issue of procedure vs. substance, and ㉰ as a connection point, the law of the country of registry, etc. are related to the discussion on the amendment of the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4. In addition, in each case, the Parties shall review the governing law issue and, if necessary, propose an amendment to the current provisions or new provisions. In this paper, matters to be governed by the law of forum, exclusion of excetion clause to the flag of convenience, governing law on the bill of lading/contract of carriage and related matters, limitation of liability and governing law, maritime lien and governing law, general average and governing law, salvage and governing law, collision and governing law, direct claim against the insurer and governing law, insurer's subrogation and governing law are discussed. It also mentioned the govering law on the principle of piercing the corporate veil but it seemes too early to propose the provision there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