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체제의 변화에 따른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

        이성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본 논문은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와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정보화 사회에서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교육은 변화를 지향하는 과정으로,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의 수월성 제고와 교수·학습과정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개혁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교육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능동적이며 자발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수·학습의 질(質)과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에 기초한 학습체제 구축과 다양한 교수·학습매체의 교육적 활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개혁이 분절적이 아닌 교육개혁에 관련된 교사, 학생, 학부모 등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이 망라된 총체적 접근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 그리고 매체가 교과과정(curriculum)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변화가 교사·학생 중심의 안으로부터의 개혁이 이루어 질 때, 정보화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개혁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개혁이 학교현장에서 교사·학생의 역할 변화를 통한 관계 재정립과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협동학습 과정으로 실현될 때, 교육공학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첨단 멀티미디어의 통합적 사용과 교수·학습과정 사이의 상승작용(synergism)을 통한 교육개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formation society, multimedia application in education, and education reform with technology. Education is changing,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education is undergoing widespread reform in many school systems worldwide. Three agendas of education reform movement in the literature have focused on: (a) a push for restructuring schools; (b) a constructivist and cognitive/information processing view of learning and the effect of that view on teaching; and (c) a movement toward well-integrated uses of technologies in the school curriculum. Education systems are moving toward more active learning activities where learner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side as well as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to be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reform, the three agendas must form a synergistic relationship. The synergism between technology utilization, restructuring,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will take place when school reform occurs in the areas of teacher/student work space, teacher/student rol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in the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students in their learning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교양교육과 연계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김진규,박영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inked with general education on develop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virtues. The subject-linked character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general eduction course (Civic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ge) during 1st semester in 2018 school yea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 college students in K University in Kyonngi Province. The questionnaires included 38 items to measure 4 character virtues (cooperation, communication, citizenship, tolerance). The one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the whole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college student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peration, citizenship and total score of character virtues. In conclusion,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linked with liberal arts education on developing the character virtues for college students. For further studies we suggest; (1) relative comparison study among various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 and (2) implementation of validation studies for character measurement tools for college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 연계한 인성교육의 프로그램을 설계·실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교양강좌 수업을 주관하는 교수자가 연구진과 협동으로 교양강좌와 연계된 인성교육 수업내용과 수업방법을 개발하여2018년도 제1학기 대학 교양강좌에 적용하였다. 경기도 소재 K대학교 1∼4학년 41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강좌 수강절차에따라서 강좌에 등록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인성검사는 협동, 소통, 시민성, 관용을 측정하는 38문항으로구성되었다. 자료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에서 덕목별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종속표본 t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교양강좌와 연계하여 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과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였다. 둘째, 협동, 소통, 시민성, 관용의 사전과 사후 검사의 차이점수에서 협동과 시민성 덕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지만, 소통과 배려의 덕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성 덕목의 종합점수의사전-사후검사의 차이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 = 2.62, p < .05)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에서 교양교육과연계된 인성교육은 대학생들의 인성개발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인성교육활성화를 위한 후속연구의 주제는 교양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인성 덕목을 연계하는 교양교육의 개발과 실천, 대학의교직과목을 포함하는 전공과목과 연계된 인성교육을 위한 이론과 실천,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성흠(李聖欽),윤초희(尹蕉熙),최상봉(崔相鳳)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함께 학문공동체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 또는 행동양식이다. 이 연구는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윤리 확립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K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183(남: 142, 여: 41)명이며, 설문지는 ‘학습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항목에서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 과제물 구매 등에서는 준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중복제출과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학습윤리에 대한 실행도(준수정도)에서는 대리작성, 중복제출, 과제물 구매 등에서 높게(즉,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깁기와 표절에서는 실행도가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는 중복제출, 짜깁기, 과제물 구매, 표절, 대리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윤리 위반에 대한 이유는 ‘더 좋은 학점에 대한 욕심’, ‘시간의 부족’,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었다. 둘째, 기타 학업수행(출석, 협동과제, 시험 등) 측면에서 학습윤리 중요도는 대리시험, 시험부정행위, 무임승차에서는 높았지만 대리출석과 무단조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실행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점수 차이는 대리출석, 무단조퇴, 대리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윤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항목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표절’, ‘위조’, ‘변조’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강점 특성으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과 ‘대리시험’, ‘무임승차’, ‘시험부정 행위’가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항목은 ‘짜깁기’를 포함하여 ‘대리출석’, ‘무단조퇴’ 항목이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투자 및 집중도 조절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는 ‘중복제출’이 포함되었다. Nowadays ‘academic honesty/academic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community. The issue of ‘academic ethic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academic ethics’. For this purpose, one hundred eighty-three (142 males and 4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academic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agency creating, idea stealing, and homework buying,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weaves in writing and duplicate submission. Second, students also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surrogate test, test cheating, and free riding in homeworks,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valet attendance and unauthorized leaving early. For the items of performance, compliance scores showed a similar trend. Lastl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of academic ethics in the ‘concentrate’ area were ‘plagiarism’, ‘fake’, and ‘mod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plagiarism as a violation of academic ethics may occur when students don’t know how to appropriately quote from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ethics’ code for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we should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courses such as ‘research ethics,’ ‘academic writing,’ etc.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 · 통신기술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이성흠,이광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정보통신기술(ICT)의 통합적 활용에 요구되는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영역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환경은 시공간을 초월한 가상공간에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돕는 열린 교육체제, 창의력, 통찰력, 협동력 등의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목표, 교사중심의 지식교육에서 학습자중심의 문제중심 교수학습방법, ICT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활용을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내용, 학습결과를 포함한 문제해결 과정도 포함하는 평가제도, 책무성을 수반하는 자율적 행정을 강조하는 교육체제로의 전환 등의 영역에서 많은 변화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영역은 (1) 컴퓨터와 인터넷의 기초, (2) 수업심리학과 교수설계, (3)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매체의 제작과 활용, (4) ICT의 교과목에 통합적 활용과 관련되는 이론, (5) 디지털 가상공동체와 가상(원격)교육, (6) 이(異)문화 이해 및 정보윤리 등이다.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은 사회환경 변화와 함께 교육체제의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식기반 디지털 정보사회에서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이 교육체제의 변화와 효과적인 교육목표 달성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이성흠,이준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좋은 수업’의 기본 전제가 되는 교사전문성은 교육의 질(質)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등학교 체육교사 70명이며, 설문지는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특징’을 중심으로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체육수업’의 ‘관점’에서 현장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는 ‘관계-전달-결과-구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4가지 관점에서 중요도 점수가 실행도 점수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에서 ‘관계’와 ‘전달’ 관점이 강점 항목으로, ‘구성’은 낮은 중요도와 우선순위의 항목으로, ‘결과’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 분포되었다. 둘째 ‘좋은 체육수업’의 ‘특징’에서도 중요도 점수가 실행도 점수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요도-실행도 분석결과는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특징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분야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추어진 수업환경’에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이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좋은 성과를 유지하는 강점 특징으로는 학생의 흥미를 고려한 수업내용, 교사와 학생 간 활발한 상호작용, 공평하고 균등한 기회 부여, 수업과 연계된 수행평가 등이 포함되었으며,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우선순위 특징으로는 고차적 사고능력 개발의 내용, 학생에게 선택권과 권한 부여, 자율적인 수업분위기, 지식 이해와 적용 평가 등이다. 마지막으로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불필요한 강점 특징에는 분명한 수업목표 제시와 규칙을 통한 학생관리 수업 등이 포함되었다.

      • KCI등재후보

        교양교육 강좌성격에 따른 융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원체제 모형의 탐색

        이성흠,윤옥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2

        지식기반사회의 시대정신은 변화와 혁신이다. 이와 같은 시대정신에 부응하여 대학교육은 융복합교육이 요청되고 있으며, 융복합교육의 기초로서 교양교육이 강화되면서 이와 관련되는 연구와 실천이 대학사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양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여러 강좌를 그 성격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강좌 유형별로 효과적인 융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원체제 모형을 탐색·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교양교육을 위한 국내의 이론연구와 정책연구를 종합·고찰하고 수업지원환경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둘째, 융복합교육과 교양교육 지원체제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셋째, 융복합 교양교육을 위한 지원체제의 모형을 교양교육 강좌 분류에 따라서 제시하였다. 그러나 대학의 핵심가치로서 교양교육은 특정한 지식을 가르치는 데 있지 않고, 지식을 이해하고 판단하고, 실행하는 데 바탕이 되는 능력 배양이 목적이다. 따라서 교양강좌가 융복합형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 교양교육 목적 달성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교수설계, 교수방법, 수업지원체제, 지원기관 등을 강좌 운영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zeitgeist of knowledge-based society is change and innovation. In response to its request, college education is being asked to do convergence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s the basis of convergence education is strengthen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an instructional support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form of class-specific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eory and policy research on general education and theory of instructional supportive environment were summarized. Second, the theory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for general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ird, a model of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for convergence education was suggested with the form of class-specific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as the core values of university education is not teach a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however, it’s purpose is to cultivat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judge, and utilize them in daily social life. Thus, in order to operat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form of class-specific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we should appropriately utilize various conditions and environments such as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methods,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and support agencies.

      • 지식기반사회에서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이성흠,이광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 No.40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정보·통신기술(ICT)의 통합적 활용에 요구되는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영역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환경은 시·공간을 초월한 가상공간에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돕는 열린 교육체제, 창의력, 통찰력, 협동력 등의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목표, 교사중심의 지식교육에서 학습자중심의 문제중심 교수·학습방법, ICT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활용을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내용, 학습결과를 포함한 문제해결 과정도 포함하는 평가제도, 책무성을 수반하는 자율적 행정을 강조하는 교육체제로의 전환 등의 영역에서 많은 변화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과 관련되는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영역은 (1) 컴퓨터와 인터넷의 기초, (2) 수업심리학과 교수설계, (3)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매체의 제작과 활용, (4) ICT의 교과목에 통합적 활용과 관련되는 이론, (5)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이(異)문화 이해 및 정보윤리 등이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위한 핵심역량 개발은 사회환경 변화와 함께 교육체제의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이 교육체제의 변화와 효과적인 교육목표 달성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education is undergoing widespread reform in many school systems worldwide. One of them is to focus upon the preparation of pre- and in-service teacher's teaching method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Based upon a literature review, five domains for developing teacher's core competenci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eacher education (ITTE) were identified as follows: (a) Basics skills on computer and Internet; (b) Teaching psychology and instructional design; (c) Desig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CT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d) Integration of ICT's utilization into subject; and (e) Understanding virtual community,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ethical issues for information management. Basic knowledge and skills for ITTE could give teachers at least some opportunity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to effectively develop and utilize ICTs in the classroom. The change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can come about with teachers' competence for the utilization of ICTs in knowledge-based society.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이 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김진규,홍정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ject-linked character e ducation program in social stu dies class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stu dies class was developed by t he researchers who managed the study and the teacher who was in charge of the clas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7.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7 students (79 experimental group, 78 control group) in the first grade of D high school in Seoul Metropolitan City. The pre- and post character tests consisted of 33 items measuring the virtues of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citizenship. The pre- and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method with post-test scor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plicability of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as explored,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illustrated in social studies class. Second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rtu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rtues of cooperation and citizenship. In conclusion, the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n social studies class made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high sc hool students. The further stu dies for t he subject-linked c haracter e ducation are suggested: (1) t he selection of character virtues related to social studies, (2)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teaching and lea rning methods, and (3) the evaluation of subject-linked charact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에서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사회과에서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 프로그램이 연구진 과 수업을 담당하는 교과담임 교사가 협동으로 설계・개발하여 2017년 1학년 1학기 사회과 수업시간에 교과담임 교사가 수업에 적용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D고등학교 1학년 학생 157명(실험집단 79명, 통제집단 7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교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인성검사는 소통, 협동, 시민성을 측정하는 3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고 자료는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수로 한 독립표본 t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사회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교수・학습자료를 개발・예시하였다. 둘째, 수업이 종료된 후 실시한 사후 인성검사에서 소통 덕목의 점수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협동과 시민성 덕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교 1학년 사회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은 학생들의 인성발달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사회과에서 효과적인 교과연 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제언으로 사회과의 특성을 반영한 인성덕목 선정, 사회과에 적절한 실천적 교수・학습방법 개발, 사회과연계형 인성교육중심 수업효과 분석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성평등 의식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4

        Gender studies have been current issues in the Korean society because of changes in sex roles during the past 25 years.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enacted many statutes upgrading gender egalitarianism.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n enhancement of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education program, called ‘Education Program for Gender Egalitarianism,’ which consists of the contents on sex roles and gender equality. Two hundred thirteen (35 males and 178 females) college students, who were subjected to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H, K, and S Universiti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ing of 71 students, was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1 using online method. The second group, consisting of 72 students, was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2 using face-to face lecture method. And the third group, consisting of 70 students,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was the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KG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t-test, one-way ANOVA, and Schffe’ s Post Hoc Tests were used with SPSS 14.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hancement in the total score of egalitarianism measurement for the experimental (online and lecture) groups. For the onlin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KGES between pre- and post-tests (t=8.14, p < .001). For the lecture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KGES between pre- and post-tests (t=9.51, p < .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line and lecture groups in the post-test score of KG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for KGES among online, lecture, and control groups in the post-test score of KGES (F=25.33, p < .001).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성평등 의식(性平等意識) 함양을 위하여 개발·배포한 대학생의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온라인과 면대면 강의기법을 통하여 실천함으로써 대학생의 성평등 의식 향상에 나타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H, K 및 S대학교 대학생 213명(온라인 집단 71명, 강의 집단 72명, 통제 집단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이 완료된 후 프로그램의 효과는 ‘남녀평등의식검사’ 점수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은 온라인과 면대면 강의 방법에서 ‘남녀평등의식검사’의 전체 하위영역에서 성평등 의식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온라인방법은 검사의 개별 영역인 가정, 교육, 사회․문화, 직업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사전과 사후 검사의 평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t=8.14, p < .001)가 있었다. 그리고 면대면 강의방법에서도 모든 하위영역의 사전과 사후 검사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t=9.51, p < .001)가 있었다. 남녀평등의식검사 전체 점수와 각각의 하위영역별 평균은 면대면 강의, 온라인, 통제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25.33, p <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평등의식검사 점수에서 어떤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Scheffe의 사후비교(Post Hoc Tests)의 결과는 온라인과 통제 집단, 면대면 강의와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온라인과 면대면 강의 집단 간에는 두 집단 모두 동등하게 남녀평등의식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