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 적출술 방법 결정을 위한 복식과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의 비교 연구

        최현수(Hyun Soo Choi),이선경(Seun Kyung Lee),김승보(Seung Bo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자궁 적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의 하나로 본 연구는 복식과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술의 적응증, 특징, 환자의 예후를 비교하여 자궁 적출술의 방법의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1994년 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본원에서 양성 자궁질환으로 복식과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을 받은 환자 각각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연령, 분만력, 수술전 적응증, 적출된 자궁의 무게, 총 수술 시간, 출혈량, 합병증, 동반된 수술, 입원 기간을 비교 분석 하였다. 1. 수술전 적응증은 두 비교군 모두에서 자궁 근종이 가장 많았으며 자궁 경부 상피내암, 자궁 선증, 기타(부정 출혈, 부속기 종양)등이 있었다. 2. 환자의 연령, 분만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적출된 자궁의 무게는 복식이 질식 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질식에서 자궁의 무게가 280gm 이상인 경우도 18%(36/200)로 나타났다. 3. 총 수술 시간, 입원 기간, 출혈량에서 질식이 총 수술 시간과(P=0.002) 입원 기간이 짧고(P=0.000), 출혈량(P=0.000)도 의미있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수술 후 합병증은 질식 환자의 4%, 복식 환자의 7%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 과거 개복 수술력은 질식에서 18%(36/200), 복식에서 28.5%(57/200)의 환자가 수술력이 있었는데, 질식 전 자궁 적출술 환자중 과거 제왕 절개를 받은 환자에서 자궁이 전 복벽에 유착되어 개복 수술로 전환한 예가 있었고 97.2%(35/36)에서 성공적으로 질식 자궁 적출술이 이루어졌다. 6.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부속기 절제술을 함께 시행한 환자와 자궁 적출술만을 시행받은 환자의 총 수술시간, 출혈량, 합병증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자의 자궁의 크기나 과거 수술력, 부속기 절제의 요구가 더 이상 질식 방법의 금기가 아니며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은 수술 시간과 입원 기간, 출혈량을 줄일 수 있는 안전한 수술로 앞으로 이러한 질식 전 자궁 적출술에 많은 관심과 수련으로 부인과 수술에서 더 많이 사용 되어 져야 하겠다. Objectives : The most often perfomed major operation in gynecology is hysterectomy.Our purpose was to compare the indications, chara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undergoing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total vaginal hysterectomy and to help to establish guidelines to determine the route of hysterectomy.Method : The hospital charts of 400 women who underwent elective inpatient hysterectomy at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January 1999, were abstracted retro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regarding patients, age, parity, preoperative indications, the route of hysterectomy, uterine weight, 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length of stay. The operative indications were benign uterine disease except from uterine prolapse. Bisection or combined morcellation were used in most cases to obtain reduction in uterine size.Result : Patients in whom the vaginal route was successful included 18% of those with uterine weights exceeding 280g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uterine weight, operative time, bleeding amount, the length of stay in two camparative group. 4% of vaginal hysterectomy and 7% of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has documented operative complications.Conclusion : Vaginal hysterectomy is safe operation with few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out notable blood loss. Vaginal hysterectomy allow one to shorten the operating time and allows early postoperative discharge of some patients from hospital. Skilled performance of vaginal hysterectomy is worth greater attention and should be used more often in gynecological study.

      • KCI등재

        선행 제왕절개 후의 질식 분만시 성공군과 실패군의 비교연구

        최현수(Hyun Soo Choi),이상욱(Sang Wook Yi),오영승(Young Seung Oh),진규섭(Kyu seop Jin),이보연(Bo yon Lee),이선경(Seun Kyung Lee),허주엽(Chu Yeop Huh),김승보(Seung Bo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제왕 절개의 비율은 최근 까지 지난 20년동안 증가되어 왔으며 이러한 증가는 반복 제왕 절개의 증가와 관련된 것이다. 최근 제왕 절개후 질식 분만에 관한 연구에서는 반복 제왕절개시 올 수 있는 수술 후 합병증, 산모 및 태아의 이환율의 증가 등과 비교해 이 시도가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등을 보고 하고있는 반면 또한 제왕 절개후 질식 분만시 올 수 있는 자궁 파열과 이로 인한 태아와 산모의 위험성에 관한 보고도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 제왕 절개후 질식 분만을 원해 내원한 산모를 대상으로 성공군과 실패군 사이에 여러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성공에 관여한 인자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7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선행 제왕 절개 후 질식 분만을 위해 내원한 환자중 질식 분만 시도시 위험성이 적다고 판단되는 12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했으며 성공군과 실패군 사이에 산모의 나이, 제태 연령, 질식 분만한 과거력의 유무, 선행 제왕 절개의 적응증, 초음파로 예측한 태아 몸무게, 신생아 몸무게, 입원시 자궁 경부 상태, Bishop score, CPD index(Cephalopelvic disproportion Index)를 비교 분석 하였다. 120명의 산모중 87명(72.5%)이 성공 하였으며 33명(27.5%)이 실패 하였고 자궁 파열이나 열개와 같은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두 대조군 사이에 산모의 나이(P=0.012), Bishop score(P=0.002), CPD index(P=0.015)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기타 요인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선행 제절 이후 질식 분만 시도 시에 금기가 아닌 경우 입원시 X선 골반 계측을 통한 CPD index와 Bishop score을 통해 성공 가능성에 대한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앞으로 이 요인들과 함께 다른 요인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선행 제왕 절개후 질식 분만 시도시에 올 수 있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또한 추후 성공의 예후 인자로 사용되어 질 수 있고, 앞으로 이 시도의 성공과 관련된 다른 인자와의 연관성을 통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Vaginal birth or trial of labor after previous cesarean sec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remarkable changes in obstetric practice.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trial of labor and vaginal birth after previous cesarean are well documented.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vaginal birth in patients undergoing a trial of labor after previous cesarean delivery using factors known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Metho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20 women who attempted vaginal birth at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97 to March 1999. An attempt to identify possible prognostic factors for success of such a trial was made and we evaluated the variables of significant predictive value and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in the success group and failure group of women who attempted VBAC. Result: 87 cases(72.5%) in 120 cases succeeded in VBAC and 33 cases(27.5%) failed. In this comparative groups in VBAC,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PD index(cephalopelvic disproportion index) and Bishop scor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stational age, the estimated fetal weight by sonography and newborn birth weight. Conclusion: In this study, Bishop score and CPD index and age may be useful and valid predictor of success in VBAC and this information could be particularly valuable. The CPD index may prove most important in determining if a vaginal birth should occur after a cesarean section because it can clearly identify some patients who need a repeat cesarean sect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Strain 51의 보유한 Type II 제한효소 (Hpy51-I)의 특성

        조명제,박정욱,전병삼,박정원,변은영,이선경,박예형,송재영,이우곤,백승철,최여정,정선애,최미영,Cho, Myung-Je,Park, Jeong-Uck,Jeon, Beong-Sam,Pack, Jeong-Won,Byun, Eun-Young,Lee, Sun-Kyung,Park, Ye-Hyoung,Song, Jae-Young,Lee, Woo-Kon,Baik, Seun 대한미생물학회 2001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Vol.31 No.3

        This study describes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of Helicobacter pylori in order to understand the DNA restriction and modification of H pylori. H pylori cell extract was subjected to polyethyleneimine treatment, salt precipitation, heparine-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phy (FPLC) using Resource Q column and Mono Q column to purify the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Hpy51-I was characterized to recognize the sequneces 5'-GT(G/C)AC-3', yielding 5-base 5' protruding ends. The restriction sequence was identical to that of Tsp 45 I. The enzyme exhibited its maximal activity in the presence of $10{\sim}20\;mM$ NaCl, but was inhibited completely in the presence of more than 80 mM NaCl. The enzyme showed its maximal activity in the presence of $1{\sim}10\;mM\;MgCl_2$.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enzyme activity was pH 9.0 and $37^{\circ}C$, respectively. $MnCl_2$ could not substitute for $MgCl_2$ in reaction mixture. And addition of ${\beta}$-mercaptoethanol and bovine serum albumin in reaction mixture led to loss of enzyme activity of Hpy51-I. The whole cell extract of H. pylori strain 51 was confirmed to carry the enzyme activity for methylation of Hpy51-I-recognised sequence. Hpy51-I digested genomic DNAs of enteric bacteria to less than I kb while it could not cut the genomic DNAs of H. pylori isolates. In this study, the type II restriction enzyme (Hpy51-I) of H. pylori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ts biochemical properties, demonstrating that Hpy51-I might be one of the barriers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DNAs into H. pylori.

      • SCOPUSKCI등재

        장형 위암과 미만형 위암의 비교 연구

        유창현(Chang Hyun Yoo),김상효(Sang Hyo Kim),이선경(Seun Kyung Lee) 대한소화기학회 199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2 No.2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stinal (IGC~) and diffuse types of gastric carcinoma (DGC) ~was performed in order to imestigate ~their characteristics in clinico-pathological and epidemiological points of view. The specimens studied were 3,165 consecutive cases of gastric carcinoma, obtained by surgical resection and endoscopic biopsy during the period of 21 years from 1968 to 1988. All the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Laurens classification an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nn~ual incidence of the IGC during last 21 years were gradually decreased, while converse~ly a~nnual i~ncidence of the DGC were relatively increased. With lapse of time, the incidence of IGC in middle aged patients decreased and that in old aged patients increased, the DGC, however, was not changed significant~)~y in all age group. 2) The average age of male patients with IGC ~was 54.4~-year~-old a~nd ~0at of female ~With IGC ~53.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verage age of both sexes.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DGC was 49.0~-year~-old and that of female with DGC 46.7.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verage age of both sexes.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IGC was 54.2 and of DGC 48. 0. The age difference in both hi~stological types was significant. 3) The 1GC frequently involved distal portion of the stomach, but the DGC more frequently proximal portion than IGC. The IGC was more frequent in Borrmann type I and II and the DGC frequent in Rorrmann type III and IV.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the IGC is relatively more frequent in men and old patients, in distal portion of the stomach, and in grossly loca~lized forms, the DGC, on the other hand, predominates in women and younger patients, in proximal portion of the stomach, and in grossly diffuse invasive forms. And then the author supported the theory that the gastric carcinoma encompasses two separate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