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금홍석으로부터 융제법에 의한 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의 합성

        이철태,이진식,이상문,박용성 ( Chul Tae Lee,Jin Sik Lee,Sang Moon Lee,Yong Sung Park ) 한국공업화학회 1995 공업화학 Vol.6 No.6

        생산원가의 절감을 위해서 육티탄산칼륨 섬유는 융제법으로 원료물질을 금홍석, 공업용 K₂CO₃, 그리고 공업용 K₂MoO₄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육티탄산칼륨 섬유를 얻기 위한 최적 조건은 반응온도 1050℃, 반응시간 5hrs, K₂CO₃에 대한 금홍석의 몰비 5.5 그리고 K₂CO₃와 TiO₂ 혼합물에 대한 flux의 몰비 4.0이었으며, 적절한 해섬처리 조건은 40배수의 물에 대해 8시간이었다. 이상의 조건으로 합성한 육티탄산칼륨 섬유는 평균 직경 0.5㎛, 평균길이 17㎛였다. 또한 육티탄산칼륨 섬유는 1N HCl에서 60일 후에도 안정하였다. Fibrous 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was produced through the flux method using a mixture of the natural ruble ore, industrial K₂CO₃ and industrial K₂MoO₄ in an attempt to reduce the fabrication cost.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synthesis of 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was the reaction temperature of 1050℃, reaction time of 5 hrs, ruble ore mole ratio to K₂CO₃ of 5.5, and flux mole ratio to mixture (K₂O+nTiO₂) of 4.0. Also the proper water leaching condition for removing of K component was a multiful of 40 for water quantity and 8 hrs for leaching time in boiling water. In this condition, synthisized 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was a fibrous crystal of 17㎛ of average length and 0.5㎛ of average diameter. 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was stabilized after 60 days at 1N HCl.

      • SCOPUSKCI등재

        한국의 Amatoxins 중독증

        안영민,이동수,이강,강상범,양진모,박영민,이영석,정규원,선희식,박두호,노현주,강영모,이종명,허정욱,최성곤,김정호,이상,최승옥,최홍엽,권오선,구창덕,석순자,김양섭 대한간학회 2000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6 No.3

        한국의 amatoxins 중독증은 강원 영서 지역이 호발지역으로 알려져 왔으며 최초로 보고된 원인버섯은 알광대버섯이었으나 현재까지 재 확인된 바가 없다. 원인버섯이 확인된 예로는 강원 영서지역이나 대전지역의 독우산광대버섯과 함께 1998년 경북 일원에서 발생한 집단 중독사고의 개나리광대버섯과 대전에서 발생한 1예에서 흰알광대버섯을 들 수 있다. 최근까지 amatoxins 중독증에 관해 보고된 국내의 문헌을 살펴보면 한국에서 발생하는 amatoxins중독증은 사망률에서 외국의 20-40% 와 큰 차이가 있는 것 처럼 보이나 사실상 전체적인 발생빈도나 사망률 등을 산출한 예가 없었을 뿐아니라, 높은 사망률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비교하는 것도 불가능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amatoxins 중독증의 예방과 보다 효율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발생빈도나 사망률 및 원인버섯 등의 기초적인 조사와 함께 문헌을 통해 amatoxins 중독증에 대한 지견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년간 원인버섯 식별을 위해 의뢰되었던 증례들과 연례적 호발지역의 의료기관에서 병력 및 임상소견으로 amatoxins 중독증으로 진단 또는 추정된 증례들을 조사하였다. 원인버섯의 식별은 발생지역을 방문하여 원인버섯의 확보가 가능했던 소수의 증례에서는 외관과 현미경적 소견으로 원인버섯을 식별하였으며 원인버섯의 확보가 불가능한 증례에서는 특징적인 외관으로 추정되었다. 결과: 54명의 대상환자들 중 43명에서amatoxins 중독증으로 진단되었으며 그중 35명은 중등도 이상의 중독증으로 간주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중독증에서는 7명이 사망하여 20%의 사망률을 나타내었으며 원인버섯은 독우산광대버섯과 개나리광대버섯이 확인되었다. 흰알광대버섯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사실상 독우산광대버섯과의 감별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4예에서는 원인버섯이 확인되지 않아 더 연구 되어야 한다. 사망례에서는 비사망군에 비해 혈소판이 유의하게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전예에서 간이식등의 치료는 시행되지 않았으며 대부분 수액요법을 근간으로한 보존요법을 실시하였다. 결론: 한국의 amatoxins 중독증은 주로 강원 영서지역과 경북 일원에서 호발하고, 원인버섯은 외국과는 달리 독우산광대버섯과 개나리광대버섯이 주된 원인버섯이며, 1997년 까지의 증례보고를 대상으로한 70%의 사망률과는 달리 중등도 이상의 중독증례를 대상으로 하여도 사망률은 20%로 외국에 비해 높지 않다. 그러나 외국과 달리 간이식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한 예가 없는데, 대부분 갑자기 나빠지기 때문에 준비를 못하는 것이 원인이다. 따라서, 사망률을 더 낮추기 위해서는 혈액이나 소변과 같은 체액에서 단시간 내에 amatoxins을 측정할 수 있는 임상 검사법이 개발되어 조기 진단이 가능해져야 하며, 중독 초기에 나쁜 예후가 예측되는 심각한 증례를 선별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아울러 amatoxins 중독증에 대한 보다 정확한 통계를 산출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본 연구에 1999년도에 발생한 대부분의 amatoxins 중독증의 증례가 포함되었으나 포함되지 않은 증례들이 다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기초 조사를 철저히 하기 위해서는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는 버섯중독 사고를 의뢰 또는 신고 할 수 있는 일원화 된 창구가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quot;Background/Aims: From the review of Korean literature most fatal mushroom poisonings have been due to amatoxins with high mortality. So far there have never been investigations on the amatoxins poisonings such as annual incidence, mortality, common causal species, and endemic are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some basic statistics as part of studies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amatoxins intoxications. Method: For the year 1999 authors collected cases of mushroom poisonings which had been mainly gathered from hospitals nation-wide. All of the cases with suggestive amatoxins poisonings were screened by symptomatology and laboratory findings. The causal species of mushrooms were identified grossly and microscopically. Results: A total of 54 victims with mushroom poisonings were evaluated. The causal mushroom toxins were diagnosed or strongly suggested as amatoxins in 43 of 54 victims. Eleven of 54 victims did not conform to the category of amatoxins intoxication due to absent or minimal elevation of aminotransferase. Mean age of the victims was 44.3 23.3 (range: 7-78) with male predominance (1.2 : 1). The causal species were confirmed, or strongly suggested, as Amanita virosa in 25 victims, Amanita subjunquillea in 14, and unknown species in 4. Thirty-five out of a total of 43 were regarded as moderate to severe intoxication (AST or ALT $gt; 1,000 IU/L) with 20% mortality. Most fatal victims showed marked thrombocytopenia (40,000 19,000/mm3) compared to non-fatal victims (109,066 42,245/mm3). A total of 88.4% of victims was developed in the Kangwon and Kyungpuk provinces. Both are west of the Taebaek Mountains (38/43). Conclusions: Although the common causal species for amatoxins poisonings in Korea are different from European countries and North America, the mortality is similar to that of those areas.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mortality, bedside diagnostic methods using biological fluids and more effective herapy for liver failure should be established$qu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