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국어과 교육을 위한 텍스트 갈래에 대한 지식 범주화

        이병규 ( Byoung Gyu Lee ),선혜선 ( Hye Sun Su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49 No.-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이래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있다. 이 논의에서는 교육과정의 이러한 취지를 살리기 위하여 학습자에게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것이 텍스트의 갈래에 대한 지식임을 규명하고 그 범주를 정립하고자 했다. 그 결과 텍스트 갈래에 대한 지식의 범주를 ‘텍스트 갈래의 의미’, ‘텍스트 갈래의 맥락’, ‘텍스트 갈래의 구조’, ‘텍스트 갈래의 표지’, ‘텍스트 갈래의 내용’으로 설정하고, 각 범주를 ‘설명하는 글’, ‘제안하는 글’, ‘주장하는 글’을 사례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 논의에서 수립한 텍스트 갈래에 대한 지식 범주가 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이 논의는 텍스트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실행되어 학습자의 실질적인 국어능력을 신장시기 위하여 어떤 점이 보완되고 강화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7 has focused on text-centered curriculum. To recognize the purpose of this curriculum, we tried to identify text type which leaners should be taught and educated and set up the category of this curriculum. As a result, we set up the categories of knowledge on text type into ‘the meaning of text type’, ‘the context of text type’, ‘the structure of text type’, ‘the marker of text type’, ‘the content of text type’ and explained each category with using examples of ‘expository writing’, ‘statements of suggestion’, and ‘opinionative writing.’ In addition, we examined how knowledgable categories of this text type, are applied in Korean textbooks and discussed the improvements. This discussion presents what should be strengthened and complemente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ext-cent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o develop the substantive Korean language ability of learners.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내용 조직 양상 연구 2

        이병규 ( Byoung Gyu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8 청람어문교육 Vol.38 No.-

        이 글에서는 제4차 교육과정 이래 새 교육과정까지 설정되어 온 문법영역의 내용 조직 양상을 논의했다. 특히 여기서는 국어의 구조 범주(음운, 낱말, 어휘, 문장, 문법 요소, 의미, 담화)와 국어 규범 범주(표기법, 표준말, 바른 문장 사용)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제4차 교육과정부터 새 교육과정까지 문법 영역의 하위 내용별 비중을 6개 범주별(언어의 특성, 국어의 특질, 국어의 변천, 국어 및 국어 생활에 대한 태도, 국어의 구조, 국어 규범)로 10개 하위 분야별(음운, 낱말, 어휘, 문장, 문법 요소, 의미, 담화, 표기법, 표준말, 올바른 문장 사용)로 학교급별 범주별로 구분하여 각각 살펴보았다. 또 국어의 구조 범주와 국어 규범 범주의 10개 하위 분야에서 다루어 온 내용, 각 분야 내용들 간의 학년별 연계 방식과 문법 영역과 타 영역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This paper discusses an teaching-learning contents organization of Korean Grammar domain which is established since four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it, first this paper discusses two categories: the structure of Koran Language and the norm of Korean Language. This paper argues the contents of Korean Grammar which we should deal or have dealt with by the categor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I focused on the manner connect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by grades and the relation of grammar with another domain.

      • KCI우수등재

        담화와 국어 교육

        이병규 ( Lee Byoung-gyu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8

        이 글은 담화가 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그 지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국어과 교육은 담화를 생산하고 수용하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교과이기 때문에 담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에 대한 과정으로 이 글에서는 먼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담화가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를 살폈다. 다음으로 국어과 교육에서 담화의 사용 양상을 매체적인 측면, 언어 단위적인 측면, 용어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육과정 내에서 담화 사용의 혼란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담화 연구와 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담화의 개념이 무엇인지, 문장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담화와 발화, 문단 그리고 문장은 어떻게 다른지도 논의하였다. 끝으로 담화의 의미와 문장의 의미의 관계를 논의한 후, 국어 연구와 국어 교육에서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담화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d how discourse has been handl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status.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goal that aim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produce and interpret discourse, recognizing discourse is important. As a process for this, for the first time this article looked at when discourse first appeared in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and how it has been dealt with. Next, the use of dis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examined in terms of media, language units, and terminology,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onfusion of the use of discourse in the curriculum. And for the study of discourse and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what the concept of discourse is, how it relates to sentences, and how discourse and speech, paragraphs, and sentences are different. Finally, after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and the meaning of the sentence, the scope of the discourse that should be targeted in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limited.

      • KCI등재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국어 교육의 새 기준(new normal)

        이병규 ( Lee Byoung Gyu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이 글은 새 일상 시대의 국어 교육의 방향으로서의 새 기준을 논의했다. 먼저 ‘새 일상’과 ‘뉴 노멀’의 용어상의 관계를 살펴본 후, 새 일상 시대는 어떠한 모습을 띠고 있는지를, 사회적 측면과 교과적·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 변화적 측면의 새 일상으로는 먼저, 경제 침체에 따른 것으로 빈부 격차 심화, 교육 불평등 심화,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절벽 심화, 1인 가족 및 1인 생활 일반화 등을,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관련된 것으로 뉴미디어의 발달, 비대면 온라인 소통 방식의 일반화, 각 분야의 인공지능의 개발로 인간의 역할에 대한 변화 등을, 코비드 19로 인한 새 일상으로 소득 양극화, 배달 문화의 활성화 및 플랫폼 노동자와 그 인권 문제 대두, 재택 근무의 일반화, 교육 양극화의 심화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기후 변화로 인한 저탄소 배출,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 가정 및 국제 결혼 가정, 전세계적 한류 신드롬의 출현 등을 사회적 새 일상에 포함시켰다. 다음으로 교과적·교육적 측면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가지의 핵심 역량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가지의 핵심 역량이 새 일상 시대에도 유효한 것으로 파악했다. 다만 여기에 새 일상 시대의 사회 변화의 모습을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해야 함을 논의했다. 나아가 학문 간, 교과 간 통섭과 융합에 대한 요구, 코비드 19의 경우에서처럼, 사회적 거리 두기 등으로 인한 면대면(off-line) 중심의 학교·지역·사회 교육에서, 비대면(on-line) 병행 또는 비대면 중심의 학교·지역·사회 교육의 일반화 및 보편화 요구 등도 반영하여야 함을 논의했다. 끝으로 새 일상 시대의 특성과 성격을 국어 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하고, 새 일상 시대의 국어 교육이 지향해야 할 새 기준으로 첫째, 창의적 사고력 신장 강화, 둘째, 맥락과 어법에 맞는 국어 사용 능력 신장 강화, 셋째, 미디어 문식성 신장 강화, 넷째, 기초 문식성 강화, 다섯째, 융합적 사고 역량 강화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w normal as a standard(NNS) a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new normal as a new daily life(NNL). First, after examining the termi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NNL’, ‘NNS’ and ‘new normal’,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NNL by dividing it into a social aspect and a curricular·educational aspect. The NNL in terms of social change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downturn,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s widened, educational inequality has increased, the population cliff has been deepened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single-person families and single-person lifestyles have generalized. As related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developments in new media, the generalization of non-face-to-face online communication methods, and changes in the role of humans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ach field. As a NNL due to Covid 19, there are income polarization, the revitalization of delivery culture, the rise of platform workers and their human rights issues, the generalization of telecommuting, and the deepening of education polarization. In addition, low carbon emissions caused by climate change, foreign worker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d the emergence of the global Hallyu syndrome can also be included in the social NNL. Next, the NNL in terms of curriculum and education change is as follow. It was identified that the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summar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effective in the NNL.It was just discussed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social changes in the NNL era.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also reflect the demand for generalization of non-face-to-face school, regional, and social education due to social distancing(Covid 19) and the demand for consilience and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and subjects. Finally, four N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NL are presented. First, strengthen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seco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use Korean according to context and usage, third, strengthening media literacy, fourth, strengthening basic literacy, and fifth, strengthening convergence thinking capability.

      • KCI등재

        기행문 텍스트의 맥락과 형식 연구

        이병규 ( Byoung Gyu Lee ),최선희 ( Sun Hee Cho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1

        이 글은 기행문 텍스트의 맥락 특성과 형식 특성을 명료화하고 지도 요소를 추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행 문화가 활성화되어 있는 현 시대의 패러다임 속에서 기행문은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텍스트이며 그 교육적 가치는 분명하다. 그러나 학습자는 기행문을 일기, 견학기록문, 답사기 등의 텍스트 갈래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궁극적으로 기행문 텍스트가 소통되는 맥락, 형식적 특성과 같은 교육 내용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데에서 비롯된다. 기행문 텍스트만의 갈래 지식을 명료화하는 것은 학습자가 기행문다운 기행문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기행문 텍스트가 특정 텍스트 갈래로서 지니는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제 기행문 자료를 분석하여 기행문 텍스트의 맥락 특성과 형식 특성을 명시화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행문은 여행 경험을 전제로 하여 정서 표현의 주목적과 함께 정보 전달의 부목적을 갖는 데 비하여 견학기록문은 정보 전달, 답사기는 정보 전달의 주목적과 정서 표현의 부목적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기행문은 참여자의 나이, 지위, 학력에 제한이 없어 주로 학생이 대상이 되는 견학기록문, 독자에 비해 필자가 높은 지위를 부여 받는 답사기와 비교하여 한정성이 낮은 텍스트임이 밝혀졌다. 다음으로 기행문 텍스트의 형식을 규명하였는데 기행문텍스트의 형식으로 가능한 것과 제외되어야 하는 형식을 구분하였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형식으로는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대표적 기행문 형식과 일기 형식, 편지 형식을 제시하였다. 반면 시 형식과 안내문 형식은 제외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는 실제적인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기행문의 특성을 정교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extract context characteristic and form characteristic of travel essay text. Travel essay text is closely with students`` life in paradigm of travel culture, so its educational value is clear. But, students often confuse travel essay with diary, field trip documentary literature, and survey essay. This problem issued from lack of educational contents about context characteristic and form characteristic of travel essay text. Students can write and read travel essay exactly through clarifying knowledge on text grammar of travel essay. In addition, that makes travel essay text``s position secure. Therefore, in order to extract and establish systematic model for context characteristic and form characteristic of travel essay text, we analyzed data regarding travel essay text used in actual communication process. As a result, travel essay’s major purpose is feeling expression and secondary is information delivery. However field trip documentary literature’s main purpose is information deliver. In addition, travel essay is not limited by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but field trip documentary literature has more limitation about participants. Alos, writer’s position about survey essay is higher than reader. About form of travel essay, available forms as travel essay are general travel essay form, diary form, and letter form, restricted form is poem form and sinn form. This discussion is focus to analyze about context and form of travel essay through representative text so it carries an important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론 정립을 위한 탐색

        이병규 ( Byoung Gyu Lee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어 교육 Vol.19 No.3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into current status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policy on each part for establishment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policy theory. First, this thesis discussed the necessity and the changes of the Korean education policy. The necessity of the theory is considered as the racial education for Korean residents abroad, establishment of the base for the promo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and preserv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also maintain of world culture multiplicity. Second, this study argued on the purpose and principle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policy. In this study,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Korean education policy is to support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extend the area of using Korean. And then the principle is considered coexistence of interculturalism and multiculturalism. Finally, this research debated on investigation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policy as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policy agency, related raw, the public institution to support the Korean education policy, and support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contents.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일반논문 : 담화 기능과 그 체계

        이병규 ( Byoung Gyu Lee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이 글은 구체적인 언어 사용에 해당하는 담화의 기능이 무엇이고 그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담화는 발신자가 특정한 장면에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어떤 의도를 수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발화의 연쇄를 말하는데, 이를 통하여 발신자가 구체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 드러내고자하는 목적이나 의도를 담화 기능으로 보았다. 그 유형은 담화의 구성 요소인 화자(의 심리 상태), 세계(와의 관련성), 청자(의 특정성 및 심리 변화)를 고려하여 친교적 기능, 표현적 기능, 선언적 기능, 제보적 기능, 설득적 기능, 책무적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This paper elucidated the discourse function and the types. Discourse is a chain of one or more utterances to convey a sender`s intention to a recipient with a specific purpose in a particular scene. And it is discourse function that the purpose or intention was revealed by sender in the particular communication situation. This paper classified the types of discourse functions with relationship expressive, emotional expressive, declarative, informative, persuasive and commissive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