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층의 정보활동이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미숙,문진현,김희섭,Lee, Misook,Moon, Jin-Hyun,Kim, Heesop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정보활동(정보기기 사용수준, 정보검색 시간)이 고령층의 삶의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대구 및 대구근교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371부의 데이터를 IBM SPSS 21.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와 휴대폰 사용수준은 삶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TV와 전화기 사용수준은 고령층의 삶의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와 관련한 정보검색 시간은 삶의 행복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금융과 관련된 정보검색 시간은 삶의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information activities (i.e., the ability of digital device use and the time spent of information retrieval) on the feeling of happiness for the elderly people in Korea.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ace-to-face interview with the elderly over 60 years old living in and around Daegu, Korea and analyzed 371 valid data for frequency,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using IBM SPSS version 21.0. The results showed that neither the ability of computer nor mobile phone use affect on the feeling of happiness, whereas both the ability of TV and telephone use influence positively (+) on it. In addition, the time spent of the business-related information retrieval influences negatively (-) on the feeling of happiness, but the time spent of the financial-related information retrieval influences positively (+) on it.

      • KCI등재

        한국 국방획득정책의 변천과정과 전력증강 방향 고찰 - 노태우·김영삼·김대중 정부를 중심으로 -

        이미숙 ( Lee Misoo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국방연구 Vol.6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간(1988~2003) 중 역대정부들의 국방획득정책의 전력증강 방향과 전력증강실적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현실에 부합되는 전력증강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노태우·김영삼·김대중 정부의 전력증강 방향은 기본적으로 대북 방위전력 우선이었다. 정부별로 대북인식에 차이는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북한의 위협이 상존한다는 인식을 공유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정부는 시기별 안보상황과 미래 전쟁양상의 변화를 고려하여 배분된 가용재원 범위 내에서 주변국과 미래 위협 등 불특정 위협에도 대비하는 전력증강을 추진하였다. 노태우 정부는 대북 방위전력 건설에 집중하였으나 김영삼 정부부터는 안보위협 대상의 범위가 확대되어 대주변국 방위전력을 증강하였고, 김대중 정부는 더 확대되어 미래위협에 대비하는 전력증강까지 추진하였다. 그러나 전략증강 방향과 국방획득 실적을 비교분석한 결과, 역대정부는 괄목할만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국방획득사업을 통해 전력증강 방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였다. 국방획득정책이 전력증강 방향대로 추진되지 못한 주요 이유는 전력증강 투자비의 배분과 대미의존적인 군사전략, 전력증강 우선순위 설정 등의 문제에 있었다. 역대정부는 자주국방력 강화를 위해 육·해·공군 균형 발전, 통합전력 증강, 기술집약형 정예군 건설, 정보화군 건설 등을 전력증강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전력증강의 추진력인 전력투자비의 배분현실을 제대로 국방획득사업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또한 한미 연합방위전략 하에서는 미군의 해·공군지원에 의지하여 한국 육·해·공군의 균형 발전과 통합전투력 증강이 미진하였다. 또한 미군에 의존하다보니 북한의 재래식무기 위협 대비에만 집중하였고,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한 비대칭 전력증강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대 주변국 대비 전력증강의 방향제시가 미흡하였다. 그렇다 보니 전력증강 방향을 개념적으로만 제시했을 뿐 전력증강의 우선순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 국방획득정책의 성패는 전력증강 방향이 얼마나 자주적이냐에 달렸다. 주한미군이 모두 철수하고 한 명도 없어도 현존위협과 주변국을 포함한 미래 위협에 독자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력증강 방향을 세워야 한다. 아울러 전력증강 방향은 미래지향적이고 포괄적이면서도 구체적이어야 한다. 그것이 한국의 현실에 가장 부합하는 전력증강 방향이다. This research purpose is comparative analysis at the reality of buildup war potential and direction of one at each Administration, to seek direction of one to conform at the Korea substantiveness. No Tae Woo, Kim Young Sam, Kim Dae Joong Administration direction of buildup war potential is defense force against North Korea. Recognition of North Korea difference is existing at each administration that has a common one about her threat. But, each administration considered own security situation and future war condition, provided to cope unspecific threat as future threat. No Tae Woo Administration be concentrated defense force building against North Korea, Kim Young Sam one reinforced defense force against neighboring nations, Kim Dae Joong one executed to provide against future threat. However, comparative analysis of direction of buildup war potential and performance of national defense acquisition, each administration did not materialize buildup war potential. The fundamental cause was direction of buildup war potential. Each administration established direction; balance development of Army, Navy, Air Force, reinforcement of unified force, technology intensive force, information-oriented force. Within the ROK-US combined defense strategy, depended US Navy, Air force support, not entirely satisfactory at the balance development of Army, Navy, Air Force and reinforcement of unified force. In addition, concentrated preparedness against North Korea conventional weapon threat, insufficient buildup asymmetric buildup war potential against nuclear weapon and missile threat, and surrounding nations against China, Japan, Russia. Therefore, success or failure at the ROK national defense policy is based on how independent at the direction of buildup war potential. This requires establish direction buildup war potential to cope current threat and future threat without US Armed Forces in Korea. This is accord with reality of ROK defense circumstance.

      • KCI등재

        실버세대의 정보 활용능력이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미숙(Misook Lee),김희섭(Heesop Kim),홍순구(Soongoo Ho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세대의 정보 활용능력, 생활 만족도, 그리고 삶의 행복감 간의 인과 관계를 밝히고, 아울러 고령화와 정보화 시대에서 실버세대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인터넷 정보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238개의 유효표본을 분석하였다. 실버세대의 정보 활용능력과 삶의 행복감의 관계 및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도가 정보 활용능력과 삶의 행복감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고려되어야 하는 시사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information literacy, life satisfaction, and life happiness of the silver gener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ir happy lif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ed at the Internet users of over 60 years old adults living in Daegu/Gyongbuk areas. Data were analyzed using 238 valid samples. With the results, it revealed that the silver generations’ life satisfac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formation literacy and their life happiness.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위니캇의 대상관계론으로 살펴본 작가 김유정의 정신세계

        이미숙 ( Misook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우울증과 육체적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자신이 나아가야 할 길인 문학을 시작함으로써, 정신적 성장을 이룬 1930년대 한국문학의 대표 작가 김유정의 정신세계를 분석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위니캇은 환경으로서의 양육자의 태도가 인간의 정신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돌봄이 실패하였을 경우 정신병리가 나타난다고 보았다. 연구방법은 우울증을 앓았던 김유정의 성장 과정을 위니캇의 대상관계이론으로 살펴 우울증의 원인을 알아본 후, 중간대상으로 자신의 우울증과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선택한 글쓰기가, 인문치유적인 관점에서 그의 삶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글쓰기를 활용하면서 주체적 자기로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며, 내적 자아와 외적 현실의 소통이 이뤄짐으로써 자기와 사회인식을 하고, 현실의 고통을 허구적으로 희화화함으로써 식민지 시대의 어찌할 수 없는 현실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정신적 성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ntal world of Kim Yoojung, a Korean literature author of the late 1930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depression and physical pain stemming from the growth process, Kim Yoojung himself began writing. He chose writing as a way to examine the impact of psychology and literary writing on his life. He wrote until the day he died of attachment to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growth process of author Kim Yoojung. Winikat's quest was to identify the cause of Kim Yoojung’s depression and his mental state. Second, h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author’s life and his choice of writing to escape from the pain of his depression and tuberculosis from a literary and healing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while using wri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inner self and the external reality is achieved and mental growth is achieved.

      • KCI등재

        뉴 미디어아트 작품에 표현된 중첩의 미적 특성

        이미숙 ( Misook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뉴 미디어아트의 표현 도구인 매체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양상의 작품으로 표현할 수 있는 변화의 가능성을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한 뉴 미디어아트 작품에서 새롭게 도출되는 중첩의 특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중첩의 개념과 다양한 사례, 중첩의 미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뉴 미디어아트에서 진화된 새로운 매체로 인해 중첩 특성에 투과성이 추출되었다. 투과성은 일반적으로 색채와 빛을 투과시킨 가상의 이미지에서 파악된다. 본 연구는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는 뉴 미디어아트의 특성에 대응한 관점과 재해석을 제공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중첩의 미적 특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향후 중첩에 대한 확산적인 연구를 위해 신기술과 접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media that is a expressed tool of New mediaArt gave the possibility of change that can be expressed in various aspects of the work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newly derived from New mediaArt work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For the study, the concept of overlapping, various examples,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were discussed. But, permeability was extracted in the overlapping characteristic due to the evolved new medium forn New mediaArt. Permeability is generally seen in a virtual image that transmits color and light. This study is academically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perspective and reinterpret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rt using new media.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and it is necessary to follow-up research with the new technology in order to diffuse the study of overlapp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배드민턴 단식 랭킹 산정을 위한 Weighted PageRank(WPR) 알고리즘의 타당도

        이미숙(Misook LEE),박재현(Jae-Hyeon Park),나경민(Kyungmin Ra),박철용(Cheolyong PAR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4

        이 연구에서는 PageRank의 확장 모형인 Weighted PageRank(WP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국내 중ㆍ고등학교 배드민턴 남녀선수들의 단식랭킹과 팀랭킹 산정방법을 탐색하고 유용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수집한 주요분석 대상자료는 대한배드민턴협회(KBA) 주최로 2018년도에 실시한 중ㆍ고등부의 남녀 개인전 단식경기와 단체전 결과이다. 모든 자료는 KBA 홈페이지에 공개된 자료이고 MS-Excel과 R언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MSExcel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였고, R언어를 이용하여 링크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한 WPR값과 Kendall 타우(τ)계수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남녀 중학생 단식 랭킹과 고등학생 단식랭킹을 산출한 결과, 상위 1위부터 15위 결과의 경우 WPR 랭킹과 승률랭킹 간에는 랭킹순위에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WPR 랭킹과 승률랭킹(WP_r)의 관련정도를 Kendall 타우(τ)계수로 검토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ㆍ고등학교 남녀 단식 팀랭킹을 산출한 결과 또한 개인 단식랭킹 산정결과와 유사하게 WPR과 WP_r 랭킹 간의 Kendall 타우(τ)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WPR을 적용한 경우 선행연구에서 검토한 PageRank보다 WP_r 간의 Kendall 타우(τ)계수가 남녀 중고등학생 개인 단식랭킹과 팀랭킹 대부분에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WPR을 활용한 랭킹 산정방법이 청소년대표 및 국가대표 선발시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e rankings of individuals and teams in domestic junior Badminton singles by using WPR algorithm and to examined its usefulnes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male and female singles ev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2018 published on the homepage of Badminton Korea Association. It used Ms-Excel and R language for data tabulation and analysis. It used MS-Excel to tabulate the data, and then used the R language to calculate WPR and Kendall tau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the top 15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players’ ranking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WPR and winning percentage ranking (WP_r), but the Kendall tau correlations between WPR and WP_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ly, the results of the top 1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ms’ ranking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WPR and WP_r, but the Kendall tau correlations between WPR and WP_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the Kendall correlations between WPR and WP_r were larger in most cases than those between PageRank and WP_r. From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a fair and objective basis useful for selection of national youth players in Korea Badminton Association.

      • KCI등재

        일본과 핀란드 교과외 활동의 주요 역량 탐구

        이미숙(Lee, Misook),조덕주(Jo, Duk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역량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 교육 흐름에서 교과 활동뿐만 아니라 교과외활동인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서도 우리나라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함양해야 할 역량을 좀 더 정교하게 제시하고,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보다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유사한 교육과정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일본과, 국가적으로 교과외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핀란드의 다양한 활동의 분석을 통해 우리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 는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과 핀란드의 교과외 활동들은 모두 국가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의 지향 방향과 대체로 일치하는 역량을 제시하면서 교과외 활동에서 주목해야할 한 두 가지 역량을 보다 강조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과 핀란드 모두, 교과외 활동의 하위 활동 전체에 걸쳐 공통적으로 지향해야 할 사항 즉, 일본은 ‘집단 안에서의 바람직한 인간관계의 형성’의 강조, 핀란드의 경우는 ‘한인간으로의 성장’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과 핀란드 모두 사회 의 영향을 받아 교과외 활동에서만 강조하는 특징적 내용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stream of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ompetences for students to develop and for teachers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subject-based activities. In this study, we, researchers concentrate our research focus on the competences to be develop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for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Finland where has emphasized on student s competences and Japan where has similar in structure of national curriculum to Kore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wo countries are aiming at the same directions of the purpo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But they do not emphasize all the purpo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but focus on the one or two purpose(competences). Second, each countries has its common competences to cover all the sub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of group consciousness and attitude in Japan, and development as a human in Finland. Third, there are particular competences which are emphasized only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re are special competences which can be developed more efficiently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new curriculum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should be developed beyond the mere physical integration of the former discretion activity and extra-curricular activity ,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ive a guide in identifying and developing the competence of new curriculum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 KCI등재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인천광역시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미숙(Lee, Misook),박주형(Park Ju-Hyoung),김종민(Kim, Chong Min),임현정(Lim, Hyunj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과 전문가 및 현장교사 검토 협의, 연구진 협의를 통해 학교 혁신문화 측정 도구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2016 학교혁신 종합계획’과 ‘행복배움학교 추진계획’을 근간으로 하여 선행연구 자료, 전문가 집단의 의견, 연구진 협의를 통해 4대 측 정 영역과 13개 하위요소 그리고 각 요소를 대표할 수 있는 세부지표로 구성하였다. 측정도 구 초안에 대하여 델파이 방식으로 1차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여 2차 의견을 수렴하 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복배움학교 준비교, 1년차 학교, 2년차 학교, 그리고 일반학교의 구성비를 고려하여 표집한 초∙중∙고 총 45교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 도를 분석하였고, second-order 모형(4대 영역과 13 하위요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 였다. 그 결과 4대 영역과 13개 하위요소로 구성된 본 연구의 측정도구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표준 적재치, Cronbach's  , 개념 신뢰도, 평균분산추출지수, 상관계수와 평균분 산추출지수 제곱근 분석결과,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한 측정도구의 현장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행복배움학교와 일반학 교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1) 행복배움학교와 일반학교, 2) 행복배움학교 준비교, 1년차교, 2년차교, 그리고 일반교 사이의 각 영역별, 하위요소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가 학교 혁신문화를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school innovation culture. For this, we developed a measurement model of school innovation cultur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field teachers, and discussion with researchers. Based on the ‘2016 School Innovation Comprehensive Plan’ and the ‘Happy Learning School Promotion Plan’, which are being promoted by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we developed an instrument to measure 4 domains, 13 sub-domains, and a detailed index of school innovation culture. The first and second draft of the instrument was reviewed by Delphi metho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 collected data 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ere sampled considering the composition ratio of happiness learning schools, first year schools, second year schools, and general schools. We analyz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and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the second-order model. As a result, the developed instrument which consists of 4 domains and 13 sub -domain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in the construct validity.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ble validity of the developed instrument, we compared the results of happy learning schools and general school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domain and sub-domain of general schools, happiness learning preparation schools, first year schools, and second year schoo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instrument would be as a useful scale to measure school innovation culture.

      • KCI등재

        뉴 미디어아트의 전개 양상과 담론

        이미숙 ( Lee Mi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본 논문은 기존의 예술의 표현 도구를 무너뜨리고 디지털 매체를 도입한 뉴 미디어아트의 시대적 배경과 개념 및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현대인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디지털 뉴미디어 매체의 확산범위와 뉴 미디어아트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작품을 사례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을 표현하는 도구가 뉴 미디어아트에서 AI 시대 예술로 전환됨을 제시하고 뉴 미디어아트의 한계를 주요 쟁점에 대해 시사한다. 그리고 AI 시대 예술의 표현 도구로 활용되는 인공지능은 뉴 미디어아트와는 다른 새로운 아트가 등장되어 시작되고 있음을 예고한다. 또한 새롭게 다가올 표현 도구에 대해 제시하였다. 더불어 향후 새로운 AI 시대의 개념과 이에 적합한 예술 명칭을 위한 추가적인 논의가 왕성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background and concept in new digital media art that breaks down existing artistic expression tools historical, the spreading range of new media art connected with modern daily life, and outstanding characteristic using the case in new media art. Based on this, I suggests that the tools of expressing art are transformed from new media art to AI age art and I proposes the limitations of new media art to major issues.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used as an expression tool of arts in AI period, predicts that new art, which is different from new media art, is starting to appear. Also I present it emerged as a new expression tool. In addition,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the new AI era and the appropriate name for the ar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감성리더십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미숙(Misook Lee),조성연(Songyon Cho)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emotional leadership on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in the music education. Methods: 301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music attitude scale,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emotional leadership scale, and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usic experience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higher music teaching efficacy in case of at least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period, having a post-graduate degree, having a music training experience, enjoying learning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and listening to music during regular music lessons, and having a long music training experience. Similar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ubfactors of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r=.172-.659, p<.001) in the total and subfactors score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emotional leadership, and music teaching efficacy. Lastly,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attitude and their emotional leadership were explained at 39~52 percent for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belief, knowledge and feeling about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