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페렛의 위장관 림프종

        이수향 ( Su Hyang Lee ),김상협 ( Sang Hyeob Kim ),이은주 ( Eun Joo Lee ),박순석 ( Soon Seok Park ),김아영 ( Ah Young Kim ),이은미 ( Eun Mi Lee ),이명미 ( Myeong Mi Lee ),성수은 ( Soo Eun Sung ),황미열 ( Meeyul Hwang ),권영삼 ( You 한국동물위생학회 2015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38 No.3

        A 7 years old, female and neutered ferret (Mustela putorius furo) was presented to local animal hospital due to lethargy, anorexia and hypothermia. Radiography, ultrasonography and blood test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clinical signs and tests, this case was presumed to be lymphoma. In consideration of this ferret’s condition, chemotherapy was carried out for the treatment. However, the ferret died a few days. After necropsy, metastatic tumors were observed over abdomen. All tumors were packed with homologous lymphocytes with pleomorphic changes and numerous mitotic figures. Consequently, this masses were diagnosed as B-cell gastrointestinal lymphoma, which were negative for CD3 on immunohistochemist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무용수의 운동능력과 형태의 상관

        이명미(Myung Mi Lee) 한국발육발달학회 2004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n the body shape and character of the motor ability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r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0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length variable, there are relationships more than 5 items of the motor ability that the iliospinale length, trochanterion length, tibiale laterale length and tibiale mediale - sphyrion tibiale length. 2. In the breadth variable, there are relationships more than 3 items of the motor ability that the biiliocristal breadth, biepicondylar humerus, biepicondylar femur. 3. In the girth variable, there are relationships more than 5 items of the motor ability that the upper arm relaxed girth, upper arm flexed and tensed girth, forearm girth, mid-thigh girth. 4. In the skinfolds thickness variable, there are relationships more than 5 items of the motor ability that the front of thigh, medial calf. 5. The sitting height has relationships with a lots of items in the motor ability.

      • KCI등재

        연구논문 :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의 한 측면 -충렬(忠烈)~충선왕대(忠宣王代) 중조(重祚)를 중심으로-

        이명미 ( Myung Mi Lee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4 No.-

        몽골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국왕의 위상은 변화했다. 첫째, 이전 시기 외교적 질서 상에서만 상위 권위로 존재하던 황제권이 고려 내에서도 현실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둘째, 고려국왕은 몽골 황제권과의 관계를 통해 권력을 부여받은 다른 권력주체들과의 경쟁관계에서도 제약받게 되었다. 이러한 국왕 위상의 변화는 몽골황제권이 정점에 존재하는 가운데 몽골황제권과의 다양한 ``관계들``을 통해, 그 관계의 공고함과 긴밀함의 정도에 따라 권력이 부여되는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관계들``에는 고려국왕이 ``국왕``으로서 몽골황제의 ``책봉``을 받는다는, 국가간 관계에서 파생된 관계도 포함되지만, 그와 함께 몽골황제, 황실이 다른 정치단위의 수장 및 그 지배가문들과 형성했던 개인 간·가문 간 관계 역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동아시아적 관계 요소의 변화와 몽골적 관계 요소의 개입으로 형성된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와 그 안에서의 고려국왕 위상에 대해 고려국왕과 신료들이 분명하게 인식하게 된 것은 충렬-충선왕대 重祚의 과정을 통해서였다. 重祚를 통한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와 국왕 위상에 대한 인식은 이후 고려국왕과 신료들의 정치행태에 영향을 미쳤다. 국왕의 몽골 황제의 제후로서의 위상이 실질화하고, 몽골 황제권과의 관계를 통해 권력 중추가 이원화하는 권력구조 아래에서 고려 신료들은 현왕과 전왕, 혹은 황제권을 중심으로 결집하며 분열했다. 국왕들 역시 변화한 권력구조 속에서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정치활동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중조 이후 고려국왕과 신료들의 정치방식에서 보이는 변화상들은 복합적 고려-몽골 관계 속에서 형성된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와 고려 국왕 위상의 변화를 잘 보여주며, 동시에 이러한 변화를 고려 국왕과 신료들이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During the Mongol Subjugation period, the status of Goryeo kingship changed. First, as the authority of the Mongol emperor established itself the highest one also inside Goryeo, the Goryeo king`s status as a ``vassal(Je-hu, 諸侯)’ of the Mongol emperor became to have actual meaning even inside Goryeo. Secod, in order to be installed as Goryeo king and maintain their kinship, Goryeo kings had to compete their rivals who obtained power through their ties with the Mongol emperor and the imperial family. This situation comes from the power structure of this period. The power came through warious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emperor and imperial family. The strength of power differed according to the stability and intimateness of such relationship, which includes not only inter-national but also inter-personal and inter-familial relationship. This power structure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reinstatement of Weon-jong(元 宗) in 1269. At this time, however, the Goryeo kings and governmental officials recognized only part of the structure. They clearly realized the whole power structure of the Mongol subjugation period and the status of Goryeo kingship under the power structure only after the dethronement and enthronement(Jung-jo, 重祚) od Chung`ryeol-wang and Chung`seon-wang(忠宣王) by the Mongol emperor in 1298. After this incident, Chung`ryeol-wang lost his position as the highest authority in Goryeo, due to Chung`seon-wang`s emergence as a powerful contender and the Mongol emperor`s actual authority in Goryeo. This Change of the Goryeo king`s status and the whole realization of it strongly influenced the Goryeo kings` and governmental officials` future political choice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의 성립

        이명미(Lee, Myung mi) 한국사연구회 2013 한국사연구 Vol.162 No.-

        Even after the fall of the Choi House’s Military regime in 1258, Goryeo king was without full control of the military, politics and government officials. And after the peace appointment with Mongol in 1259, Goryeo leaders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Mongols would be no different from the ones that the Goryeo had with other Chinese-based dynasties, which is tributary-appointment relationship. In that relationship, the emperor would not interfere in Goryeo affairs. In this condition, Im yeon(林衍, ?~1270) dethroned the sitting king Won-jong(元宗, 1259~1274) in 1269. The Mongols, who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Goryeo was similar to subjection relationship in their experience, accepted the dethronement as a rebellion against the Mongol emperor, intervened actively and reinstated Won-jong. Through this process, the power structure of Mongol Subjugation period was established. In this power structure, the king with the Mongol emperor’s power and authority became the sole center of Goryeo governance once again. With the change, however, the emperor’s authority that had been valid almost only in diplomatic terms before became to have actual power ‘in’ Goryeo, and the Goryeo kings’ status as vassals of the emperor also became practical ‘in’ Goryeo. In the power structure with the Mongol emperor’s authority on top, the power went along with the relations and the stability and closeness of the relations with the Mongol emperor and the imperial family. Now the Goryeo kings had to make efforts to intensify their personal and familial ties with the Mongols, and used those ties to maintain their kingship and the control over the government.

      • KCI등재

        메타픽션을 활용한 창작자의 자기치료 -김영하 『아랑은 왜』의 패러디와 대화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이명미 ( Lee Myoung-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7 No.-

        작가는 창작물을 통해 타자 즉 독자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창작은 힘든 고뇌와 고통의 과정이며 그래서 많은 작가들은 누구나 작품 창작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작가로서의 정체성과 존재적 불안을 야기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가의 내면을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기법으로 메타픽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시도로 김영하의 『아랑은 왜』에 나타난 패러디와 독자에게 말을 거는 대화적 글쓰기 형식의 메타픽션 기법을 통해 메타픽션의 치료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독창적이고 예술성을 갖춘 소설을 써야 한다는 창작자로서의 고민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민을 치료하기 위한 과정 역시 수반되어야 한다. 패러디를 통해 문학적 상상력의 한계를 고백하고 독자와의 대화적 글쓰기를 통해 창작의 어려움을 독자와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작가는 심리적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메타픽션 글쓰기 방식이 어떻게 효용되고 있으며 이것이 창작자에게 치료적 효과가 있다는 가능성을 엿보았다. 이 연구 과정은 궁극적으로 문학치료와 글쓰기 치료 분야에서 메타픽션 기법을 활용하기 위한 첫 단계이다. 앞으로 이를 토대로 메타픽션 기법에 대한 구안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일반 내담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것이다. The artist has a desire to be recognized by the other, that is, the reader, through his creative work. Creation is a difficult process that leaves so many writers anxious and having to deal with the existential crisis of identity. In this paper, we propose metafiction as a technique that can heal the artist's inner world. In an attempt to achieve this, the therapeutic effect of metafic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parody of Young-ha Kim's “Why Arang” and metafiction technique in the form of conversational writing that speaks to the reader. As a creator, it is natural to think about writing novels with originality and artistry. However, a process to treat these concerns must also be followed. By confessing the limits of literary imagination through parody and sharing the difficulties of creation with the reader through conversational writing, the artist will be able to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of his own. This thesis looked into the origin of the metafiction writing method and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that it has a therapeutic effect on the creator. This process is ultimately the first step to utilizing metafiction techniques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and writing therapy.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will systematically develop a scheme for metafiction techniques and continue research so that they can be applied by everybody.

      • KCI등재

        ‘드라마적 상상력’과 ‘역사적 상상력’의 한계에 갇힌 고려시대 여성들

        이명미 ( Lee Myung-mi )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9

        드라마 <천추태후>와 <기황후>가 주인공을 재현해내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을 보인다. 한 가지는 기왕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했던 두 여성의 긍정적 면모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다른 두 가지는 그들의 긍정적 면모를 드러내기 위한 구체적 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두 캐릭터가 모두 국가라는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들의 강인함이 남성의 이미지를 덧씌우는 방식으로 재현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재현방식은 ‘드라마적 상상력’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러한 한계가 대중물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고려시대 가족·친족제도 관련 연구성과에 힘입어, 고려시대 여성의 삶은 ‘남성 부럽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가족·친족제도 분야에 한정된 것으로, 여성의 삶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이해는 아니다. 정치적 영역에 있었던 여성의 삶과 관련해서도 두드러지는 활동을 보인 사례를 다룬 연구들은 있으나, 그러한 사례들이 고려시대 여성을 둘러싼 정치적 환경의 어떤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조적 차원에서의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즉, 고려시대 여성의 삶에 대한 총체적 이해는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역사 대중물이 고려시대 여성의 삶을 밀도있게 그려내어 주인공을 ‘이해 가능한’ 캐릭터로 재현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한편, 대중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서 민족과 국가라는 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그가 활동한 시기가 민족적, 국가적 갈등이 있는 시기일 경우에는 설령 개인의 삶과 행동의 동기를 이해 가능하게 설명한다고 하더라도, 그 서사가 국가와 민족이라는 가치에 반하거나 혹은 그를 배제하고 있다면 이는 단순한 실패 이상의 비난에 맞닥뜨리게 된다. 민족과 국가라는 가치가 우선시되어 그에 반하는 개인들의 행보는 ‘이해’가 필요한 대상으로 보지 않는 시선은 대중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넘어 한국사 연구 분야에도 존재 한다. 두 드라마에서 주인공들이 역사상의 모습 그대로 고려시대 여성의 삶을 대변하는 ‘이해 가능한’ 인물로 묘사되기보다는 엄청난 왜곡을 수반하면서도 굳이 국가라는 가치를 좇아감으로써 ‘긍정일변도의 인물’로 재현된 데에는 위와 같은 상황이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This essa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TV dramas "Queen dowager Chunchoo(千秋太后)" and "Empress Ki(奇皇后)" represent women in the Goryeo period, in order to scrutinize the current status of popular images of Goryeo women. The depiction of the female protagonists in these dramas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y show the positive aspects of the two women who had previously been regarded negatively in historical accounts. The other two are related to the concrete ways in which their positive traits are depicted. Both characters embody the value of the nation-state, and their robustness is represented by overshadowing the male figure. Such representation shows the limits to 'dramatic imagination' and is not simply the problem of mass culture. Scholarly research based on family and kinship systems of the Goryeo period tends to emphasize equality between Goryeo women and men. However, such research is limited to the family and kinship structures, and cannot be the basis to understand the whole life of women in the Goryeo era. Although there are introductory studies on specific cases of women’s prominent activities in the political arena,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such cases reflect the general political structure for women in the Goryeo period. Meanwhile, the value of the nation-st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ublic perceptions of mass culture. No matter how convincingly depicted, a drama that depicts the individual as against the nation-state especially during times of national conflict, is not only unsuccessful but also faces harsh criticism. Such a view that prioritizes the value of the nation-state in disregard of the need to understand the actions of individuals also exists in Korean historiography.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characters of the two dramas have been portrayed positively by embodying the value of the nation-state, accompanied by tremendous distortions rather than being depicted as 'understandable' characters that show the life of women in the Goryeo period.

      • KCI등재

        司法문제를 통해서 본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

        이명미(Myungmi, Lee)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1

        1269년 원종 복위 이후 다루가치와 몽골군이 고려에 주둔하게 되면서, 주로 軍事와 관련하여 다루가치와 管軍官이 사법권을 행사하는 사례들이 발생했다. 이러한 사법문제 처리과정에서 주목되는 지점은 다루가치와 관군관, 고려국왕 혹은 신료가 함께 사법문제를 처리하는 ‘雜問’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는 約會와 같은 몽골의 합의제적 재판방식과도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총체적 감독관으로서의 다루가치와 군사업무를 주로 하는 管軍官, 그리고 고려국왕(공주) 측이 함께 軍事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법처리가 필요한 사안이 발생할 경우, 상호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雜問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조정되지 않았을 때에는 雜問에 참여했던 주체들이 황제의 朝廷에 나아가 서로의 입장 차이를 조율해야 했다. 1278년 충렬왕의 親朝역시 몽골의 국가체제 안에서 중요한 위상을 갖고 있었던, 직접적으로는 일본원정이라는 大業과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할 두 주체 사이의 갈등이 김방경 무고사건을 통해 外化한 가운데 더 이상의 분란을 억제하는 차원에서 요구된 것이었다. 고려국왕은 몽골 측 관인과 함께 심문하고 그 결과를 직접 보고하기 위해 入朝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나아가 스스로의 정치적 처사와 관련해서 몽골 측에서 문제가 제기될 경우 그에 대한 변론을 위해 入朝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몽골 황제권은 그러한 분쟁을 수습하는 중재자 및 최종 결정권자로서 기능했으며, 이러한 상황은 몽골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국왕의 사법적 권한 혹은 위상에 발생한 변화를 보여준다. After the restoration of King Wonjong in 1269, Darughachis got to stay in Goryeo, and the Mongolian forces also stationed in Goryeo to suppress the Revolt of Sambyeolcho, and to persuade and prepare for an expedition to Japan. Since then, there were cases in which Darughachis and officers of royal forces exercised judicial power mainly in relation to the military. The officers of royal forces exercised judicial power on their own when the military command system was clear, and Darughachis would exercise judicial power over daily matters. What is worth noting in the handling process of judicial matters during the period was “Japmun(雜問)”, in which Darughachis, officers of royal forces, and Goryeo kings or officials dealt with judicial issues together. Both Darughachis and officers of royal forces were part of the Mongolian force and followed the orders from the emperor including suppressing the Revolt of Sambyeolcho and persuading and conquering Japan.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m: while the officers of royal forces focused on the “military” in their activities, Darughachis made responses to specific matters even covering the stabilization of common people in Goryeo. Since the Revolt of Sambyeolcho was an uprising against the king of Goryeo, as well, the forces of Goryeo were also active with suppressing it. Darughachis and officers of royal forces were, however, in different positions regarding the persuasion of and expedition to Japan. When there were issues requiring judicial settlement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common military duties in that situation, they seem to have coordinated and reflected their mutual interests through the system of “Japmun.” When they failed to coordinate their mutual interests in the Japmun process, the individuals that took personal part in it had to go and see the emperor in the royal court and adjust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s. The King Chungryeol’s personal attending the emperor in 1278 can be understood in that context, which was requested to control further trouble after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parties, which held an important status within the Mongolian national system and were supposed to play critical roles in the expedition to Japan more directly, grew external through the false accusation of Kim Bang-gyeong. The situation that Goryeo kings had to attend the Mongolian royal court to personally report the results of joint interrogation with the Mongolian officials in matters related to the Mongol empire and further to defend their treatment of internal affairs of Goryeo when someone raised an issue with it at the emperor’s court shows the changed status of Goryeo kings. In that process, the imperial power of Mongolia functioned as an arbitrator and final decision-maker to settle such disput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