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이경희(Gyeounghee Lee),권혁홍(Hyukhong Kwon),이정례(Jeongrye Lee),이성진(Sungjin L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6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 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y and expected competency of engineering freshmen by extracting core competencies acquired from university education. It also aims to suggest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extracts competencies in the following five areas as core competencies: ‘knowledge on major area’, ‘cultural ability’, ‘foreign language ability’, ‘basic learning ability’, ‘intercommunication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C’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freshmen (584 students) with questionnaires about their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gineering freshmen perceived current competencies were weak in every area, especially their capacities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rea were perceived to be weakest. Their demand for education is the highest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rea, and the second higher in ‘knowledge on major area’. Secondly, there exist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y and expected competency depending on the gender, high school department (science/liberal arts), high school location, types of college admissions, and types of mathematics in NAST.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enhancement of foreign language (English) education in engineering depart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 to overcome individual difference, promoting importance of competencies in the ‘cultural abilty’ and ‘intercommunication abilty’, necessity of continuous adjustment and complemen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through accumulation of feedback processes,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through engineering education and special programs.

      • KCI등재

        위기 사건 경험 노인 여성학습자의 초등학력인정 문해교육과정 학습경험의 의미탐색

        권양이(Yangyi Kwon),이경희(Gyeounghee Lee) 한국노년교육학회 2023 노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삶의 위기사건을 경험한 여성 노인학습자의 초등학력 인정 문해교육과정 학습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애사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는 삶의 노년 후반기에 맞이하게 된 크나큰 삶의 위기를 학습을 통하여 극복하는 한편 학습 이전과 크게 달라진 심적 변화를 보고하고 있다. 자신감, 성취감뿐만 아니라 예전과 달리 마음이 누그러지고 타인에게 관대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해교육 과정은 학력인정학습 그 이상을 내포하고 있다. 문해교육 학습은 위기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더욱 동기화되었고 이는 곧 학습과 삶의 즐거움이라는 새로운 인식으로 이어졌다. 둘째, 참여자는 선생님과 동료 학습자들의 지지를 받음으로써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는 문해학교를 다니면서 남은 생에 대한 삶의 자세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학습경험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거나 혹은 재해석하고, 행동으로 전환하는 과정(Mezirow, 2000)인 학습경험의 성찰과 반추를 통해서 스스로 긍정적인 의식 변화가 일어날 기회를 만든 것이다.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측면, 학습경험과 남은 생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전환과의 관련성을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연구로 재입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와, 문해교육에 대한 예산과 지원정책의 확대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female elderly learner who experienced life crisis events and participated in the literacy program accredited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purpose,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he participant overcame the great crisis of life that she faced in the latter half of her lives by learning in the literacy program, while reporting a significant change in her mind compared to before learning. In addition to a sense of confidence and achievement, it is said that unlike before, her mind has softened and her has become more tolerant of others than befo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the literacy program process involves more than academic accreditation. The participant’s learning was further motivated by the needs of escaping from the crisis situation, which led to her perceived joy of learning and life. Second, the participant gai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by receiving support from teachers and fellow learners. Third, the participant newly established her attitude toward life for the rest of her lives while attending literacy schools. Through introspection and rumination on the learning experience, which is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or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converting it into action (Mezirow, 2000), an opportunity for a positive change in consciousness is crea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spec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 perception and attitude change for the rest of life with a more systematic and structured study in future follow-up studies. Also, the need to expand the budget and support policies for literacy educ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중고령 학습자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박지애(Park, Jiae),이경희(Lee, Gyeounghee)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오프라인 중심의 수업을 하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 학위를 취득한 중고령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점은행제 참여 동기와 학위취득과정에서 겪게 되는 학습경험, 학점은행제 학습경험이 이후의 삶에 미친 영향 등을 탐색하고, 학점은행제의 발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경기북부 소재 A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로 학위를 취득한 중고령 학습자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 터 11월에 걸쳐 라포 형성 과정을 거쳐 2018년 12월 3일부터 12월 10일까지 심층인터 뷰로 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른 질적 분석 결과 9개의 범주, 18개의 하위범주, 4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중고령 학습자들의 학점은행제 참여 동기는 공부에 대한 열망, 제2의 인생 설계였고, 학습경험은 학습을 통한 성장, 대인관계 형성이었으며, 학점은행제 학습 경험이 삶에 미친 영향으로는 나에 대한 인식변화, 학습에 대한 인식 변화, 취업과 삶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학습자들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arned a bachelor s degree through a credit banking system . This study focuses on providing an implication of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hat takes an offline-oriented class, aimed at the middle and old aged adult learners who have acquired a bachelor degree from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hrough surveying for their motives to participate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at they have got in the course of degree acquisition and how the learning experience influences on their post-lives after acquiring their degree.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ing in depth with those who have acquired a degree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t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located in the northern area of Gyeonggido from Dec 3, 2018 to Dec 10, 2018 following the rapport establishment with them form June to November 2018.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data, based on grounded theory, 9 categories, 18 sub-categories and 48 concepts are derived. As a result,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s an aspiration for learning and newly mapping out their post lives, their learning experiences are helpful for their growth in academic field and for establishing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finally the influence that the learning experience has got on their lives are represented as an change of their self-perception by themselves, change of their perception to their learning and an activation of their lives and employ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acquisition of credit banking degree by middle and old aged adult learn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VR 체육 수업이 초등학생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임영재(Im, YoungJae),이경희(Lee, Gyeo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VR 체육 수업이 학생들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5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모형을 적용한 준실험 연구를 설계하여, 총 10회기(20차시)에 걸친 VR 체육 수업을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VR 체육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 집단과 전통적인 체육 수업을 받은 학습자 집단 간에 운동노력,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남학생은 지각된 즐거움, 여학생은 지각된 즐거움과 운동지속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지각된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운동노력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VR 체육 수업의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students exercise effor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pleasur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ustainability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design model was designed for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total of 10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ly,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exercise efforts, perceived pleasur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ustainability between learners who experienced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those who received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pleasure for male students and perceived pleasure and exercise sustainability for female students. Third, perceived pleasure and exercise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sustainability, and exercise efforts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exercise sustain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핵심역량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김기홍(Kim, Kihong),이경희(Lee, Gyeo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핵심역량의 관계를 구조분석으로 살펴보고, 대학생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A대학교 재학생 6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AMOS 24.0을 활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핵심역량 간,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몰입 간,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핵심역량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 각각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었으며,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핵심역량 간에는 정(+)의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전략과, 대학생활 기간 동안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을 위한 시사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the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For the collection of materials to verify the research, 670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randomly sampled, and the impact relation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of hypothesis verification and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MOS 24.0. Research result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were found. There was a positive influence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have been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did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key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enhance the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the strategy of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mmersion in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education that fosters key competencies during their college lif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임영재(Im, YoungJae),이경희(Lee, Gyeo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895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가장 크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동기는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동기는 학습몰입 또는 학습만족을 매개하는 단순매개효과 및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을 매개로 하는 이중매개효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몰입은 학습만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습만족을 매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만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structural model. To this end, 895 fifth-grade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Province responded. Fir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has the greatest static effect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static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ird, both the simple parameter effect that mediates learning immersion or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dual parameter effect that mediate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Fourth, learning immersion has a direct static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indirect static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by mediating learning satisfaction. Fifth, learning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at influ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based on this,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