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위점막 조직에서 산소유리기 발생에 관한 연구

        현경(Hyun Kyung Lee),정혜경(Hye Kyung Jung),이경은(Kyung Eun Lee),선영(Sun Young Yi) 대한소화기학회 200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6 No.3

        Background/Aims: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s considered as the major pathogen in gastroduodenal disease but the mechanism of its action has not been fully explain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H. pylori-infected gastric mucosa. Methods: Gastric biopsy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312 patients undergoing endoscopy. Oxidative injury was assessed by luminol enhanced chemiluminescence (ChL), malondialdehyde (MDA) and mucosal glutathione (GSH), respectively. Results: The ChL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 pylori-positive gastric mucosa group than in H. pylori-negative gastric mucosa group. The MDA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 pylori-positive gastric mucosa group. The ChL and MDA levels were higher in the mucosa of patients with chronic gastritis and ulc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GSH levels in H. pylori-positive gastric mucosa. In H. pylori-positiv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ChL, MDA and GSH among control group, chronic gastritis group and ulcer patient group. Conculusions: H. pylori infection is likely to increase oxygen free radical generation, enhance lipid peroxidation, and reduce the level of GSH. (Kor J Gastroenterol 2000;36:317 - 325)

      • KCI등재

        생활관리사를 통한 독거노인 식생활 교육자료 개발

        현영(Hyun-Young Lee),최정화(Jung-Hwa Choi),나영(Na-Young Yi),민준(Min-June Lee),장혜자(Hye-Ja Chang),최은희(Eun-Hui Choi),정민재(Min-Jae Chung),강경옥(Gyoung-Ok Gang),혜림(Hye-Lim Lee),이경은(Kyung-Eun Lee),곽동경(Tong-Ky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2

        노인은 다른 연령에 비해 면역력이 떨어져 식중독 같은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고 노인들의 잘못된 식생활 및 식품 취급행동이 그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독거노인은 일반 노인보다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인 면에서 유의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독거노인을 위한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은 매우 필요하다. 생활관리사를 통한 독거노인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자료 개발을 위해 서울 노인종합복지관 3곳에 소속되어 있는 생활관리사 2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독거노인의 건강 및 식생활 실태와 영양 · 식생활 · 식품안전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교육 내용의 대주제 및 소주제를 선정하고,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교육 주제 및 내용의 적합성을 5점 척도로 평가받았다. 1, 2차 평균 점수가 80% 이상인 항목들을 교육자료의 내용에 반영하였다. 식생활 관리의 교육 내용은 ‘올바른 식생활 관리는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해요’, ‘잘 챙겨서 드시면 좋아요’, ‘아침밥을 꼭 드시고, 규칙적으로 식사하세요’, ‘활동량을 늘리고, 건강 체중을 유지하세요’, ‘덜 짜게 드세요(혈압관리)’, ‘덜 달게 드세요(혈당관리)’, ‘술은 적게 드세요’, ‘건강기능식품, 잘 알고 드세요’의 소주제로, 위생의 교육 내용은 ‘식중독예방’, ‘식품 구매’, ‘식품 보관’, ‘조리 준비’, ‘조리’, ‘음식섭취’의 소주제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육자료는 생활관리사가 수혜자 노인의 가정에 방문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영양 · 식생활 ·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바람직한 식습관을 가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독거노인을 위한 식생활 안전관리 리플릿은 독거노인에게 있어 중요한 행동 지침 7가지(‘끼니를 꼭 챙겨 드세요’, ‘다양하게, 골고루 드세요’, ‘물, 이렇게 마셔요’, ‘눈으로 확인해요’, ‘올바르게 식품 보관해요’, ‘항상 깨끗하게!’, ‘덜 짜게, 덜 달게’)를 제시하였다. 위와 같이 독거노인을 위해 개발된 교육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은 독거노인의 올바르고 안전한 식생활을 유지하게 하고, 이를 통해 결국엔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올바른 식생활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terials for a food safety and nutri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aimed at single seniors assisted by a life manager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the Delphi technique. Single seniors’ need for food safety and nutrition management education and program materials were decided by FGI. The program contents were determined by the Delphi technique. Program materials were developed as two types: a booklet and leaflet. First, the program booklet had two parts: food safety education and nutrition & health education. The topics of food safety education wer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food purchase’, ‘food storage’, ‘cooking preparation’, ‘cooking’, and ‘eating’. Nutrition and health topics were ‘dietary life for the elderly’, ‘blood pressure management’, ‘blood glucose’, and ‘method for food choice’.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f nutrition, health, and food safety leaflet were decided as follows: (1) eat regularly; (2) eat in variety; (3) ways to drink water; (4) what is needed to be checked; (5) proper food storage; (6) always clean; (7) less salt and sugar. If these programs are implemented properly, they could provide food safety and nutrition guidelines for seniors for successful aging by maintaining their dietary lives and preventing food poisoning.

      • KCI등재

        노인들의 식품안전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식품위생 지식, 태도, 행동 조사

        최정화(Jung-Hwa Choi),윤진(Yoon-Jin Lee),은실(Eun-Sil Lee),혜상(Hye-Sang Lee),장혜자(Hye-Ja Chang),이경은(Kyung-Eun Lee),나영(Na-Young Yi),곽동경(Tong-Kyung Kw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안전에 대한 위생 지식, 태도, 식품취급 행동을 파악함으로써 식품안전위험요인을 진단하여 노인을 위한 식생활 안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시와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3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8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의 83.6%가 65세~80세, 69.5%가 단독거주 또는 노인 부부였으며, 49.2%가 50만 원 미만의 수입이었다. 노인들의 식품위생 지식은 ‘장을 볼 때 라면보다 냉동 오징어를 먼저 구입해야 한다’(도시 60.5%, 농촌 42.0%, P<0.001), ‘귤을 씻어서 먹어야 한다’(도시 75.4%, 농촌 49.7%, P<0.001), ‘간 쇠고기로 만든 고기완자전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한다’(도시 95.4%, 농촌 90.2%, P<0.001)의 항목에서 도시 노인이 농촌 노인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지식을 보였다. 식품위생 태도는 ‘나물은 맨손으로 무쳐야 맛이 좋다’(도시 34.9%, 농촌 33.2%, P<0.05)의 문항에서 도시 노인이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먼저 구입한 식품을 먼저 먹으려고 한다’(도시 88.2%, 농촌 92.1%, P<0.001), ‘냉장고에 있는 음식이 조금이라도 이상하다고 느끼면 버리려고 한다’(도시 84.1%. 농촌 91.4%, P<0.001), ‘불고기를 조리할 때 고기가 완전히 익었는지 확인을 하려고 한다’(도시 88.8%, 농촌 87.8%, P<0.05), ‘돼지고기를 굽던 젓가락과 식사에 사용하는 젓가락을 구분하려고 한다’(도시 78.5%, 농촌 70.6%, P<0.001)의 문항에서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태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점심때 밖에서 사 온 김밥을 식탁 위에 두었다가 저녁에 먹을 경우 상했을지 걱정을 한다’(도시 82.6%, 농촌 86.5%, P<0.05), ‘날달걀은 영양이 풍부하고 건강에 좋아서 마시는 것을 선호한다’(도시 71.8%, 농촌 76.7%, P<0.05), ‘생굴을 먹을 때 배탈이 날까 걱정을 한다’(도시 53.9%, 농촌 64.2%, P<0.05)의 문항에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식품위생 행동 분석 결과 대부분의 노인이 화장실에 다녀온 후, 외출에서 돌아온 후, 식사하기 전에는 손을 씻는다고 응답하였으나, 조리하는 도중 다른 일을 하고 다시 조리하게 될 경우 손을 씻는다고 응답한 노인은 도시 거주 노인(67.9%), 농촌 거주 노인(58.7%)으로 조사되었다. 생쇠고기를 자른 후 채소를 잘라야 할 때 도마세척 방법은 ‘흐르는 물로 도마를 닦는다’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얼린 냉동고기를 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싱크대 위 또는 식탁 위에서 해동시킨다’고 45명(33.8%)이 응답하였고,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40명(39.6%)이 응답하였다. 노인들이 얼린 냉동고기를 해동하는 방법으로 싱크대 위나 식탁 위에서 해동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건강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학습동기 강화프로그램을 접목하거나 일회성이 아닌 지속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남성 노인의 비율보다 여성 노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설문조사가 복지관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아 중산층 이상의 일반노인들에게 확대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식품안전 문제를 진단하여 노인 대상 식생활 안전 교육자료 개발과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safety knowledge, food safety attitudes, and handling behavior in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58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in urban and rural area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and χ2 test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From the results on elderly’s food safety knowledge, the item ‘tangerines should be washed before eating’ was correctly answered by urban subjects (75.4%) than rural subjects (49.7%). ‘Is it okay to cook meat left on the sink since afternoon in the evening’ showed the lowest correct answer rate in both urban (23.1%) and rural (31.9%) subjects. For the item related to food keeping, ‘Bacterial cells do not multiply in Samgyetang when it is kept in a refrigerator right after boiling thoroughly’, 58.5% of urban and 54.6% of rural elderly answered correctly. Most elderly people showed a tendency to think that boiled foods might be safe to eat. Secondly, for food safety attitudes, urban elderly had more proper attitude regarding the item, ‘Namul is very tasty only when mixed with bare hands’ (disagree rate 34.9%) than rural elderly (P<0.05)’. On the other hand, rural elderly had more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the store principle “first in, first out” compared to urban elderly (P<0.001). Thirdly, regarding food safety behaviors, only 67.9% of urban and 58.7% of rural elderly responded that they washed their hands right after answering the telephone while cooking. Exactly 33.8% of urban and 39.6% of rural older people replied ‘defrost meat on top of sink or table’ as the defrost method for frozen foods, showing that elderly did not recognize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during improper defrosting at room temperature.

      • KCI등재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노인 대상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 평가

        최정화(Jung-Hwa Choi),은실(Eun-Sil Lee),윤진(Yoon-Jin Lee),혜상(Hye-Sang Lee),장혜자(Hye-Ja Chang),이경은(Kyung-Eun Lee),나영(Na-Young Yi),안윤(Yoon Ahn),곽동경(Tong-Kyung Kw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9

        노인은 면역취약집단으로 다른 인구 집단보다 만성질환과 식품매개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며 식행동은 오랜 세월 굳어져 왔기 때문에 변화하기가 쉽지 않다.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식품안전·영양 시범 교육은 서울 마포, 충북 청주, 경북 의성, 충북 진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1년 7월 28일부터 9월 9일까지 총 5주간 매주 1회, 35~40분씩 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조사가 완료된 최종 연구대상은 교육군이 5회 교육 중 3회 이상 교육에 참여하고 교육 전후 평가를 마친 대상자로 137명, 대조군은 사후 설문조사를 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83명으로 총 220명이었다. 교육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들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노인들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들을 알려주고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교육 후 식품안전·영양지식은 모든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식품안전 영역 5문항 중 4문항, 영양 영역 3문항 중 2문항에서는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식행동은 교육군에서 ‘고기, 생선류는 조리 시 속까지 완전히 익힌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건강신념은 식품안전의 영역에서는 인지된 심각성과 자아효능감, 영양 영역에서는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장애, 자아효능감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지식, 식행동, 건강신념 변화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신념의 변화량과 식행동의 변화 가능성 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들이 일반 재가 노인보다 복지관에서 봉사하거나 활동하는 노인이었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교육기간이 5주로 비교적 짧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식행동이 쉽게 변화하거나 개선되기 어려우므로 장기간에 걸친 반복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향후 보건소나 복지관 등을 통해 지속해서 시행된다면 노인의 식품안전・영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바람직한 식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ost elderly have difficulties in managing food safety and nutrition by themselves. Various nutrition educations for the elderly have been developed, but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tools for the elderly are very limite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a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for the elderly.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for 220 seniors (137 educated group and 83 control group) aged over 65 years at senior welfare community centers. The intervention study was carried out on a weekly basis during each of 5 weeks, and each session lasted about 35 or 40 minut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ssessed with a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educa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a 5 week program, and topics were ‘Dietary changes for the elderly"s healthy lif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in everyday life’, ‘Safe food handling for my health’, ‘Healthy dietary life to prevent chronic disease’, and ‘Safety! nutrition! healthy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materials such as slides, handouts, videos, leaflet, and booklets were developed. As a result, there were score improvements in knowledge, dietary behaviors, and health belief after intervent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meaningful interrelation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health belief (r=0.520, P<0.001). This finding suggests that changing beliefs is very important to make desirable dietary behavioral changes. For this reason, we can conclude HBM theory is an effective model to educate nutrition and food safety for the elderly. Furthermore,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re implemented and delivered continuously at various settings such as a health center or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ose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nhance perception and change their desirable dietary behaviors for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을 위한 식품안전·영양교육 내용 개발

        최정화(Jung Hwa Choi),은실(Eun Sil Lee),윤진(Yoon Jin Lee),혜상(Hye Sang Lee),장혜자(Hye Ja Chang),이경은(Kyung Eun Lee),나영(Na Young Yi),안윤(Yun Ahn),곽동경(Tong Kyung Kwak)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7 No.2

        Our society is aging rapidly, an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are in charge of purchasing and preparing foods at home is increasing. However, most the elderly have difficulty managing nutrition and food safety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ecessary knowledge,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and Delphi technique to establish a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diet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elderly were surveyed through FGI. The education topics were decided by the Delphi technique. Th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a five week program, and the topics taught were ``Dietary Change for Healthy Lif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in Everyday Life``, ``Safe Food Handling for my Health``, ``Healthy Dietary Life to Prevent Chronic Disease``, and ``Safety! Nutrition! Healthy Dietary Life``. This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decrease the perceived barriers, and to increase the perceived interests and the sense of self-efficacy. Education program materials, lesson plans, slides, handouts, videos, leaflets, and bookle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f the food safety guideline leaflets for the elderly were decided as the following: (1) wash your hands in the correct way; (2) select safe food; (3) cook foods safely; (4) keep foods safely; (5) keep kitchen utensils clean. In conclusion, if advanced education programs are implemented and delivered continuously in locations such as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those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food safety and to change the desirable dietary behavior of th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17(2) : 167~181, 2012)

      • KCI등재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자의 위생지식 및 가정에서의 위생관리 습관

        이경은(Kyung-Eun Lee),나영(Na-Young Yi),박정연(Jung-Ye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자의 위생지식수준과 가정에서의 위생관리 수행도를 조사하는 것으로 서울지역에서 가정배달 노인급식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관과 종합사회복지관 2곳을 선정하고 수혜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0명을 선정하였고 조사에 참여한 97명의 응답을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여성이었고, 70세 이상이었으며, 초등학교 졸업이하의 학력을 보였다. 절반가량이 혼자 살고 있었고, 여러가지 만성질환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스스로도 자신의 건강을 좋지 않게 인식하고 있었다. 위생지식 평가 결과 손 씻기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였고,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는 과일의 세척, 소독 방법, 남은 음식의 보관 방법, 행주의 사용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배달급식을 받는 노인들의 가정내에서 위생관리 수행도 평균 점수는 2.8점으로 높지 않았다. 남은 음식의 완전한 재가열, 유통기한 준수가 가장 잘 수행되고 있는 반면, 손 상처의 부적절한 처리, 행주와 도마의 관리, 달걀 등 오염도가 높은 식품 취급 후 손 씻기가 잘 수행되고 있지 않았다. 급식 수혜노인의 위생지식과 식품취급습관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일반 사항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위생지식 총점과 수행도 평균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세부 영역별로는 구분사용과 세척 및 소독 위생지식이 관련 수행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독거노인과 노인가정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 노인들의 식품취급은 증가할 것이고, 외부에서 조리된 음식을 가정에서 섭취할 경우에도 섭취 전까지 보관이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중요하므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본 연구 결과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효과적인 위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위생교육을 통해 습득된 위생지식이 실생활에서 실천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역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food safety knowledge and to assess home food safety performance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Two facilities providing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older adults were located in Seoul. A total of 120 service recipients were surveyed using an individual interview technique and 97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program (ver.14)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70 years old or older and females. They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poor or very poor and took more than one kind of medicines. An average score of the food safety knowledge test was 11.48 based on 18 points (63.8%).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lder adults knew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but were not aware of when and how to wash hands. There was room to improve knowledge on cleaning and sanitizing fresh fruits and using wiping cloth. The knowledge score for each catego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nd age. The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the older adults was rated as 2.8 out of 4 points; the highest score was associated for proper food handling category and the lowest score was for cleaning and sanitizing. The worst performance was related to managing hand cuts and wounds (1.96). The total knowledge score and an average performance sco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01).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the older adults who receiv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would improve the recipients'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related to consumption of the meals at home. The programs should focus on not only improving food safety knowledge but also changing food safety practices.

      •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한 간척지 토양 염농도 분포 추정

        이경도 ( Kyung-do Lee ),백신철 ( Shin-cheol Baek ),홍석영 ( Suk-young Hong ),김이현 ( Yi-hyun Kim ),나상일 ( Sang-il Na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우리나라의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 간척지는 주로 농업적 이용을 위해 조성 되었으며 8,570ha의 농업용지 계발계획을 발표하였다. 간척지를 농업용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토양의 제염과 함께 염농도의 분포를 파악하는 것과 토양의 제염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간척지 전체 면적의 토양 염농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인력,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간척지 토양의 염농도 분포를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간척지에서 토양 염은 식물 생육에 제한 요소이지만 토양의 제염상태에 따라 간척지에 적응한 식생을 통해서 토양의 염농도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토양 염농도에 따라서 우점하는 식생의 분포가 다양하지만 육상식물, 염생식물, 나대지로 분류하여 그룹별 토양 염농도를 분석함으로써 식생을 활용한 토양 염농도 정량적 추정이 가능하다. 토양 염농도별 우점 식생이 다르다는 것에 착안하여 2013년 새만금 계화지구에서 식생의 활발한 성장이 시작되는 6월 육상식물, 염생식물, 나대지 세 가지 토지피복별로 35지점을 선정하여 토양 시료를 채취 후 염농도를 분석하고 6월에 촬영한 RapidEye 위성영상으로 산출한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와 상호 비교하였다. 토양시료 분석결과 육상식물 군락지의 토양 염농도는 0.01% 이하로 측정되었고, 염생식물 군락지와 나대지의 경우 0.2% 이상 측정되었다. 위성영상의 NDVI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육상식물은 0.55, 염생식물은 0.32, 나대지는 0.25로 군락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 계화지구에서 육상식물 분포를 통해 토양 염농도 0.01% 이하의 면적을 추정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